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40Y1 -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40Y1
KR200491340Y1 KR2020180002247U KR20180002247U KR200491340Y1 KR 200491340 Y1 KR200491340 Y1 KR 200491340Y1 KR 2020180002247 U KR2020180002247 U KR 2020180002247U KR 20180002247 U KR20180002247 U KR 20180002247U KR 200491340 Y1 KR200491340 Y1 KR 200491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furniture
unit
fram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2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2963U (en
Inventor
송재영
정봉윤
황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잭슨카멜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잭슨카멜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잭슨카멜레온
Priority to KR2020180002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40Y1/en
Publication of KR20190002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6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4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2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out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는,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다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다수의 측면을 갖는 다수의 가구 유닛; 상기 바닥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 및, 한 쌍의 삽입 돌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을 연결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urniture units having a polygonal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floor of the furnitur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connected upward from each side of the floor surface; A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having slits disposed adjacent to each side along at least two sides on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nd a connection support connecting the two, and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s of two different furniture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furniture units to connect and support the two furniture units. A pluggable connector; Including, wherein the slit-type connection portion, a slit formed in a constant wid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along the one side; An outer frame forming an outer wall inside the slit and supporting an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an inner frame forming an inner wall inside the slit and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Description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모듈형 가구 및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으로 구성된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assembly composed of a modular furniture and a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가구는 생활공간에 편의성을 더해줄 뿐만 아니라 장식적 효과를 더해 심미감을 주는 것으로, 우리 생활에 매우 밀접하고 중요한 도구이다. 가구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기도 하고, 수납공간이나 작업공간을 제공하기도 하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주기도 한다. 가구의 기능과 역할이 다양한 만큼 사용자마다 가구에 기대하는 요구가 다양하기도 하고, 그 요구가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Furniture not only adds convenience to living spaces, but also adds decorative effects to create aesthetics, and is a very important and important tool in our lives. Furniture provides a place for the user to sit or lie down, provides storage space or work space, and separates the space around the installed location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As the functions and roles of furniture vary, the demand for furniture varies from user to user, and the dem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이와 같은 이유로 가구의 종류와 형태 및 모양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같은 디자인 컨셉의 소파라고 하더라도, 배치될 공간의 크기, 모양이나 위치 등에 따라서 요구되는 크기, 앉는 자리의 수와 배치 형태, 팔걸이의 위치 및 등받이의 높이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생산자 입장에서 제품의 다양성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생산 관리와 재고 관리의 부담이 커지고, 각기 다른 제품의 형태로 인해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서 운송이나 적재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생산자의 부담은 결국 소비자 가격 증가로도 이어지기 쉽다. For this reason, the types, shapes and shapes of furniture are so diverse that they cannot be listed individually. This is because, even with a sofa of the same design concept, the required siz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eating positions, the position of the armrests and the height of the backrest vary depending on the size, shape, or location of the space to be arranged. From the producer's point of view, product diversity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meet the various needs of customers, but the burden of production manag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increases, and the overall volume increases due to different product types, leading to increased transportation or loading costs. Sometimes it loses. This producer burden is likely to lead to an increase in consumer pric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모듈화된 다수의 가구 유닛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이른바 모듈형 가구가 제시된 바 있다. 모듈화된 가구 유닛은 직육면체 등 단순한 모양으로 만들어져 앞서 언급된 운송이나 적재 부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유닛들의 다양한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듈형 가구에는 큰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o-called modular furniture has been proposed, which is made to enable a variety of product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using a connector. Modular furniture units are made of simple shapes such as cuboids, which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ransportation or loading volume, and the modular furniture ha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can meet various needs of users through various arrangements of units. have.

그러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유닛과 유닛 사이의 연결을 위해 특정 공구로 분해 조립되는 연결구가 사용된 경우, 일단 설치되고 나면 배치를 바꾸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연결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외장 부품을 이용하거나, 가구 유닛의 일부분이 탈부착 되도록 구성하는데, 이런 구성이 전체적인 미감을 해치거나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시에 가구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조립된 상태로 가구를 옮길 때에 가구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연결구 부분이 쉽게 파손되거나 연결 상태가 쉽게 헐거워지는 문제도 있다. However, there are still unresolved problems. When a disassembled and assembled tool is used to connect the unit to the unit, it is often difficult to change the arrangement once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a separate exterior part is used, or a part of the furniture un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this configuration may harm the overall aesthetic or cause a cost increase.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connector portion is easily damaged or the connection state is easily loosened due to a load acting on the furniture during use or a force applied to the furniture when moving the furniture in an assembled state.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으로 구성되는 가구 조립체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 없이 연결구만으로 손쉽게 조립과 분해 가능하고, 별도의 부품이나 일부분의 탈부착 없이도 연결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연결구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rniture assem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and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 only a connector without a separate tool, and the connector is a user without detachment of a separate part or par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furniture and a furnitur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hich is not exposed to and has improved durability through distribution of load applied to the connector portion.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는,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다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다수의 측면을 갖는 다수의 가구 유닛; 상기 바닥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 및, 한 쌍의 삽입 돌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을 연결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urniture units having a polygonal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floor of the furnitur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connected upward from each side of the floor surface; A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having slits disposed adjacent to each side along at least two sides on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nd a connection support connecting the two, and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s of two different furniture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furniture units to connect and support the two furniture units. A pluggable connector; Including, wherein the slit-type connection portion, a slit formed in a constant wid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along the one side; An outer frame forming an outer wall inside the slit and supporting an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an inner frame forming an inner wall inside the slit and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uter frame or the inner frame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parallel to one side from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entrance of the slit, thereby defining the depth of the slit.

이때,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배치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outer fram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ide frame forming a skeleton of a s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side where the slit is disposed.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는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측면과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luggabl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protrusion formed parallel to them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nd disposed between side surfaces and side surfaces of the two different furniture units.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는 상기 슬릿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두께보다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may be formed such that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is relatively larger than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t.

한편, 상기 바닥면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네 변을 따라 각각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long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른 모듈형 가구 유닛은,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네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네 개의 측면을 갖는 가구 유닛으로서,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네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각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The modular furniture uni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rniture unit having a rectangular-shaped floor surface constituting the floor of the furniture and four sides connected upwardly from four sides of the floor surface, wherein the four sides on the floor surface It includes a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slit disposed adjacent to each side along,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onstant width from each side of the bottom surface at a constant interval,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ngle Slits arranged along the sides; An outer frame forming an outer wall inside the slit; And, an inner frame forming an inner wall inside the slit, wherein the outer frame or the inner frame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parallel to one side from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entrance of the slit, and It is configured to define depth.

여기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배치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outer fram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ide frame forming a skeleton of a s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side where the slit is disposed.

또한, 상기 모듈형 가구 유닛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상기 각 변에 평행하게 배치된 네 개의 내측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모양의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furniture unit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portion of a rectangular shape surrounded by four inner frames arranged parallel to each side, upward from the floor surface.

전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으로 구성되는 가구 조립체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 없이 연결구만으로 조립 가능하고, 별도의 부품이나 일부분의 탈부착 없이도 연결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연결구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가 제공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urniture assem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it is possible to assemble only with a connector without a separate tool, and a connector is not exposed to a user without detaching or detaching a separate part or part, and a connector A modular furniture with improved durability through distribution of loads applied to a portion and a furnitur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외관을 보인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바닥면 측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Ⅲ-Ⅲ' 단면을 보인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1 shows the appearance of a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view of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seen from the bottom side.
FIG. 3 shows a Ⅲ-Ⅲ 'cross section in FIG. 2.
Figure 4 shows the structure and load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of the seat unit and the back unit in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structure and load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or of the seat unit and the back unit in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rough the embodi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외관을 보인다.1 shows the appearance of a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11,12,1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고 일부분이 쿠션감 있는 소재로 형성된 블록 형태의 유닛으로서, 다수 유닛의 조합을 통해 소파 등 응접 가구 세트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모듈형 가구 유닛의 용도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장재나 구조재 및 쿠션 부재 등의 내장재 소재는 그 용도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11,12,13,14 as shown.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is a block-shaped unit formed of a cushion-like material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t of reception furniture such as a sofa through a combination of multiple units. However, the use or shape of the modular furniture un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ior material such as the exterior material, the structural material, and the cushion member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use or design.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모듈형 가구 유닛은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네 변으로부터 위쪽으로 이어지는 네 개의 측면을 갖는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네 개의 측면과 만나는 상면도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상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가구 유닛의 용도나 디자인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은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는 네 변의 길이와 연결부의 규격이 서로 호환성을 갖는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면 제한 없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시트 유닛(11), 두 개의 등받이 유닛(12, 13), 그리고 하나의 팔걸이 유닛(14)으로 단순한 조합의 소파를 구성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시트 유닛(11), 등받이 유닛(12, 13), 팔걸이 유닛(14)과 같은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부여한 명칭일 뿐이고, 이러한 명칭이 해당 유닛의 성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두 개의 등받이 유닛(12, 13) 중 시트 유닛(11)의 후방에 배치된 것을 후방 등받이 유닛(12)이라 칭하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측면 등받이 유닛(13)이라 칭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modular furniture unit has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and has four sides extending upward from four sides of the rectangle forming the bottom surface. As shown, the upper surface that meets the four side surfaces may also be formed in a planar shap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ut the part including the upper surface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the use or design of the furniture unit. . The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lengths of the four sides constituting the floor surface and the standards of the connecting parts satisfy the conditions of being compatible with each other.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one seat unit 11, two back units (12, 13), and one armrest unit 14 of a simple combination An example of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10 constituting the sofa will be described. Here, the names such as the seat unit 11, the backrest units 12 and 13, and the armrest unit 14 are only names give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se names do not limit the properties of the unit. Meanwhile, hereinafter, one of the two backrest units 12 and 13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at unit 11 will be referred to as a rear backrest unit 12 and the one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ll be referred to as a side backrest unit 13. .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도시된 것처럼, 유닛과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도면에 연결구가 도시되지 않은 것은 연결구가 모듈형 가구 유닛들의 바닥면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한편, 시트 유닛(11)과 등받이 유닛(12) 등 모듈형 가구 유닛들은, 심미감을 위한 디자인 상의 요구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닛과 유닛 사이의 연결 시에 분해 및 재조립 되는 부품 없이 각각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구가 노출되는 것을 가리기 위해 시트 유닛을 위와 아래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든지, 등받이 유닛을 등받이 쿠션 부분과 지지 구조물 부분으로 분할할 필요가 없다. 볼트 머리나 유사한 체결 부속을 감추기 위한 볼트 캡 등의 부품도 필요하지 않다. 그 결과 간결하고 깔끔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고, 가구 유닛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unit and the un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nector is not shown in the figure because the connector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ar furniture units. On the other hand, modular furniture units, such as the seat unit 11 and the backrest unit 12, are each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at the time of connection between the unit and the unit, except according to design requirements for aesthetics. It may consist of one body.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the seat unit into two parts, top and bottom, to cover the exposed connections, or divide the back unit into a back cushion portion and a supporting structure portion. No parts such as bolt caps to hide the bolt head or similar fastening parts are need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ress a simple and clean desig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furniture unit, and sav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바닥면 측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FIG. 2 shows a view of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seen from the bottom side.

유닛과 유닛 사이의 연결은,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형 가구 유닛(11, 12, 13, 14)에 형성된 슬릿형 연결부(21)와, 서로 다른 두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21) 각각에 삽입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3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형 연결부(21)는 각 유닛의 바닥면(111, 131 등)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네 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릿형 연결부(21)는 바닥면의 네 변을 따라 코너부(101)를 제외한 부분에 모두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들이 서로 자유롭게 연결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코너부(101)에는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연결 지지대(313)와 같은 높이의 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The unit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ts, as shown in the figure,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21 formed in each modular furniture unit (11, 12, 13, 14), and the two different units of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 21) It is made by a plug-type connector 31 that is inserted into each and supports them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The slit-type connecting portion 21 is disposed along at least two sides on the bottom surfaces 111, 131, etc. of each unit, preferably, adjacent to each of the four sides.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21 is formed on all but the corner portion 101 along the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a plurality of modular furniture units can be fre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ranged. Although omitted in the drawings, the corner portion 101 may be provided with a leg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connection support 313 of the plug-type connector 31.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는 한 쌍의 삽입 돌기(311)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313)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21)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이 연결된 상태로 지지한다. The plug-type connector 31 has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311 and a connection support 313 connecting them, and the slit-shaped connection portion 21 of two different furniture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furniture units is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311 are respectively inserted to support the two furniture units in a connected state.

상기 슬릿형 연결부(21)는 슬릿(211)과, 외측 프레임(212), 그리고 내측 프레임(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릿(211)은 상기 바닥면(111, 131)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외측 프레임(212)은 상기 슬릿(211)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311)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내측 프레임(213)은 상기 슬릿(211)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311)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프레임(212)과 상기 내측 프레임(213)은 흔히 목대라고 불리는 목재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212) 및 내측 프레임(213)은 각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한 장 혹은 두 장 이상의 판재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목재 이외의 금속 각재와 판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21 is composed of a slit 211, an outer frame 212, and an inner frame 213. The slits 211 are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s 111 and 13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war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along the one side. The outer frame 212 forms an outer wall inside the slit 211 and supports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311. The inner frame 213 forms an inner wall inside the slit 211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311. Here, the outer frame 212 and the inner frame 213 may be a wooden frame commonly referred to as a wooden pole. The outer frame 212 and the inner frame 213 may be made of a rectangular material, or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one or two or more sheets. If necessary, i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plate material other than wood.

한편, 상기 외측 프레임(212)은 상기 슬릿(211)이 배치된 변, 즉 바닥면(111)의 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 역시 나무 재질의 판재나 각재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측면 프레임이 한 겹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안쪽에 한 겹의 판재를 덧대는 방식으로 상기 외측 프레임(212)을 구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outer frame 2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ide frame on which the slit 211 is disposed, that is, a side frame forming a skeleton of a side surfac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111. The side frame is also made of a wooden material or a rectangular material. For example, when the side frame is made of a single layer of plate material, the outer frame 212 may be configured by padding a single layer of plate material therein. It might be.

상기 외측 프레임(212)과 상기 내측 프레임(213)은 상기 슬릿(211)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111, 131)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211)의 깊이를 정의하는데, 그 깊이를 비롯하여 구체적인 형태 및 그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uter frame 212 and the inner frame 213 extend parallel to one side from the bottom surfaces 111 and 131 constituting the inlet of the slit 211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slit 211 Depth is defined, and the specific shape and function including the dept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술한 네 변 측의 슬릿형 연결부(21)로 둘러싸인, 좀 더 구체적으로는 네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형 연결부(21)의 내측 프레임(213)으로 둘러싸인 중공부(102)이다. 이 부분은 가구 유닛의 바닥면(111, 131)을 가리는 천 등의 소재로 가려질 수도 있으나, 노출되어도 무방하다. The part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the drawing is surrounded by the above-described four-sid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21, more specifically, a hollow portion surrounded by the inner frame 213 of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21 disposed along the four sides ( 102). This part may be covered with a material such as a cloth covering the bottom surfaces 111 and 131 of the furniture unit, but may be exposed.

한편,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에서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는 상기 슬릿(211)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두께(d1)보다 상기 슬릿(21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너비(d2)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에 의해 서로 연결된 유닛과 유닛이 서로 평행하게 엇갈리는 방향 성분의 횡 하중을 받을 때,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가 상기 슬릿(211)에 대해 비틀리거나 상기 삽입 돌기(311)와 접하는 상기 슬릿(211)의 내벽이 뭉개지지 않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유리하다. Meanwhile, in the plug-type connector 31,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311 has a width d2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211 rather than a thickness d1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t 211. It is preferred that) is relatively larger. This structure allows the plugged connector 31 to be twisted or inserted relative to the slit 211 when the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lugged connector 31 and the unit are subjected to a lateral load of a staggered direction component parallel to each other.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inner wall of the slit 211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311 can support the load without being crushed.

도 3은 상기 도 2에서 Ⅲ-Ⅲ' 단면을 보인다. FIG. 3 shows a Ⅲ-Ⅲ 'cross section in FIG. 2.

본 도면에는 전술한 시트 유닛(11)과 후방 등받이 유닛(12)이 플러그형 연결구(31)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데, 상기 도 2와 마찬가지로 가구 조립체를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트 유닛(11)의 후방 측면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212)과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전방 측면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212)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 유닛(11, 12)의 슬릿(211)에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삽입 돌기 한 쌍이 각각 삽입된다. 다만, 실제로는 각 유닛의 측면에도 약간의 쿠션 부재가 배치되고 외장재의 두께도 있으므로, 도면처럼 두 유닛의 외측 프레임(212)이 서로 밀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연결 지지대의 길이도 서로 대면하는 두 외측 프레임(212)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부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In this figure, the above-described seat unit 11 and the rear back unit 12 show a state connected by a plug-type connector 31, as shown in FIG. The outer frame 212 constituting the rear side of the seat unit 11 and the outer frame 212 constituting the front side of the rear back unit 12 are disposed to abut each other, and the two units 11, 12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of the plug-type connector 31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lits 211. However, in practice, since some cushion members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each unit and the thickness of the exterior material is also applied, the outer frames 212 of the two units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illustrate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plug-type connector 31 is also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es of the two outer frames 212 facing each other and the members positioned between them.

한편, 상기 슬릿(211)의 깊이, 즉 상기 내/외측 프레임(212, 213)의 높이는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삽입 돌기의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인 것이 상기 슬릿(211)의 내벽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상기 내측 프레임(213) 및 상기 외측 프레임(212) 중 바닥면에서 가장 먼 부분까지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삽입 돌기 길이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epth of the slit 211, that is, the height of the inner / outer frames 212 and 21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rotrusion of the plug-type connector 31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slit 211 It is advantageous to distribute the loa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inner frame 213 and the outer frame 212 to the furthest portion from the bottom is at least 1/2 of the insertion protrusion length of the plug-type connector 31.

본 도면의 상기 시트 유닛(11)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212)은 측면 프레임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반대편까지 연장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외측 프레임(212)이 반드시 이어질 필요는 없고, 상기 내측 프레임(213)과 같은 높이 정도까지 이어져 상기 슬릿(211)의 깊이를 정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시트 유닛(11)을 중심으로 볼 때, 측면 등받이 유닛(13) 및 팔걸이 유닛(14)과 접하는 측면 프레임이 바닥면부터 반대편까지 이어진 판재로 형성되거나, 코너부(101)에 기둥 구조물을 배치된 구조를 통해, 상기 도 3에서 외측 프레임(212)이 상하 두 부분으로 나뉘더라도 이를 지탱할 수 있다. In the seat unit 11 of the figure, the outer frame 212 serves as a side frame and is expressed as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other side, but the outer frame 212 is not necessarily connected, and the It is sufficient to define the depth of the slit 211 by extending to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frame 213. Referring back to FIG. 2,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seat unit 11, the side frame contacting the side back unit 13 and the armrest unit 14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opposite side, or the corner portion 101 )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pillar structure is disposed, in FIG. 3, even if the outer frame 212 is divided into two parts, upper and lower, it can be supported.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Figure 4 shows the structure and load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of the seat unit and the back unit in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은 전술한 시트 유닛(11)과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서로 인접한 두 슬릿형 연결부와 이들을 연결하는 플러그형 연결구(31)를 포함하는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다. 여기서는 바닥면이 아래쪽이다.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한쪽 삽입 돌기(311a)는 시트 유닛(11)의 슬릿(211a)에 삽입되고, 나머지 한쪽 삽입 돌기(311b)는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211b)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a, 311b)는 연결 지지대(313)로 이어져 지지된다. This figure partially enlarges a cross section including two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aforementioned seat unit 11 and the rear back unit 12 and a plug-type connector 31 connecting them. Here, the bottom surface is the bottom. The insertion protrusion 311a of the plug-type connector 31 is inserted into the slit 211a of the seat unit 11, and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311b is inserted into the slit 211b of the rear backrest unit 12. It is done.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311a and 311b ar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support 313.

이때, 상기 시트 유닛(11)에 앉은 사용자가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에 등을 기대는 상황을 가정하면, 상기 시트 유닛(11)에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유닛을 도면 좌측으로 미는 하중(F11)이 가해지고,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에는 사용자의 등이 유닛을 도면 우측으로 미는 하중(F12)이 가해진다. 그런데, 사용자의 등이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을 미는 부분은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엉덩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에는 해당 유닛을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M12)가 작용하게 된다. 엄밀히 따지자면 엉덩이가 상기 시트 유닛(11)을 미는 하중(F11)의 작용점도 바닥면보다 높기 때문에 시트 유닛(11)에도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지만 이 정도는 서로 대면하는 두 외측 프레임(212a)(212b) 사이의 반발력(f114)(f124)을 통해 서로 상쇄된 것으로 보아 생략한다. At this time, assuming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unit 11 leans on the back of the rear back unit 12, the seat unit 11 has a user's hip pushing the unit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F11) This is applied, and a load F12 by which the user's back pushes the unit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applied to the rear back unit 12. However, since the part of the user's back pushing the rear back unit 12 has a relatively high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he rear back unit 12 has a moment to rotate the unit clockwise in the drawing ( M12) will work. Strictly speaking, since the action point of the load F11 at which the hip pushes the seat unit 11 is also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the sheet unit 11 also has a counterclockwise moment acting on the drawing, but this degree is two outer frames facing each other. Through the repulsive force (f114) (f124) between (212a) (212b), it is omitted because it is considered to be offset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시트 유닛(11)의 슬릿형 연결부 및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형 연결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전술한 하중 F11이 상기 시트 유닛(11)의 외측 프레임(212a)에 분산되어 작용(f112)하고, 상기 하중 F12와 모멘트 M12는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형 연결부에서 외측 프레임(212b) 상부와 삽입 돌기(311b)의 상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f122)과 내측 프레임(212b)의 하부와 상기 삽입 돌기(311b)의 하단부(연결 지지대와 만나는 부분)가 접촉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f123)으로 분산되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슬릿(211a, 211b)의 내벽을 내측 프레임(213a, 213b) 및 외측 프레임(212a, 212b)으로 형성한 구성을 통해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와 슬릿형 연결부들 사이에 인가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연결 부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In this case, looking at the load acting on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of the seat unit 11 and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of the rear back unit 12, first, the above-described load F11 is the outer frame of the seat unit 11 ( 212a) distributed and acts (f112), and the load F12 and the moment M12 act on a portion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212b and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rojection 311b contact the slit-shaped connection portion of the rear back unit 12. The load f12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212b and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rotrusion 311b (the part that meets the connection support) are distributed and applied as a load f123 acting on the contact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ad applied between the plug-type connector 31 and the slit-type connecting portions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ner walls of the slits 211a and 211b are formed of the inner frames 213a and 213b and the outer frames 212a and 212b. By effectively dispers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ion site.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Figure 5 shows the structure and load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or of the seat unit and the back unit in the modular furni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 따르면, 플러그형 연결구(32)가 전술한 한 쌍의 삽입 돌기(311a, 311b)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313)를 포함하는 것 외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a, 311b) 가운데에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된 중심 돌기(3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돌기(312)는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11, 12)의 측면과 측면 사이에,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시된 것처럼 시트 유닛(11)의 슬릿형 연결부 외측 프레임(212a)과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형 연결부 외측 프레임(212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plug-type connector 32 includes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311a and 311b described above and a connection support 313 connecting them,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311a and 311b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entral projection 312 formed parallel to them in the middle. The center projection 312 is between the sides and sides of the two different furniture units 11 and 12,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the slit-shaped connection outer frame 212a of the seat unit 11 and the rear.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lit-shaped connection outer frame 212b of the backrest unit 12.

실제 소파를 구성하는 가구 유닛들(11, 12)에서 측면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212a, 212b) 각각의 바깥쪽 면에는 다소 얇은 두께라도 쿠션 부재(103a, 103b)가 배치되기 마련인데, 상기 중간 돌기(312)는 이들 쿠션 부재(103a, 103b)를 압축하며 상기 두 외측 프레임(212a, 212b) 사이에 개입되어 이들과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2)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더 넓은 접촉 면적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상기 두 유닛(11, 12) 사이의 유격을 줄여서 상대적인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Cushion members 103a and 103b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s of each of the outer frames 212a and 212b that form the side surfaces of the furniture units 11 and 12 constituting the actual sofa. 312 compresses these cushion members 103a, 103b and intervenes between the two outer frames 212a, 212b to distribute the load acting between them and the plugged connector 312 over a larger contact area. It plays a role,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reduce the relative shaking by reducing the play between the two units (11, 12).

한편, 후방 등받이 유닛(12)에 인가되는 하중(F12) 및 그 작용점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M12)의 영향을 살펴보면, 전술한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마찬가지로, 외측 프레임(212b) 상부와 삽입 돌기(311b)의 상단부 접촉면, 내측 프레임(213b) 하부와 삽입 돌기(311b)의 하단부 접촉면에 하중(f122, f123)이 분산되어 인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외측 프레임(212b)의 하단부와 상기 중간 돌기(312)의 접촉면에도 하중(f124)이 분산되고, 유닛과 유닛이 직접 서로 맞대어 힘을 가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influence of the moment (M1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ad (F12) and its working point applied to the rear back unit 12, as described in Figure 4 above, the outer frame (212b) upper and insertion projections ( 311b) not only the load f122, f123 is distributed and applied to the upper contact surface, the lower side of the inner frame 213b 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of the insertion projection 311b, but also the lower end of the outer frame 212b and the middle projection 312 ) Is also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 4 in that the load f124 is also distributed o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unit and the unit can directly prevent each other from applying a force.

이상 본 고안의 몇 가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its technical spirit.

이상에서 내측, 외측, 안쪽, 바깥쪽, 위쪽, 아래쪽 등의 표현은 별도의 설명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구 유닛이 바닥에 바로 선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그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 방향을 외측, 바깥쪽으로 표현하고, 가구 유닛의 중심 방향을 내측, 안쪽 등으로 표현하였다. In the above, the expressions such as inside, outside, inside, outside, top, bottom, etc. are based on the state where the furniture unit is standing on the floor, and the surface direction exposed to the outside is outside,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pressed outward,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furniture unit was expressed inward, inward, etc.

10: 모듈형 가구 조립체
11: 시트 유닛 12, 13: 등받이 유닛
14: 팔걸이 유닛 21: 슬릿형 연결부
31, 32: 플러그형 연결구 101: 코너부
102: 중공부 111: 바닥면
211: 슬릿 212: 외측 프레임
213: 내측 프레임 311: 삽입 돌기
312: 중심 돌기 313: 연결 지지대
10: Modular furniture assembly
11: seat unit 12, 13: backrest unit
14: armrest unit 21: slit-type connection
31, 32: Pluggable connector 101: Corner
102: hollow 111: bottom surface
211: slit 212: outer frame
213: inner frame 311: insertion projection
312: center projection 313: connecting support

Claims (10)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다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다수의 측면을 갖는 다수의 가구 유닛;
상기 바닥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 및,
한 쌍의 삽입 돌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을 연결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어 상기 삽입 돌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한 변을 포함하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어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한 변을 따라 평행하게 상기 한 변의 양단부의 구조물까지 연장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과 함께 가구 유닛 내부의 중공부를 둘러싸는 이중 골격 구조물을 이루는, 내측 프레임; 을 포함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A plurality of furniture units having a polygonal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floor of the furnitur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connected upward from each side of the floor surface;
A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having slits disposed adjacent to each side along at least two sides on the bottom surface; And,
A plug having a pair of inserting projections and a connecting support connecting the two, and the pair of inserting project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s of two different furniture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furniture units to connect and support the two furniture units. Type connector; Including,
The slit-type connection part,
A slit formed at a constant width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o a certain width inward,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ne side;
An outer frame formed integrally with a side frame forming an outer wall inside the slit to support an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forming a skeleton of a side surface including the one side; And
The inner wall of the slit is form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extends to the structure of both ends of the one side in parallel along the one side with the side frame and the sli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urniture together with the outer frame An inner frame forming a double skeleton structure surrounding the hollow part inside the unit; Containing,
Modular furnitur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frame or the inner frame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parallel to one side from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entrance of the slit to define the depth of the slit,
Modular furniture assemb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동일한,
모듈형 가구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Modular furnitur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가구 유닛의 골격을 구성하는 목대로 이루어진,
모듈형 가구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re made of wooden poles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furniture unit,
Modular furnitur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는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측면과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와 상기 중심 돌기는 길이가 같은,
모듈형 가구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typ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entral protrusion formed parallel to them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nd disposed between side surfaces and side surfaces of the two different furniture units, wherein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nd the central protrusion are Same length,
Modular furniture assembly.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는 상기 슬릿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두께보다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큰,
모듈형 가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have a relatively larger wid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than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t,
Modular furnitur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네 변을 따라 각각 배치된,
모듈형 가구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s are disposed along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Modular furniture assembly.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네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네 개의 측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네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 및
어느 한쪽의 삽입 돌기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삽입 돌기가 인접한 가구 유닛과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각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어 상기 삽입 돌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각 변을 포함하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어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변을 따라 평행하게 상기 각 변의 양단부의 구조물까지 연장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과 함께 가구 유닛 내부의 중공부를 둘러싸는 이중 골격 구조물을 이루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는,
모듈형 가구 유닛.
A rectangular-shaped floor surface constituting the floor of the furniture;
Four sides connected upward from the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 slit-shaped connecting portion having slits disposed adjacent to each side along the four sides on the bottom surface; And
A plug-type connector including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so that on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lit and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an adjacent furniture unit; Including,
The slit-type connection part,
Slit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ward from each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 constant width, the lengthwise direction being disposed along each side;
An outer frame formed integrally with a side frame forming an outer wall inside the slit to support an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forming a skeleton of a side surface including each side; And
It forms an inner wall inside the slit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extends to the structures of both ends of each side in parallel along the sides with the side frame and the slit interposed, and furniture together with the outer frame Containing a double skeleton structure surrounding the hollow inside the unit, the inner frame; includes,
The outer frame or the inner frame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parallel to one side from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entrance of the slit, thereby defining the depth of the slit,
Modular furniture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가구 유닛의 골격을 구성하는 목대로 이루어진,
모듈형 가구 유닛.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re made of wooden poles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furniture unit,
Modular furniture unit.
삭제delete
KR2020180002247U 2018-05-24 2018-05-24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2004913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47U KR200491340Y1 (en) 2018-05-24 2018-05-24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47U KR200491340Y1 (en) 2018-05-24 2018-05-24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63U KR20190002963U (en) 2019-12-04
KR200491340Y1 true KR200491340Y1 (en) 2020-03-24

Family

ID=6883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247U KR200491340Y1 (en) 2018-05-24 2018-05-24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40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07B1 (en) * 2017-11-23 2018-02-19 황효득 multifunctional sof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90014B (en) * 1973-07-25 1975-06-20 Castelli Sas Anonima MODULAR ELEMENTS FOR THE COMPOSITION OF FURNISHING ITEMS THAT CAN BE COMBINED SUCH AS UPHOLSTERED CHAIRS ARMCHAIRS SOFAS AND SOFA BEDS
US4077666A (en) * 1977-02-28 1978-03-07 Metropolitan Furniture Manufacturing Co. Modular seating arrangement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07B1 (en) * 2017-11-23 2018-02-19 황효득 multifunctional sof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63U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441B (en) Combination furniture
JP2012223484A (en) Sofa structure capable of being assembled and rearranged
KR200491340Y1 (en) Modular Furniture And Furnitur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US20060033368A1 (en) Modular furniture piece having interchangeable arms
US3822079A (en) Furniture having components which can be assembled in different ways
US5727849A (en) Modular chair
EP0434768A1 (en) Interfitting pieces of furniture
KR20160002665U (en) Assembly type spfa
KR101046760B1 (en) Pillow top that attachment is available to burn by 4 faces zipper
KR102261368B1 (en) The sofa of the assembly type
US2449500A (en) Chair seat
KR102172990B1 (en) Chair with increased seat and back
KR102168626B1 (en) Verifying method of sofa
KR20050082824A (en) Sofa combination system
CN213429263U (en) Combined sofa
KR200335952Y1 (en) Variable design sofa
JP3231361U (en) Cardboard furniture
JP3239530U (en) table chaise set
KR200475666Y1 (en) A sectional chair
JP6964743B2 (en) Chair device
JP2002136380A (en) Stacking chair
JP3238023U (en) furniture
KR200299212Y1 (en) Prefabricated sofa
KR200295458Y1 (en) A separable sofa for several men
KR200331207Y1 (en) Assembly type sof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