KR200491460Y1 -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60Y1
KR200491460Y1 KR2020190004323U KR20190004323U KR200491460Y1 KR 200491460 Y1 KR200491460 Y1 KR 200491460Y1 KR 2020190004323 U KR2020190004323 U KR 2020190004323U KR 20190004323 U KR20190004323 U KR 20190004323U KR 200491460 Y1 KR200491460 Y1 KR 200491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ver
fingerprint recognition
recognition modul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751U (ko
Inventor
한덕희
Original Assignee
(주) 솔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솔리티 filed Critical (주) 솔리티
Priority to KR2020190004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6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 G06K19/0735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by biometrically sensitive means, e.g. fingerprint sensitive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의 크기와 종류에 무관하게 터치패드와 RFID 카드리더 그리고 지문 인식모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을 개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지문인식모듈의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배면 또는 커버수용요부 둘레에 설치된 안테나모듈과, 상기 안테나모듈과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 사이에 연결된 수신부를 외측기에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의 크기나 종류에 무관하게 터치패드와 함께 3종의 인증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높은 보안 수준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lock having Compacted Authentication Module}
본 고안은 각종의 업소나 가정에서 무단 침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에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인식기능과 지문 인식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컴팩트화 된 인증모듈을 구비하여서 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번호입력을 위한 터치패드와, RFID 카드리더 또는 지문인식센서 모듈을 설치하여 중복 인증이 실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패드와 RFID 카드리더를 장착하여서 된 예를 도1의 밀레시스텍(주) 모델명 : MI-6200 시리즈( http://www.milre.com/ )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위 "주키"모델인 경우에는 표면적에 여유가 있으므로 터치패드가 아닌 다른 부위에 RFID 카드리더를 위한 수신 안테나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소위 "보조키" 모델의 경우 그 크기가 작아 표면적에 여유가 없어 불가피하게 도2의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이 터치패드의 중간에 RFID 카드리더를 위한 수신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터치패드 조립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터치패드의 외관이 다소 단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예를 도2의 밀레시스텍(주)의 모델명 : MI-5200 시리즈( http://www.milre.com/ )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을 수용하고, 보안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대형으로 제작되어 넓은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의 경우에 한하여 터치패드와 RFID 카드리더(화살표 참조), 지문 인식센서 모듈(별표참조)을 분산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를 도3으로 보인 아사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아이레보의 모델명 : X300-FH(http://www.egateman.co.kr/product/info.jsp?=&sno=310&pageno= 1&srt_cd=&srt_nm=)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3으로 보인 디지털 도어록은 숫자로 표시된 터치패드와 함께 화살표로 표시한 부위에 RFID 카드리더를 설치하고, 별표로 표시한 부위에 지문인식센서를 설치함으로써 3개의 인증수단을 분산 배치하여 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증수단이 터치패드와, RFID 카드리더와, 지문인식 모듈 등 3가지 정도가 되면 "주키"가 아닌 작은 크기로 된 디지털 도어록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인증수단의 요구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밀레시스텍(주) 모델명 : MI-6200 시리즈 및 MI-5200 시리즈(http://www. milre.com/) 아사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델명 : X300-FH(http://www. egateman.co.kr/product/info.jsp?=&sno=310&pageno=1&srt_cd=&srt_nm=)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표면적이나 크기에 무관하게 아무런 무리 없이 터치패드와, RFID 카드리더 그리고 지문 인식모듈을 모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의 크기, 종류에 무관하게 다양한 인증수단 요구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밀번호 인증 수단과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된 지문인식모듈이 설치된 외측기와,
상기 비밀번호 인증 수단과 지문인식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는 경우 마이크로콘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액튜에이터의 구동으로 잠금구가 해정되도록 하는 내측기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작동방향이 변경되는 감속기모듈과,
상기 외측기에 형성된 커버수용요부와,
일측이 상기 감속기모듈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모듈의 회전으로 일측을 기준으로 기립하여 상기 외측기의 커버수용요부에 삽입되어 외측기에 내장되고, 상기 인증 데이터의 인증 시 상기 감속기모듈의 역회전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로부터 플립되어 노출되는 지문인식모듈과,
상기 지문인식모듈이 기립하여 상기 외측기의 커버수용요부에 삽입 시 커버수용요부를 덮어서 삽입된 지문인식모듈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지문인식모듈의 커버가 구성되되,
상기 지문인식모듈은 상기 외측기 PCB에 회동축이 결합되며, 커버수용요부로부터 플립되어 노출 시 경사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커버에 RFID의 안테나모듈이 내장되며,
상기 커버에 내장된 안테나모듈과 마이크로콘트롤 유니트 사이에 연결되는 수신부가 구비되어 3종의 인증수단이 모두 구성되어도 컴팩트화가 가능한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의 크기에 무관하게 지문인식모듈의 커버에 RFID 카드리더 안테나(안테나모듈)를 구비함으로써 터치패드와 함께 3종의 인증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서 디지털 도어록의 종류에 무관하게 다양하고 높은 보안 수준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사용자가 RFID 카드를 지문인식모듈의 커버 외면에 표기된 RFID 카드 위치 표시 부분에 접근시키면 커버 내부에 내장된 안테나모듈에서 이를 검출하고 수신부의 고주파 신호 처리를 거쳐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ID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모티스의 구동으로 데드볼트가 후퇴되도록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RFID 카드 인증 후 지문인식모듈이 개방되면서 커버 내측의 지문감지센서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지문을 터치함에 따라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에 의하여 저장된 지문데이터와 일치가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 다양한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데드볼트나 래치볼트로 된 잠금구가 작동되어 문을 열 수 있게 되므로 지문인식모듈의 커버를 중심으로 한 간편한 조작으로 다중 인증을 신속히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주키에 RFID 카드 안테나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 사진.
도2는 종래의 크기가 작은 보조키에 RFID 카드 안테나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 사진.
도3은 종래의 크기가 큰 주키에 터치패드를 기본으로 RFID 카드 안테나모듈, 지문인식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 사진.
도4는 터치패드를 기본으로 RFID 카드 안테나모듈, 지문인식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다이어그램.
도5는 본 고안에서 디지털 도어록의 지문인식모듈 커버에 RFID 안테나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지문인식모듈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서 커버의 내층에 RFID 안테나모듈이 매설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서 커버의 내측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된 RFID 안테나모듈을 보인 종단면도.
도9는 본 고안에서 커버의 내측에 인쇄된 RFID 안테나모듈을 보인 종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커버의 둘레에 RFID 카드 전용 안테나모듈을 설치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11은 외측기의 PCB에 커버 회동을 위한 감속기 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사시도.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전체적인 전기적 구성을 도 4로 도시하였다. 즉, 본 고안은 지문인식센서(500)가 구비된 지문인식모듈(506)과, 상기 지문인식모듈(506)에 입력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는 경우 마이크로콘트롤 유니트(300)의 제어에 의하여 액튜에이터(401)의 구동으로 잠금해제 되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모듈(506)의 커버(501)에 RFID 카드 전용의 안테나모듈(600)이 구비되며, 상기 안테나모듈(600) 및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 사이에 연결되는 수신부(601)가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더욱 구체화한 실시예인 도5 이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밀번호 및 지문에 의한 인증 수단이 설치된 외측기(100)와, 상기 외측기(100)의 인증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인증 데이터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매칭되는 경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의 제어에 의하여 모티스(400)의 모터나 솔레노이드인 액튜에이터(401)에 의한 구동으로 데드볼트나 래치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잠금구(402)가 후퇴되도록 하기 위한 내측기(200)로 구성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100)에 내장되고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플립 가능한 지문인식센서(500)의 커버(501)에 RFID 카드 전용의 안테나모듈(600)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기(100) 내부에 상기 커버(501)에 구비된 안테나모듈(600) 및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와 연결되는 수신부(601)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은 인증을 실시함에 있어서, 널리 공지, 공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터치패드(700)에 의한 비밀번호, RFID 카드에 의한 인증, 지문에 의한 인증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방법으로 문을 열 수 있도록 하거나 3가지 대표적인 인증 중 2가지를 선택하여 복합적인 2중 인증이 성공하면 문을 열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3가지 인증 방법을 모두 실시하여 3가지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문을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장 높은 단계의 보안 수준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모든 인증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RFID 카드 인증에 의하여 문을 열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컴팩트화 된 지문인식모듈(506)은 작동 대기 상태에서 지문인식센서(500)의 보호를 위하여 커버(501)가 기립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커버(501)에는 RFID 카드 전용의 안테나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도5에는 상기 안테나모듈(600)이 편의상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커버(501) 내층에 설치되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501)의 커버수용요부(502) 둘레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수용요부(502)의 커버(501)가 기립되어 닫혀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에 의하여 발진부(602)의 출력이 안테나모듈(600)에 전력을 가하여 커버(501) 또는 커버수용요부(502) 둘레에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RFID 카드를 커버(501)에 접근 시키면 RFID 카드의 루프안테나에 의하여 RFID 카드에 순간 충전이 이루어져 RFID 카드에서 저장된 ID를 루프안테나를 경유하여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출된 RFID카드의 ID는 상기 안테나모듈(600)에 의하여 수신되고, 이는 수신부(601)의 고주파수신부에서 증폭되고, 주파수복조부, 주파수증폭부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ID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된 후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의 입력포트로 인가되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는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된 RFID 카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되는 경우 해정을 위한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안테나모듈(600)은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501)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RFID 카드의 인증을 위하여 카드를 커버(501)에 접촉시키면 커버(501)의 표면에서 배면까지는 5mm이하의 좁은 간격이므로 도6으로 보인 커버(501)의 배면에 설치된 안테나모듈(600)이 RFID 카드를 인식하는데 아무런 문제없이 원활한 인증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RFID 카드에 의한 인증에 이어서 지문인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RFID 카드의 인증이 성공된 후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가 도1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기(100)의 PCB(101)에 설치된 감속기모듈(800)에 내장된 액튜에이터(401)에 전력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원동기어(801), 종동기어(802)가 연동되어 커버(501)의 회동축(503)이 연동하여 지문인식모듈(506)이 플립됨에 따라 커버(501)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501) 내측면이 노출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지문인식센서(500)가 노출된 경우에 이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인증을 실시함으로써 RFID 카드 및 지문에 의한 2중 인증이 구현되어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인증이 완료되고,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에 의한 모티스(400)의 액튜에이터(401) 구동으로 잠금구(402)가 후퇴하여 문이 열리고 난 후에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300)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한 감속기모듈(800)의 액튜에이터(401)에 종전과는 반대의 극성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원동기어(801), 종동기어(802)가 종전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되어 커버(501)가 기립하여 닫힌 상태로 지문인식센서(500)의 오염이나 파손으로부터 보호하며 작동 전의 대기 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RFID 카드 인증, 지문 인증 단계가 터치패드(700)에 의한 비밀번호 인증 성공 이후에 작동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하면 3 중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문을 열 수 있게 되므로 가장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커버(501)의 내층에 안테나모듈(600)을 설치한 실시예를 도7로 보였다. 이러한 안테나모듈(600)의 커버(501) 내층 배치는 아웃사이드(505)와 인사이드(504)를 별도로 사출 성형하고, 그 사이에 구비된 공간부에 안테나모듈(600)을 넣어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커버(501)의 내측에 안테나모듈(600)을 설치하기 위하여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접착층(603)을 갖는 스티커 형태로 안테나모듈(600)을 부착할 수도 있으며,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501)의 내측에 도선을 프린팅하여 안테나모듈(600)이 프린팅 기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도6 및 도11에서 지문인식센서(500)가 커버(501)의 배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이며, 지문인식센서(500)가 커버수용요부(502) 내측에 설치되어 손가락을 밀어 넣어 지문을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커버(501)의 배면에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모듈(600)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지문인식센서(500)와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 PCB(101) 간의 연결을 위한 유연성 플랫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고, 터치패드(700) 또는 안테나모듈(600)을 통한 인증의 통과 시에만 자동으로 상기 커버(501)가 플립되어 커버(501)의 배면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500)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지문인식센서(500)의 해킹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커버(501)의 개방각도는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높이 및 디지털 도어록의 지문인식센서(500)가 배면에 설치된 커버(501)의 위치와,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며, 대략 상기 커버(501)의 전개 각도는 디지털 도어록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90도 내지 130도의 각도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디지털 도어록은 핸들이 구비된 주키는 물론 핸들이 없는 보조키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외측기 101: 외측기 PCB 200: 내측기
300: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 400: 모티스 401: 액튜에이터
402: 잠금구 500: 지문인식센서 501: 커버
502: 커버수용요부 503: 회동축 504: 커버의 인사이드
505: 커버의 아웃사이드 506: 지문인식모듈 600: 안테나모듈
601: 수신부 602: 발진부 603: 접착층
700: 터치패드 800: 감속기모듈 801: 원동기어
802: 종동기어

Claims (4)

  1. 비밀번호 인증 수단과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된 지문인식모듈이 설치된 외측기와,
    상기 비밀번호 인증 수단과 지문인식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는 경우 마이크로콘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액튜에이터의 구동으로 잠금구가 해정되도록 하는 내측기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 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작동방향이 변경되는 감속기모듈과,
    상기 외측기에 형성된 커버수용요부와,
    일측이 상기 감속기모듈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모듈의 회전으로 일측을 기준으로 기립하여 상기 외측기의 커버수용요부에 삽입되어 외측기에 내장되고, 상기 인증 데이터의 인증 시 상기 감속기모듈의 역회전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로부터 플립되어 노출되는 지문인식모듈과,
    상기 지문인식모듈이 기립하여 상기 외측기의 커버수용요부에 삽입 시 커버수용요부를 덮어서 삽입된 지문인식모듈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지문인식모듈의 커버가 구성되되,
    상기 지문인식모듈은 상기 외측기 PCB에 회동축이 결합되며, 커버수용요부로부터 플립되어 노출 시 경사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커버에 RFID의 안테나모듈이 내장되며,
    상기 안테나모듈과 마이크로콘트롤 유니트 사이에 연결되는 수신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90004323U 2019-10-25 2019-10-25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0491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23U KR200491460Y1 (ko) 2019-10-25 2019-10-25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23U KR200491460Y1 (ko) 2019-10-25 2019-10-25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495A Division KR20190083714A (ko) 2018-01-05 2018-01-05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51U KR20190002751U (ko) 2019-11-04
KR200491460Y1 true KR200491460Y1 (ko) 2020-04-08

Family

ID=6853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23U KR200491460Y1 (ko) 2019-10-25 2019-10-25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6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591Y1 (ko) * 2003-05-23 2003-08-25 주식회사 카모스 키박스 보호 기능을 가지는 도어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114B1 (ko) * 2001-05-19 2004-07-05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카드 리더를 겸비한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591Y1 (ko) * 2003-05-23 2003-08-25 주식회사 카모스 키박스 보호 기능을 가지는 도어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51U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30519B (zh) 开启安全性改善的电子锁的方法
CN106958403B (zh) 一种保险箱
CN104847180A (zh) 触摸屏电子密码锁
TWI598495B (zh) Access control device that allows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US20080196458A1 (en) Keyholeless lock device
KR102033418B1 (ko)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디지털 도어록
Teh et al. NFC smartphone based access control system using information hiding
KR200491460Y1 (ko)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180127167A (ko) 지문 인식 자물쇠
CN107091035A (zh) 一种具有密码防窥探功能的保险柜
KR100577928B1 (ko) 전자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잠금 장치
KR20190083714A (ko) 컴팩트화 인증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TWM534768U (zh) 允許電子與機械方式解鎖的門禁裝置
US6000348A (en) ATM box or safe with concealed hinges and electronic lock
JP2013209821A (ja) 電気錠システム
US10337207B1 (en) High security lock with multiple operational modes
KR200378836Y1 (ko) 불법 해정을 센싱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 록
US20230046991A1 (en) A vandal-proof mechatronic lock system
KR100369538B1 (ko) 비밀번호 유출방지 기능을 갖는 암호키 입력방법
JP2015168945A (ja) 人体通信を利用した錠前システム
KR102335183B1 (ko) 잠금해제 이력 확인이 가능한 도어 잠금시스템
KR200349461Y1 (ko) 회전형 디지털 비밀 번호 입력 장치
KR20090010394U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RU23189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кода доступа в контроллер исполнитель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мка
CN210471263U (zh) 一种带有内藏式联动锁的旅行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