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637Y1 - 코 보형물 - Google Patents
코 보형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637Y1 KR200490637Y1 KR2020190001212U KR20190001212U KR200490637Y1 KR 200490637 Y1 KR200490637 Y1 KR 200490637Y1 KR 2020190001212 U KR2020190001212 U KR 2020190001212U KR 20190001212 U KR20190001212 U KR 20190001212U KR 200490637 Y1 KR200490637 Y1 KR 2004906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se
- implant
- prosthesis
- bent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코 보형물이 삽입되는 해부학적 위치인 코뼈, 매부리, 코 연골의 굴곡면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코 수술 중 수술자의 코 보형물 조각의 수고를 줄이고, 코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코 수술중 수술자의 경험에 따른 코 보형물 조각 편차를 줄여 코 수술후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콧대라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 수술 결과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는 코 보형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은 코의 코뼈와 매부리 및 연골을 덮도록 코의 피부 아래에 삽입되어 코 수술에 사용되는 코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코뼈를 덮기 위한 상부 보형물과, 상기 연골을 덮기 위한 하부 보형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과 상기 하부 보형물이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상기 코뼈와 상기 연골 사이의 매부리와 닿는 매부리 부분을 갖는다. 상기 코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꺽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하부 보형물에 대해 약 170°이하(매부리가 심한 경우에는 약 150° 이하)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 보형물을 기준으로 상기 코뼈를 향하는 하방으로 적어도 10° 이상(매부리가 심한 경우에는 약 30° 이상) 굴곡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코 성형 등의 코 수술에 사용되는 코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뼈, 매부리 및 코 연골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지는 코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코의 모양과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수술은 전 세계 여러나라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근래에는 미용 목적으로 코의 모양을 더욱 보기 좋게 하기 위해 코 성형수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코 성형수술은 콧대가 낮거나 코끝이 낮은 경우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리콘이나 고어텍스 재질의 보형물을 코의 피부 안쪽에 삽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코 수술에 의해 코의 피부 안쪽에 코 보형물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코 성형수술시 수술자는 코의 피부 안쪽을 박리하여 공간을 만들고, 수술받는 사람에 맞게 코 보형물(10)을 가공한 후 코 보형물(10)을 코의 피부 안쪽에 삽입하게 된다. 코 수술을 통해 코의 피부 안쪽에 삽입된 코 보형물(10)은 코뼈(20)와 코의 윗쪽 연골(30), 그리고 코뼈(20)와 코의 연골(30)이 서로 만나는 결합 부위인 매부리(40)를 덮게 되어 코 보형물(10)의 두께만큼 콧대를 높이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코 보형물의 제작 관점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작 관점에 따라 제작된 종래의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수술 전 콧대의 윤곽은 실선으로 도시되고, 코 수술 후 높이고자 하는 콧대의 목표 라인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수술자가 단순히 수술 전 코의 피부선인 실선 라인을 기준으로, 수술 후 높이고자 하는 점선 라인의 차이만큼을 수술에 필요한 코 보형물의 높이와 모양으로 판단하여 코 보형물을 설계, 제작하였다.
도 5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코 보형물들의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의 (a) 내지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코 보형물(10)은 단순히 코의 피부의 겉 표면을 기준으로 수술자가 높이고 싶어하는 코(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의 높이 만큼을 두께로 하여 제작되는 관계로, 대체적으로 반듯한 모양으로 제작되고, 상면(12)이 다소 반듯한 직선으로 평평한 모양을 가지거나 코뼈 부분으로 갈수록 윗면의 각도가 상부(코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로 휘어지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코 보형물(10)의 바닥면(14)은 거의 평평하거나 완만한 형태를 가지며, 바닥면이 약간 깎여 있더라도 꺽인 정도가 미미한 수준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코 보형물(10)은 상면(12) 중간 부분에 꺾임이 없거나 상부로 휘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중간 부분의 꺾임 각도는 대략 180°또는 그보다 크다. 하지만, 코 보형물(10)이 실제로 삽입되는 위치는 코의 피부 안쪽면인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의 굴곡면이므로, 종래의 코 보형물(10)은 코의 피부 안쪽면의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의 해부학적 모양에 부합하지 않는다.
성형 수술에 쓰이는 코 보형물은 제작틀을 이용해 대량 생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하나의 제작틀에서 만들어진 코 보형물 제품이 수술받는 사람의 개개인 코의 모양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코 수술 중에 수술자가 수술받는 사람의 코의 해부학적 모양에 맞게 보형물을 깎아서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코 보형물은 코뼈, 매부리, 연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고려하지 않고 코의 피부 겉 표면을 기준으로 제작되고 있어, 수술받는 사람의 코의 해부학적 굴곡면 구조를 반영하지 못해, 수술자가 수술 중에 코 보형물을 많이 깎아 보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수술받는 사람의 해부학적 모양에 맞게 보형물을 정확하게 깎는 것은 수술자의 경험과 판단기준, 관찰력, 판단력, 손기술, 수술당일의 컨디션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수술자에 따라 수술결과에 편차가 생기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수술자의 경험이 부족해서 코 보형물 조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 코 수술 후 염증이나 감염이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코 수술 중 수술자가 코 보형물을 개개인에 적합하게 깎지 못하게 되면, 수술 후 보형물이 이동하게 되거나, 콧대라인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어색해 보이는 등 코 수술 결과가 부자연스럽게 될 수 있다. 또한, 코 피부가 얇아져 붉어지거나, 심지어 보형물이 피부를 뚫고 나오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코 수술 후 코 보형물로 인한 불만족, 후유증으로 인해 재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의료소송이나 법적 분쟁도 증가하고 있다.
코 보형물을 적절하게 조각하지 못하여 수술결과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경우는 코 보형물이 코뼈와 코 연골면에 밀착하지 못해 움직이거나 콧대의 높이, 특히 미간 부위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다. 코 보형물이 코뼈와 코 연골에 밀착하지 못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코 보형물이 매부리의 굴곡과 잘 맞지 않아 짝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콧대의 높이 중에서 미간 부분이 높은 이유는 코 보형물이 매부리의 굴곡 부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미간 부분에서 보형물이 코뼈에 밀착되지 못하고 뜨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코 수술 중 수술자의 코 보형물 조각의 수고를 줄이고, 코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코 수술 중 수술자의 경험에 따른 코 보형물 조각 편차를 줄여 코 수술 결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코 보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코 보형물이 삽입되는 해부학적 위치인 코뼈, 매부리, 코 연골의 굴곡면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코 수술 후 코 보형물이 이동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코 수술 후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콧대라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 보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코 수술후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콧대라인이라고 평가되는 미간 부분이 높아보이는 문제, 매부리 부분의 피부 긴장이 세지는 문제, 코의 연골부분에 유착이 잘 안되는 문제, 콧대라인이 매끈하게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코 보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은, 코의 코뼈와 매부리 및 연골을 덮도록 코의 피부 아래에 삽입되어 코 수술에 사용되는 코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코뼈를 덮기 위한 상부 보형물과, 상기 상부 보형물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연골을 덮기 위한 하부 보형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과 상기 하부 보형물이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상기 코뼈와 상기 연골 사이의 매부리와 닿는 매부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코뼈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골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코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꺽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하부 보형물을 기준으로 적어도 10° 이상 상기 코뼈 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부 보형물측 단부 및 상기 상부 보형물과 이격되는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부 보형물측 단부는 상기 코 보형물의 하면에서 상면 측 방향인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 및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는 기울기는, 상기 상부 보형물의 중앙부 측에서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 방향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의 중앙부 측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일부, 상기 매부리 부분과 연결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까지,는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보형물의 일부, 상기 매부리 부분과 연결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까지,는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의 상기 기울기는,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의 상기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는, 상기 상부보형물측 단부, 상기 매부리 부분 및 상기 하부보형물측 단부 보다 하방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 방향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W'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과 140° ~ 17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며,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피부 측의 상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면부와 155° ~ 165° 각도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코뼈 측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40° ~ 170°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피부 측의 상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면부와 160°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부리 부분의 두께는 1mm ~ 6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 보형물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40° ~ 15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의 코끝 부분은 3mm ~ 5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미간 부분은 2mm ~ 4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은 1mm ~ 2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보다 좁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7mm ~ 9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 보형물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50° ~ 16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의 코끝 부분은 4mm ~ 6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미간 부분은 3mm ~ 5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은 2mm ~ 4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9mm ~ 11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 보형물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60° ~ 17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의 코끝 부분은 5mm ~ 7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미간 부분은 3mm ~ 5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은 4mm ~ 6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보다 넓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10mm ~ 12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 보형물의 두께는 상기 코뼈로부터 상기 연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1mm 이상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코뼈로부터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부리 부분의 상기 매부리와 닿는 바닥면에는 상기 매부리의 해부학적 모양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1mm ~ 5mm 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코 보형물이 실제로 삽입되는 해부학적 구조인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 굴곡을 반영하여, 코 보형물이 코의 피부 안쪽에 삽입되었을 때 코 보형물과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 피부와의 적합성과 맞물림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형물이 실제로 삽입되는 해부학적 코의 모양을 반영한 보형물 중간 부분에 140° ~ 170° 각도의 꺾임과 피부 두께에 따른 보형물 두께 변화로 자연스러운 콧대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코 수술 후 콧대라인이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자의 코 보형물 조각 및 다듬는 수고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수술자의 코 보형물 조각 시간을 단축하여 코수술후 염증 및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술자의 보형물 조각에 따른 편차를 줄여 코 수술 결과의 일관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코 보형물 중간부분 바닥면에 깊고 넓은 홈을 형성하여 코 보형물의 이동을 방지하고, 수술 후 코 보형물이 움직이는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코 수술후 부작용으로 생기는 코끝 부분이 매끈하고 동그랗게 부자연스러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 보형물의 중간 부분 꺾임과, 피부 두께에 따른 보형물 두께 변화로 자연스러운 콧대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미간 부분이 높아 보이거나, 매부리의 피부 긴장이 세지거나 코의 연골 부분에 유착이 잘 안되거나 콧대라인이 매끈하게 연결되지 못하는 등, 코 수술후 콧대라인이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코 수술에 의해 코의 피부 안쪽에 코 보형물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코 보형물의 제작 관점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작 관점에 따라 제작된 종래의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코 보형물들의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코의 피부 안쪽의 해부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제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코 부분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코 보형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6의 코 보형물이 시술되는 코 부분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는 도 16의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코 보형물의 제작 관점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작 관점에 따라 제작된 종래의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코 보형물들의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코의 피부 안쪽의 해부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제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코 부분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코 보형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6의 코 보형물이 시술되는 코 부분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는 도 16의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코 보형물 제작 관점을 종래의 피부 기준에서 코뼈-매부리-코의 연골의 해부학 기준으로 전환하여, 코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지는 코 보형물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코 보형물의 형상은 의학 데이터베이스 해부학 통계자료, 코 수술환자 엑스레이 및 컴퓨터 단층촬영자료, 수술 중 종래의 코 보형물과 본 고안의 코 보형물을 비교 분석한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도출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급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6 및 도 7은 코의 피부 안쪽의 해부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코의 피부 안쪽의 해부학 구조를 살펴보면, 상부 절반은 단단하고 약간 둥근 굴곡을 가지는 코뼈(20)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 절반은 약간의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할 수 있는 연골(30)로 이루어져 있다. 코뼈(20)와 코의 연골(30)이 서로 만나 결합되어 돌출된 중간 부위(결합부)가 흔히 말하는 매부리(40)이다. 매부리(40)에 연결된 연골(30)의 윗쪽 연골(31)은 다소 직선적인 반듯한 모습이고, 코끝 부분의 코끝 연골(32)은 'ㄷ'자 모양으로 말려있는 모습이다.
코 보형물 형상에 코의 해부학 구조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의학자료 데이터베이스 해부학 통계를 조사하고, 코 수술 환자의 의학적 영상자료(엑스레이 사진 및 컴퓨터 단층촬영 자료)와 시신해부 사진자료를 통해 검증한 결과, 매부리(40)의 정도는 심한 경우 매부리 돌출각도가 140°에 수렴하고, 매부리(40)가 거의 없는 경우 매부리 돌출각도는 170°에 수렴한다.
코 보형물이 실제로 삽입되는 위치인 코의 피부 안쪽면의 코뼈(20), 매부리(40), 코의 연골(30)의 해부학적 모양은 코의 피부의 두께의 변화와 상관성이 있다. 매부리(40)에서는 튀어나온 굴곡으로 인해 코의 피부 두께가 얇아지는 모습이고, 코뼈(20)와 코의 연골(30) 부분에서는 코뼈(20)와 코의 연골(30)이 낮게 위치해 함몰된 굴곡이 생겨 코의 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모습이다. 즉, 코의 피부는 튀어나온 매부리(40)에서 제일 얇고, 매부리(40) 이외 부분에서는 튀어나온 정도가 없어 코뼈의 미간 부위와 코끝의 연골 윗부분에서는 비교적 두꺼워지는 피부 두께 변화 특징을 보인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제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코 부분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실선은 수술 전 코의 피부선이고, 점선은 코 수술에서 얻고자 하는 코의 높이를 나타내고, 이점쇄선은 코 보형물이 삽입되는 코뼈(20)-매부리(40)-연골(30)의 굴곡선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의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00)은 코의 코뼈와 매부리 및 연골을 덮도록 코의 피부 아래에 삽입되어 코 수술에 사용되는 것으로, 코 수술에서 코 보형물(100)이 삽입되는 위치인 코뼈, 매부리(연골과 뼈 접합점), 코의 연골의 굴곡을 반영하여 제작되어 코의 해부학적 모양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00)은 코 수술시 실제로 삽입되는 위치인 코뼈-매부리-코의 연골의 해부학적 굴곡구조를 기준으로 수술 후 높이고자 하는 목표 높이를 재구성하여 제작되어, 코 보형물(100)과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 피부와의 적합성과 맞물림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코 보형물(100)의 상면부 및 하면부 굴곡 및 패임(홈), 각도, 두께는 코의 해부학적 구조인 코뼈, 매부리, 코 연골의 굴곡을 반영해 코 보형물의 위치별로 변화하는 형태를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00)은 매부리의 돌출정도, 폭, 넓이 등을 반영하여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은 꺾여 있으며,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바닥 부분에 깊이 패여진 홈을 갖는다. 즉, 코 보형물(100)은 코뼈를 덮기 위한 상부 보형물(120)과, 연골을 덮기 위한 하부 보형물(140)로 이루어지고, 상부 보형물(120)과 하부 보형물(140)이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코뼈와 연골 사이의 매부리와 닿는 매부리 부분(160)을 가지며, 상부 보형물(120)은 하부 보형물(140)에 대해 약 170°이하(매부리가 심한 경우에는 약 150° 이하) 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하부 보형물(140)을 기준으로 적어도 10° 이상(매부리가 심한 경우에는 약 30° 이상) 코뼈 측으로 굴곡되어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방으로 꺽인 형상을 갖는다.
코 보형물(100)이 실제로 삽입되는 위치인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 부분은 코의 피부 겉표면에서 각각 미간, 매부리, 코끝 주변 부분과 상응한다. 상부 보형물(120)은 매부리 부분(160)으로부터 코뼈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보형물(140)은 매부리 부분(160)으로부터 연골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코 보형물(100)은 상하 끝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좁아지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의 상면부(122, 142)는 단면에서 볼 때 코의 피부 안쪽에 닿는 면으로 전체적으로 둥근 반달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의 상면부(122, 142)는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꺾인 형태를 갖는다. 코뼈 부분을 덮는 상부 보형물(120)의 상면부(122)는 코뼈의 반대측으로 약간 휘어지는 곡선 형태를 가지고, 코의 연골 부분을 덮는 하부 보형물(140)의 상면부(142)는 약간 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의 하면부(124, 144)는 코 수술시 코의 피부 안쪽에 삽입되어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과 닿게 되는 면으로,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이 깊게 패인 형태를 갖는다. 즉, 코 보형물(100)의 하면부(124, 144)의 패인 형태는 매부리 부분(160)이 제일 많이 패이게 되고, 코뼈 부위와 코의 연골과 닿는 부위의 패인 형태는 비교적 적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이 삽입되는 위치인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의 굴곡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수술 결과를 좋아지게 하기 위하여,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은 코 보형물(100)의 상면부(122, 142) 및 하면부(124, 144) 모두 꺾인 형태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코 보형물(100)은 상부 보형물(120)이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인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과 140° ~ 170° 각도로 꺾이고, 매부리의 높이(돌출정도), 폭, 넓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매부리 부분)의 매부리와 닿는 바닥면에 매부리의 해부학적 모양과 일치하도록 깊고 넓은 홈(패임)(180)이 형성된다. 홈(180)은 매부리 부분(160)에서 가장 깊이가 깊고, 매부리 부분(16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가 점차 얇아질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상면부 꺾임 각도(θ1)는 155° ~ 165°, 바람직하게는 약 160° 정도이고, 하면부 꺾임 각도(θ2)는 140° ~ 170°일 수 있다. 즉, 상부 보형물(120)의 피부 측의 상면부(122)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상면부와 155° ~ 165° 각도를 가지고, 상부 보형물(120)의 코뼈 측의 하면부(124)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하면부(144)와 140° ~ 170°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의 위쪽 코뼈와 닿는 부분(상부 보형물)은 코뼈의 둥근 윤곽을 반영하여 둥근 곡선 형태를 가지고, 코 보형물(100)의 아래쪽 코의 연골과 닿는 부분(하부 보형물)은 코의 연골이 코끝에서 좌우로 분리되는 특징을 반영하여 좁아지고 직선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에 매부리와 맞물리는 홈(180)이 형성된 매부리 부분(160)은 1mm ~ 6mm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수술 받는 사람의 매부리의 정도, 코 보형물(100)이 실제로 삽입되는 해부학적 구조인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 굴곡의 높이 변화, 콧등의 부위별 피부 두께 변화, 수술자가 높이고자 하는 이상적인 코의 높이에 따라, 코 보형물(100)의 두께는 코 보형물(100)의 부위에 따라 1 ~ 5mm 범위로 변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코 보형물(100)의 두께는 코뼈로부터 연골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mm 이상 변화할 수 있다. 상부 보형물(120)은 코뼈로부터 매부리 부분(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은 콧대의 중심 라인 측이 가장 두껍고, 콧대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끝 부분이 매끈하게 동그란 부자연스러운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하부 보형물(140)은 코끝 부분이 양쪽 날개연골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 보형물(100)은 인체에 무해한 100% 의료용 실리콘 또는 고어텍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00)은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수술받는 사람의 코 안쪽에 삽입시 코 안쪽 해부학적 구조인 코뼈, 매부리, 코의 연골과 일치-맞물림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자의 보형물 조각에 필요한 수고 및 수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코 수술 후 코 보형물이 움직이는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코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코 수술 결과의 만족도를 높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코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어색한 콧대라인 등 부자연스러운 코수술 결과로 인한 부작용 및 후유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법적 분쟁 다툼의 요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보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코의 해부학적 구조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이러한 3가지 코의 해부학적 구조와 매부리의 정도에 따라 각각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00)은 수술받는 사람의 매부리가 심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코 보형물(100)의 상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상면부(122)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상면부(142)와 155° ~ 165°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하면부(124)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하면부(144)와 140° ~ 15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일 수 있다.
상부 보형물(120) 및 하부 보형물(140)은 매부리 부분(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여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가 제일 얇고, 코 보형물(100)의 폭도 상부 보형물(120) 및 하부 보형물(140)보다 매부리 부분(160)에서 좁아지는 모양을 갖는다. 도 1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코끝 부분의 두께(c1)는 3mm ~ 5mm 로 형성되고, 상부 보형물(120)의 미간 부분의 두께(a1)는 2mm ~ 4mm 로 형성되고,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b1)는 1mm ~ 2mm 로 형성되고, 매부리 부분(16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1mm ~ 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 5mm 로 형성되고, 매부리 부분의 폭(d1)은 7mm ~ 9mm 로 형성될 수 있다.
매부리가 많이 돌출되어 튀어나온 경우(매부리가 심한 경우), 코 보형물(100)은 바닥 부분의 꺾인 각도가 크고, 바닥 부분의 패인 정도도 깊어서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두께도 얇아진다. 또한,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폭(d1)도 허리가 잘록해지듯이 약간 좁아진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상면부 꺾임 각도는 약 160°, 하면부 꺽임 각도는 약 140° 이다.
또한, 하부 보형물(140)의 코끝 부분의 두께(c1)는 약 4mm 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미간 부분 두께(a1)는 약 3mm 이고,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b1)는 약 1mm 이고, 매부리 부분의 폭(d1)은 약 8mm 이다. 매부리가 심한 타입의 경우,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는 낮지 않기 때문에 높이고자 하는 목표 높이가 낮은 편이므로,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이 약 1mm 로 제일 얇고, 코뼈와 닿는 부분과 코의 연골과 닿는 부분은 3 ~ 4mm 정도로 두꺼워진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00)은 수술받는 사람의 매부리가 보통인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코 보형물(100)의 상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상면부(122)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상면부(142)와 155° ~ 165°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하면부(124)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하면부(144)와 150° ~ 16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일 수 있다. 상부 보형물(120) 및 하부 보형물(140)은 매부리 부분(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하부 보형물(140)의 코끝 부분의 두께(c2)는 4mm ~ 6mm 로 형성되고, 상부 보형물(120)의 미간 부분의 두께(a2)는 3mm ~ 5mm 로 형성되고,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b2)는 2mm ~ 4mm 로 형성되고, 매부리 부분(16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1mm ~ 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 4mm 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폭(d2)은 크게 좁아지지 않고 인접한 상부 보형물(120) 및 하부 보형물(140)과 비슷한 폭을 갖는다. 매부리 부분의 폭(d2)은 9mm ~ 11mm 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상면부 꺾임 각도는 약 160°, 하면부 꺽임 각도는 약 150° 이다. 또한, 코 보형물(100)의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b2)는 약 3mm 이고, 하부 보형물(140)의 코끝 부분 두께(c2)는 약 5mm 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미간 부분 두께(a2)는 약 4mm 이고, 매부리 부분(160)의 폭(d2)은 약 10 mm 이다. 매부리가 보통인 타입의 경우, 높여야 할 코의 목표 높이가 다양하기 때문에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두께(b2)가 3mm 정도이고, 코뼈와 닿는 부분과 코의 연골과 닿는 부분은 4mm ~ 5mm 정도로 두꺼워진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00)은 수술받는 사람의 매부리 정도가 미미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코 보형물(100)의 상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상면부(122)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상면부(142)와 155° ~ 165°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하면부(124)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하면부(144)와 160° ~ 17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일 수 있다.
상부 보형물(120)은 매부리 부분(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증가되고, 하부 보형물(140)은 매부리 부분(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될 수 있다. 하부 보형물(140)의 코끝 부분의 두께(c3)는 5mm ~ 7mm 로 형성되고, 상부 보형물(120)의 미간 부분의 두께(a3)는 3mm ~ 6mm 로 형성되고,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b3)는 4mm ~ 6mm 로 형성되고, 매부리 부분(16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1mm ~ 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 3mm 로 형성될 수 있다. 매부리 부분(160)의 좌우 폭(d3)은 상부 보형물(120) 및 하부 보형물(140)보다 넓고, 코 보형물(160)의 폭이 중간 부분에서 제일 넓어지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매부리 부분(160)의 폭(d3)은 10mm ~ 12mm 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두께는 매부리 부분(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연골(30)의 형태에 따라 하부 보형물(140)의 두께와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매부리가 거의 없어 매부리의 돌출 정도가 미미한 경우,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바닥 부분 꺾임 정도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실시예들보다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바닥 부분의 패인 정도도 미미하여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 두께는 제1 및 제2 실시예들보다 크고, 중간 부분의 폭도 다소 넓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상면부 꺾임 각도는 약 160°, 하면부 꺽임 각도는 약 170° 이다. 또한, 코 보형물(100)은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b3)가 약 5mm 이고, 상부 보형물(120)의 미간 부분 두께(a3)는 약 4mm 이고, 하부 보형물(140)의 코끝 부분 두께(c3)는 약 6mm 이고, 매부리 부분의 폭(d3)은 약 11mm 이다. 매부리가 거의 없는 타입(제3 실시예)의 경우, 높여야 할 코의 목표에서 매부리가 특히 높기 때문에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이 약 5mm 정도로 두껍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 보형물들에 대해 수술 중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종래의 코 보형물과 비교 검증한 결과, 종래의 코 보형물(중간 부분이 꺾여 있지 않은 도 4에 도시된 코 보형물)을 이용해 수술한 경우, 특히 코뼈의 미간 부분에 두꺼운 코 보형물이 삽입될수록 이마의 높이와 콧대의 높이 차이가 없어지는 어색한 콧대라인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코 보형물의 중간 부분의 꺾임이 없거나(180° 각도), 중간 부분이 오히려 벌어지는 200° 각도를 띄는 종래의 코 보형물은 코뼈의 미간 부분이 높은 어색한 콧대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에 반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중간 부분의 꺾임 각도가 140° ~ 170°)로 수술한 결과, 이마의 높이와 콧대의 높이 차이가 유지되어 자연스러운 콧대라인으로 형성되었다. 하지만 코 보형물의 중간 부분 꺾임 각도가 120°에 가까운 경우 오히려 수술 후 매부리 부분이 더욱 돌출되어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매끈한 콧대 라인으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 보형물이 실제로 삽입되는 위치인 코뼈-매부리-코의 연골의 해부학적 굴곡구조에 기반하여 코 보형물의 형상을 제작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코의 해부학적 구조와 코 보형물 간의 적합성, 맞물림이 개선되고, 그로 인해 수술 중 수술자의 코 보형물 조각에 대한 수고를 덜고, 자연스러운 콧대라인을 만들어 코 수술 후 부작용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자의 보형물 조각에 따른 편차를 줄여 코 수술 후 결과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고, 수술자의 보형물 조각 시간을 단축하여 코 수술 후 염증 및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코 보형물 중간 부분(매부리 부분) 바닥면에 보다 깊고 넓은 홈을 형성하여 코 보형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수술 후 코 보형물이 움직이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코 보형물의 중간 부분 꺾임과, 피부 두께에 따른 보형물 두께 변화로 자연스러운 콧대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미간 부분이 높아 보이거나, 매부리의 피부 긴장이 세지거나 코의 연골 부분에 유착이 잘 안되거나 콧대라인이 매끈하게 연결되지 못하는 등, 코 수술후 콧대라인이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9는 도 16의 코 보형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1은 도 16의 코 보형물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2는 도 16의 코 보형물이 시술되는 코 부분의 해부학적 굴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3는 도 16의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상부 보형물 및 하부 보형물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5의 코 보형물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윗쪽 연골(30)과, 코끝 연골(32) 사이에는 함몰부(34)가 형성되며, 함몰부(34)의 굴곡을 을 반영하지 않은 코 보형물(100)을 삽입하는 경우, 부자연스러운 콧대 라인이 형성되며, 이로 인한 부작용, 및 후유증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코뼈(20)-매부리(40)-윗쪽 연골(30)-코끝 연골(32)로 이루어지는 코뼈의 굴곡 및 이러한 굴곡을 덮는 피부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코뼈(20) 상단, 매부리(40) 및 코끝 연골(32) 측에서 피부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된다.), 코의 외부 피부선과 동일한 직선 형상으로 코 보형물(100)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 보형물(100)이 코뼈 부분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 미간 부분이 부자연스럽게 높아보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매부리 부분을 덮는 피부의 긴장도가 증가하여 삽입된 코 보형물(100)의 윤곽이 외부로 비춰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윗쪽 연골(30)과 코끝 연골(32)의 연결부(함몰부(34))에 코 보형물(100)이 밀착되지 않아 시술 후, 해당 부분이 과도하게 불록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은 상면부 및 하면부가 전체적으로 'W'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 보형물(100)의 삽입 시 보다, 자연스러운 코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 보형물(1)의 매부리 부분(160)의 꺾인 각도, 즉, 코 보형물(100)의 중간 부분의 상면부 꺾임 각도(θ1)는 155° ~ 165°, 바람직하게는 약 160° 정도이고, 하면부 꺾임 각도(θ2)는 140° ~ 170°일 수 있다. 즉, 상부 보형물(120)의 피부 측의 상면부(122)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상면부와 155° ~ 165° 각도를 가지고, 상부 보형물(120)의 코뼈 측의 하면부(124)는 매부리 부분(160)에서 하부 보형물(140)의 하면부(144)와 140° ~ 170°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안자는 다양한 해부학적 샘플을 조사한 결과, 코의 매부리 부분의 각도는 대략 160°일 때, 가장 자연스러운 코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을 도출하였으며, 사람마다 다양한 매부리(40) 각도를 갖게 됨에 따라 코 보형물(100)의 매부리 부분(160)의 상면부 꺾임 각도(θ1)는 대략 160°로 형성하고, 하면부 꺾임 각도(θ1)는 피시술자의 매부리(40) 각도에 따라 대략 140° ~ 170°의 범위의 각도를 갖는 코 보형물(100)을 제안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코의 매부리(40)를 덮는 피부의 두께가 제일 얇게 형성됨에 따라, 코 보형물(100)의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도 이에 대응하여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피시술자의 매부리(40)가 도출되지 않고 오히려 함몰되는 경우에는,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를 증가시켜, 이를 보상할 수 있다.
(11되는 하부 보형물(140)의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는 코 보형물(100)의 하면(124, 144)에서 상면(122, 142) 측 방향인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 및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가 상방으로 경사지는 기울기는, 상부 보형물(120)의 중앙부(126) 측에서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 측 방향 및 하부 보형물(140)의 중앙부(146) 측에서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 측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게 된다.
그리고,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의 상기 기울기는,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의 상기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는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보다 더 급한 경사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부 보형물(120)의 일부(예시적으로 매부리 부분(160)과 연결된 상부 보형물(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부 보형물(120)의 중앙부(126)까지를 말한다.)는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보형물(140)의 일부(예시적으로 매부리 부분(160)과 연결된 상부 보형물(140)의 일측에서 상부 보형물(140)의 중앙부(146)까지를 말한다.) 는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보형물(120)의 중앙부(126) 및 하부 보형물(140)의 중앙부(146)는, 상부보형물측 단부(125), 매부리 부분(160) 및 하부보형물측 단부(145) 보다 하방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함몰된다. 즉, 코 보형물(100)은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에서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 방향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W'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을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보형물(120)의 하면(124)이 노출된다. 그리고,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의 너비는 코 보형물(1)의 중앙부의 너비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코 보형물(1)을 상부 보형물측 단부(125)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코 보형물(1)의 상부 보형물(120)의 상면부(122)가 양 측면 방향으로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을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하부 보형물측 단부(145)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보형물(140)의 하면(144)이 노출된다. 그리고, 상부 보형물측 단부(145)의 너비는 코 보형물(1)의 중앙부의 너비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코 보형물(1)을 상부 보형물측 단부(145)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코 보형물(1)의 상부 보형물(140)의 상면부(142)가 양 측면 방향으로 노출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은 매부리가 심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매부리가 심한 경우에는 콧대의 높이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코 보형물(1)의 전체적인 두께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적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의 매부리 부분(16)의 두께는 약 1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부리가 심한 경우에는 콧대의 매부리 부분의 각도가 대략 140°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형물의 하면부 꺾임 각도(θ2)는 대략 140°로 형성하고, 상면부 꺾임 각도(θ1)는 대략 160°로 형성할 수 있다. 상면부 꺾임 각도(θ1)가 대략 160°로 형성됨에 따라 코의 피부가 덮히면 자연스러운 반듯한 콧대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이 삽입된 피시술자의 기존 콧대 라인(S)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보다 자연스럽고 반듯한 콧대 라인(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코 보형물(1)의 두께 및 각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6 내지 도 23에서 설명되는 코 보형물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은 매부리가 일반적인 경우, 즉 매부리 부분의 각도가 일반적인 사람의 매부리 평균 각도인 대략 160°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코 보형물(1)의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는 대략 3mm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형물의 하면부 꺾임 각도(θ2)는 대략 160°로 형성하고, 상면부 꺾임 각도(θ1) 또한 대략 160°로 형성할 수 있다. 상면부 꺾임 각도(θ1)가 대략 160°로 형성됨에 따라 코의 피부가 덮히면 자연스러운 반듯한 콧대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코 보형물(1)의 두께 및 각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6 내지 도 23에서 설명되는 코 보형물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은 매부리의 각도가 대략 170°인 경우, 즉 매부리 부분의 돌출이 미미한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 매부리의 돌출이 미미하기 때문에 시술 전 콧등이 움푹 꺼져 보이는 경우이므로 미적관점에서 콧대를 많이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매부리의 돌출이 미미한 경우에 적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1)의 매부리 부분(160)의 두께는 대략 6mm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형물의 하면부 꺾임 각도(θ2)는 대략 170°로 형성하고, 상면부 꺾임 각도(θ1) 또한 대략 160°로 형성할 수 있다. 상면부 꺾임 각도(θ1)가 대략 160°로 형성됨에 따라 코의 피부가 덮히면 자연스러운 반듯한 콧대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들에 의하면, 코 보형물(1)의 바닥면이 코뼈-매부리-코연골의 굴곡에 따라 측면에서 볼 때 'W' 형상으로 제작됨에 따라, 코 형상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코 보형물이 시술된 경우 보다 자연스러운 콧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코 보형물(1)의 하면부 꺾임 각도는 시술대상자의 코뼈의 해부학적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되며, 코 보형물의 상면부 꺾임 각도는 대략 160°로 고정되어 형성됨에 따라 시술 대상자의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하며, 자연스러운 콧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종래의 코 보형물
20: 코뼈
30: 연골
40: 매부리
100: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
120: 상부 보형물
122: 상부 보형물의 상면부
124: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
140: 하부 보형물
142: 하부 보형물의 상면부
144: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
160: 매부리 부분
180: 홈
20: 코뼈
30: 연골
40: 매부리
100: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 보형물
120: 상부 보형물
122: 상부 보형물의 상면부
124: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
140: 하부 보형물
142: 하부 보형물의 상면부
144: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
160: 매부리 부분
180: 홈
Claims (15)
- 코의 코뼈와 매부리 및 연골을 덮도록 코의 피부 아래에 삽입되어 코 수술에 사용되는 코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코뼈를 덮기 위한 상부 보형물과, 상기 상부 보형물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연골을 덮기 위한 하부 보형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과 상기 하부 보형물이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상기 코뼈와 상기 연골 사이의 매부리와 닿는 매부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코뼈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골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코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꺽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하부 보형물을 기준으로 적어도 10° 이상 상기 코뼈 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부 보형물측 단부 및 상기 상부 보형물과 이격되는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부 보형물측 단부는 상기 코 보형물의 하면에서 상면 측 방향인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 및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는 기울기는, 상기 상부 보형물의 중앙부 측에서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 방향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의 중앙부 측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과 연결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까지인 상기 상부 보형물의 일부는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매부리 부분과 연결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까지인 상기 하부 보형물의 일부는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 방향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W'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코뼈로부터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변화되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면부는 상기 코뼈의 반대측으로 휘어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형물측 단부의 상기 기울기는, 상기 상부 보형물측 단부의 상기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기 중앙부는, 상기 상부보형물측 단부, 상기 매부리 부분 및 상기 하부보형물측 단부 보다 하방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과 140° ~ 17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며,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피부 측의 상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면부와 155° ~ 165° 각도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코뼈 측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40° ~ 170°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형물의 상기 피부 측의 상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상면부와 160°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부리 부분의 두께는 1mm ~ 6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물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40° ~ 15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의 코끝 부분은 3mm ~ 5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미간 부분은 2mm ~ 4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은 1mm ~ 2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보다 좁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7mm ~ 9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물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50° ~ 16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의 코끝 부분은 4mm ~ 6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미간 부분은 3mm ~ 5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은 2mm ~ 4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9mm ~ 1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물의 길이는 5cm ~ 6cm 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하면부는 상기 매부리 부분에서 상기 하부 보형물의 하면부와 160° ~ 170° 각도를 가지도록 꺾이고,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은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상기 하부 보형물의 코끝 부분은 5mm ~ 7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 보형물의 미간 부분은 3mm ~ 5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은 4mm ~ 6mm 두께를 가지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상기 상부 보형물 및 상기 하부 보형물보다 넓고, 상기 매부리 부분의 좌우 폭은 10mm ~ 1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 보형물의 두께는 상기 코뼈로부터 상기 연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1mm 이상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형물은 상기 코뼈로부터 상기 매부리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부리 부분의 상기 매부리와 닿는 바닥면에는 상기 매부리의 해부학적 모양과 일치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1mm ~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보형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212U KR200490637Y1 (ko) | 2019-03-25 | 2019-03-25 | 코 보형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1212U KR200490637Y1 (ko) | 2019-03-25 | 2019-03-25 | 코 보형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637Y1 true KR200490637Y1 (ko) | 2020-01-22 |
Family
ID=6922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1212U KR200490637Y1 (ko) | 2019-03-25 | 2019-03-25 | 코 보형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63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44160A (zh) * | 2020-05-09 | 2020-08-18 | 西安交通大学 | 一种鼻旁凹陷塑形用生物型假体 |
WO2023008941A1 (ko) * | 2021-07-30 | 2023-02-02 |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 코 보형물 및 코 보형물 제작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845B1 (ko) | 2011-06-23 | 2012-01-06 | 문형진 | 코 성형용 보형물 |
US20150148902A1 (en) * | 2013-03-01 | 2015-05-28 | Sampandh Komrit | Nasal Implant |
KR20180001168U (ko) * | 2016-10-14 | 2018-04-26 | 샤오 한 | 코 보형물 |
KR101895546B1 (ko) * | 2018-07-09 | 2018-09-05 | 윤영묵 | 코 성형 인공보형물 |
-
2019
- 2019-03-25 KR KR2020190001212U patent/KR20049063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845B1 (ko) | 2011-06-23 | 2012-01-06 | 문형진 | 코 성형용 보형물 |
US20150148902A1 (en) * | 2013-03-01 | 2015-05-28 | Sampandh Komrit | Nasal Implant |
KR20180001168U (ko) * | 2016-10-14 | 2018-04-26 | 샤오 한 | 코 보형물 |
KR101895546B1 (ko) * | 2018-07-09 | 2018-09-05 | 윤영묵 | 코 성형 인공보형물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44160A (zh) * | 2020-05-09 | 2020-08-18 | 西安交通大学 | 一种鼻旁凹陷塑形用生物型假体 |
CN111544160B (zh) * | 2020-05-09 | 2021-08-13 | 西安交通大学 | 一种鼻旁凹陷塑形用生物型假体 |
WO2023008941A1 (ko) * | 2021-07-30 | 2023-02-02 |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 코 보형물 및 코 보형물 제작방법 |
KR20230019245A (ko) * | 2021-07-30 | 2023-02-07 |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 코 보형물 및 코 보형물 제작방법 |
KR102649486B1 (ko) * | 2021-07-30 | 2024-03-21 |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 코 보형물 및 코 보형물 제작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9463Y1 (ko) | 코 인공 삽입물 | |
CN107920818B (zh) | 弹性矫形植入物及其制造方法 | |
KR200490637Y1 (ko) | 코 보형물 | |
US20150148902A1 (en) | Nasal Implant | |
US20060058786A1 (en) | Implant for correction of pectus excavatum | |
KR102199481B1 (ko) | 코 보형물 제작방법 | |
US8343225B2 (en) | Skull patch with durable plastic construction and undercut mount to existing skull perimeter | |
KR200489594Y1 (ko) | 코 보형물 | |
US6572634B2 (en) | Nose end adjusting device | |
KR20200001372U (ko) | 코 보형물 | |
US10980583B2 (en) | Bone plat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 |
TWI388312B (zh) | 用以切割軟組織之牙科儀器 | |
US20150250586A1 (en) | Auricular implant | |
EP3563779B1 (en) | Dysphonia treatment tool | |
KR20000065476A (ko) | 코 인조삽입물 | |
KR102482294B1 (ko) | 탄성재질의 와이어를 구비한 내성 발톱 교정용 브라켓 | |
US20200046506A1 (en) | Artificial knee joint | |
Zhang et al. | Application of conchal cartilage grafts in nasal tip plasty: comparison and experience of 3 methods | |
CN213250051U (zh) | 一种附着可靠的新型鼻假体 | |
KR102649486B1 (ko) | 코 보형물 및 코 보형물 제작방법 | |
KR200389126Y1 (ko) | 코 인공 삽입물 | |
CN209136989U (zh) | 一种具有凹槽结构的颅骨修复补片 | |
CN215688770U (zh) | 一种眉弓假体 | |
KR102719918B1 (ko) | 코뼈 임플란트 | |
KR200200581Y1 (ko) | 흉곽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인공보철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