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74Y1 - 웨어러블 안면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안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74Y1
KR200491374Y1 KR2020180002387U KR20180002387U KR200491374Y1 KR 200491374 Y1 KR200491374 Y1 KR 200491374Y1 KR 2020180002387 U KR2020180002387 U KR 2020180002387U KR 20180002387 U KR20180002387 U KR 20180002387U KR 200491374 Y1 KR200491374 Y1 KR 200491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wearable
user
contac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39U (ko
Inventor
방기태
Original Assignee
방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태 filed Critical 방기태
Priority to KR2020180002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7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6Paddings; Cushions; Fittings to the 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가려 보호하며 양측 끝단에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안면 장치{WEARABLE APPARATUS FOR FACE}
본 고안은 웨어러블 안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고글은 수중에서 사용되는 수경과, 스키와 패러글라이딩 등과 같은 운동을 행할 때 사용되는 고글과, 산업현장에서 안전용으로 사용되는 보안경으로 구분된다.
수경 및 고글은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렌즈, 렌즈와 일체로 접착되는 프레임, 안면에 긴밀하게 탈착시키기 위한 패드 및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 등 여러 가지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보안경은 용접 등의 작업 시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안용 고글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과의 간섭등으로 인하여 착용하기 불편하며 안경과 고글이 별도 구조이므로 작업이나 운동 등으로 안경이 흔들리므로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안경 다리가 귀에 걸리는 데도 불구하고, 안경이 얼굴의 피부에 충분히 밀착되지 못하여 착용 시 얼굴에서 이탈되기 쉽고 뛰는 경우에는 안경이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안경은 안경테, 렌즈 및 다리로 구성됨으로써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종래의 고글과 같이 안경테의 가장자리를 따라 러버를 배치하는 경우, 고글을 착용하였을 때 러버가 얼굴 피부에 압착됨으로써 습기가 차서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30호는 좌우 클립장치와 부분차광판으로 구성된 클립보안경에 관한 것으로, 클립장치에 기능별로 교환 가능한 부분차광판을 꽂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30호
본 고안은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면의 일부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때 안면의 밀착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안경으로 구현할 때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가려 보호하며 양측 끝단에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다른 측면에 특정 문자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 부재, 상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접철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주변을 가려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웨어러블 안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안경 또는 고글이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가려 보호하며 양측 끝단에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로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연결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면과 동일한 형상이고;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다른 측면에 특정 문자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접촉 부재는 다층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여 밀착되고, 안면에 접촉되는 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케이스에 연결되는 측면의 접촉면에는 작은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부의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안면 접촉 부재가 밀착 접촉되도록 한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고안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면의 일부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때 안면의 밀착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안경으로 구현할 때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경을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안경”은 시력 보정 안경, 패션 안경(예를들어, 선글라스 등), 고글 및 보안경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에 접촉되어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100) 및 안면 고정 부재(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의 일부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200)를 포함한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본체(200)의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을 통해 본체(200)와 연결된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자가 웨어링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에 접촉하여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의 안면 고정 부재(100)는 구현되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의 다양한 부위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면 고정 부재(100)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안면 고정 부재(100)는 다양한 탄력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0)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 및 크기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예를 들어, 양쪽 눈, 입 등)를 가린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도 4와 같이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체(200)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가려 눈을 보호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4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200)에는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을 통해 안면 고정 부재(100)와 연결된다.
도 2는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안면 접촉 부재(101), 연결 부재(102) 및 케이스 부재(103)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가 단순히 연결되어 안면 고정 부재를 본체 방향으로 접거나 펼 수 없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연결 부재(102)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특정 깊이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연결 부재(102)에 결합되는 다른 측면에는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101)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면과의 접촉 강도에 따라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그 높이가 변경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는 비워있어 공기만이 존재하며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되면 사용자의 안면의 접촉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 부재(102)는 본체(200)에 형성된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103)에는 특정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스포츠 고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개인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이니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가 힌지 방식으로 구현되어 안면 고정 부재를 본체 방향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안면 접촉 부재(101),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케이스 부재(103), 제2 서브 연결 부재(104) 및 접철부재(105)를 포함한다. 즉, 안면 고정 부재가 힌지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2의 연결 부재가 도 3과 같이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제2 서브 연결 부재(104), 및 접철부재(105)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연결 부재(102)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특정 깊이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연결 부재(102)에 결합되는 다른 측면에는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101)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면의 면접에 따라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안면 접촉 부재(101), 케이스 부재(103) 및 제2 서브 연결 부재(104)와 연결된다.
상기의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안면 접촉 부재(101)와 연결되기 위해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서브 연결 부재(104)는 본체(200)의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에 연결된다.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104)와 연결된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케이스 부재(103)에는 특정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스포츠 고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개인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이니셜이 형성될 수 있다.
접철 부재(105)는 안면 고정 부재(100)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및 제2 서브 연결 부재(104)를 연결한다.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경을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경은 사용자의 안면의 관자놀이에 접촉되어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100) 및 안면 고정 부재(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눈을 가려 눈을 보호하는 본체(200)를 포함한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사용자의 안면 중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사용자의 안면 중 중관 주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면 고정 부재(100)는 다양한 탄력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200)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가려 눈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200)는 스포츠 형, 고글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안면 고정 부재
101: 안면 접촉 부재
102: 연결 부재
103: 케이스 부재
200: 본체
210: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

Claims (6)

  1. 웨어러블 안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안경 또는 고글이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가려 보호하며 양측 끝단에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로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연결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면과 동일한 형상이고;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다른 측면에 특정 문자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접촉 부재는 다층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여 밀착되고, 안면에 접촉되는 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케이스에 연결되는 측면의 접촉면에는 작은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부의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안면 접촉 부재가 밀착 접촉되도록 한
    웨어러블 안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 부재;
    상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접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주변을 가려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KR2020180002387U 2018-05-31 2018-05-31 웨어러블 안면 장치 KR200491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7U KR200491374Y1 (ko) 2018-05-31 2018-05-31 웨어러블 안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7U KR200491374Y1 (ko) 2018-05-31 2018-05-31 웨어러블 안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9U KR20190003039U (ko) 2019-12-10
KR200491374Y1 true KR200491374Y1 (ko) 2020-03-27

Family

ID=6883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87U KR200491374Y1 (ko) 2018-05-31 2018-05-31 웨어러블 안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74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862A (en) * 1987-05-12 1989-06-13 Dean Heil Sun, rain and wind deflector
KR20180001030U (ko) 2016-10-06 2018-04-16 곽한융 좌우 클립장치와 부분차광판으로 구성된 클립보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9U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5807B1 (en) Curved lens combination for swimming/diving goggles
US20180339197A1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US5796460A (en) Eyeglass protector
KR200491374Y1 (ko) 웨어러블 안면 장치
US6789271B2 (en) Eye protection
WO2012026563A1 (ja) 保護眼鏡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200350085Y1 (ko) 렌즈 교환식 고글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102163639B1 (ko) 보호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고정부재
KR200378698Y1 (ko) 고글용 보조안경의 착탈구조
KR102570372B1 (ko) 안경의 교환식 안경다리
US11906818B1 (en) Earpiece-less eyeglasses
KR102569250B1 (ko)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KR102669889B1 (ko) 가압력조절식 안경다리
CN213122461U (zh) 一种无耳绳防护镜
AU2017204843B2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KR20180000582U (ko) 기능성 선그라스
KR200265734Y1 (ko) 밀폐형 보안경
KR200266409Y1 (ko) 방독면용 안경테
KR200253043Y1 (ko)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안경테
JP3585485B1 (ja) 眼鏡用防塵具
JP2003066382A (ja) 防塵眼鏡
CN100495121C (zh) 一种可配戴普通眼镜的潜水或游泳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