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983Y1 -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 Google Patents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983Y1
KR200489983Y1 KR2020180000896U KR20180000896U KR200489983Y1 KR 200489983 Y1 KR200489983 Y1 KR 200489983Y1 KR 2020180000896 U KR2020180000896 U KR 2020180000896U KR 20180000896 U KR20180000896 U KR 20180000896U KR 200489983 Y1 KR200489983 Y1 KR 200489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er lamp
carbon tube
tube type
typ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교
Original Assignee
서창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교 filed Critical 서창교
Priority to KR2020180000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02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live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가 하방으로 복사열 조사되게 설치되며 상방에 스팀방출통공(16)들이 형성된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와, 물(20)을 담고 있는 저수 하부케이스(4)로 구성하되,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는 복사열 에너지의 조사파장이 2.5~4㎛이 되게 하여 하부케이스(4)에 저수된 물(20)의 고유파장대를 포함하게 구성하고,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와 물(20)의 표면 간의 거리(y)가 저수하부케이스(4)의 물(20)의 깊이(x)보다 짧게 형성되게 하여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의 하방 복사열 조사를 하되 저장된 물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물 표면층(20a)에만 복사열 조사를 하여서 물(20)의 표면층(20a)에서의 물분자 공진현상으로 스팀(30)의 생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적은 물 사용량과 적은 열량을 소모하면서 스팀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STEAM GENERATOR USING CARBON HEATER LAMP OF SOCKET TYPE}
본 고안은 스팀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본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에는 겨울철과 같이 추운 환경에서 간편하고 무리없이 사용하는 난방기기로서는 전기히터가 가장 보편적이다. 이러한 전기히터는 직접 불을 발생시키지 않고 높은 온도의 복사열을 사람이나 물체에 전달하는 방법으로 난방을 하는 방식이며, 가벼워서 이동성도 좋다.
전기히터는 옮기면서 사용이 가능하며 빠르게 주변을 따듯하게 만드는 보조난방용으로 적합하지만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전기세가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전기히터를 사용할 경우 실내가 건조할 수 있는데, 건조하기 쉬운 실내를 적은 물 사용량과 적은 열량을 소모하면서 스팀이 쉽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팀 발생기가 구현된다면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5089호 "스팀발생기"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물 사용량과 적은 열량을 소모하면서 스팀이 쉽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 발생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은,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에 있어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가 하방으로 복사열 조사되게 설치되며 상방에 스팀방출통공(16)들이 형성된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와, 물(20)을 담고 있는 저수 하부케이스(4)로 구성하되,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는 복사열에너지의 조사파장이 2.5~4㎛이 되게 하여 하부케이스(4)에 저수된 물(20)의 고유파장대를 포함하게 구성하고,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와 물(20)의 표면 간의 거리(y)가 저수하부케이스(4)의 물(20)의 깊이(x)보다 짧게 형성되게 하여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의 하방 복사열 조사에 따른 물(20)의 표면층(20a)에서의 물분자 공진현상으로 스팀(30)의 생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물의 표면층 내부 분자를 공진시키는 조사파장을 갖는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채용하여 발열이 빠르게 하되 저장된 물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물표면만을 복사열을 가하고 공진으로 열증폭시켜서 스팀을 생성시켜주므로 적은 물 사용량과 적은 열량을 소모하면서 스팀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의 분리 사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발생기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탄소관 히터램프와 반사판의 저부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를 이용한 스팀발생기(100)의 분리 사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발생기(100)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와 반사판(12)의 저부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채용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는 진공관내에 설치된 카본사나 카본섬유를 이용한 카본 발열체로서 1초 미만의 짧은 순식간에 고온으로 발열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발열이 빠르고 열효율이 좋으며, 원적외선(복사열)이 다량 방출될 뿐더러 일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를 이용하되 저수 하부케이스(4)에 저장된 물(20)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물(20)의 표면층(20a)만을 열을 가하여 스팀(30)이 생성되게 하여서 적은 물 사용과 적은 열량 소모가 되게 하면서도 스팀(30)이 금방 다량으로 생성될 수 있게 구현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물(20)의 고유파장대인 3.5㎛와 유사한 파장대를 갖는 금속성분이 포함된 금속화합물을 수지용액과 혼합하여서 금속화합물 혼합용액을 얻고 그 금속화합물 혼합용액을 탄소관방식 히터램프용의 전기전도성 섬유사나 도전성 섬유시트에 함침시켜서 복사열에너지의 조사파장이 2.5~4㎛이 되는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를 구현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를 이용한 스팀발생기(100)를 구성하되,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가 하방으로 복사열 조사되게 설치되며 상방에 스팀방출통공(16)들이 형성된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와, 물(20)을 담고 있는 저수 하부케이스(4)로 구성한다.
물(20)을 담고 있는 저수 하부케이스(4)의 물깊이(x)는 대략 20mm 내외의 깊이를 가지므로 물 저장용량이 다른 스팀발생장치의 저수조보다 훨씬 적다.
저수 하부케이스(4)와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는 나사식 체결이나 힌지연결로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하며, 물(20)을 담고 있는 저수 하부케이스(4)와 탄소방식 히터램프(10)가 장착된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가 닫힌 상태에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와 물(20)의 표면 간의 거리(y)는 저수 하부케이스(4)의 물(20)의 깊이(x)인 20mm내외 보다 짧게 되도록 예를 들면 10mm내외로 형성한다.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의 하방에 장착된 탄소방식 히터램프(10)는 하방으로 복사열 조사가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소방식 히터램프(10)의 상방에는 원형상의 탄소방식 히터램프(10)를 빙둘러 감쌀 수 있도록 튜브형 요홈 반사판(12)이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의 천장부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다리(14)를 매개로 설치된다.
튜브형 요홈 반사판(12)의 요홈 내면에는 난반사 엠보싱(13)이 다수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반사판(12)에서의 난반사가 하방을 향해 고르게 이루어 질 수 있게 구현된다.
본 고안에서의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는 복사열에너지의 조사파장이 2.5~4㎛이 되므로 하부케이스(4)에 저수된 물(20)의 고유파장대인 3.5㎛를 포함한다.
따라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는 직하방 복사열 조사 및 튜브형 요홈 반사판(12)에 반사 내지 난반사 되면서 하방 복사열 조사가 대체로 고르게 이루어지며, 하방 복사열 조사에 따른 물(20)의 표면층(20a)에서만의 물분자 공진현상으로 스팀(30)의 생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부연 설명하면, 저수 하부케이스(4)에 담긴 물(20)의 표면층(20a)에서는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에서 발생되는 복사열 에너지를 반사하지 않고 쉽게 흡수하게 되며, 그 흡수한 복사열 에너지의 조사파장(2.5~4㎛)은 물(20)의 고유파장대인 3.5㎛내외와 유사하므로 물(20)의 표면층(20a) 내부에서는 물(20)의 고유파장과의 파동중첩에 의한 분자 공진현상(공명현상)이 일어난다.
즉 물(20)의 표면층(20a)에서는 내부 분자의 운동이 더욱 증폭 활성화된 상태로 열증폭 가열되어지므로 빠른 가열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스팀(30)이 생성되어서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의 상방 스팀방출통공(13)들을 통해서 실내인 외부로 방출되어진다. 그러므로 저수 하부케이스(4)에 담긴 물(20) 전체는 가열하지 않고 물(20)의 표면층(20a)만을 가열하므로 그 만큼의 에너지 절약이 이루어지고 물소비량도 절약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히터램프 상부케이스 (4)-- 저수 하부케이스
(10)-- 탄소관방식 히터램프 (12)-- 튜브형 요홈 반사판
(13)-- 난반사 엠보싱 (16)-- 스팀방출통공
(20)-- 물 (20a)-- 표면층
(100)-- 스팀발생기

Claims (1)

  1.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에 있어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가 하방으로 복사열 조사되게 설치되며 상방에 스팀방출통공(16)들이 형성된 히터램프 상부케이스(2)와, 물(20)을 담고 있는 저수 하부케이스(4)로 구성하되,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는 복사열 에너지의 조사파장이 물의 내부분자를 공진시킬 수 있는 2.5~4㎛이 되게 하여서 하부케이스(4)에 저수된 물(20)의 고유파장대가 포함되게 구성하고,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와 물(20)의 표면 간의 거리(y)가 저수하부케이스(4)의 물(20)의 깊이(x)보다 짧게 형성되게 하여서 탄소관방식 히터램프(10)의 하방 복사열 조사에 따른 물(20)의 표면층(20a)에서의 물의 고유파장과의 파동중첩에 의한 물분자 공진현상으로 물 내부 분자의 운동이 증폭 활성화되어 표면층(20a)에 있는 물(20)의 열증폭 가열로 스팀(30)의 다량 생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KR2020180000896U 2018-02-28 2018-02-28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KR200489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96U KR200489983Y1 (ko) 2018-02-28 2018-02-28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96U KR200489983Y1 (ko) 2018-02-28 2018-02-28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983Y1 true KR200489983Y1 (ko) 2019-09-04

Family

ID=6790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96U KR200489983Y1 (ko) 2018-02-28 2018-02-28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98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089A (ko) 2008-01-03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
KR20100008205U (ko) * 2009-02-09 2010-08-18 황보국정 적외선램프히터를 이용한 간접열교환식 보일러
KR20130021312A (ko) * 2011-08-22 2013-03-05 강상규 휴대용 스팀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089A (ko) 2008-01-03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
KR20100008205U (ko) * 2009-02-09 2010-08-18 황보국정 적외선램프히터를 이용한 간접열교환식 보일러
KR20130021312A (ko) * 2011-08-22 2013-03-05 강상규 휴대용 스팀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983Y1 (ko) 탄소관방식 히터램프를 이용한 스팀발생기
RU99120326A (ru) Стенд для тепловых испытаний косм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KR20110046715A (ko) 중적외선 카본램프를 이용한 페인트 건조용 히터
KR100805357B1 (ko) 근적외선을 발열체로 한 돌침대
KR100970861B1 (ko) 이중진공관을 이용한 평판형 집열기
CN208720511U (zh) 热能集中的电加热风扇
JP2741995B2 (ja) 遠赤外線放射電熱ヒータ
CN205619599U (zh) 一种太阳能光热转换装置
KR100995821B1 (ko) 접시형 태양열 집광장치
CN210932906U (zh) 消毒柜
KR200389911Y1 (ko) 합성전자기파 온구기
CN206728311U (zh) 高效能电加热装置
CN211363897U (zh) 一种烫画机的节能隔热结构
CN204665451U (zh) 一种发热装置及电暖器
CN109519786A (zh) 一种加热装置
KR100747072B1 (ko) 근적외선 복사를 이용한 건조장치
CN212390328U (zh) 一种led灯散热结构
KR200426139Y1 (ko) 근적외선 복사를 이용한 건조장치
CN106989529A (zh) 可调集热量曲面反射聚光太阳能集热器
KR101119064B1 (ko) 원적외선 보조난방기
KR100980804B1 (ko) 복사를 이용한 발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야외 난방장치
KR20090107628A (ko) 복사 및 대류 열전달을 이용한 가열장치
KR200311733Y1 (ko) 선형 근적외선 히터 모듈
KR100446557B1 (ko) 가스통 승온장치가 부착된 액화가스 난방기구
KR20110019194A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