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23Y1 -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23Y1
KR200490723Y1 KR2020180000501U KR20180000501U KR200490723Y1 KR 200490723 Y1 KR200490723 Y1 KR 200490723Y1 KR 2020180000501 U KR2020180000501 U KR 2020180000501U KR 20180000501 U KR20180000501 U KR 20180000501U KR 200490723 Y1 KR200490723 Y1 KR 200490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uminaire
groove
ceil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033U (ko
Inventor
민광기
Original Assignee
민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광기 filed Critical 민광기
Priority to KR2020180000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2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결한 구성으로 천정에 고정된 브라켓에 등기구를 안정적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등기구를 분해하지 않고도 등기구가 상기 브라켓에 체결 시 전기적인 연결이 완료되어 간편 설치가 가능한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Easy installation device of Ceiling type lamps}
본 고안은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결한 구성으로 천정에 고정된 브라켓에 등기구를 안정적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등기구를 분해하지 않고도 등기구가 상기 브라켓에 체결 시 전기적인 연결이 완료되어 간편 설치가 가능한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조명으로는 공간 활용 및 조명 효과 극대화, 인테리어 목적 등을 위해 실내나 진열대 등의 천정에 시공되는 천정형 등기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천정형 등기구의 광원으로는 가정용, 사무용, 상업용으로서 필라멘트 방식을 비롯하여 가격 및 성능면 등에서 탁월한 LED 등이 있다.
이러한 천정형 등기구를 천정에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천정에 천정형 등기구 시공을 위해 브라켓을 고정시키며, 먼저 한 사람이 LED 등의 광원이 설치된 프레임을 상기 브라켓에 가깝게 들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천정에 배선된 외부 전원의 전선을 프레임의 안쪽으로 집어 넣어 광원 측 전선과 접속시키는 작업을 한 다음에, 비로서 상기 프레임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천정형 등기구를 천정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전선 접속 작업때문에 적어도 두 사람의 인력이 요구되며, 상당한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전선 상당부분이 프레임과 브라켓 사이에 지저분하게 노출되며, 아울러 전선 단락 등의 위험성이 높으며, 프레임이 천정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프레임의 배면에 먼지 등이 쌓여 보기 좋지 않은 점이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물론, 천정형 등기구를 해체 작업할 때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동일하게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2072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기구를 천정에 밀착하여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시공/해제할 수 있으며, 등기구를 분해하지 않고도 등기구가 천정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체결 시 전기적인 연결이 완료되어 간편 설치가 가능한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천정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등기구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간편체결부와, 상기 간편체결부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구성되고,
상기 간편체결부는 브라켓과 등기구가 체결 시 체결홈을 향해 돌출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양측으로부터 본체의 타단 방향으로 경사 절곡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끝단에 돌출되어 간편체결부의 체결홈 관통을 차단하는 정지턱이 구성되되,
상기 탄성체와 정지턱 사이에서 탄성체의 경사 절곡된 경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 절곡되어 체결홈에 간편체결부가 삽입 완료 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체결홈 둘레가 걸리는 체결요홈과,
상기 탄성체의 끝단에 돌출되어 간편체결부의 체결홈 관통을 차단하는 정지턱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에 상하로 길이가 긴 장홈 형상의 이탈방지홈이 구성된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천정 고정형의 브라켓을 천정에 시공한 상태에서 간편체결부와 체결홈이 체결되도록 등기구 자체를 천정 고정형 브라켓에 밀착시키는 작업만으로 간편체결부의 탄성체가 체결홈에 탄성력으로 탄력 지지되므로 체결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간편체결부 내부에 구성 가능한 커넥터가 체결홈에 구성될 수 있는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되므로 등기구 설치가 간소해지고 한 사람의 작업자가 천정형 등기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3과 도4는 도2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체결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5는 도2에서 도시한 실시예를 통해 등기구가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의 간편체결부가 브라켓에 적용된 실시예와 간편체결부 내부에 커넥터가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6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간편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이 구성된 등기구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의 간편체결부와 체결홈이 체결된 상태의 A-A'단면도를 확대하여 간편체결부의 커넥터가 체결홈의 접속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등기구(200)의 간편 체결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또는 도 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등기구(200)의 간편 체결 장치는 천장에 고정되는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에 고정되는 등기구(200)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간편체결부(300)와, 상기 간편체결부(300)가 삽입되는 체결홈(400)이 구성되되,
상기 간편체결부(300)는 브라켓(100)과 등기구(200)가 체결 시 체결홈(400)을 향해 돌출된 본체(310)와,
상기 본체(310)의 일단에서 양측으로부터 본체(310)의 타단 방향으로 경사 절곡된 탄성체(320)와,
상기 탄성체(320)에 형성되며, 체결홈(400)에 간편체결부(300)가 삽입 완료 시 탄성체(320)의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체결홈(400) 둘레가 걸리는 체결요홈(321)과,
상기 탄성체(320)의 끝단에 돌출되어 간편체결부(300)의 체결홈(400) 관통을 차단하는 정지턱(322)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천정형 등기구(200)의 간편 체결 장치는 천정에 고정된 브라켓(100)에 등기구(200)가 고정 설치되도록 간편체결부(300)와 체결홈(400)의 체결로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간편체결부(300)와 체결홈(400)의 결합 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하여 등기구(200)를 들어올려 그대로 천정에 고정된 브라켓(100)에 밀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간편체결부(300)가 도 1에서와 같이 브라켓(100)에 구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체결홈(400)은 상기 브라켓(100)에 고정되는 등기구(200)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이고,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등기구(200)에 간편체결부(300)가 구성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되는 체결홈(400)은 브라켓(100)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간편체결부(300)는 본체(310)의 양측으로 버러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력을 갖는 철편,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320)가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탄성체(3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310)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본체(310)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 절곡된 것이며, 상기 탄성체(320)의 끝단에는 간편체결부(300)가 체결홈(400)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차단하여 체결홈(400)으로부터 간편체결부(30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정지턱(322)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탄성체(320)의 경사면과 상기 정지턱(322) 사이의 탄성체(320) 부분에 형성되어 체결홈(400)에 간편체결부(300)가 삽입 완료 시 본체(310) 양측으로 버러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체(320)의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체결홈(400) 둘레가 걸리는 체결요홈(321)이 구성될 수 있어서, 상기 간편체결부(300)가 체결홈(400)에 삽입 시 탄성체(320)의 경사면이 체결홈(400)에 지지되며 간편체결부(300)의 본체(310) 방향으로 탄성체(320)가 전체적으로 좁혀지다가 상기 체결요홈(321)에 체결홈(400) 둘레가 걸리면서 탄성체(320)가 버러지지만 처음상태까지는 버러지지 않으므로 체결홈(400) 둘레에 본체(310) 양측으로 버러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체(320)의 탄성력으로 지지되며, 정지턱(322)이 돌출되어 있어서 간편체결부(300)가 더 이상 진행하지 못 하고 체결홈(400)에 걸려서 체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 3 내지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홈(400)의 인근 프레임에 나사, 볼트, 철핀 등과 같은 고정구(500)가 체결되는 고정홈(410)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400)에 체결되는 간편체결부(300)의 본체(310)에 상기 고정홈(410)에 체결된 고정구(500)가 삽입되어 간편체결부(300)의 체결홈(400)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홈(400) 둘레에는 체결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방지가 가능한 고무패킹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간편체결부(300)의 본체(31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311)은 반복적인 착탈에도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고정홈(410)에 체결되는 고정구(500)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며, 고정홈(410)에 체결된 고정구(500)에 의해 안정적인 걸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홈(311)은 고정구(500)의 외경보다 큰 장홈으로 형성되고, 체결홈(400)에 체결된 간편체결부(300)의 이탈방지홈(311)이 고정홈(41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간편체결부(30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외부전원과 등기구(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330)가 내장되어 브라켓(100)과 등기구(200)의 체결과 동시에 등기구(200)가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간편체결부(300)가 브라켓(100)에 구성되는 경우는 브라켓(100)에 구성된 외부전원을 입력 받아 작동되는 안정기 또는 SMPS와 간편체결부(300)에 내장된 커넥터(330)가 전선 등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고, 이러한 간편체결부(300)가 체결되는 등기구(200)에 구성된 체결홈(400)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330)와 등기구(200)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등기구(200)에 작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접속되는 접속단자(420)가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100)에 등기구(200)가 밀착되면서 등기구(200)의 체결홈(400)에 브라켓(100)의 간편체결부(300)가 체결됨과 동시에 간편체결부(300)의 커넥터(330)와 체결홈(400)의 접속단자(420)가 접속되어 외부전원과 등기구(200)가 전기적으로도 연결되므로 등기구(200)를 분해하여 전기작업이나 별도의 배선작업을 해야 하는 종래의 과정이 생략되고 완제품 등기구(200)를 브라켓(100)에 체결하는 작업만으로 등기구(2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어서 등기구(200)의 간편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00)은 일면이 천정에 밀착되고 타면에 외부전원을 입력 받아 작동되는 안정기 또는 SMPS(커넥터(330)와 점선으로 연결된 구성임)와 간편체결부(300)에 내장된 커넥터(330) 및 전선이 모두 구성되어 등기구(200)만 분리하면 모두 외부에 드러나기 때문에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고, 등기구(200) 자체는 LED 또는 램프에 이상이 없다면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안정기 또는 SMPS 등이 등기구(200) 내부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100)에 구성됨에 따라 등기구(200)의 무게를 감소시켜 등기구(200)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브라켓 200: 등기구 300: 간편체결부
310: 본체 311: 이탈방지홈 320: 탄성체
321: 체결요홈 322: 정지턱 330: 커넥터
400: 체결홈 410: 고정홈 420: 접속단자
500: 고정구

Claims (3)

  1. 천정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등기구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간편체결부와, 상기 간편체결부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구성되고,
    상기 간편체결부는 브라켓과 등기구가 체결 시 체결홈을 향해 돌출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양측으로부터 본체의 타단 방향으로 경사 절곡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끝단에 돌출되어 간편체결부의 체결홈 관통을 차단하는 정지턱이 구성되되,
    상기 탄성체와 정지턱 사이에서 탄성체의 경사 절곡된 경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 절곡되어 체결홈에 간편체결부가 삽입 완료 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체결홈 둘레가 걸리는 체결요홈과,
    상기 탄성체의 끝단에 돌출되어 간편체결부의 체결홈 관통을 차단하는 정지턱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에 상하로 길이가 긴 장홈 형상의 이탈방지홈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체결부는 내부에 외부전원과 등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내장되어 브라켓과 등기구의 체결과 동시에 등기구가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KR2020180000501U 2018-02-01 2018-02-01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KR200490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501U KR200490723Y1 (ko) 2018-02-01 2018-02-01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501U KR200490723Y1 (ko) 2018-02-01 2018-02-01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33U KR20190002033U (ko) 2019-08-09
KR200490723Y1 true KR200490723Y1 (ko) 2019-12-20

Family

ID=6758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501U KR200490723Y1 (ko) 2018-02-01 2018-02-01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450B1 (ko) * 2019-12-16 2021-10-22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캐처를 이용한 간편 교체식 엘이디 조명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92B1 (ko) * 2013-01-10 2013-04-03 김동준 반자동으로 결합되는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JP6027634B2 (ja) * 2014-01-21 2016-11-16 ベーヨツトベー・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BJB GmbH & Co. KG 照明設備、ランプ、照明設備における支持部、ランプにおける支持要素、ホルダ及び口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726Y1 (ko) 2003-04-23 2003-07-23 유영춘 천정조명등의 조립구조
KR20160000627U (ko) * 2014-08-13 2016-02-24 주식회사 연합조명 슬림형 엘이디 천장직착등용 천장 고정수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92B1 (ko) * 2013-01-10 2013-04-03 김동준 반자동으로 결합되는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JP6027634B2 (ja) * 2014-01-21 2016-11-16 ベーヨツトベー・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BJB GmbH & Co. KG 照明設備、ランプ、照明設備における支持部、ランプにおける支持要素、ホルダ及び口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33U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439Y1 (ko) Led 램프
KR101224867B1 (ko)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071391B1 (ko) 천장용 조명기구
KR101264270B1 (ko) 레이스웨이 일체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WO2012178198A2 (en) Led light fixture with press-fit fixture housing heat sink
US20120257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ofitting an open bulb lighting fixture
KR200490723Y1 (ko) 천정형 등기구의 간편 체결 장치
WO2014127457A1 (en) Led lighting module, led lighting system and led lighting retrofit kit
KR200460318Y1 (ko) 조명커버의 결합구조
CN206669652U (zh) 一种灯具安装结构
KR101170374B1 (ko) 천장 부착형 led 등기구
KR101662462B1 (ko) 천정 시공이 용이한 방진용 매입형 및 고정형 led등기구
CN100470121C (zh) 灯座及其制造方法
KR101783106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20180002215U (ko) 복수개 엘이디 램프체가 구비된 조명기구
CN208533824U (zh) 一种集成吊顶的快速安装机构
KR100684656B1 (ko) 천장매입형 등기구
KR101757543B1 (ko) 천장등 고정방법 및 그 구조
KR102073866B1 (ko) 탈부착형 천장등
KR101899058B1 (ko) Led조명용 전등선
KR20090007129U (ko) 개선된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갖는 천정매다는 등
CN219713268U (zh) 一种灯具插针通电结构
KR100605299B1 (ko) 천장매입형 등기구
KR101272108B1 (ko) 광고 패널용 엘이디 점등장치
CN217329566U (zh) 一种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