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18Y1 -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 Google Patents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18Y1
KR200490918Y1 KR2020160005375U KR20160005375U KR200490918Y1 KR 200490918 Y1 KR200490918 Y1 KR 200490918Y1 KR 2020160005375 U KR2020160005375 U KR 2020160005375U KR 20160005375 U KR20160005375 U KR 20160005375U KR 200490918 Y1 KR200490918 Y1 KR 200490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guitar
storage
guitar peak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820U (ko
Inventor
박동녘
Original Assignee
박동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녘 filed Critical 박동녘
Priority to KR2020160005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1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6Bows; Guides for bows; Plectra or similar pla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는 기타피크를 보관하여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주로 금속으로 제작 되며, 정면의 무늬(1)부와의 간격을 통해 기타피크 출입구(4)를 형성하며, 목걸이 끈(3) 또는 열쇠고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타피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턱의 역할을 하는 고리부분(5)이 있음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생산비가 적게 들며 디자인적 심미성이 좋고 내구성이 높으며, 기타피크 출입구(4)의 크기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수납의 안정성 및 편리성이 높은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A guitar pick holder ornament with an opening that can be extended and condensed}
본 고안은 기타피크를 수납할 수 있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걸이 체인 또는 열쇠고리를 결합할 수 있는 원통형 오링으로 이루어진 턱을 기타피크의 이탈방지 부로 한 장신구이다. 기타피크의 수납구는 연마한 금속을 사용하여 확장&축소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두께의 기타피크를 수납가능하다. 일체형 펜던트로서 생산비가 적게 들고 내구성이 좋으며 손쉽게 기타피크를 탈착 할 수 있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종래 기술의 구성과 작동례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1)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전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1)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후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1)이 적용된 기타크수납 장신구에 기타피크가 수납된 모습, 도 4는 종래의 기술(2)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전면도, 도 5는 종래의 기술(2)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작동 예를 표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1)는 기타피크를 수납하고 고정하기위해 요철(22)이 달린 고정판(14)으로 기타피크를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기타피크는 도 2의 내부 테두리(22)와 도 1의 고정판(14)의 사이에서 고정되며, 빈 공간(12)에 의해 기타피크가 보이게 된다. 도 3의 (18)은 그렇게 고정된 기타피크의 모습을 표현한다.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링(30)에 의해 목걸이 끈(31)과 연결 되고, 테두리(10)과 내부 테두리(20)에 의해 외형이 구성되며, 기타피크가 보이는 빈 공간(12)이 있으며, 고정판(14)와 요철(22)가 기타피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타피크를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1)의 고정판(14)와 내부 테두리(20)사이에 넣으면 요철(22)이 기타피크를 눌러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오링(30)에 목걸이 끈 또는 열쇠고리를 연결하여 활용한다.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2)는 도4의 수납공간(12)에 기타피크를 수납하여 도 5의 경첩(40)에 부착된 여닫이문(38)으로 출입을 하게된다.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2)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타피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12)가 있으며 내부 테두리(20)만큼의 두께 만큼 내부 수납부의 높이가 존재한다. 경첩(40)에 부착된 여닫이문(38)이 있으며 여닫이 문을 고정 할 수 있는 홈(48)과 바늘(46)로 구성된다.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2)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닫이문(38)을 열어 내부 테두리(20)보다 같거나 얇은 기타피크를 활용하여 수납 후 고정용 홈(48)과 바늘(46)을 통해 여닫이문(38)을 고정하여 기타피크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과 작동례에 의한 본 고안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1)에서 요철(22)로 인한 기타피크의 고정 시 기타피크를 출입하는 동안 기타피크에 상처가 생길 수 있다.
둘째,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1)에서 요철(22)로 인한 기타피크의 고정 시 요철(22)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두께의 기타피크를 수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1)에서 후면부는 도 2의 고정판(14)에 의해 기타피크의 하반부만 고정되므로 기타피크의 상반부에는 받쳐주는 장치가 없어서 수납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넷째,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2)에서 여닫이 문(38)은 경첩(40)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오래 사용할시 일체형 수납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음.
다섯째,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2)에서 여닫이 문(38)을 활용한 수납 방식은 그 일체형 수납 방식에 비해 그 제작 과정의 복잡도 및 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음
여섯째, 상기 기타피크수납 장신구(2)에서 여닫이문(38)을 활용한 수납 방식은 기타피크를 수납하기 위해 여닫이문(38)을 열고 닫아야함에 있어서 그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음
US 09018502 B2 (Mark V. Aletto Richard J. Mackey) 2013.06.20
와디즈 크라우드펀딩 피크링. 대한민국 (박동녘), 2015.12.21
이에 본 고안에서는 기타피크의 출입이 신속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적게 들고, 내구성을 높이며, 다양한 기타피크를 수납할 수 있으며 심미성 증대와 수납방식의 세련됨과 수납의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기타피크의 이탈방지 턱을 목걸이끈 및 열쇠고리 연결부와 일체형으로 하고, 금속의 연성을 활용하여 출입구를 확장 & 축소 가능하게 한다. 내주변을 따라 기타피크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기타피크 출입구 외에 전면부의 무늬와 후면부의 테두리로 인해 기타피크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목걸이끈 및 열쇠고리 연결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기타피크 이탈방지턱은 종래 기술에 비해 생산 과정을 간략히 하며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심미적으로 좋다.
둘째, 단순한 형태로 인한 생산단가 절감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높다.
셋째, 기타피크의 수납부는 확장 & 축소가 가능하여 다양한 두께, 크기를 가진 기타피크를 수납할 수 있으며 수납의 안정성을 높인다.
넷째, 한번 맞추어 놓은 크기의 기타피크 출입구에 별도의 조작 없이 기타피크를 밀어넣어 수납하고 후면부를 엄지손가락으로 밀어서 기타피크를 빼내는 기타피크의 출입은 기타피크의 출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1)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전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1)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후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1)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에 기타피크가 수납된 모습.
도 4는 종래의 기술(2)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전면도.
도 5는 종래의 기술(2)이 적용된 기타피크수납 장신구의 작동 예를 표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상면도.
도 9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후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사용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후면부 테두리(9)를 통한 기타피크 출입구(4)의 확장&축소 사용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사용례 이미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례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상면도. 도 9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후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의 사용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는 지갑, 케이스 형태의 장신구에 기타피크(7)를 수납하는 형태이다.
상기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는 금속으로 제작된 기타피크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며, 일측에 연결된 고리부분(5)에 목걸이 끈(3) 또는 열쇠고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크케이스는 대략 역삼각형 모양이며, 내주면(1)을 따라 기타피크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홈(8)이 형성되어있다. 고리부분(5)의 반대편에 있는 정면의 무늬(2)의 변경을 통한 디자인적 확장이 가능하다. 상면부에 위치한 기타피크 출입구(4)가 있으며 후면부의 테두리(9)를 조절하여 기타피크 출입구(4)를 확장, 축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고리부분(5)을 도입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 단가가 적게 소요되며, 피크의 이탈을 방지 하고 수납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방에 연결된 고리부분(5)으로 인해 정면의 무늬(2) 방향으로 형성되는 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후면부의 테두리(9)와 턱 사이에 기타피크 출입구(4)가 형성되도록 한다. 고리부분(5)은 목걸이 끈(3) 및 열쇠고리를 연결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리부분(5)은 목걸이 끈(3) 또는 열쇠고리와 결합되어 활용 되며,
기타피크 출입구(4)의 크기가 수납하고자 하는 기타피크(7)의 두께와 부합하여 수납 및 분리에 불편 사항이 없을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 후면부의 테두리(9)와 턱 사이에 형성된 출입구(4)에 기타피크(7)를 밀어 넣으면 피크의 탄성에 의해 피크가 자연스럽게 휘어들어가면서'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수납되며 고리부분(5)에 의해 형성된 턱에 의해 기타피크(7)가 케이스 내부에 고정이 된다.
기타피크 출입구(4)의 크기가 너무 좁을 경우 금속으로 제작된 상기 고리부분(5)을 후면부로 당기면 금속의 연성에 의하여 구부러지면서 후면부의 테두리(9)와 턱 사이에 형성된 기타피크 출입구(4)의 크기가 확장된다.
이 상태에서 기타피크(7)을 기타피크 출입구(4)로 넣으면 모든 두께의 기타피크를 긁힘 없이 수납할 수 있으며 정면의 무늬(2)와 후면부의 테두리(9)에 의해 피크는 정면 또는 후면으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이후에, 고리부분(5)을 원상복귀 또는 정면의 무늬(2)방향으로 구부리면 기타피크 출입구(4)가 좁아지면서 기타피크(7)의 이탈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기타피크를 분리할 경우에는 후면부의 엄지삽입구(6)에 엄지손가락을 넣고 기타피크(7)를 누르며 이때, 기타피크(7)는 고리부분(5)의 반대편인 정면의 무늬(2)부로 밀착이 되므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기타피크(7)를 위로 밀면 턱의 걸림 없이 자연스러운 피크의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구성과 작동례에 의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타피크의 이탈 방지 턱이 목걸이 끈(3) 및 열쇠고리의 연결 고리부분(5)과 일체형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생산비가 적게 들며 디자인적 심미성이 좋고 일체형으로 내구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둘째, 기타피크 출입구(4)의 크기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모든 굵기의 기타피크를 상처 없이 수납할 수 있으며, 수납의 안정성이 높다. 또한, 기타피크 출입구(4)를 주로 사용하는 기타피크의 굵기에 맞추어 놓았을 경우 기타피크의 탄성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수납 및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분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기타피크의 색상 변경에 따라서 정면의 무늬(2)의 배경색이 달리지는 효과가 있으며 후면 엄지삽입구(6)에 기타피크의 모습이 드러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디자인적 확장성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정면 무늬 4: 기타피크 출입구
5: 고리부분 6: 엄지삽입구
도 11

Claims (1)

  1. 역삼각형 모양이며, 내주면(1)을 따라 기타피크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홈(8)이 형성되어있으며, 일측에 목걸이 끈(3) 또는 열쇠고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타피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턱의 역할을 하는 고리부분(5)이 있고, 상기 고리부분(5)과 정면의 무늬(1)사이의 간격을 통해 기타피크 출입구(4)가 형성되며, 정면부의 무늬(1)와 고리부분(5)이 붙어있는 후면부의 테두리와 그 가운데에 엄지삽입구(6)가 구성되는 형상이고, 금속재질로 형성된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KR2020160005375U 2016-09-13 2016-09-13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KR200490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75U KR200490918Y1 (ko) 2016-09-13 2016-09-13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75U KR200490918Y1 (ko) 2016-09-13 2016-09-13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25U Division KR20190003257U (ko) 2019-12-23 2019-12-23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20U KR20180000820U (ko) 2018-03-21
KR200490918Y1 true KR200490918Y1 (ko) 2020-02-11

Family

ID=6180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375U KR200490918Y1 (ko) 2016-09-13 2016-09-13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998A (ko) * 2020-01-14 2020-01-22 박동녘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93896A1 (en) * 2000-06-13 2003-01-21 Miki Kk Ornamental member for accessory
WO2009046401A1 (en) 2007-10-05 2009-04-09 Aletto Mark V Guitar pick holder orna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998A (ko) * 2020-01-14 2020-01-22 박동녘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KR102189541B1 (ko) 2020-01-14 2020-12-11 박동녘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20U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13668S1 (en) Lid
USD619499S1 (en) One-sided zipper pull / keychain ornament for engaging a decorative button
USD834755S1 (en) Combination eye mask and face cover
USD815216S1 (en) Tape forming a toy building block base
USD945172S1 (en) Coat rack
US7546753B1 (en) Key chain attachment and 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D968090S1 (en) Packaging for jewelry
USD831179S1 (en) Toilet rim sanitizer cover kit
KR200490918Y1 (ko)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USD557171S1 (en) Longhorn style ornament
USD874152S1 (en) Handbag insert
USD581591S1 (en) Hair straightener
USD888301S1 (en) Rechargeable keychain light
KR20190003257U (ko)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KR20200007998A (ko)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US11464300B2 (en) Display attachment
USD938097S1 (en) Hair tie
CN104207436B (zh) 握把可拆分式自锁伞
KR102208644B1 (ko) 돌출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장식물
FR2504997A1 (fr) Mousqueton en plastique pour fermeture de ceintures et analogues
JP3215337U (ja) ペンダント
KR101173074B1 (ko) 장신구
US20180310727A1 (en) Display case
USD820476S1 (en) Bulb
USD820477S1 (en) Bul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