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627Y1 - 탈부착식 경광등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경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27Y1
KR200490627Y1 KR2020190003902U KR20190003902U KR200490627Y1 KR 200490627 Y1 KR200490627 Y1 KR 200490627Y1 KR 2020190003902 U KR2020190003902 U KR 2020190003902U KR 20190003902 U KR20190003902 U KR 20190003902U KR 200490627 Y1 KR200490627 Y1 KR 200490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lashing light
flashing
butto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90003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21V21/0885Clips; Clam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부와 고정집게부로 구성되되, 발광부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조명등과 경광등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고정집게부는 의복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발광부는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 및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조명등과 경광등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탈부착식 경광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탈부착식 경광등{PATROL LIGHT}
본 고안은 탈부착식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부와 고정집게부로 구성되되, 발광부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조명등과 경광등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고정집게부는 의복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발광부는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 및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조명등과 경광등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탈부착식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찰관나 소방관들은 주변의 사람들에게 긴급 또는 비상 상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경광등이나 경광봉을 사용하고 있다. 즉, 차량에는 조명이 반복적으로 점멸하고 비상벨이 울리는 경광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개별적으로 경광봉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4713호에는 경찰이나 도로 청소원이 착용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즉, 목걸이타입, 벨트타입 등으로 야간에 착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빛을 점멸함으로 주변 시선을 집중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니트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니트는 점멸 기능은 있지만 조명 기능과 겸해서 사용할 수 없고, 상황에 따라 빛의 조사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4701호에는 봉형태의 다기능 경광봉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경광봉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휴대하는 것이어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4713호(등록일: 2006년04월18일), 고안의 명칭: "착용가능한 백라이트 유니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0446호(등록일: 2010년09월28일), 고안의 명칭: "경광등"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8407호(등록일: 2001년01월16일), 고안의 명칭: "장방형 경광등"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0963584호(등록일: 2010년06월07일), 고안의 명칭: "경광등 어셈블리"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광부와 고정집게부로 구성되되, 발광부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조명등과 경광등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경광등 기능과 조명등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집게부를 통해 의복에 착용함으로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착용했을 때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며, 발광부는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 및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 주변 상황에 따라 조명등과 경광등의 조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율성을 제공하는 탈부착식 경광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광부의 점멸등과 조명등의 위치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점멸등과 조명등의 조사 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함께 사용했을 때는 사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점멸등의 갯수 및 발광 패턴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발광부의 저면에 안착홈과 이동홈을 형성하여 발광부가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신속하게 회전하면서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집게 방식으로 어깨끈에 착용할 때 지지부재의 저면과 집게부재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여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식 경광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상부의 발광부와 하부의 고정집게부로 구성되되, 상기 발광부는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베이스판, 발광체, 누름부재, 커버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베이스판은 저면 중앙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축부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부 주변으로 회전링부가 돌출 형성되며, 회전링부 주변으로 전후좌우에 각각 안착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체는 베이스판 상면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는 충전배터리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충전배터리와 연결되는 충전단자가 설치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충전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각각 다수의 점멸등이 설치되며, 후면에는 충전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등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점멸등의 작동을 조작하는 점멸등버튼단자와 조명등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명등버튼단자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재는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발광체의 상면에 놓이게 설치되고, 점멸등버튼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점멸등버튼이 돌출 형성되며, 조명등버튼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명등버튼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으로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상면에 조립되어 발광체와 누름부재에 씌워지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점멸등버튼과 조명등버튼이 노출되는 버튼노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는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충전단자노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충전단자노출공은 충전단자마개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설치되고, 후면에는 조명등이 발광했을 때 빛이 확산되도록 볼록투광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집게부는 지지부재, 집게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에 베이스판의 회전축부와 대응되는 축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회전링부와 대응되는 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안착홈과 대응되는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회전축부가 대응되는 축삽입공에 삽입되고 회전링부가 대응되는 링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저면에서 축삽입공을 통해 회전축부의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베이스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 일부분에는 다수의 상부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부재는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되, 지지부재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을 통해 의복의 어깨끈에 고정되게 착용되고, 전방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가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후방은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를 누르면 전방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집게 방식으로 벌어지면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핀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파지부를 누르면 스프링이 변형되었다가 파지부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닫힘 상태로 회복되게 구성되며, 상면 일부분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상부미끄럼방지돌기와 협동하는 하부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경광등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과 안착홈의 사이에는 원을 그리도록 호형상의 이동홈이 형성되어, 지지부재의 안착돌기가 베이스판의 어느 안착홈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로 회전이 제한되어 있다가, 베이스판을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해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안착돌기가 안착홈에서 이탈되어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다가 다른 안착홈에 도착하면 그 안착홈에 삽입되어 그 자리에 걸려 다시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점멸등은 발광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6개의 점멸등이 서로 대각선으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좌측의 점멸등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으로 구성되고, 우측의 점멸등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으로 구성되며,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은 푸른색으로 발광하고.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은 붉은색으로 발광하게 구성되며, 상기 점멸등버튼을 누르면 좌측과 우측의 대응되는 점멸등이 함께 발광하게 구성되되, 점멸등버튼을 처음(1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과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이 교번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을 교번적으로 발광하게 되고, 점멸등버튼을 다시(2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이 전부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이 전체적으로 함께 발광하게 되며, 점멸등버튼을 또 다시(3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과 제6점멸등, 제2점멸등과 제5점멸등, 제3점멸등과 제4점멸등이 순차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이 다른 패턴으로 함께 발광하게 되고, 점멸등버튼을 또 다시(4회차) 누르면 모든 점멸등이 꺼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조명등과 경광등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경광등 기능과 조명등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휴대성이 우수하며, 고정집게부를 통해 경찰관나 소방관들의 의복 어깨끈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했을 때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은 발광부가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 및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 주변 상황에 따라 조명등과 경광등의 조사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발광부의 점멸등과 조명등의 위치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점멸등과 조명등의 조사 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하며 함께 사용했을 때는 사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점멸등의 갯수 및 발광 패턴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경광 및 조명 기능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은 발광부의 저면에 안착홈과 이동홈을 형성하여 발광부가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이동홈을 통해 신속하게 회전하고 이동한 후에는 안착홈에 걸려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확실하게 고정됨으로 정확한 위치의 사용이 가능하며, 집게 방식으로 어깨끈에 착용할 때 지지부재의 저면과 집게부재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하여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 안정성을 제공하고 발광부를 회전시킬 때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발광체 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의 회전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은 상부의 발광부(100)와 하부의 고정집게부(200)가 조립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집게부(200)를 집게 방식으로 벌려 경찰관이나 소방관의 의복 어깨끈에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발광부(100)는 고정집게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광부(100)는 베이스판(110), 발광체(120), 누름부재(130), 커버부재(140)로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판(110)은 상면에 후술하는 발광체(120)가 놓여지는 것으로, 저면 중앙에는 볼트체결공(111)이 형성된 회전축부(112)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부(112) 주변으로 회전링부(11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링부(113) 주변에는 후술하는 지지부재(210)의 안착돌기(213)가 삽입되어 걸리는 안착홈(114)이 전후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안착홈(114)과 안착홈(114)의 사이에는 원을 그리도록 호형상의 이동홈(115)이 형성되어, 지지부재(210)의 안착돌기(213)가 베이스판(110)의 어느 안착홈(114)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로 회전이 제한되어 있다가, 베이스판(110)을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해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안착돌기(213)가 안착홈(114)에서 이탈되어 이동홈(115)을 따라 이동하다가 다른 안착홈(114)에 도착하면 그 안착홈(114)에 삽입되어 그 자리에 걸려 다시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발광체(120)는 베이스판(110) 상면에 놓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121)을 구비하고, 인쇄회로기판(121)의 저면에는 충전배터리(122)가 밀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발광체(120)의 전면에는 충전배터리(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123)가 설치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충전배터리(122)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각각 다수의 점멸등(124)이 설치되며, 후면에는 충전배터리(122)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등(125)이 설치된다. 그리고 발광체(120)의 상면에는 점멸등(124)의 작동을 조작하는 점멸등버튼단자(126)와 조명등(125)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명등버튼단자(127)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점멸등(124)은 발광체(1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6개의 점멸등이 서로 대각선으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좌측의 점멸등(124)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제1점멸등(124-1), 제2점멸등(124-2), 제3점멸등(124-3), 제4점멸등(124-4), 제5점멸등(124-5), 제6점멸등(124-6)으로 구성되고, 우측의 점멸등(124)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제1점멸등(124-1), 제2점멸등(124-2), 제3점멸등(124-3), 제4점멸등(124-4), 제5점멸등(124-5), 제6점멸등(124-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점멸등(124-1), 제2점멸등(124-2), 제3점멸등(124-3)은 푸른색으로 발광하고. 제4점멸등(124-4), 제5점멸등(124-5), 제6점멸등(124-6)은 붉은색으로 발광하게 구성된다.
또한, 점멸등(124)은 점멸등버튼(131)을 누르면 좌측과 우측의 대응되는 점멸등(124)이 함께 발광하게 구성되되, 점멸등버튼(131)을 처음(1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124-1), 제2점멸등(124-2), 제3점멸등(124-3)과 제4점멸등(124-4), 제5점멸등(124-5), 제6점멸등(124-6)이 교번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을 교번적으로 발광하게 되고, 점멸등버튼(131)을 다시(2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124-1), 제2점멸등(124-2), 제3점멸등(124-3), 제4점멸등(124-4), 제5점멸등(124-5), 제6점멸등(124-6)이 전부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이 전체적으로 함께 발광하게 되며, 점멸등버튼(131)을 또 다시(3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124-1)과 제6점멸등(124-6), 제2점멸등(124-2)과 제5점멸등(124-5), 제3점멸등(124-3)과 제4점멸등(124-4)이 순차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이 다른 패턴으로 함께 발광하게 되고, 점멸등버튼(131)을 또 다시(4회차) 누르면 모든 점멸등(124)이 꺼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점멸등(124)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누름부재(130)는 복원력이 좋은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발광체(120)의 상면에 놓이게 설치되고, 점멸등버튼단자(126)와 대응되는 위치에 점멸등버튼(131)이 돌출 형성되며, 조명등버튼단자(127)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명등버튼(132)이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점멸등버튼단자(126)는 조명등버튼단자(127)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지 않고 손으로 만졌을 때 높이 차이를 통해 점멸등버튼단자(126)인지 조명등버튼단자(127)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름부재(130)는 전체적으로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발광체(120)의 상면에 놓여 발광체를 덮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제품의 방수 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커버부재(14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으로 형성되고,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나사(S)로 고정되게 조립되어 발광체(120)와 누름부재(130)에 씌워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나사(S)는 베이스판(110)의 단부에 관통 형성된 나사결합공(116)을 통과해 커버부재(140)의 단부에서 나사결합공(116)과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체결공(145)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계속해서, 커버부재(140)의 상면에는 점멸등버튼(131)과 조명등버튼(132)이 노출되는 버튼노출공(141)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는 충전단자(123)가 노출되는 충전단자노출공(142)이 관통 형성되며, 충전단자노출공(142)은 충전단자마개(143)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40)의 후면에는 조명등(125)이 발광했을 때 빛이 확산되도록 볼록투광부(14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집게부(200)는 지지부재(210), 집게부재(220)로 구성된다.
먼저, 지지부재(210)는 상면에 베이스판(110)의 회전축부(112)와 대응되는 축삽입공(211)이 관통 형성되고, 회전링부(113)와 대응되는 링삽입홈(212)이 형성되며, 안착홈(114)과 대응되는 안착돌기(21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10)가 베이스판(110)의 저면에 밀착되면, 회전축부(112)가 대응되는 축삽입공(211)에 삽입되고 회전링부(113)가 대응되는 링삽입홈(212)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축삽입공(211)을 통해 저면에서 회전축부(112)의 볼트체결공(111)에 볼트(B)를 체결하면 볼트(B)의 머리가 지지부재(210)를 가압하여 베이스판(110)과 지지부재(210)가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10)은 지지부재(210) 상에서 회전축부(112)와 회전링부(113)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10)의 저면 일부분에는 다수의 상부미끄럼방지돌기(214)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집게부재(220)는 지지부재(2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지지부재(21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G)을 통해 의복의 어깨끈에 삽입 및 고정되게 착용된다. 집게부재(220)의 전방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가 지지부재(2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절곡부(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집게부재(220)의 후방은 힌지핀(230)을 통해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222)를 누르면 전방이 힌지핀(230)을 중심으로 집게 방식으로 벌어지면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이때, 힌지핀(230)은 지지부재(210)의 후방에 형성된 제1힌지공(215)과 집게부재(220)의 후방에 제1힌지공(215)과 대응되는 형성된 제2힌지공(225)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힌지핀(230)에는 스프링(231)이 설치되어 파지부(222)를 누르면 스프링(231)이 변형되었다가 파지부(222)를 놓으면 스프링(231)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닫힘 상태로 회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집게부재(220)의 상면 일부분에는 자석(223)이 부착되고, 상부미끄럼방지돌기(214)와 협동하는 하부미끄럼방지돌기(224)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의 조립 및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발광체(120)를 놓고, 발광체(120)의 상면에 누름부재(130)를 놓은 상태에서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커버부재(140)를 씌워지게 한 다음, 베이스판(110)과 커버부재(140)를 다수의 나사(S)를 통해 결합하여 발광부(100)를 조립한다. 그런 다음, 지지부재(210)와 집게부재(220)를 힌지핀(230)을 통해 결합하여 고정집게부(200)를 조립한다. 이때, 힌지핀(230)에 스프링(231)을 설치하여 함께 조립되도록 한다. 이렇게 발광부(100)와 고정집게부(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발광부(100)의 저면에 고정집게부(200)를 대고 볼트(B)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면, 발광부(100)는 회전축부(112)와 회전링부(113)를 기준으로 고정집게부(20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렇게 조립된 탈부착식 경광등은 경찰관나 소방관들이 의복이나 별도의 장비에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경찰관들은 의복 어깨에 있는 어깨끈에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집게부재(220)의 파지부(222)와 발광부(100)의 후방 일부분을 잡고 파지부(222)를 누르면 집게부재(220)의 전방이 지지부재(210)에서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벌어져 있는 공간으로 어깨끈에 끼워 넣은 다음 파지부(222)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231)의 복원력에 의해 집게부재(220)의 전방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어깨끈은 장착공간(G) 내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로 착용된다. 물론, 상부미끄럼방지돌기(214)와 하부미끄럼방지돌기(224)가 어깨끈을 누르면서 본 고안이 어깨끈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탈부착식 경광등을 사용할 때는 발광부(100)의 위치를 회전시켜 발광부(100)가 전후방 또는 양측방으로 향하도록 위치로 조절한 다음, 조명등버튼(132) 또는 점멸등버튼(131)을 눌러 조명등(125) 또는 점멸등(124)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조명등(125)은 일방향으로만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조명을 켜거나 끄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지만, 점멸등(124)은 다양한 패턴을 발광하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물론, 점멸등(124)의 발광 패턴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식 경광등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조명등과 경광등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경광등 기능과 조명등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고, 고정집게부를 통해 경찰관나 소방관들의 의복 어깨끈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착용했을 때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발광부 110: 베이스판
120: 발광체 130: 누름부재
140: 커버부재 200: 고정집게부
210: 지지부재 220: 집게부재
230: 힌지핀

Claims (4)

  1. 상부의 발광부와 하부의 고정집게부로 구성되되,
    상기 발광부는 고정집게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베이스판, 발광체, 누름부재, 커버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베이스판은 저면 중앙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축부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부 주변으로 회전링부가 돌출 형성되며, 회전링부 주변으로 전후좌우에 각각 안착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체는 베이스판 상면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는 충전배터리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충전배터리와 연결되는 충전단자가 설치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충전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각각 다수의 점멸등이 설치되며, 후면에는 충전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조명등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점멸등의 작동을 조작하는 점멸등버튼단자와 조명등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명등버튼단자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재는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발광체의 상면에 놓이게 설치되고, 점멸등버튼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점멸등버튼이 돌출 형성되며, 조명등버튼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명등버튼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으로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상면에 조립되어 발광체와 누름부재에 씌워지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점멸등버튼과 조명등버튼이 노출되는 버튼노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는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충전단자노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충전단자노출공은 충전단자마개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설치되고, 후면에는 조명등이 발광했을 때 빛이 확산되도록 볼록투광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집게부는 지지부재, 집게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에 베이스판의 회전축부와 대응되는 축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회전링부와 대응되는 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안착홈과 대응되는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회전축부가 대응되는 축삽입공에 삽입되고 회전링부가 대응되는 링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저면에서 축삽입공을 통해 회전축부의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베이스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 일부분에는 다수의 상부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부재는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되, 지지부재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을 통해 의복의 어깨끈에 고정되게 착용되고, 전방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가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후방은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를 누르면 전방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집게 방식으로 벌어지면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핀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파지부를 누르면 스프링이 변형되었다가 파지부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닫힘 상태로 회복되게 구성되며, 상면 일부분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상부미끄럼방지돌기와 협동하는 하부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경광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안착홈의 사이에는 원을 그리도록 호형상의 이동홈이 형성되어, 지지부재의 안착돌기가 베이스판의 어느 안착홈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로 회전이 제한되어 있다가, 베이스판을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해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안착돌기가 안착홈에서 이탈되어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다가 다른 안착홈에 도착하면 그 안착홈에 삽입되어 그 자리에 걸려 다시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경광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등은 발광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6개의 점멸등이 서로 대각선으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좌측의 점멸등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으로 구성되고,
    우측의 점멸등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으로 구성되며,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은 푸른색으로 발광하고.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은 붉은색으로 발광하게 구성되며,
    상기 점멸등버튼을 누르면 좌측과 우측의 대응되는 점멸등이 함께 발광하게 구성되되, 점멸등버튼을 처음(1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과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이 교번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을 교번적으로 발광하게 되고, 점멸등버튼을 다시(2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 제2점멸등, 제3점멸등, 제4점멸등, 제5점멸등, 제6점멸등이 전부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이 전체적으로 함께 발광하게 되며, 점멸등버튼을 또 다시(3회차) 누르면 제1점멸등과 제6점멸등, 제2점멸등과 제5점멸등, 제3점멸등과 제4점멸등이 순차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푸른색과 붉은색 빛이 다른 패턴으로 함께 발광하게 되고, 점멸등버튼을 또 다시(4회차) 누르면 모든 점멸등이 꺼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경광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점멸등버튼단자는 조명등버튼단자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지 않고 손으로 만졌을 때 높이 차이를 통해 점멸등버튼단자인지 조명등버튼단자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경광등.
KR2020190003902U 2019-09-24 2019-09-24 탈부착식 경광등 KR200490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02U KR200490627Y1 (ko) 2019-09-24 2019-09-24 탈부착식 경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02U KR200490627Y1 (ko) 2019-09-24 2019-09-24 탈부착식 경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627Y1 true KR200490627Y1 (ko) 2019-12-09

Family

ID=6883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902U KR200490627Y1 (ko) 2019-09-24 2019-09-24 탈부착식 경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723B1 (ko) * 2021-07-26 2022-10-06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안전 조명 장치
KR20230051805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차량용 비상 표시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407Y1 (ko) 1998-12-22 2001-05-02 박재봉 장방형 경광등
KR200414713Y1 (ko) 2006-01-21 2006-04-24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착용가능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0963584B1 (ko) 2009-09-29 2010-06-15 (주)볼텍스 인터내셔널 경광등 어셈블리
KR200450446Y1 (ko) 2008-04-03 2010-10-04 박재실 경광등
KR200469920Y1 (ko) * 2013-08-20 2013-11-14 양현동 휴대형 다기능 안전표시장치
KR20150000883U (ko) * 2013-10-04 2015-03-02 주식회사 동우티엔씨 휴대형 다기능 안전표시장치
KR20180057901A (ko) * 2016-11-23 2018-05-31 (주)에스케이유앤지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407Y1 (ko) 1998-12-22 2001-05-02 박재봉 장방형 경광등
KR200414713Y1 (ko) 2006-01-21 2006-04-24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착용가능한 백라이트 유니트
KR200450446Y1 (ko) 2008-04-03 2010-10-04 박재실 경광등
KR100963584B1 (ko) 2009-09-29 2010-06-15 (주)볼텍스 인터내셔널 경광등 어셈블리
KR200469920Y1 (ko) * 2013-08-20 2013-11-14 양현동 휴대형 다기능 안전표시장치
KR20150000883U (ko) * 2013-10-04 2015-03-02 주식회사 동우티엔씨 휴대형 다기능 안전표시장치
KR20180057901A (ko) * 2016-11-23 2018-05-31 (주)에스케이유앤지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723B1 (ko) * 2021-07-26 2022-10-06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안전 조명 장치
KR20230051805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차량용 비상 표시등
KR102583242B1 (ko) * 2021-10-12 2023-09-26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차량용 비상 표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8228B2 (en) Light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8303129B1 (en) Wrist-mounted illumination device
KR200490627Y1 (ko) 탈부착식 경광등
US6923551B2 (en) Flashlight mounting system
US4599682A (en) Position responsive lighting apparel
US20110157873A1 (en) Safety signalling device
CN112923251B (zh) 具有可拆卸电筒头部的照明系统
US20160144775A1 (en) Garment with integrated notification lights for turning, braking, hazard and emergency that communicates with a vehicle wireless protocol
KR101882719B1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CA2340526C (en) Removable helmet light system
CN111895289A (zh) 可拆卸的双模式照明装置和相关头灯系统
US20050057943A1 (en) Illumination and reflective devices
US20050057942A1 (en) Illumination and reflective strips
KR200484472Y1 (ko) 착탈 구조를 갖는 신발용 발광 장신구
KR200489720Y1 (ko) 탈부착식 경광등 어셈블리
GB2386677A (en) Hand, wrist or arm direction indicator device
TWM378349U (en) Structure of small lamp
KR100922972B1 (ko) 손목 착용형 램프
WO2009049441A1 (fr) Ceinture lumineuse
JP3481892B2 (ja) 夜光反射チョッキ
US20060007676A1 (en) Flashlight
JP4552127B2 (ja) 安全チョッキ
KR20200066106A (ko) 벨크로 테이프를 활용한 부착형 야간용 또는 레저용 led 조명
KR200420022Y1 (ko) 광 발산 식별장치
KR200493578Y1 (ko) 견장 착용형 경광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