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25Y1 -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 Google Patents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25Y1
KR200490025Y1 KR2020180002063U KR20180002063U KR200490025Y1 KR 200490025 Y1 KR200490025 Y1 KR 200490025Y1 KR 2020180002063 U KR2020180002063 U KR 2020180002063U KR 20180002063 U KR20180002063 U KR 20180002063U KR 200490025 Y1 KR200490025 Y1 KR 200490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ort
pot
smartph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권
성정현
신형기
황수경
정종현
Original Assignee
고양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양시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고양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2020180002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트를 그대로 설치하여 장식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관수기능을 가지기도 하는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상부에 묘목 재배용 포트가 삽입되는 넓이의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가 끼워지는 내재될 수 있는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트가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내재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Flowerpot Apparatus Can Contain Temporary 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포트를 그대로 설치하여 장식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관수기능을 가지기도 하는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모종 또는 모종과 유사한 정도로 작은 화초는 두께 1mm 이하의 얇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포트에 식재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소비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화초를 제공하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거나 자신이 원하는 화분에 옮겨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포트는 일반 화분과 같은 외형을 가진다. 바닥판에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배수공도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가 밑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구멍도 마련된다.
즉 포트는 묘목을 만들기까지 임시적 용도로 내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포트는 화초를 이식(또는 분갈이)한 다음에 대부분 폐기된다. 그러나 포트에 식재되어 있는 화초를 이식하는 일은 일반인에게는 번거로운 일이다. 그리고 작은 화초인 경우 개화시기가 포함된 단일 계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마다 이식하는 것 역시 번거로운 일이다. 그렇다고 포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미관상 좋지는 않다.
종래 제안된 화분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07791호가 있다. 이 기술은 식재된 화초에 골고루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물 공급시 화초를 식재하고 있는 토양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화초를 재배할 수 있는화초 재배가 용이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화초 재배가 용이한 화분에 의하면, 상면 내벽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서 식재된 화초에 골고루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물 공급시 화초를 식재하고 있는 토양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화초를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014-0082643호는 도심 한복판에서도 미세먼지와 메탄가스 등의 대기오염으로 인해 채소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신선하고, 깨끗한 채소작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공급 과정에서도 화분의 배수 홀을 통해 화분의 내부에 있는 각종 토양 이물질이 곧바로 우수관 등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깔끔한 주변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채소 재배용 연결형 간이 화분을 제안하고 있다.
이렇듯 종래에 화분에 대한 개선사항이 제시된 바 있지만,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포트의 지속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은 제안된 바 없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0779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014-0082643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일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묘목 재배용 포트를 그대로 실내에서 장식적 용도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재배용 급수도 용이한 화분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상부에 묘목 재배용 포트가 삽입되는 넓이의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가 끼워지는 내재될 수 있는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트가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내재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 상측에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재배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 바닥에 고인 물이 상기 포트 내부로 흡수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포트의 배수공과 상기 케이싱 바닥 사이에 심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은 상기 포트와 함께 휴대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을 끼워넣을 수 있는 스마트폰수입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을 상기 스마트폰의 음량을 증폭시키기 위한 울림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묘목 재배용 포트를 버리거나 폐기하지 않고 또는 분갈이를 하지 않은 상태로로 실내에서 장식적 용도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기구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어서 유익하며 분갈이나 이식을 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며 식물로서도 스트레스를 적게 받아 유리하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재배용 급수도 용이한 화분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의 사용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화초(2)가 식재된 포트(1)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이하, '화분기구'라 한다)는 포트(1)를 감싸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대(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10)은 포트(1)가 끼워지는 내재될 수 있는 보관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싱(10)의 상부에는 묘목 재배용 포트(1)가 삽입되는 넓이의 삽입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은 삽입구(11)와 연통되어 있다.
케이싱(10)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운데가 불룩하게 되어 있는 항아리 또는 도자기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싱(10)의 형태는 디자인적 요소이므로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형태에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받침대(20)는 케이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트(1)가 케이싱(10)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내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받침대(20)는 받침대(20)와 포트(1)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직립된 작은 평판이 평면상 "
Figure 112018046522710-utm00001
" 또는 "
Figure 112018046522710-utm00002
"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받침대(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케이싱(10b)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받침대(20)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받침대(20)의 저부는 케이싱(10)의 바닥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받침대(20)에 의해 포트(1)는 케이싱(10) 내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부상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10) 상측에는 케이싱(10) 내부에 재배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12)이 더 마련된다. 급수공(12)은 측벽 상측에 원 또는 타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관리자는 이 급수공(12)을 통해 케이싱 내부에 재배용 물을 공급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10) 바닥에 고인 물이 상기 포트(1) 내부로 흡수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포트(1)의 배수공과 상기 케이싱(10)의 바닥 사이에 심지(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급수공(12)을 통해 공급되어 케이싱(10) 바닥에 저장된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포트 내부의 배양토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받침대의 높이(H) 이하로 공급되게 되면 물은 심지(30)를 따라 포트 내부로 천천히 공급될 수 있다.
심지의 한쪽 끝에는 포트(1)에 꽂아넣기 쉽도록 뾰족하고 단단한 소재(미도시됨)가 고깔처럼 씌워져 고정될 수 있다. 심지(30)는 물공급량에 따라 2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물공급수단에 의하면 물공급주기를 늘릴 수 있어 화초(2)의 재배가 더 쉬워진다.
케이싱(10)의 측벽에는 그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양을 가능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투시창(미도시됨)이 마련될 수도 있다.
케이싱(10)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작 및 관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조립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이 나사(13)식 또는 암수결합식으로 조립되고 있다. 이 경우 받침대(20)는 하부케이싱(10b)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10)은 포트(1)와 함께 휴대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3)을 끼워넣을 수 있는 스마트폰수입부(40)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마트폰(3)을 세워서 끼울 수 있도록 동굴과 같은 "∩"의 형태로 입구(41)가 마련되어 있다. 스마트폰(3)은 세워진 상태로 스마트폰수입부(40)에 끼워진다. 스마트폰(3)이 전부 끼워질 필요는 없고, 1/4 ~ 1/2 정도만 끼워져도 무방하다. 좀 더 정확하게는 최소한 스피커만 케이싱(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10)이 스마트폰(3)의 음량을 증폭시키기 위한 울림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별다른 도구 없이 증폭된 상태로 스마트폰(3)의 음악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3)의 끼움 방식은 다양하게 고안될 수 있다. 스마트폰(3)을 비스듬히 세워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책상 위에 화분을 놓고 그 케이싱에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놓으면 화초를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마트폰도 볼 수 있고 소리도 증폭시켜 들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포트 2 : 화초
3 : 스마트폰 10 : 케이싱
11 : 삽입구 12 : 급수공
13 : 나사(결합부) 20 : 받침대
30 : 심지 40 : 스마트폰수입부

Claims (4)

  1. 상부에 묘목 재배용 포트가 삽입되는 넓이의 삽입구가 마련되며, 내부 공간이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포트가 끼워지도록 내재되는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포트가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내재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은 상기 포트와 함께 휴대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의 삽입이 가능한 스마트폰수입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을 상기 스마트폰의 음량을 증폭시키기 위한 울림통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80002063U 2018-05-11 2018-05-11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KR200490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63U KR200490025Y1 (ko) 2018-05-11 2018-05-11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63U KR200490025Y1 (ko) 2018-05-11 2018-05-11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25Y1 true KR200490025Y1 (ko) 2019-09-11

Family

ID=6790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63U KR200490025Y1 (ko) 2018-05-11 2018-05-11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6596A (zh) * 2020-01-21 2020-04-28 陈婉珍 育苗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51U (ja) * 1991-07-03 1993-01-19 近畿合成工業株式会社 植木鉢用手提げ具
KR200303931Y1 (ko) * 2002-11-07 2003-02-1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KR20090007791U (ko) 2008-01-29 2009-08-03 문태윤 행사 진행 기기
KR20130058457A (ko) * 2011-11-25 2013-06-04 심이성 화분
KR20140082643A (ko) 2011-07-25 2014-07-02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들의 조절인자들로서 N-(이미다졸리딘-2-일리덴)-헤테로사이클로펜타[b]피리딘유도체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51U (ja) * 1991-07-03 1993-01-19 近畿合成工業株式会社 植木鉢用手提げ具
KR200303931Y1 (ko) * 2002-11-07 2003-02-1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KR20090007791U (ko) 2008-01-29 2009-08-03 문태윤 행사 진행 기기
KR20140082643A (ko) 2011-07-25 2014-07-02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들의 조절인자들로서 N-(이미다졸리딘-2-일리덴)-헤테로사이클로펜타[b]피리딘유도체들
KR20130058457A (ko) * 2011-11-25 2013-06-04 심이성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6596A (zh) * 2020-01-21 2020-04-28 陈婉珍 育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8274B2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CN101204132A (zh) 具储水及调整水位功能的容器
KR200490025Y1 (ko) 포트의 보관이 가능한 화분기구
CN102577921A (zh) 一种无土栽培装置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CN104584913A (zh) 一种自动蓄水通气花盆
CN205596709U (zh) 一种壁挂式花盆
KR200494218Y1 (ko) 식물 재배 장치
CN204091525U (zh) 一种螺旋花架
CN208624184U (zh) 一种具有埋藏式自动供水器的花盆结构
CN108064606B (zh) 一种挂墙花盆
KR200288931Y1 (ko)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
CN103783887A (zh) 恒湿花架
CN214178197U (zh) 一种防积水花盆
CN213306430U (zh) 一种能够收纳水管的花盆
CN202514357U (zh) 花盆内置式隐形托盘
CN210580194U (zh) 一种花盆
CN220402654U (zh) 一种绿植浇灌设备
CN2209858Y (zh) 一种植物栽培箱
JP3238511U (ja) 竹製植木鉢
CN210275236U (zh) 一种种植盆
CN205454912U (zh) 一种植物育苗装置
CN210094101U (zh) 一种带雨伞架的保水花盆
CN220694030U (zh) 花盆及种植系统
CN215872787U (zh) 一种改进型陶瓷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