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53Y1 - Cup lid - Google Patents

Cup l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53Y1
KR200491053Y1 KR2020180003785U KR20180003785U KR200491053Y1 KR 200491053 Y1 KR200491053 Y1 KR 200491053Y1 KR 2020180003785 U KR2020180003785 U KR 2020180003785U KR 20180003785 U KR20180003785 U KR 20180003785U KR 200491053 Y1 KR200491053 Y1 KR 200491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handle
protrusion
straw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중규
조문기
Original Assignee
비알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알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알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3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5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5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의 상단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며, 중앙 부위에 개구를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빨대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the first body portion having an opening in the central portion and disposed in the open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the straw is inserted It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first straw hole for. The contents of the cup may be stirre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with the straw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Description

컵 뚜껑{Cup lid}Cup lid {Cup lid}

본 고안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이 가능한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lid that can be rotated.

일반적으로, 컵 뚜껑은 컵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컵의 개구부를 밀폐한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컵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컵에 담긴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cup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to seal the opening of the cu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up, and to prevent contents, such as drinks contained in the cup, from leaking out.

한편, 상기 컵 뚜껑에는 빨대 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빨대 구멍으로 빨대를 삽입하고 상기 빨대를 통해 상기 컵의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up lid is provided with a straw hole. A straw may be inserted into the straw hole and the contents of the cup may be sucked through the straw.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up can be stirred with the straw.

그러나, 상기 컵에 결합된 상기 컵 뚜껑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므로, 상기 빨대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젓는데 한계가 있으며, 쉽게 젓기 어렵다. However, since the cup lid coupled to the cup is fixed without rotation, there is a limit to stirring the contents of the cup with the straw, it is difficult to stir easily.

본 고안은 컵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컵 뚜껑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lid that is rotatable while coupled to a cup.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의 상단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며, 중앙 부위에 개구를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빨대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the first body portion having an opening in the central portion and disposed in the open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the straw is inserted It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first straw hole for, and the contents of the cup can be stirre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body portion with the straw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2 몸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 돌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inner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preventing the second body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edge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탄성 돌기들이 상기 제1 몸체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 돌기들 각각은 중앙 부위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projections from being caught in the first body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fastened and detached, each of the elastic protrusions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It may have a bent portion that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부는 내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portion has a flang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edge,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supported by the flange.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의 길이를 연장하는 관 형태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1 빨대 구멍과 연결되는 제2 빨대 구멍을 갖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lid, protruding upward from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traw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a tubular protrusion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irst straw hole and The gripper may be rotatably fitted to the protrus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having a second straw hole connected to the first straw ho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은 둘레를 따라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상단 부위가 탄성을 갖도록 절개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와 맞물리도록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도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절개홈들이 형성된 상단 부위가 내부를 향해 휘어진 후 복원되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과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protrusion has a polygon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the incision grooves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elastic, the handle to engag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also has a polygonal shape, and when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the upper portion formed with the incision grooves in the protrusion by the force of the handle portion is bent toward the inside and then restored Sound may be generated while collid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가 각각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respectively, and the first body portion at the same time while rotating the handl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by the handle portion as a handle The second body portion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may have a shape of a spring handle.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컵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된 제2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쉽게 저을 수 있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a second body having a first straw ho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The contents of the cup may be stirred while rotating the second body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body portion with the straw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Thus, the contents of the cup can be easily stirred.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가 각각 원기둥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상기 빨대가 끼워진 경우, 상기 제2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빨대가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울 수 있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n the handle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in each of the protrusions, the first body portion at the same time while rotating the handl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with the handle portion as a handle The second body portion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Whe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the straw may weigh the contents of the cup as the second body portion rotates.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리면서 다각형 모양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과 충돌하면서 반복적으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리가 태엽 감는 소리와 유사하여 이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ygonal shape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may repeatedly generate a sound while collid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The sound may be similar to the wind-up sound to give fun to the user.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부면 내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 돌기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몸체부를 상기 제1 몸체부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컵 뚜껑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for supporting the inner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Therefore, 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easily mount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using the elastic protrusions. Therefor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cup lid are eas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몸체부와 돌출부의 결합 관계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컵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up lid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cup lid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up lid shown in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shown in Figure 1 and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up lid shown in FIG. 1 is coupled to a cup.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 is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몸체부와 돌출부의 결합 관계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컵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up lid shown in FIG. 1, and FIG. 3 illustrates the cup lid shown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up lid show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protrusion shown in 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shown in Figure 1 and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Figure 7 is a plan view and a handle portion for expla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up lid shown in FIG. 1 is coupled to a cup.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컵 뚜껑(100)은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 돌출부(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8, the cup lid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110, a second body 120, a protrusion 130, and a handle 140.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외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제1 플랜지(112)를 갖는다. 상기 제1 플랜지(112)는 하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이다. 상기 제1 플랜지(112)는 컵(10)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된다. The first body portion 110 has a first flange 11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edge. The first flange 112 is bent downward. The first flange 112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1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컵(10)의 상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 몸체부(110)가 상기 컵(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a locking jaw i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lange 112, and the locking jaw is caught by an upper end of the cup 10 so that the first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cup. It may be coupled to (10).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중앙 부위에 개구(114)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대략 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body portion 110 has an opening 114 in the central portion. Therefore, the first body portion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내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제2 플랜지(116)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랜지(116)는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may have a second flange 116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edge. The second flange 116 may support the second body 120.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기 개구(114)를 덮도록 상기 개구(114)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120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114 to cover the opening 114,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11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부(110)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2 플랜지(1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supported by the inner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at is,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flange 116.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탄성 돌기들(1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하부면 가장자리의 둘레를 다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상기 제1 몸체부(110)의 내측 가장자리, 즉 상기 제2 플랜지(116)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1 몸체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12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provided. The elastic protrusions 12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ircumference of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he elastic protrusions 122 may support an inner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at is,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16. Therefor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10.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상기 제2 플랜지(116)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와 상기 탄성 돌기들(122)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1 몸체부(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2 플랜지(116)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second flange 116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fitted between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elastic protrusions 122. Therefore, the second body part 120 is s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may be stably rotated while being guided by the second flange 116. have.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각각 중앙 부위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122a)를 갖는다. 상기 절곡부(122a)가 상기 제2 플랜지(116)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Each of the elastic protrusions 122 has a bent portion 122a having a central portion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he bent portion 122a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16.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제1 몸체부(11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개구(114)의 상방에서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하강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중심을 향해 휘어졌다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절곡부(122a)가 상기 제2 플랜지(116)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lowered above the opening 114 to coupl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formed. The elastic protrusions 122 are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by a force that lowers the pressure, and then the bent portion 122a is the second flange 116 while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Support the bottom surface.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제1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개구(114)의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하강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중심을 향해 휘어졌다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플랜지(116)와 분리된다.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raised above the opening 114 to separat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10,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he elastic protrusions 122 are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by a force for lowering the elastic protrusions 122 and then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elastic restoring force. 116).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각각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122a)를 가지므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플랜지(116)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Since the elastic protrusions 122 each have a bent portion 122a that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he elastic protrusions (2)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fastened and separated. 122 may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second flange 116. Therefor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easily fasten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1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대략 ‘L’자 형태를 가지며, 각각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elastic protrusions 122 may have an approximately 'L' shape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respectively.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제1 빨대 구멍(124)을 갖는다.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을 통해 빨대(2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에 삽입된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컵(10)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The second body portion 120 has a first straw hole 124. The straw 2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straw hole 124. The contents of the cup 10 may be stirre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with the straw 20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124.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의 위치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회전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에 삽입된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키기 어렵다. When the first straw hole 124 is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the position of the first straw hole 124 is substantially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sa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otat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with the straw 20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124.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의 위치를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회전 중심과 다르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에 삽입된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The first straw hole 124 may be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straw hole 124 i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body part 120. have. In this cas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may be easi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with the straw 20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124.

일 예로,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몸체부(110) 및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컵(10)의 내용물이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coupled to each other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that is convex upwar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utflow of the contents of the cup 10 through the first straw hole 124.

다른 예로,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몸체부(110) 및 상기 제2 몸체부(120)는 평판 형상일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coupled to each other may have a flat plate shape.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2 몸체부(120)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30 protrudes upward from a portion where the first straw hole 124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120. The protrusion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body 12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body 120 and the protrusion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120)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관통홀(126)들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30)의 하부면에는 탄성을 갖는 다수의 걸림돌기(132)들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132)들이 상기 관통홀(126)들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는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raw hole 124 in the second body part 120.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132 having elasticity. The locking protrusions 132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126, respectively. Therefore, the second body 120 and the protrusion 130 may b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걸림돌기(132)들이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돌출부(130)를 상기 제2 몸체부(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Since the locking protrusions 132 have elasticity, the protrusion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120.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body 120 and the protrusion 130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as necessary.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를 일체로 성형하기 쉽지 않다.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rotrusion 130 are integrally formed, the structure of the mold for integrally molding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rotrusion 130 becomes complicate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integrally mol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rotrusion 130.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가 각각 성형되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 및 상기 돌출부(130)를 각각 성형하기 위한 금형들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 및 상기 돌출부(130)를 각각 성형하기가 용이하다.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rotrusion 130 are respectively formed, the structure of the molds for molding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rotrusion 130 are simplified. Therefore, it is easy to shap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nd the protrusion 130, respectively.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를 각각 성형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컵 뚜껑(100)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The cup lid 100 may be quickly manufactured by forming the second body 120 and the protrusion 130, respectively, and combining the second body 120 and the protrusion 130.

상기 손잡이부(140)는 상기 돌출부(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2 빨대 구멍(142)을 갖는다.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은 상기 제1 빨대 구멍(124)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빨대(20)는 상기 제1 빨대 구멍(124) 및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다. The handle 140 is fitted to the protrusion 130 to be rotatable. The handle part 140 has a second straw hole 142 penetrating up and down. The second straw hole 142 is connected to the first straw hole 124. In this case, the straw 20 may be fitted to the first straw hole 124 and the second straw hole 142 at the same tim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130a)은 둘레를 따라 정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다각형의 예로는 원 모양에 가까운 정육각형, 정팔각형, 정십각형, 정십이각형 등을 들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outer surface 130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may have a regular polygonal shape along a circumference. Examples of the regular polygon may include a regular hexagon, a regular octagon, a regular pentagon, a regular pentagon, and the like close to a circle.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에는 다수의 절개홈들(132)이 구비된다. 상기 절개홈들(132)은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들(132)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132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The cutting grooves 132 are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protrusion 130. The incision grooves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절개홈들(132)이 구비되므로, 상기 돌출부(130)에 대해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Since the cutting grooves 132 are provided,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may have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30.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140a)도 둘레를 따라 정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130a)과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140a)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가 상기 돌출부(130)에 끼워지므로,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경은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140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may also have a regular polygon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The outer side surface 130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and the inner side surface 140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may have the same regular polygon shape. Since the handle 140 is fitted to the protrusion 130,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Therefore,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130a)에 둘레를 따라 돌기들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140a)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기들을 수용하는 수용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surface (130a) of the upper portion in the protrusion 130, and the circumference along the inner surface (140a) of the lower portion in the handle portion 140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projections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30)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40)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기 절개홈들(132)이 형성된 상단 부위가 내부를 향해 휘어진 후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와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한다. 상기 소리가 태엽 감는 소리와 유사하여 이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다. When the handle 1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30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handle 140 is rotated.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formed with the cutting grooves 132 is bent inward by the force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his time,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collides with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to generate sound. The sound may be similar to the wind-up sound to give fun to the user.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가 원기둥 형태이며,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가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가 상기 돌출부(130)에 끼워지므로,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손잡이부(140)가 서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40)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130)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4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Since the handle 140 is fitted to the protrusion 130, the protrusion 130 and the handle 140 may rotate smoothly with each other. Therefore, while rotating the handle 140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30 with the handle 140 as a handle to rotat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Can be.

상기 제1 빨대 구멍(124) 및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에 상기 빨대(20)가 끼워진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빨대(20)가 상기 컵(10)의 내용물을 쉽게 저울 수 있다. When the straw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124 and the second straw hole 142, the straw 20 is rotated as the second body part 120 rotates. You can easily weigh the contents of.

한편, 상기 제1 빨대 구멍(124) 및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에 상기 빨대(20)를 끼운 후,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after inserting the straw 20 into the first straw hole 124 and the second straw hole 142, the second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art 110 with the straw 20. 120 may be rotated.

상기 손잡이부(140)는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40)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The handle 140 may have a shape of a spring handle. Thus, the aesthetics of the handle 140 may be increased.

상기 손잡이부(140)가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태엽 감는 소리와 유사한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40)의 모양과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소리가 잘 어울릴 수 있다. When the handle 140 has a shape of the spring handle, and when a sound similar to the winding wind is gen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140, the shape of the handle 140 and the handle 140 The sound produced when rotating can be a good match.

또한, 상기 손잡이부(140)가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갖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40)를 잡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40)를 쉽게 회전시키거나, 상기 손잡이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andle 140 has a handrail shape, it is easy to hold the handle 140. Accordingly, the handle 140 may be easily rotated, or the second body 120 may be easily rotated using the handle 140.

한편, 상기 손잡이부(140)는 태엽 손잡이 모양 이외에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portion 140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in addition to the shape of the spring handl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100 : 컵 뚜껑 110 : 제1 몸체부
112 : 제1 플랜지 114 : 개구
116 : 제2 플랜지 120 : 제2 몸체부
122 : 탄성 돌기 122a : 절곡부
124 : 제1 빨대 구멍 130 : 돌출부
132 : 절개홈 140 : 손잡이부
142 : 제2 빨대 구멍 10 : 컵
20 : 빨대
100: cup lid 110: first body portion
112: first flange 114: opening
116: second flange 120: second body portion
122: elastic projection 122a: bent portion
124: first straw hole 130: protrusion
132: incision groove 140: handle portion
142: second straw hole 10: cup
20: straw

Claims (8)

컵의 상단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며, 중앙 부위에 개구를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빨대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의 길이를 연장하는 관 형태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1 빨대 구멍과 연결되는 제2 빨대 구멍을 갖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A first body portion having an edg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up and having an opening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body part disposed in the opening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the second body part having a first straw hole for inserting a straw,
Stirring the contents of the cup by rotating the second body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body portion with the straw inserted into the first straw hole,
A tubular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a portion where the first straw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irst straw hole; And
And a handle portion rotatably fitted to the protrusion, the handle portion having a second straw hole connected to the first straw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2 몸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 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inner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The second body portion protrudes from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body portion an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first body portion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projections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ed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탄성 돌기들이 상기 제1 몸체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 돌기들 각각은 중앙 부위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elastic projection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protrusions are caught in the first body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fastened and removed. A cup lid having a bent portion that is bent tow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내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3. The cup li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body portion has a flange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ner edge and the edge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lan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은 둘레를 따라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상단 부위가 탄성을 갖도록 절개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와 맞물리도록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도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절개홈들이 형성된 상단 부위가 내부를 향해 휘어진 후 복원되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과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protrusion has a polygon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the incision grooves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elastic,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also has a polygonal shape so as to engag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s formed in the protrusion by the force of the handle portion is bent toward the inside to restore the sound generated while collid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Featuring a cup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가 각각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each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andle part as a handle, while rotating the handle part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while simultaneously rotating the second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The cup li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part has a shape of a spring handle.
KR2020180003785U 2018-08-14 2018-08-14 Cup lid KR2004910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85U KR200491053Y1 (en) 2018-08-14 2018-08-14 Cup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85U KR200491053Y1 (en) 2018-08-14 2018-08-14 Cup l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53Y1 true KR200491053Y1 (en) 2020-02-12

Family

ID=6949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85U KR200491053Y1 (en) 2018-08-14 2018-08-14 Cup l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53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885U (en) * 2000-04-28 2000-11-02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Cap with straw
JP2008213844A (en) * 2007-02-28 2008-09-18 Pigeon Corp Beverage container
CN107981659A (en) * 2017-12-06 2018-05-04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A kind of sealing stirring coffee cup of visible observation
KR20180089408A (en) * 2015-12-02 2018-08-08 워터리오 엘티디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drink beverages from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885U (en) * 2000-04-28 2000-11-02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Cap with straw
JP2008213844A (en) * 2007-02-28 2008-09-18 Pigeon Corp Beverage container
KR20180089408A (en) * 2015-12-02 2018-08-08 워터리오 엘티디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drink beverages from a container
CN107981659A (en) * 2017-12-06 2018-05-04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A kind of sealing stirring coffee cup of visible observ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72885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8774B2 (en) Stopper for packaging container
JP4756908B2 (en) Rotary electric razor
JP2009078864A (en) Push button flip top with attached second container
GB2564758A (en) A valve assembly
KR200491053Y1 (en) Cup lid
US10470548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identification means
JP6511052B2 (en) Aerosol dispenser head
WO2007132960A1 (en) Golf tee
EP2199041A1 (en) Cutting line formative device for lump type fruit and plant
KR200420228Y1 (en) A safety cap for vessel
JP6684196B2 (en) Pouring cap
US6902142B1 (en) Cup bottom extension apparatus
JP5600281B2 (en) Container with cap
JP6599506B1 (en) Beverage bottle lids
KR101145807B1 (en) Cutting line formative device for lump type fruit and plant
JP6335522B2 (en) Backflow prevention valve mechanism for fluid containers
TWM542960U (en) Adjusting and positioning device of safety helmet lens lifting cover
JP5902942B2 (en) Container cap structure
JP6377014B2 (en) Double container
CN219478975U (en) Fish bucket lid subassembly and fish bucket
KR200492630Y1 (en) Cup lid
KR20190050215A (en) Lipstick vessel
JP7365666B2 (en) cap
KR102462835B1 (en) Kitchen Container Lid with Adjustable Size
KR102139301B1 (en) Pet bottle equiped with pet kno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