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03Y1 - 구강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구강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03Y1
KR200491203Y1 KR2020170005884U KR20170005884U KR200491203Y1 KR 200491203 Y1 KR200491203 Y1 KR 200491203Y1 KR 2020170005884 U KR2020170005884 U KR 2020170005884U KR 20170005884 U KR20170005884 U KR 20170005884U KR 200491203 Y1 KR200491203 Y1 KR 200491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ck
mouse
cursor
mouthpie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36U (ko
Inventor
강민재
Original Assignee
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재 filed Critical 강민재
Priority to KR2020170005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0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컴퓨터의 커서의 이동, 클릭 및 키보드의 타이핑이 가능한 구강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용 마우스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마우스 피스부, 상기 마우스 피스부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클릭부 및 상기 마우스 피스부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된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의 위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릭부의 벤딩(Bending)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커서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 신호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한다.

Description

구강용 마우스{MOUSE FOR ORAL CAVITY}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구강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컴퓨터 상의 커서를 제어하는 구강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쇼핑, 컨텐츠 시청, 지식 습득 또는 사회 생활이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실현이 가능하고, 마우스를 통한 모니터 내부의 커서의 이동으로 컴퓨터의 제어가 용이하여 외부로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이나 일시적 상해를 입은 사람에게 마우스의 조작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마우스들은 손 또는 발의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이나 일시적 상해를 입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힘들고, 구강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마우스들은 마우스의 클릭 또는 키보드 타이핑 기능에 있어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6429호는 구강을 이용한 신호입력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6998호는 혀로 조작되는 마우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마우스의 클릭 또는 키보드의 타이핑 기능이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컴퓨터의 커서의 이동, 클릭 및 키보드의 타이핑이 가능한 구강용 마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강용 마우스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마우스 피스부, 상기 마우스 피스부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클릭부 및 상기 마우스 피스부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된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의 위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릭부의 벤딩(Bending)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커서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 신호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컴퓨터의 키보드 버튼을 클릭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이동시켜 상기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가상키보드의 버튼에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클릭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공간 전방에 삽입되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후방에 배치되어 연산 및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버튼들 및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마우스 피스부를 지나 상기 클릭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클릭부의 벤딩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버튼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클릭부의 좌측 또는 우측 벤딩 각각의 상태에서 각각 발광하는 제1 및 제2 램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용 마우스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및 혀의 움직임을 통해 컴퓨터 모니터 상의 상기 커서의 이동 및 클릭을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구강용 마우스는 탈부착이 가능한 전방의 배터리의 중량을 달리하여 커서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양측의 램프들을 통해 좌클릭 또는 우클릭의 실행 여부를 파악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강용 마우스는 벤딩센서들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마우스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 설정이 가능하고, 발광부를 통해 야간에 전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고안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강용 마우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강용 마우스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구강용 마우스의 구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구강용 마우스를 확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구강용 마우스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구강용 마우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구강용 마우스의 구동을 나타내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용 마우스(100)는 마우스 피스부(200), 클릭부(400), 제어부(600) 및 가압부(800)를 포함한다.
구강용 마우스(100)는 손 또는 발이 자유롭지 못한 일시적 상해자나 장애인들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고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강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 회전 또는 이동을 통해 상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제작된다.
마우스 피스부(200)는 탄성이 있고 무독성의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로 제작되고, 구강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치아들이 구강용 마우스(100)의 조작과정에서 서로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피스부(200)는 전방에 위치한 일단은 반원형의 곡면을 형성하고, 잎술과 구강 내부에서 상하부 잇몸사이에 배치되어 잇몸 및 치아들의 전면을 커버한다.
마우스 피스부(200)의 후방에 위치한 타단은 일단에서 치아들 사이를 지나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치아들의 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반원형의 곡면을 형성하며, 마우스 피스부(200)의 타단은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마우스 피스부(200)는 입술과 치아들 사이에 형성되어 가압부(800)가 키보드의 버튼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치아 및 잇몸을 보호하고, 침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치아 및 잇몸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착용감이 높은 장점이 있다.
마우스 피스부(200)의 상하부의 치아들 및 잇몸을 커버하는 구조는, 상부 치아들 또는 하부 치아들의 전후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커서의 미세한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을 위해 머리 전체를 이동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클릭부(400)는 마우스 피스부(200)의 후방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구강 내부에서 혀를 통해 벤딩(Bending)되는 방향에 따라 제어부(60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나타난 상기 커서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을 실행한다.
클릭부(400)는 일단은 마우스 피스부(200)의 타단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양측면이 상하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클릭부(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클릭부(400)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가늘게 형성되어 혀를 통해 클릭부(400)의 타단을 용이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릭부(400)는 마우스 피스부(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전력을 통해 구동하는 제어부(600)와 효과적으로 절연되고, 구강 내부의 침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릭부(400)의 가장자리는 라운딩(곡면: Rounding) 처리되어 혀를 통해 클릭부(400)를 제어할 경우, 부드럽게 클릭부(400)를 제어할 수 있고, 혀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메인보드(620), 자이로 및 가속도센서(630), 배터리(640), 제1 버튼(650), 제2 램프(660), 제2 버튼(670), 제1 램프(680) 및 스위치(690)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마우스 피스부(200)의 전방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마우스 피스부(200)의 위치와 무선 연결된 컴퓨터의 상기 커서의 위치를 서로 동기화 하여, 사용자가 구강용 마우스(100)를 물고 제어부(600)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제어부(6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서가 이동한다.
메인보드(620)는 중앙처리장치, 램, 무선통신장치, 연결포트들 및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포트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전송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보드(620)는 상기 연결포트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하여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보드(620)와 상기 컴퓨터를 연결하는 유선은 메인보드(620)의 상기 연결포트들 중 어느 하나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구강용 마우스(1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이로 및 가속도센서(630)는 메인보드(620)의 후방에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메인보드(620)와 연결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하는 제어부(6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자이로 및 가속도센서(630)는 이동하는 제어부(600)의 위치신호를 메인보드(620)로 전송하고, 전송된 위치신호는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부(600)를 이동시키는 속도 대비 상기 커서가 모니터 상에서 이동하는 속도 비율에 따라 변환되어 상기 커서를 이동시킨다.
배터리(640)는 제어부(600)의 전방에서 제어부(6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어부(6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어부(600)의 전방에 배치되어 가압부(800)가 제어부(600)와 탈착되는 경우 함께 무게추의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일반적인 마우스의 무게추와 유사하게 배터리(640)의 용량을 증가시켜 제어부(600) 전방의 중량이 증가하면, 가벼운 중량의 배터리(640)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기 커서의 섬세한 조작이 가능하다.
제1 버튼(650)은 자이로 및 가속도 센서(630)의 후방 좌측에 형성되고, 제2 버튼(670)은 자이로 및 가속도 센서(630)의 후방 우측에 형성되어 클릭부(400)의 벤딩 구동에 따라 제1 버튼(650)이 눌려지면 상기 커서의 우클릭이 실행되며, 제2 버튼(670)이 눌려지면 상기 커서의 좌클릭이 실행된다.
제1 램프(680)는 제2 버튼(670)의 외측에 결합되어 제어부(600)의 좌측 외부에 노출되고, 제2 램프(660)는 제1 버튼(650)의 외측에 결합되어 제어부(600)의 우측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램프(680)는 제1 버튼(650)이 눌려지는 경우 발광하여 상기 커서의 좌클릭이 실행되는 것을 빛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고, 제2 램프(660)는 제1 버튼(650)은 제2 버튼(670)이 눌려지는 경우 발광하여 상기 커서의 우클릭이 실행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제1 램프(680) 또는 제2 램프(660)의 발광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커서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의 실행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무리하게 클릭부(400)를 벤딩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스위치(690)는 일단이 제1 버튼(650) 및 제2 버튼(670) 사이에 형성되고, 양측면이 제1 및 제2 버튼(650, 670)들 각각과 인접하도록 곡면을 형성하며 전방을 향해 분리되며 확장되도록 연장된다.
스위치(690)의 타단은 서로 양측을 향해 분리 형성된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클릭부(400)의 내부에 삽입된 후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클릭부(400)를 혀를 통해 좌측으로 벤딩시키면, 스위치(690)의 타단은 클릭부(400)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고, 스위치(690)의 일단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 버튼(650)을 가압하며 상기 커서의 좌클릭을 실행시킨다.
반대로, 클릭부(400)를 혀를 통해 우측으로 벤딩시키면, 스위치(690)의 타단은 클릭부(400)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고, 스위치(690)의 일단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 버튼(670)을 가압하며 상기 커서의 우클릭을 실행시킨다.
가압부(800)의 일단은 전방을 향해 원통 형태로 돌출된 제어부(600)의 끝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어부(600)의 끝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된다.
가압부(800)는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를 통해 제작되고, 전방 끝단에는 상기 키보드의 버튼의 가압을 위해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가 형성되어 숙련 과정을 통해 가압부(800)의 탄성과 상기 무게추를 통해 연속적이고 신속한 타이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강용 마우스(100)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및 혀의 움직임을 통해 컴퓨터 모니터 상의 상기 커서의 이동 및 클릭을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800)를 통해 상기 키보드의 버튼들을 통한 타이핑이 가능하고, 가압부(800)가 탈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모니터에 나타나는 가상키보드에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클릭부(400)의 좌클릭을 실행하여 편리하게 타이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120)는 레이저부(7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구강용 마우스(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용 마우스(120)는 레이저부(700)를 포함한다.
레이저부(700)는 제어부(600)의 전방 끝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배터리(640)와 연결되어 클릭부(400)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에 따라 점멸한다.
구체적으로. 레이저부(700)는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마우스 피스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치악력을 통해 마우스 피스부(20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압력센서가 반응을 하여 레이저부(700)를 발광시킨다.
반대로, 레이저부(700)가 발광하는 상태에서 재차 마우스 피스부(200)에 치악력을 가하면, 상기 압력센서가 다시 신호를 상기 레이저부(700)에 전송하여 레이저부(700)의 발광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이저부(700)를 통해 모니터 이외의 사물 또는 주위 환경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구강용 마우스(120)를 구강 안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표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의 손잡이의 잠금스위치에 레이저를 반복적으로 점멸시켜 조사하거나 상기 레이저를 급격히 이동시키는 행동을 통해 타인에게 문을 닫거나 잠그라는 의사표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140)는 클릭부(450) 및 발광부(70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구강용 마우스(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구강용 마우스(140)는 클릭부(450) 및 발광부(750)를 포함한다.
클릭부(450)는 커버(452), 제1 벤딩센서(454) 및 제2 벤딩센서(456)를 포함한다.
클릭부(450)는 구강 내부의 혀의 좌우 이동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이 변형하며 발생시키는 전기신호를 제어부(600)에 전달하여 상기 커서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을 실행시킨다.
커버(452)는 일단은 마우스 피스부(200)의 후방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양측 일부분들이 각각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구강용 마우스(140) 마우스 피스부(200)를 물고있는 상태에서 커버(452)의 후방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커서의 클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편안하게 혀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벤딩센서(454)는 커버(452)의 좌측 내부에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가 혀를 통해 커버(452)의 왼쪽 부분을 좌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내면, 제1 벤딩센서(454)가 벤딩되고, 제1 벤딩센서(454)의 벤딩 강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강도 이상이면 상기 커서의 좌클릭이 실행된다.
제2 벤딩센서(456)는 커버(452)의 우측 내부에 형성되고, 해당 사용자가 혀를 통해 커버(452)의 오른쪽 부분을 우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내면, 제2 벤딩센서(456)가 벤딩되며, 제2 벤딩센서(456)의 벤딩 강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강도 이상이면 상기 커서의 우클릭이 실행된다.
발광부(750)는 제어부(600)의 전방 끝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해당 사용자가 구강용 마우스(140)를 물고 이동하는 상태에서, 주변의 조도가 낮은 경우 발광부(750)를 발광시켜 휴대용 전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강용 마우스(140)는 클릭부(450)의 사용빈도가 낮은 경우 마우스 피스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는 혀를 편안하게 구강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벤딩센서(454, 456)들 각각에 의해 상기 커서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벤딩센서(454, 456)들 각각의 벤딩강도를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 상에서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혀의 힘에 따라 제1 벤딩센서(454)의 상기 커서의 좌클릭을 실행시키기 위한 임계 벤딩강도를 낮게 설정하면 제1 벤딩센서(454)를 커버하는 커버(452)와 혀의 가벼운 접촉만으로 상기 커서의 좌클릭이 실행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서의 우클릭을 실수로 실행시키는 경우, 제2 벤딩센서(456)의 임계 벤딩강도를 높여서 실수로 상기 커서의 우클릭을 실행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구강용 마우스를 확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마우스(160)는 마우스 피스부(300) 및 클릭부(47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구강용 마우스(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용 마우스(160)는 마우스 피스부(300) 및 클릭부(470)를 포함한다.
구강용 마우스(160)는 마우스 피스부(300)를 입안에 삽입하고 치아 또는 입술을 통해 압박하는 상태에서 클릭부(470)를 혀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마우스의 클릭을 제어한다.
마우스 피스부(300)는 일단은 제어부(600)와 결합되고, 타단은 두 갈래로 나눠지는 부분들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이격된 상태로 제어부(600)와 이격되는 방향인 후방 양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마우스 피스부(300)는 얇은 천연소재 또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어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혀의 양쪽을 감싸는 형태로 구강에 삽입되며, 입술 또는 치아의 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해당 사용자는 슬림한 형태의 마우스 피스부(300)를 통해 마우스 피스부(300)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될 수 있고, 마우스 피스부(300)를 혀의 하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혀의 좌우측 이동이 원활하여 클릭부(470)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클릭부(470)는 와이어(472) 및 단추(474)을 포함한다.
클릭부(470)는 제어부(600) 내부의 스위치(690)와 연결되어 혀를 통해 클릭부(470)를 구강 내에서 좌측 또는 으로 이동시키면 구강용 무선마우스(160)와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된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가 좌클릭 또는 우클릭을 실행한다.
와이어(472)의 일단은 스위치(690)와 원통형의 축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원통형의 단추(474)은 와이어(472)의 타단과 결합되어 와이어(472)의 날카로운 부분을 커버하고 혀를 통한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와이어(472) 및 단추(474)은 세라믹,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연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고,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900)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와 키보드 간의 거리가 먼 경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용 무선마우스(160)의 특성상 내부공간이 형성된 중량이 낮은 금속,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끝단에는 대부분 고분자 재질로 형성된 키보드의 자판과 접촉하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는 캡이 결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구강용 마우스
200: 마우스 피스부 400: 클릭부
600: 제어부 800: 가압부

Claims (4)

  1.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마우스 피스부;
    상기 마우스 피스부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클릭부; 및
    상기 마우스 피스부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된 컴퓨터의 마우스 커서의 위치와 동기화되어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내부공간 전방에 삽입되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후방에 배치되어 연산 및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자이로 및 가속도센서;
    상기 배터리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버튼들; 및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마우스 피스부를 지나 상기 클릭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릭부의 벤딩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버튼을 가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릭부의 벤딩(Bending)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커서의 좌클릭 또는 우클릭 신호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컴퓨터의 키보드 버튼을 클릭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마우스.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5884U 2017-11-17 2017-11-17 구강용 마우스 KR200491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84U KR200491203Y1 (ko) 2017-11-17 2017-11-17 구강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84U KR200491203Y1 (ko) 2017-11-17 2017-11-17 구강용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36U KR20190001236U (ko) 2019-05-27
KR200491203Y1 true KR200491203Y1 (ko) 2020-03-04

Family

ID=6665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884U KR200491203Y1 (ko) 2017-11-17 2017-11-17 구강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149A (ko) 2019-11-29 2021-06-08 김지영 안경형 마우스 시스템
KR102444613B1 (ko) * 2020-10-27 2022-09-22 장기덕 구강을 이용한 조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818A (ja) * 2004-01-28 2005-08-11 Takuya Shinkawa 入力装置および入力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29B1 (ko) * 2007-06-14 2008-12-29 영 준 장 구강을 이용한 신호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818A (ja) * 2004-01-28 2005-08-11 Takuya Shinkawa 入力装置および入力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36U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1558B2 (en) Multipurpose controllers and methods
JP5664775B2 (ja) 脈波センサ装置
KR200491203Y1 (ko) 구강용 마우스
TW201109068A (en) Operation device
CN204066027U (zh) 齿咬舌控鼠标
Secciani et al. Wearable robots: An original mechatronic design of a hand exoskeleton for assistive and rehabilitative purposes
US20190004596A1 (en) Hands-free input method and intra-oral controller apparatus
WO2021227651A1 (zh) 一种手指动作采集方法及手指动作采集设备
US8760402B2 (en) Mouse used with mouth
US20060055544A1 (en) Signaling device
JP2002073266A (ja) 付け爪型スタイラス
CN205788708U (zh) 一种遥控穿戴指套
KR20150089860A (ko) 동작 인식 전동 휠체어
KR102294077B1 (ko) 의료용 의사 소통 장치
JP2005251138A (ja) データ入力装置
CN218214081U (zh) 一种软件开发测试用辅助装置
KR100553347B1 (ko) 헤드 밴드형 기울기 센서와 바이트 스위치를 이용한장애자용 구동 장치
US11493994B2 (en) Input device using bioelectric potential
CN217390873U (zh) 手柄以及应用该手柄的手术机器人
TW201415299A (zh) 舌動式電腦游標控制系統及方法
CN107714402B (zh) 一种用于外骨骼机器人的臂杖
CN202133971U (zh) 手柄式鼠标
CN201508529U (zh) 薄型鼠标
KR20010095920A (ko) 손가락 삽입형 링 마우스
JP1767806S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