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35Y1 -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 Google Patents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35Y1
KR200491235Y1 KR2020190003645U KR20190003645U KR200491235Y1 KR 200491235 Y1 KR200491235 Y1 KR 200491235Y1 KR 2020190003645 U KR2020190003645 U KR 2020190003645U KR 20190003645 U KR20190003645 U KR 20190003645U KR 200491235 Y1 KR200491235 Y1 KR 200491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auxiliary table
furniture
plat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미
Original Assignee
조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미 filed Critical 조정미
Priority to KR2020190003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3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47B2001/085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with draw-leaf supported by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부와, 상판과 보조지지부 사이에 결합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보조테이블을 포함하는 가구에 있어서, 보조지지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기판과, 제1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레일부재로 구성된 길이변동부; 보조테이블의 하면에 장착되고 길이변동부와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보조테이블을 상판의 하부에 접어서 수납할 수 있고, 회전시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노출된 상태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the leg portion supported on the ground, the upper plate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A furniture comprising a sub-table coupled to or pulled out or pulled in, the furniture comprising: a length shifting portion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an auxiliary support and a plurality of rail member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rotating part moun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and coupled to the length change part.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by folding the auxiliary table in the lower part of the top plate, it can be rotated to be exposed, and also the length can be extended in the exposed stat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and improve convenience You can.

Description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본 고안은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 최소의 공간점유를 하되 필요할때만 인출시켜 길이가 변동될 수 있는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that can be changed in length by drawing out only when necessary in a narrow space.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공간에서 공부를 하거나 컴퓨터 작업을 하기 위한 책상이나 식사를 하기 위한 식탁, 탁자, 테이블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Generally, furniture is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desk for studying or working in a computer room, a table for dining, a table, and a table.

이들 가구는 다수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보조지지부와 컴퓨터의 주변기기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과 수납장 사이에 일정넓이를 갖는 상판이 안착 형성된다. 또는 상기 보조지지부이나 수납장이 없이는 가구를 지지하기 위한 가구 다리가 구비된 상태에서 일정 넓이를 갖는 상판이 안착될 수 있다. These furniture is formed with a top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drawer and the cabinet with the auxiliary suppor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tems and the cabinet for accommodating the peripherals of the computer is provided. Alternatively, a top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seated in a state where a furniture leg for supporting furniture is provided without the auxiliary support or the cabinet.

근래에는 내부 공간이 좁아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거나 혹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물품들을 편리하게 수납 및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가구를 보다 넓게 다양한 용도로 확장 사용할 수 있도록 상판이 슬라이드되거나 절첩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interior space is narrow, so it is not only convenient to store and use various items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o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but also to effectively use the space to expand the furniture to a wider variety of purposes. This includes the ability to slide or fold.

종래에는 상판 하부의 공간에 보조 테이블이 접혀져서 수용될 수 있고, 사용할때만 보조 테이블을 회전시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In the related art, an auxiliary table can be folded and accommodated in a space below the upper plate, and a technology of using the auxiliary table by rotating the auxiliary tabl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used has been proposed.

한국 특허출원 10-2005-0001041호의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이 출원된 바 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가구의 일측으로부터 360도 회전 가능한 보조테이블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하부에는 보조테이블의 회전방향에 따라 보조테이블의 전후 방향으로 키보드 서랍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이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01041 has been filed "furniture with auxiliary table". Looking at the prior art, the furniture is provided with a sub-table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keyboard draw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ub-tabl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b-table at the same time to install a sub-table rotatable 360 degrees from one side of the furniture to be.

그러나 종래기술은 보조 테이블이 회전에 의해 전개되거나 상판 하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가구은 보조 테이블의 길이가 한정되므로 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use of the furniture is limited to the length of the auxiliary table is a furniture that allows the auxiliary table to be deployed by rotation or embedded in the upper plat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조테이블을 상판의 하부에 중첩되어 수납할 수 있고, 회전시켜 길이를 연장 노출되거나, 또는 길이를 연장 시킨 후 회전시키고, 아울러 노출된 상태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auxiliary table can be accommodated overlapping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rotated to extend the exposed length, or to extend the length and then rotate, and expo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which can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by allowing the length to be elongated in a closed state and improve convenience.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부와, 상판과 보조지지부 사이에 결합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보조테이블을 포함하는 가구에 있어서, 보조지지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기판과, 제1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레일부재로 구성된 길이변동부; 보조테이블의 하면에 장착되고 길이변동부와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g supported on the ground, the upper plate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coup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withdrawal or withdrawal A furniture comprising an auxiliary table, comprising: a length shifting portion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an auxiliary support and a plurality of rail member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It can be achieved by a furniture equipp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including a; rotat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and coupled to the variable length.

상기 레일부재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외면에 장착되는 레일바디와, 레일바디의 내부에 다수로 삽입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ail member may include a plate, a rail body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late, and a guide rail inserted into or drawn out from the rail body.

상기 회전부는 하면이 보조테이블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면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이동홈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2고정클립을 갖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의 플레이트에는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tating part includes a rotating plate having a lower surface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and having a mov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first and second fixing clip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groove, and along the moving groove in the plate of the rail member. A guide pin is formed to move.

상기 제1기판과 회전판을 관통 결합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고, 힌지축부는 베어링이 구비되며, 제1기판과 결합되어 제1기판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ncludes a hinge shaft portion for coupl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rotating plate, the hinge shaft portion is provided with a bea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bstrate is rotat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substrate.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보조테이블을 상판의 하부에 겹쳐지게 수납할 수 있고, 회전 및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노출된 상태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commodated overlapping the lower table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o be rotated and exposed, and also to be able to extend the length in the exposed stat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convenie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회전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회전작동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회전작동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상기 도 8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의 회전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urniture equipp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furniture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furniture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sequence the operation of withdrawal of the auxiliary table in the furniture equipp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equipp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ion operation of an auxiliary table in a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withdrawing the auxiliary table in the furniture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rawing out an auxiliary table in a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auxiliary table is withdrawn from the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in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meaning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n exaggerated or simplified part of the description and description for the convenience and clarity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회전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회전작동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의 회전작동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urniture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ariabl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furniture provided with an auxiliary table, Figure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auxiliary table is drawn out in the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2)와, 상기 다리부(2)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판(4)과, 상기 상판(4)의 하부에 삽입되는 보조지지부(6)와, 상기 상판(4)과 보조지지부(6) 사이에 결합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보조테이블(5)을 포함하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6)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기판(80)과, 상기 제1기판(8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레일부재(85)로 구성된 길이변동부(8); 상기 보조테이블(5)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변동부(8)와 결합되는 회전부(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portion (2) supported on the ground, the upper plate (4)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2,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4) In the furniture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6) inserted into the and the auxiliary table (5) which is coupled between the top plate (4) and the auxiliary support (6) to be pulled out or drawn 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6) A length shifting part (8) consisting of a first substrate (80) to be attached and a plurality of rail members (85)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80); And a rotating part 9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5 and coupled to the length change part 8.

보조지지부(6)는 다리부(2)와 함께 상판(4)을 지지하는 것으로, 서랍장이나 수납장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수납의 기능을 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보조지지부(6)는 상판(4)과 보조테이블(4)에 모두 연결되므로, 보조테이블(4)이 가구에 종속되어 가변형으로 회전, 노출, 길이연장 등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6 supports the upper plate 4 together with the leg part 2, and when the auxiliary support part 6 is formed in the form of a drawer cabinet or a storage cabinet, it can function as a storage and further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Since the auxiliary support part 6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plate 4 and the auxiliary table 4, the auxiliary table 4 is dependent on the furniture and the deformation, such as rotation, exposure, length extension, etc., is made variable.

보조테이블(5)은 상판(4)의 하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며, 길이변동부(8)에 의해 출몰작동되고, 회전부(9)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The auxiliary table 5 is disposed to overlap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4, and is mounted and operated by the length changer 8, and can be rotated by the rotary unit 9.

보조테이블(5)은 일단에는 수직하게 지지판이 형성되고, 지지판의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며 타단에 회전부(7)를 매개로 하여 보조지지부(6)에 장착된다. The auxiliary table 5 has a support plate vertically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wheel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is mounted to the auxiliary support unit 6 via the rotating unit 7 at the other end thereof.

따라서 보조테이블(5)을 상판(4)의 하부에 중첩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접었을때 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by occupying the auxiliary table 5 so as to overlap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4,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pancy of the space when folded.

보조테이블(5)의 하면에는 회전부(7)가 결합되고, 회전부(7)의 하부에 길이변동부(8)가 결합되며, 길이변동부(8)의 제1기판(80)이 보조지지부(6)의 상면에 결합된다. The rotary part 7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5, and the length change part 8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tation part 7, and the first substrate 80 of the length change part 8 is the auxiliary support part ( 6)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레일부재(85)는 플레이트(850)와, 상기 플레이트(850)에 장착되는 제1레일(851)과, 상기 제1기판(80)에 장착되며 제1레일(851)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레일(852)과, 상기 제1레일(851)과 제2레일(852) 사이에 삽입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가이드레일(8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ail member 85 may include a plate 850, a first rail 851 mounted on the plate 850, and a first rail 851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80 to face the first rail 851. It comprises a two rails 852, and a guide rail 854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rail (851) and the second rail (852) to be drawn out or drawn in.

가이드레일(854)은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이며,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양 측면에 베어링홈(85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베어링홈(855)에 볼베어링(856)이 결합된다. The guide rail 854 has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bearing grooves 855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reof, and a ball bearing 856 is coupled to the bearing grooves 855.

가이드레일(854)의 볼베어링(856)이 제1레일(81) 또는 제2레일(82)의 내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되면서 길이 변동이 가능해진다. The ball bearing 856 of the guide rail 85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ail 81 or the second rail 82 and slides, thereby allowing a length variation.

가이드레일(854)의 볼베어링(856)이 마찰력을 절감시켜줄 수 있어 슬라이드 작동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어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The ball bearing 856 of the guide rail 854 can reduce the friction force can be implemented in a stable slide operation can be prevented noise generation.

따라서 보조테이블(5)을 직선방향으로 당겨서 인출시키면 길이 신장이 가능해진다(도 6의 (b)참조).  Accordingly, length extension is possible by pulling the auxiliary table 5 out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see Fig. 6B).

한편 회전부(9)는 일면이 상기 보조테이블(5)의 하면에 부착되며, 타면에 호형의 이동홈(94)이 형성된 회전판(92)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홈(94)의 양단부에 각기 형성된 제1,2고정클립(96,97)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Meanwhile, the rotating part 9 includes a rotating plate 92 having one surfac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5 and having an arc-shaped moving groove 94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groove 94. The first and second fixing clips 96 and 97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85)의 플레이트(850)에는 이동홈(94)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85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guide pin 853 that moves along the moving groove 94 is formed in the plate 850 of the rail member 85.

따라서 상기 가이드핀(853)이 호형의 이동홈(94)을 타고 회전될 수 있고, 전술한 제1,2고정클립(96,97)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일시적인 고정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the guide pin 853 may be rotated by the arc-shaped moving groove 94, and selectively fitt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clips 96 and 97 to be temporarily fix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홈(94)은 90°의 사잇각을 갖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moving groove 94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n angle of 90 °.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850)의 힌지축 결합공(858)을 관통 결합하는 힌지축부(98)를 포함한다. And hinge shaft portion 98 for penetrating through the hinge shaft coupling hole 858 of the plate 850.

힌지축부(98)는 외면에 베어링이 구비된 상태로 회전판(92)에 형성되고, 힌지축부(98)가 플레이트(850)에 결합됨으로써 플레이트(850)의 회전구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hinge shaft portion 98 is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92 in a state where a bearing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hinge shaft portion 98 is coupled to the plate 850 to smoothly rotate the plate 850.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4)의 하부에 수납되어있던 보조테이블(5)을 전방으로 당겨서 상판(4)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The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b), pulls the auxiliary table (5)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4) to be pulled out from the upper plate (4).

이후 도 6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테이블(5)을 90°회전시키면 회전판(92)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판(4)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보조테이블(5)이 배열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6C and 6D, when the auxiliary table 5 is rotated by 90 °, the auxiliary table 5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plate 4 by being rotated by the rotating plate 92. Can be.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상기 도 8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의 회전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Meanwhil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of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8,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ariable auxilia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auxiliary table in a furniture provided with a table,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rawing out the auxiliary table from a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Perspective view showing in sequence the operation of withdrawal of the auxiliary table in the furniture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14 is a A work table which is withdrawn from the secondary type auxiliary table is provided a perspective view of furniture in order.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A)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2)와, 상기 다리부(2)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판(4)과, 상기 상판(4)의 하부에 형성된 보조지지부(6), 상기 상판(4)의 하부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부(6)와 연결부(C)로 연결되는 보조테이블(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C)는 회전부(7)와 길이변동부(8)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7 and 8, the furniture (A) is provided with a variable auxiliar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portion (2) supported on the ground and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2) An upper table 4, an auxiliary support 6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4, an auxiliary table disposed to overlap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4, a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support 6 and the connection part C. (5); including, the connection portion (C) is composed of a rotating portion (7) and the length change (8).

보조테이블(5)은 일단에는 수직하게 지지판이 형성되고, 지지판의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며 타단에 연결부(C)를 매개로 하여 보조지지부(6)에 장착된다. The auxiliary table 5 has a support plate vertically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wheel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is mounted to the auxiliary support unit 6 via the connection part C at the other end thereof.

따라서 보조테이블(5)을 상판(4)의 하부에 중첩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접었을때 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by occupying the auxiliary table 5 so as to overlap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4,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pancy of the space when folded.

보조지지부(6)는 다리부(2)와 함께 상판(4)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조지지부이나 수납장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수납의 기능을 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보조지지부(6)는 상판(4)과 보조테이블(4)에 모두 연결되므로, 보조테이블(4)이 가구에 종속되어 가변형으로 회전, 노출, 길이연장 등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6 supports the upper plate 4 together with the leg part 2, and when the auxiliary support part 6 is formed in the form of an auxiliary support part or a storage cabinet, the auxiliary support part 6 can function as a storage device and further improve space utilization. Since the auxiliary support part 6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plate 4 and the auxiliary table 4, the auxiliary table 4 is dependent on the furniture and the deformation, such as rotation, exposure, length extension, etc., is made varia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C)는 회전부(7)와 길이변동부(8)로 구성되고, 보조테이블(5)의 하면에 길이변동부(8)가 고정되고, 보조지지부(6)의 상면에 회전부(7)가 장착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C) is composed of a rotating portion 7 and the length changer 8, the length changer 8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5, the auxiliary support ( The rotating part 7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6).

상기 회전부(7)는 상기 보조지지부(6)의 상면에 부착된 하부플레이트(7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72)의 상부에 중첩형성되어 회전되는 상부플레이트(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otating part 7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plate 72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6, and an upper plate 74 which is formed overlapping and rot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72.

상기 하부플레이트(72)의 중심에 축(721)이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74)의 중심과 결합됨으로써 상,하부플레이트(74,72)는 서로 축(7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shaft 7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72 to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74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lates 74 and 72 may be rotated about the axis 721.

또한 상부플레이트(74)의 하면과 하부플레이트(72)의 상면에 볼(73)이 개재되어 롤링되도록 하여 회전작동이 보다 부드럽게 정숙하게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ll 73 is ro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2 so that the rot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etly.

바람직하게는 하부플레이트(72)의 상면에 호형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원형홈(724)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Preferably, a circular groove 724 recessed in an arc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2 is formed in a ring shape.

따라서 볼(73)이 원형홈(724)에 삽입되어 원형홈(724)을 따라 구동되면서 상부플레이트(74)의 회전 구동이 소음없이 부드럽게 구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ball 73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724 is driven along the circular groove 724, the rotational drive of the upper plate 74 can be implemented smoothly without noise.

원형홈(724)은 한개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원형홈(724)마다 한개 이상의 볼(73)이 결합된다. One or more circular grooves 724 may be formed, and one or more balls 73 are coupled to each circular groove 724.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4) 하부에 수납되어있던 보조테이블(5)을 일방향으로 당겨서 회전시키면 상부플레이트(74)가 회전됨으로써 상판(4)으로부터 인출되어 상판(4)에 대해 직각 또는 예각 및 둔각으로 보조테이블(5)을 회전시켜 노출되도록 전개시킬 수 있다. 10 to 14, the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out from the upper plate 4 by rotating the upper plate 74 when the auxiliary table 5 stored under the upper plate 4 is pulled in one direction and rotated. And the subtable 5 may be rotated to be exposed at right angles, acute angles, and obtuse angles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4.

이렇게 노출된 보조테이블(5)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책을 올려놓고 공부를 할 수 있는 등 활용이 가능해진다. The auxiliary table 5 exposed in this way can be used for storing things or put books and study.

한편 상기 길이변동부(8)는 상부플레이트(74)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레일(82)과, 상기 제2레일(82)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출몰작동되는 가이드레일(83)와, 상기 가이드레일(83)의 상부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출몰작동되는 제1레일(8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the length change part 8 is coupled to the second rail 82 and the second rail 8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4, and guide rails 83 are op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nd a first rail 81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83 to be su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레일(81) 또는 제2레일(82)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레일(81) 또는 제2레일(82)은 대략 '┏┓'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ail 81 or the second rail 82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rail 81 or the second rail 82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pproximately '┏┓'.

가이드레일(83)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이며, 양측 외면에 길이 방향의 베어링홈이 형성되고, 각 베어링홈에 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제1레일(81) 및 제2레일(82)의 외면에 볼베어링이 접촉되어 이루어진다. The guide rail 83 is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aring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thereof, and ball bearings are inserted into the bearing grooves, respectively,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ail 81 and the second rail 82. The ball bearing is made in contact.

가이드레일(83)의 볼베어링이 제1레일(81) 또는 제2레일(8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되면서 길이 변동이 가능해진다. The ball bearing of the guide rail 8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ail 81 or the second rail 82 and slides in length.

이때 가이드레일(83)의 볼베어링이 마찰력을 절감시켜줄 수 있어 슬라이드 작동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어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all bearing of the guide rail 83 can reduce the friction force, the slide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stably can be prevented noise generation.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테이블(5)을 직선방향으로 당겨서 인출시키면 길이 신장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length extension is possible by pulling out the auxiliary table 5 in a linear direction.

이렇게 보조테이블(5)을 회전시켜 상판(4)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 후 당겨서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원거리까지 보조테이블(5)을 위치시킬 수 있고, 이렇게 길이가 신장된 보조테이블(5)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공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The auxiliary table 5 can be rotated to be pulled out of the upper plate 4, and then pulled to extend the length so that the auxiliary table 5 can be positioned at a long distance. It can be used to study or study.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테이블(5)의 하면에는 연결부(C)의 회전부(7)가 고정되고, 보조지지부(6)의 상면에 길이변동부(8)가 장착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part 7 of the connection part C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5, and the length change part 8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6.

상기 회전부(7)는 상기 보조테이블(5)의 하면에 부착된 하부플레이트(7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72)의 하부에 중첩형성되어 회전되는 상부플레이트(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otating part 7 includes a lower plate 72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5, and an upper plate 74 which is formed to be rotated by overlapping the lower plate 72.

상기 하부플레이트(72)의 중심에 축(721)이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74)의 중심과 결합됨으로써 상,하부플레이트(74,72)는 서로 축(7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shaft 7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72 to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74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lates 74 and 72 may be rotated about the axis 721.

또한 상부플레이트(74)의 상면과 하부플레이트(72)의 하면에 볼(73)이 개재되어 롤링되도록 하여 회전작동이 보다 부드럽게 정숙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플레이트(72)의 하면에 호형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원형홈(724)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73)이 원형홈(724)에 삽입되어 원형홈(724)을 따라 구동되면서 상부플레이트(74)의 회전 구동이 소음없이 부드럽게 구현될 수 있다. 원형홈(724)은 한개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원형홈(724)마다 한개 이상의 볼(73)이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ball 73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2 so that the rol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etly. Preferably, a circular groove 724 recessed in an arc shape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2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refore, the ball 73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724 is driven along the circular groove 724, the rotational drive of the upper plate 74 can be implemented smoothly without noise. One or more circular grooves 724 may be formed, and one or more balls 73 are coupled to each circular groove 724.

상판(4) 하부에 수납되어있던 보조테이블(5)을 회전시키면 상부플레이트(74)가 회전됨으로써 보조테이블(5)이 회전되면서 상판(4)으로부터 "ㄱ"자로 인출되어 상판(4)에 대해 직각 또는 예각 및 둔각으로 보조테이블(5)을 회전시킨다. Rotating the auxiliary table 5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4 rotates the upper plate 74 so that the auxiliary table 5 is rotated, and is drawn out from the upper plate 4 as a letter "A". The auxiliary table 5 is rotated at right angles or at an acute angle and an obtuse angle.

상기 보조지지부(6)의 상면에 연결되는 길이변동부(8)는 상부플레이트(74)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레일(82)과, 상기 제2레일(82)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출몰작동되는 가이드레일(83)와, 상기 가이드레일(83)의 상부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출몰작동되는 제1레일(8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레일(81) 또는 제2레일(82)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레일(81) 또는 제2레일(82)은 대략 '┏┓'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레일(83)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이며, 단면이 대략 'X'자 형상으로 각 모서리가 돌출된 형상이다. 가이드레일(83)의 모서리 끝단이 제1레일(81) 또는 제2레일(8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되면서 길이 변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가이드레일(83)의 모서리는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어 마찰력을 절감시켜줄 수 있어 슬라이드 작동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어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The length change part 8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6 has a second rail 8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74 and a length coupled to the second rail 82. It comprises a guide rail 83, which is mounted in the direction and the first rail 81,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83 and is proj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ail 81 or the second rail 82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rail 81 or the second rail 82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pproximately '┏┓'. Guide rail 83 is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cross section is a shape of each corner protruding in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X'. The edge end of the guide rail 8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ail 81 or the second rail 82 and slides in length.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guide rail 83 can minimize the contact area can reduce the frictional force can be implemented in a stable slide operation can be prevented noise generation.

이렇게 노출된 보조테이블(5)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식탁이나 테이블 용도로 활용이 가능해진다. Thu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goods in the exposed secondary table (5) or to utilize the table or table.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are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s well as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related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can be changed.

2 : 다리부 4 : 상판
5 : 보조테이블 6 : 보조지지부
7 : 회전부 72 : 하부플레이트
74 : 상부플레이트 73 : 볼
81 : 제1레일 82 : 제2레일
83 : 가이드레일
2: leg portion 4: top plate
5: auxiliary table 6: auxiliary support
7: rotating part 72: lower plate
74: upper plate 73: ball
81: first rail 82: second rail
83: guide rail

Claims (6)

보조지지부(6);
상기 보조지지부(6)의 상부에 위치되는 보조테이블(5);
상기 보조지지부(6)에 부착되는 제1기판(80)과, 상기 제1기판(80)의 상부면에 형성된 레일부재(85)로 구성된 길이변동부(8);
상기 보조테이블(5)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변동부(8)와 결합되는 회전부(9);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85)는
플레이트(850);
상기 플레이트(850)에 장착되는 제1레일(851);
상기 제1기판(80)에 장착되며 제1레일(851)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레일(852);
상기 제1레일(851)과 제2레일(852) 사이에 삽입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가이드레일(854);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9)는
상기 보조테이블(5)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면에 호 형상으로 사잇각을 갖는 이동홈(94); 및 상기 이동홈(94)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2고정클립(96,97)을 갖는 회전판(92);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850)에는 이동홈(94)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853)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850)의 힌지축 결합공(858)을 관통 결합하는 힌지축부(98)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부(98)는 외면에 베어링이 구비되며 회전판(92)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부(98)가 플레이트(850)에 결합되어 플레이트(85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Auxiliary support 6;
An auxiliary table 5 positioned above the auxiliary support 6;
A length shifting part (8)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80) attached to the auxiliary support (6) and a rail member (85)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80);
And a rotating part 9 mounted to the auxiliary table 5 and coupled to the length change part 8.
The rail member 85 is
Plate 850;
A first rail 851 mounted on the plate 850;
A second rail 852 mounted to the first substrate 80 and formed to face the first rail 851;
A guide rail 854 inserted between the first rail 851 and the second rail 852 and drawn or drawn out; Including;
The rotating part 9 is
A moving groove 94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5 and having an angle on the upper surface in an arc shape; And a rotating plate 92 having first and second fixing clips 96 and 97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groove 94.
The plate 850 is formed with a guide pin 853 to move along the moving groove 94,
It includes a hinge shaft portion 98 for coupling through the hinge shaft coupling hole 858 of the plate 850,
The hinge shaft portion 98 is provided with a bearing on the outer surface is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92, the hinge shaft portion 98 is coupled to the plate 850, the variable auxiliary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850 is rotated Fully furnish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851) 및 제2레일(852)이 상하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854)은 제1레일(851)과 제2레일(852)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854)은 외면에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제1레일(851) 또는 제2레일(852)에 볼베어링이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ail 851 and the second rail 852 are disposed upside down,
The guide rail 854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rail 851 and the second rail 852,
The guide rail (854) is a furniture having a variable auxiliary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 bear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ball bearing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851) or the second rail (852).
KR2020190003645U 2019-09-03 2019-09-03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KR2004912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45U KR200491235Y1 (en) 2019-09-03 2019-09-03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45U KR200491235Y1 (en) 2019-09-03 2019-09-03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35Y1 true KR200491235Y1 (en) 2020-03-06

Family

ID=6976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45U KR200491235Y1 (en) 2019-09-03 2019-09-03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3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38B1 (en) * 2022-05-12 2023-01-11 김기현 Camping Trailer Comprising Table
KR20230069389A (en) * 2021-11-12 2023-05-19 서동민 A desk equipped with a top plate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406U (en) * 1996-07-25 1998-04-30 박유재 Rotary table fixture
KR200203558Y1 (en) * 2000-06-01 2000-11-15 주식회사쌍금 Rotating device
KR200473560Y1 (en) * 2013-02-05 2014-07-09 신장공업주식회사 Assembly for rotating assist table of desk
KR20180003383U (en) *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봉적 Drawer ra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406U (en) * 1996-07-25 1998-04-30 박유재 Rotary table fixture
KR200203558Y1 (en) * 2000-06-01 2000-11-15 주식회사쌍금 Rotating device
KR200473560Y1 (en) * 2013-02-05 2014-07-09 신장공업주식회사 Assembly for rotating assist table of desk
KR20180003383U (en) *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봉적 Drawer rai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389A (en) * 2021-11-12 2023-05-19 서동민 A desk equipped with a top plate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KR102598222B1 (en) 2021-11-12 2023-11-02 서동민 A desk equipped with a top plate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KR102487538B1 (en) * 2022-05-12 2023-01-11 김기현 Camping Trailer Comprising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235Y1 (en)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CA2621529C (en) Stowable fold-out/roll-out dinette table assembly
KR200492097Y1 (en)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US11963611B2 (en) Expandable folding table with removable insert panel assembly
KR102295408B1 (en) Book stand with drawer-type base
KR200473560Y1 (en) Assembly for rotating assist table of desk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20180025726A (en) Furniture having expandable table
KR101221108B1 (en) Mobile rack having reading stand
KR200287512Y1 (en) Bookshelf combined with desk
KR20140121999A (en) Wall bed with desk
KR200460599Y1 (en) Partition Shelf
KR20220028503A (en) Revolving and horizontal movableness table system
KR101361293B1 (en) Frame assembly
CN220327050U (en) Single-side extension tabletop
KR200252947Y1 (en) Portable reading desk
CN220327049U (en) Rotary deformation telescopic tabletop
CN211459969U (en) Bath towel holder
CN218898979U (en) Bed with folding table
KR200432868Y1 (en) Desk combined use movable type drawer
CN219515718U (en) Rotatable office table
CN218935813U (en) Folding device with storage function and electric fan
KR102237235B1 (en) Shelves adjustable angle
CN210353761U (en) Rotary folding dining table
JP2021069659A (en) Foldable desk-cum-sh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