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57Y1 - 휴지통 - Google Patents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57Y1
KR200490257Y1 KR2020170006660U KR20170006660U KR200490257Y1 KR 200490257 Y1 KR200490257 Y1 KR 200490257Y1 KR 2020170006660 U KR2020170006660 U KR 2020170006660U KR 20170006660 U KR20170006660 U KR 20170006660U KR 200490257 Y1 KR200490257 Y1 KR 200490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ashtray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649U (ko
Inventor
정윤주
Original Assignee
정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주 filed Critical 정윤주
Priority to KR2020170006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5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04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의 위험이 있는 담배꽁초와 인화성을 가진 쓰레기, 휴지등을 분리하여 버릴 수 있음은 물론, 수납부에 수거봉투를 설치하는 것과 수거봉투에 휴지나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에서도 수거봉투를 휴지통의 수납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한편,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휴지통부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휴지통부에 담배불씨나 빗물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된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지통(1000)는, 지면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휴지통부재(1110)의 상부에 설치된 쓰레기봉투걸이대(1120)에 쓰레기봉투(T)를 걸 수 있도록 된 휴지통부(1100)와, 상기 휴지통부의 하부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휴지통부의 외주면 상부에 위치되면서 휴지통부의 휴지통외주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연장프레임부(1200)와, 상기 연장프레임부의 상측에 힌지수단(1400)으로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담배재를 털거나 담배불을 소등할 수 있도록 된 재털이부(1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지통 {Trash can}
본 고안은 도로변이나 옥내외등에 설치하여 휴지나 오물 및 담배꽁초등을 버리는 재털이가 설치된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내외의 설치가 용이하고 휴지 수납부와 재털이부를 격리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지 수납부에 설치되는 수거봉투인 쓰레기봉투의 설치와 쓰레기가 가득 찬 수거봉투를 회수하기 용이하도록 된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주변이나 건물내외에 환경을 보다 깨끗하게 하기 위하여 대형의 휴지통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은 휴지등의 오물 투입구 일방에 재털이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휴지통을 옥내외에 설치하기 위하여 중량이 무거운 받침대를 지면에 설치하고, 이에 상기 휴지통을 고정 설치하거나, 휴지통 본체에 지주를 설치하여 이 지주의 일단을 매설하므로서 휴지통의 설치가 매우 번거로웠으며, 또 휴지통에 설치된 재털이가 휴지 수납부와 곧바로 통해 있기 때문에 불이 붙어 있는 담배꽁초를 비벼 끄지 않고 그대로 재털이에 버릴 경우 담배꽁초의 불이 휴지통내의 휴지등에 인화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화재방생을 고려하여 휴지통의 일방에 재털이를 별개로 설치한 것이 있었으나, 이것은 담배꽁초가 쌓여진 재털이를 휴지통에서 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재털이의 청소가 불편하였고, 조립식 재털이를 설치할 경우 휴지통을 청소할 때 상개 재털이를 먼저 분리시킨 다음, 청소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자칫 재털이를 분리하지 않고 휴지통을 청소할 경우 상기 재털이가 휴지통에서 이탈되어 분실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이 미연에 방지되어 비흡연자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흡연자는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 규제를 지키면서도 자신의 흡연욕구를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충족시킬 수 있는 휴지통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휴지통는 바닥판, 천장판, 측면판들을 볼트 조립이나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하므로, 휴지통의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한번 설치된 휴지통는 해체하여 다른 곳으로 이전 설치하기가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0345호 고안의 명칭 "휴지통"이 공지되어 있는바, 하측에 예각으로 절곡되어 경사져 있는 경사 안내판을 가진 수직판형상의 분리격벽을 휴지통 본체의 상단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하고 반원판 형성의 받이판을 상기 분리격벽의 직하방에 설치하되 상기 경사 안내판의 선단부가 상기 받이판의 개방단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휴지 투입부와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격벽의 일측에는 투입부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경사부와 통공을 가진 재털이를 설치하며, 상기 휴지통 본체의 상부에는 걸림편을 가진 상부테를 하부에는 배수공를 가진 안내테를 설치하고 이를 지주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0345호는 지주를 이용하여 보도등 옥내외의 적정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택시 또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기존의 기둥이나 건물등의 벽면에 상기 지지편만을 설치하거나, 지지편과 지지링체를 설치하고, 이에 휴지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휴지통을 임의의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0345호는 화재의 위험이 있는 담배꽁초와 인화성을 가진 쓰레기, 휴지등을 분리하여 하나의 휴지통에 버릴 수 있게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고, 각종 오물을 간편하게 버릴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0345호의 휴지통은 수납부에 수용된 휴지등의 오물을 수거봉투에 담아서 한 번에 배출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즉,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0345호는 수납부에 수거봉투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함은 물론, 수거봉투에 휴지나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에서 수거봉투를 휴지통의 수납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0345호 고안의 명칭 "휴지통".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재의 위험이 있는 담배꽁초와 인화성을 가진 쓰레기, 휴지등을 분리하여 버릴 수 있게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매우 적고, 각종 오물을 간편하게 버릴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된 휴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상부로 회전시킨 후 수납부에 수거봉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함은 물론, 수거봉투에 휴지나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에서도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상부로 회전시켜 수거봉투를 휴지통의 수납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한편,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휴지통부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휴지통부에 담배 불씨나 빗물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된 휴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지통은, 지면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휴지통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쓰레기봉투걸이대에 쓰레기봉투를 걸 수 있도록 된 휴지통부와, 상기 휴지통부의 하부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휴지통부의 외주면 상부에 위치되면서 휴지통부의 휴지통외주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연장프레임부와, 상기 연장프레임부의 상측에 힌지수단으로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담배재를 털거나 담배불을 소등할 수 있도록 된 재털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휴지통부는, 상부가 개구되면서 하부는 상기 수납부를 갖춤과 더불어 외주면에 상부와 하부가 연장되면서 중간부에는 이격된 손잡이가 형성된 휴지통부재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일정한 직경과 길이의 관부재와, 상기 관부재의 하단에서 수납부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된 플랜지를 갖춘 쓰레기봉투걸이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재털이부는, 상기 연장프레임부의 상측에 힌지수단으로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재털이부프레임과,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도록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담배꽁초수용부와, 상기 담배꽁초수용부의 상부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재털이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된 플랜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지통에 의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는 담배꽁초와 인화성을 가진 쓰레기, 휴지등을 분리하여 버릴 수 있게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매우 적고, 각종 오물을 간편하게 버릴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휴지통에 의하면,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상부로 회전시킨 후 수납부에 수거봉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여 수거봉투에 휴지나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에서도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상부로 회전시켜 수거봉투를 휴지통의 수납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한편,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휴지통부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휴지통부에 담배불씨나 빗물등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도어, 후면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지붕이 서로 끼움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도 7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사용상태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지통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휴지통(10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면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휴지통부재(1110)의 상부에 설치된 쓰레기봉투걸이대(1120)에 쓰레기봉투(T)를 걸 수 있도록 된 휴지통부(1100)와, 이 휴지통부의 하부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휴지통부의 외주면 상부에 위치되면서 휴지통부의 휴지통외주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연장프레임부(1200)와, 이 연장프레임부의 상측에 경첩과 같은 힌지수단(1400)으로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담배재를 털거나 담배불을 소등할 수 있도록 된 재털이부(130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재털이부(1300)에 담배불을 소등할 수 있어서 화재의 위험이 있는 담배꽁초와 인화성을 가진 쓰레기, 휴지등을 분리하여 버릴 수 있게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매우 적고, 각종 오물을 간편하게 버릴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고, 상기 재털이부(1300)를 힌지수단(1400)으로 상부로 회전시킨 후 휴지통부재(1110)의 수납부(1111)에 수거봉투인 쓰레기봉투(T)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여 수거봉투에 휴지나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에서도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상부로 회전시켜 수거봉투를 휴지통의 수납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한편, 재털이부를 힌지수단을 매개로 휴지통부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휴지통부에 담배불씨나 빗물등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휴지통부(1100)는, 상부가 개구되면서 하부는 수납부(1111)를 갖춤과 더불어 외주면에 상부와 하부가 연장되면서 중간부에는 이격된 손잡이(1112)가 형성된 휴지통부재(1110)과, 상기 수납부(1111)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일정한 직경과 길이의 관부재(1121)와, 이 관부재의 하단에서 수납부(1111)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환형고리형상으로 된 플랜지(1122)를 갖춘 쓰레기봉투걸이대(11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쓰레기봉투걸이대(1120)의 관부재(1121)에 쓰레기봉투(T)가 걸려지고 쓰레기봉투와 관부재에 고무밴드(R)를 씌우게 되면 관부재에 쓰레기봉투의 상부가 견고하게 안착되게 되고, 상기 관부재의 상부에는 쓰레기봉투를 걸 수 있도록 돌출된 고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프레임부(1200)는, 상기 휴지통부(1100)와 일체로 생산될 수도 있으나 분리하여 생산하고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털이부(1300)는, 상기 연장프레임부(1200)의 상측에 경첩과 같은 힌지수단(1400)으로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중앙에는 관통구멍(1311)이 형성된 재털이부프레임(1310)과, 상기 관통구멍(1311)에 끼워지도록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담배꽁초수용부(1321)와, 이 담배꽁초수용부(1321)의 상부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재털이부프레임(131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된 플랜지(1322)를 갖춘 재털이(13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상기 재털이(1320)를 재털이부프레임(1310)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재털이부프레임(1310)을 힌지수단(1400)을 매개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휴지통부(1100)의 휴지통부재(1110)에 형성된 수납부(1111)로 쓰레기봉투(T)를 넣어서 쓰레기봉투을 쓰레기봉투걸이대(1120)에 걸어서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또 상기 쓰레기봉투(T)에 휴지가 이물질이 꽉찬 경우에도 상기 재털이(1320)를 재털이부프레임(1310)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재털이부프레임(1310)을 힌지수단(1400)을 매개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쓰레기봉투(T)를 쓰레기봉투걸이대(1120)의 상부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털이부(1300)의 재털이부프레임(1310)은 지면과 평행하게 되는 위치까지 회동이 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재털이부프레임(1310)이 도 1과 같이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연장프레임부(1200)의 단부에 재털이부프레임(1310)의 일측 측면이 밀착되어 지면과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112)와 연장프레임부(1200)에는 수직한 형태로 광고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광고부가 구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휴지통 1100: 휴지통부
1110: 휴지통부재 1111: 수납부
1112: 손잡이 1120: 쓰레기봉투걸이대
1121: 관부재 1122: 플랜지
1200: 연장프레임부 1300: 재털이부
1310: 재털이부프레임 1311: 관통구멍
1320: 재털이 1321: 담배꽁초수용부
1322: 플랜지 1400: 힌지수단

Claims (3)

  1. 지면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휴지통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쓰레기봉투걸이대에 쓰레기봉투를 걸 수 있도록 된 휴지통부와, 휴지통부의 하부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휴지통부의 외주면 상부에 위치되면서 휴지통부의 휴지통외주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연장프레임부와, 연장프레임부의 상측에 힌지수단으로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담배재를 털거나 담배불을 소등할 수 있도록 된 재털이부를 포함하는 휴지통에 있어서,
    상기 휴지통부(1100)는, 상부가 개구되면서 하부는 수납부(1111)를 갖춤과 더불어 외주면의 상부에서 외주면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일정간격 떨어져 이격된 손잡이(1112)를 갖춘 휴지통부재(1110)와, 상기 수납부(1111)의 상부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부재(1121)와, 상기 관부재의 하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수납부(1111)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된 플랜지(1122)를 갖춘 쓰레기봉투걸이대(1120)를 포함하고,
    상기 재털이부(1300)는, 상기 연장프레임부(1200)의 상측에 힌지수단(1400)으로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중앙에는 관통구멍(1311)이 형성된 재털이부프레임(1310)과, 관통구멍(1311)에 끼워지도록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담배꽁초수용부(1321)와, 담배꽁초수용부의 상부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재털이부프레임(131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된 플랜지(1322)를 갖춘 재털이(1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6660U 2017-12-21 2017-12-21 휴지통 KR200490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660U KR200490257Y1 (ko) 2017-12-21 2017-12-21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660U KR200490257Y1 (ko) 2017-12-21 2017-12-21 휴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49U KR20190001649U (ko) 2019-07-01
KR200490257Y1 true KR200490257Y1 (ko) 2019-10-21

Family

ID=6722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660U KR200490257Y1 (ko) 2017-12-21 2017-12-21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5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6214A1 (en) 1986-04-09 1987-10-22 Jae Man Kim Wastepaper bin
KR200157302Y1 (ko) * 1997-02-21 1999-09-15 노상완 정보지수납부를 구비한 복합쓰레기통
CN205203935U (zh) * 2015-11-28 2016-05-04 新昌县儒岙镇胜东机械厂 新型公用垃圾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155Y1 (en) * 1982-06-08 1986-06-14 Shin Myong Ho Dust box with cigarette ash box
KR940002740Y1 (ko) * 1992-03-16 1994-04-23 양홍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970000345Y1 (ko) * 1994-03-02 1997-01-16 최병립 휴지통
KR101187134B1 (ko) * 2005-09-06 2012-09-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정화 필터구조
KR20100005287U (ko) * 2008-11-13 2010-05-24 양선아 쓰레기 수거대
KR20160064805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쏠라리스 태양광 구동 하이브리드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6214A1 (en) 1986-04-09 1987-10-22 Jae Man Kim Wastepaper bin
KR200157302Y1 (ko) * 1997-02-21 1999-09-15 노상완 정보지수납부를 구비한 복합쓰레기통
CN205203935U (zh) * 2015-11-28 2016-05-04 新昌县儒岙镇胜东机械厂 新型公用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49U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355B1 (en) Collection device for smoking debris
KR101691952B1 (ko) 소화 기능을 갖는 재떨이
KR200490257Y1 (ko) 휴지통
WO1998058556A1 (en) Portable repository for spent smoking materials
US20100181221A1 (en) Outdoor smoking materials receptacle simulating a cigarette
US7971745B2 (en) Smoker's station
JP2012034585A (ja) 自動消火式灰皿装置
CN105257030A (zh) 室外吸烟室
US7650890B2 (en) Trash container for disposal of cigarette waste
KR20170126110A (ko)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한 자동개폐형 착탈식 산업현장용 화재방지 재털이
CN205972553U (zh) 垃圾桶
CN207861085U (zh) 便于灭烟、收集烟头的新型垃圾桶
US7231924B2 (en) Deodorizer for cigarette butt collection containers
KR920006886Y1 (ko) 쓰레기통
CN1861497A (zh) 多功能垃圾箱
KR20100012001U (ko) 재털이가 부설된 쓰레기통
FR2880622A1 (fr) Dispositif auto-videur pour collecter les dechets et les megots sur les telesieges existants et a venir
KR200497766Y1 (ko) 청소가 용이한 위생 재떨이
KR940007986Y1 (ko) 재떨이 겸용 휴지통
CN212922972U (zh) 一种方便投放的灭烟环卫垃圾桶
KR200237195Y1 (ko) 재떨이가 부설된 쓰레기통
CN210150019U (zh) 一种便于安装使用的公共环卫收纳箱
KR20100009852U (ko) 기둥부착형 휴지통
AU2008100319A4 (en) Waste receptacle
KR200262614Y1 (ko) 재떨이가 부설된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