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11Y1 - 누수방지 배관 - Google Patents

누수방지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11Y1
KR200491211Y1 KR2020190003180U KR20190003180U KR200491211Y1 KR 200491211 Y1 KR200491211 Y1 KR 200491211Y1 KR 2020190003180 U KR2020190003180 U KR 2020190003180U KR 20190003180 U KR20190003180 U KR 20190003180U KR 200491211 Y1 KR200491211 Y1 KR 200491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induction
wat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경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경건설
Priority to KR2020190003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누수방지 배관이 개시되며, 본 고안의 누수방지 배관은, 물이 흐르는 통공부를 포함하는 주배관, 및 상기 주배관 일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주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유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배관의 하면과 인접하는 주배관에는 물이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유도배관의 누수되어 흐르는 물이 주배관으로 흐르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방지 배관{Piping to prevent leakage}
본 고안은 누수방지 배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배관 외측으로 새어나온 물이 다시 배관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누수방지 배관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샤워실 등 바닥에는 배수로가 설치된다. 이 때, 바닥층은 하부에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고 그 위에는 모래와 시멘트에 물을 약간 섞어 버무린 몰탈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몰탈층에는 다공이 형성된다.
몰탈층으로 이루어진 슬라브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관이 매설된다. 종래의 배관은, 배관의 외측으로 물이 새는 경우, 물이 배관으로 다시 흐르지 못하고 몰탈층의 다공에 스며들게 된다. 물이 다공에 스며드는 현상이 누적됨으로써 몰탈층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집이나 사무실등의 천장에서 물이 새고, 경제적 피해를 야기시켰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02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 외측으로 새어나온 물을 다시 배관으로 흐르게 하는 누수방지 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누수방지 배관은, 물이 흐르는 통공부를 포함하는 주배관, 및 상기 주배관 일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주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유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배관의 하면과 인접하는 주배관에는 물이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유도배관의 누수되어 흐르는 물이 주배관으로 흐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 배관은, 상기 유도배관과 상기 주배관 사이로 흐르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는 일정량 이상의 물을 흡수하는 경우, 물을 배출하여 주배관의 구멍으로 물이 흐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 형성된 구멍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구멍은 상기 주배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에 있어서, 상기 유도배관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주배관에 멀어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에 있어서, 상기 유도배관의 길이는 주배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주배관의 길이는 상기 주배관이 매설되는 슬라브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주배관 및 유도배관으로 구성되는 누수방지 배관을 제공함으로써 주배관 외측으로 새어나온 물을 다시 주배관으로 흐르게 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을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에 있어서, 주배관 외측으로 흐르는 물이 주배관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전단, 전단면, 후방, 후단, 후단면, 상면, 하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전단,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후단,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후면,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일측 또는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타측 또는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종래의 배관은 상층과 하층 사이를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위로부터 흘러오는 물을 아래로 내려가도록 한다. 특히, 화장실, 샤워실 등 바닥에 배수로가 설치되며, 배수를 위한 배관이 설치된다. 슬라브는 모래, 콘크리트, 시멘트 등이 버무려져 수많은 다공을 포함하는 몰탈층을 형성하도록 타설될 수 있다. 이 때, 배관 바깥으로 새어나온 물이 몰탈층의 다공으로 스며들어 몰탈층 파손을 야기한다.
종래의 배관은, 배관의 외측으로 물이 새는 경우, 물이 배관으로 다시 흐르지 못하고 몰탈층의 다공에 스며들게 된다. 물이 다공에 스며드는 현상이 누적됨으로써 몰탈층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집이나 사무실등의 천장에서 물이 새고, 경제적 피해를 야기시켰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은 주배관 및 유도배관으로 구성되는 누수방지 배관을 제공함으로써 주배관 외측으로 새어나온 물을 다시 주배관으로 흐르게 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1)에 대해 설명하며, 본 배관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서 본 고안의 누수방지 배관(1)의 길이, 너비, 두께, 높이, 비율 등은 실제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누수방지 배관(1)은 도면에서의 본 배관의 길이, 너비, 두께, 높이, 비율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누수방지 배관(1)은 배관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배관(1)은 누수가 되어 새어나온 물을 다시 배관(1) 내부로 흐르게 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누수방지 배관(1)에 관한 것이다. 본 배관(1)은 화장실, 싱크대 등의 배수구멍과 연결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배관(1)은 배수구멍과 연결되어 상층과 하층 사이를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는 형태로 시공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배관(1)은 주배관(10) 및 유도배관(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1)은 주배관(10) 외부로 흐르는 물을 유도배관(20)을 통하여 주배관(10)으로 유도할 수 있다. 주배관(10) 및 유도배관(20)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예를 들어,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등)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주배관(10)과 유도배관(20)은 나사, 볼트 등의 결합도구가 사용되지 않는 하나의 틀로 성형되는 것일 수 있다. 주배관(10) 및 유도배관(20)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도배관(20)의 두께가 더 얇은 것일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을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배관(10)은 내측으로 물이 흐르는 통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배관(10)의 형태는 주로 원통형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주배관(10)의 상측 및 하측은 다른 배관, 엘보관 등과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도배관(20)은 주배관(10) 일부분에서 연장되어 주배관(1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배관(10)이 원통형인 경우, 유도배관(20)은 주배관(10) 일지점의 원주(원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일 수 있으며, 주배관(10)은 유도배관(20)에 둘러싸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는 주배관(10)의 외주면의 한 지점과 유도배관(20)의 세로방향 내주면의 한 지점과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격거리는 주배관(10)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배관(10)의 지름이 100mm인 경우, 이격거리는 10mm 이내 일 수 있다. 이러한 이격거리는 주배관(10)의 지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배관(10)의 지름이 커질수록 이격거리의 지름도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 긴 이격거리는 15mm이내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배관(20)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될수록 주배관(10)에 멀어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유도배관(20)이 경사를 포함함으로써 유도배관(20) 내주면에 맺히는 물이 유도배관(20)에 고이지않고, 상기 경사를 타고 주배관(10)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유도배관(20)의 내주면의 하면은 곡면형태로 물이 잘 흐르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주배관(10)과 유도배관(20)이 이어진 지점이 유도배관(20)의 하면에서 가장 낮은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유도배관(20)의 외주면의 형태는 내주면과 동일한 모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배관(20)의 내주면의 곡면기울기와 외주면의 곡면기울기가 같을 수 있다. 또는, 유도배관(20)의 내주면의 형태와 외주면의 형태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곡면형태의 내주면과 다르게 외주면의 형태는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이 직각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배관(20)의 길이는 주배관(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주배관(10)의 길이는 주배관(10)이 매설되는 슬라브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배관(10)은 슬라브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주배관(10)은 슬라브의 두께보다 소정 길이 길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슬라브의 두께가 200 ~ 300mm인 경우, 주배관(10)의 총 높이는 400mm로 설정할 수 있으며, 슬라브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주배관(10)에는 엘보관 등을 연결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1)은 콘크리트, 모래, 시멘트 등으로 버무려진 몰탈층(100)이 채워진 슬라브에 타설될 수 있다. 유도배관(20)의 하면과 인접하는 주배관(10)에는 물이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유도배관(20)의 누수되어 흐르는 물이 주배관(10)으로 흐르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주배관(10)에 형성된 구멍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구멍은 상기 주배관(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배관(10)의 둘레를 따라 구멍이 6개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의 개수는 배수량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주배관(10)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멍의 크기 및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멍들은, 주배관(10)과 유도배관(20) 사이의 공간과 주배관(10)의 통공부와의 연결통로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수방지 배관(1)은 유도배관(20)과 주배관(10)사이로 흐르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체(21)는 기공이 포함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 일정 크기 및 형상을 유지하는 고체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21)는 임계값 이내의 외력에서는 자신의 크기와 형상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흡수체(21)의 일예는 스펀지일 수 있다. 흡수체(21)는 유도배관(20)과 주배관(10) 사이에 채워지며 유도배관(20)의 높이보다 낮게 채워질 수 있다. 이 때, 유도배관(20)의 높이는 유도배관이 주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시작되는 높이에서, 유도배관의 최상측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21)는 유도배관(20)의 최하점으로부터 유도배관(20) 최상점까자의 1/2지점까지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스펀지의 상면의 형태는 평평한 형태, 물결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배관(10)과 유도배관(20)의 사이 공간 중, 흡수체(21)가 채워지는 공간에는 콘크리트, 시멘트, 모래 등과 같은 몰탈층(100)을 형성하는 물질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수체(21)는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면, 내부의 기공으로 액체를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은(1), 유도배관(20)과 주배관 (10)사이의 공간 중 흡수체(21)가 채워지지 않은 나머지 공간이 콘크리트, 모래, 시멘트 등(100)의 재료로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배관(20)과 주배관(10) 사이에 흡수체(21)가 유도배관 높이의 1/2지점까지 채워지는 경우, 채워지지 않은 공간은 몰탈층의 재료인 콘크리트, 모래, 시멘트 등(100)이 채워질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 배관에 있어서, 주배관 외측으로 흐르는 물이 주배관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21)는 일정량 이상의 물을 흡수하는 경우, 물을 배출하여 주배관(10)의 구멍으로 물이 흐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21)인 스펀지가 몰탈층으로 스며든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이 스펀지 아랫쪽으로 모이게 되며, 일정량 이상의 물을 흡수하여 스펀지 하단이 포화된 경우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스펀지 하단은 주배관(10)의 구멍과 닿아있기 때문에 물이 주배관(10)의 통공부로 흐를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누수방지 배관
10: 주배관
20: 유도배관
21: 흡수체
100: 몰탈층

Claims (5)

  1. 누수 방지를 위한 배관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통공부를 포함하는 주배관;
    상기 주배관 일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주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유도배관; 및
    상기 유도배관과 상기 주배관 사이로 흐르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배관의 하면과 인접하는 주배관에는 물이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유도배관의 누수되어 흐르는 물이 주배관으로 흐르며,
    상기 유도 배관의 하면은 상기 주배관과 상기 유도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유도배관의 하면의 가장 낮은 지점이 되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유도배관의 가장 낮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유도배관의 1/2 높이 이하로 채우며 배치되어, 일정량 이상의 물을 흡수하는 경우, 물을 배출하여 주배관의 구멍으로 물이 흐르게 하는 것인, 누수방지 배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 형성된 구멍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구멍은 상기 주배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인, 누수방지 배관.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3180U 2019-07-30 2019-07-30 누수방지 배관 KR200491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80U KR200491211Y1 (ko) 2019-07-30 2019-07-30 누수방지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80U KR200491211Y1 (ko) 2019-07-30 2019-07-30 누수방지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11Y1 true KR200491211Y1 (ko) 2020-03-04

Family

ID=6976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80U KR200491211Y1 (ko) 2019-07-30 2019-07-30 누수방지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1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406B1 (ko) * 2011-10-17 2012-08-10 허종태 배관용 슬리브
KR20140002080U (ko) * 2012-10-02 2014-04-10 이건희 세탁기 배수호스 결합소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406B1 (ko) * 2011-10-17 2012-08-10 허종태 배관용 슬리브
KR20140002080U (ko) * 2012-10-02 2014-04-10 이건희 세탁기 배수호스 결합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8371B (zh) 一种全包防水车站防水系统及动态设置限量排水方法
CN107794954B (zh) 一种抗浮泄水泄压结构
KR200491211Y1 (ko) 누수방지 배관
CN108644482B (zh) 一种同层漩流管件与预埋防漏套管的密封结构
CN201901933U (zh) 积水排水装置
KR101363984B1 (ko) 보호관이 구비된 배관
CN208152205U (zh) 一种室内同层排水地漏
CN106869289B (zh) 一种建筑同层排水地漏
CN207331931U (zh) 一种防渗水地漏
CN206607661U (zh) 一种复合排水地漏结构
CN109281334A (zh) 地下管廊防水结构
CN205975844U (zh) 一种防漏水防堵塞的单立管旋流器
CN215331146U (zh) 一种支撑件及卫生间沉池结构
CN106088265B (zh) 一种防漏水防堵塞的单立管旋流器
JP2016003470A (ja) トンネル内周面における液体排出装置及び液体の排出方法
CN112031084A (zh) 一种建筑预埋排水用旋流器
CN106760256B (zh) 一种材料找坡之倒置屋面水落口结构
CN207295866U (zh) 卫生间沉箱二次排水系统
CN201512836U (zh) 积水排水装置
CN206646617U (zh) 一种建筑同层排水地漏
CN207893276U (zh) 一种新型给水管
CN210507647U (zh) 一种卫生间隐形排水结构
JP7000060B2 (ja) 排水ますの補修部材、地下排水施設および排水ますの補修方法
TWM599875U (zh) 匯流排水裝置
CN212224157U (zh) 一种建筑预埋排水用旋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