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42Y1 - Food container handle - Google Patents

Food container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842Y1
KR200489842Y1 KR2020190000515U KR20190000515U KR200489842Y1 KR 200489842 Y1 KR200489842 Y1 KR 200489842Y1 KR 2020190000515 U KR2020190000515 U KR 2020190000515U KR 20190000515 U KR20190000515 U KR 20190000515U KR 200489842 Y1 KR200489842 Y1 KR 200489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support
holder
container hand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승모
김기혁
김민겸
김재민
박정연
신동철
우형석
정원준
Original Assignee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0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4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4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 끝 단을 관통하는 아치형의 고정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는, 양 끝 단에서 식품 용기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걸릴 수 있는 걸이부를 더 포함한다.Food contain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nclud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plate-shaped support and the arched guide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the holder, the food container edge at both ends It further includes a hook portion that can take at least part of.

Description

식품 용기 손잡이{FOOD CONTAINER HANDLE}Food Container Handle {FOOD CONTAINER HANDLE}

본 고안은 식품 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음식을 담고 있는 식품 용기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식품 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ntainer handle that can stably lift a food container containing food.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군대, 회사, 뷔페 등의 대·소규모 단체 급식을 위한 식당에서는 밥, 국, 반찬과 같은 여러 가지 음식을 배식 용기인 바트(VAT)에 종류별로 각각 담아서 배식대에 놓고 배식 도우미가 식판에 덜어주거나 각자 자율적으로 필요한 양만큼 덜어 먹을 수 있도록 한다. In general, restaurants for large and small groups such as schools, hospitals, the military, companies, and buffets are placed in a serving table with varieties of food such as rice, soup, and side dishes in a serving container, VAT. Let them eat on the plate or eat as much as they need autonomously.

이러한 바트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 배식대 내부에 거치되며, 바트에 담긴 음식이 식거나 녹지 않기 위해 바트가 삽입되는 공간 하부에 가열 수단 또는 냉각 수단이 설치된다.Such a bar is mounted inside a serving tabl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and heating or cooling means is installed under the space where the bar is inserted in order to prevent food contained in the bart from cooling or melting.

즉, 바트에는 뜨겁거나 차갑게 조리된 음식이 바로 담기게 되는데, 함체와 뚜껑만을 구비하고 있는 통상적인 바트의 구조 상, 배식 도우미가 뜨겁거나 차가운 바트를 배식대까지 운반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bart is a hot or cold cooked food is immediately put, due to the structure of a typical bart equipped with a housing and a lid, the difficulty of carrying a hot or cold bart to the food stalls.

또한, 배식을 위해서 바트에 많은 양의 음식이 담기게 되는 바, 손잡이 없이 이를 들기에는 많은 힘이 필요하며, 모서리가 날카로운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하는 과정에서 다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bar is put a large amount of food for the bar, it takes a lot of force to lift it without a handle, it is made of a sharp stainless steel corners there is a risk of injury during transportation.

따라서, 음식이 담긴 바트를 안전하게 들고 운반할 수 있는 식품 용기 손잡이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고안은 이에 관련된 것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food container handle capable of safely carrying and carrying a bart containing food,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i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1721호(2010.10.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91721 (2010.10.28.)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 단에 형성된 고리가 식품 용기 가장자리에 걸쳐짐으로써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형성된 식품 용기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식품 용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handle that can stably lift the food container having a sharp edge is formed by the ring formed at both ends across the food container edge.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 번의 밀고 당기는 과정만으로도 손쉽게 식품 용기와 고정, 분리될 수 있는 식품 용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handle that can be easily fixed and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with only one push and pull process.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단가가 저렴한 바, 이를 사용하는 점포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식품 용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handle tha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the bar using a simple structure made of a simple structure.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 끝 단을 관통하는 아치형의 고정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는, 양 끝 단에서 식품 용기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걸릴 수 있는 걸이부를 포함한다.Food contain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nclud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plate-shaped support and the arched guide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the holder, the food container edge at both ends At least a part of the hook includes a hoo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는, 상기 지지대의 양 끝 단에 형성되어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가 관통하는 홀의 폭보다 두꺼운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ok portio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to have a width thicker than the width of the hole through which the arcuate fixation penetrat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는,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걸이면 및 상기 제1 걸이면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식품 용기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제2 걸이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ok portion may include a first hook bottom extending from the arch holder and a second hook bottom which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hook bottom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is seated.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의 제2 걸이면은, 상기 고정대와 상기 식품 용기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hook surface of the hook portion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in a state where the holder and the food container are lock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는, 상기 식품 용기와 맞닿는 일면에서 상기 걸이부의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을 가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ok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non-slip member having a friction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 force of the hook portion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 상기 고정대 또는 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upport, the holder or the hook may have a ductilit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가 관통 가능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may include at least two holes through which the arcuate fixation penetrates, and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 이상의 홀의 간격은 상기 식품 용기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acing of the two or more holes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oo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는, 상기 두 개 이상의 홀 관통되도록 분리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cuate fixtur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detachable to penetrate the two or more hol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양 끝 단에 형성된 홀은,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가 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the arch-shaped holder may be formed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휜 direction.

본 고안에 의하면, 식품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의 양 단에 형성된 유연한 소재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식품 용기 손잡이가 식품 용기의 상단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ing of a flexible material formed on both ends of the hand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d container, the food container handle can be firmly fixed to the top of the food container only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It works.

또한, 식품 용기를 원하는 장소에 삽입 또는 안착시킨 후에 아치형의 고정대와 평판형의 지지대를 함께 잡아 올림으로써, 식품 용기와 식품 용기 손잡이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ood container is inserted or seated in the desired place, by lifting up the arch-shaped holder and the flat support toge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ood container and the food container handle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이 담긴 식품 용기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지 않아, 식품 용기를 이동시킬 때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날카롭게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을 잡지 않아도 되는 바, 사용자는 안전하게 식품 용기를 들어올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body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food containers containing hot or cold foods, thus preventing the risk of burns when moving the food containers, and the user can safely lift the food containers because Can be.

또한, 식품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식품 용기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어, 많은 양의 음식이 담긴 무거운 식품 용기를 손쉽게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x the plurality of food container hand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d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lift and move a heavy food contain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ood.

또한, 아치형의 고정대와 평판형의 지지대 외에 추가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 단가가 저렴한 바, 이를 사용하는 점포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components other than the arch holder and the flat support,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stores using the same.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를 식품 용기에 장착시킨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를 식품 용기에 장착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를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를 식품 용기에 장착시킨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가 식품 용기에서 분리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대와 고정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a food contain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mounted o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unting the food container handle to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food containe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op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mounted o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how the food container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support shown in FIG. 6 are comb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that is one or more of th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It does not exclude existence or addi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의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식품 용기 손잡이(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의 지지대(10)와 지지대(10)의 양 끝 단을 관통하는 아치형의 고정대(2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0) 및 고정대(20)는 식품이 담긴 식품 용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may include a flat support 10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rch holder 20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10. . Here, the support 10 and the fixing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 material having a ductility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food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지지대(10)는 고정대(20)가 식품 용기에 분리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정대(20)가 식품 용기에 결합된 후에 고정대(20)가 식품 용기의 무게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대(20)가 지탱하는 힘을 분산시켜 줄 수 있다.The support 10 serves to assist the holder 20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food container, so that the holder 20 is not separated by the weight of the food container after the holder 20 is coupled to the food container. Fixing 20 can distribute the holding force.

고정대(20)는 사용자가 식품 용기를 보다 편리하게 들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대(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10)의 양 끝 단에 형성된 홀(H)을 관통하며, 관통된 끝 단에서 식품 용기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걸릴 수 있는 걸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Fixture 20 may serve as a handle that allows the user to lift the food container more conveniently.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20 penetrates the holes H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ok portion that can be caught by at least a part of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at the penetrated end. (23) may be included.

걸이부(23)는 식품 용기가 직접 맞닿는 영역이며, 식품 용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품 용기와 맞닿는 일면에서 걸이부(23)의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을 가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부재(25)는 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ook portion 23 is an area where the food container directly contacts, and in order to prevent the food container from slipping, the non-slip member 25 having a frictional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 force of the hook portion 23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d container is further included.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non-slip member 25 may be made of rubber, polyurethane, silicone,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식품 용기 손잡이(100)는 앞서 지지대(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대(20)가 식품 용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그 폭(W2)이 아치형의 고정대(20)가 관통하는 홀(H)의 폭(W1)보다 두꺼운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2,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has a width (W2) of the arch-shaped holder 20 so that the holder 20 can withstand the weight of the food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support (10) ) May have a width thicker than the width W1 of the hole H penetrating.

또한, 걸이부(23)는 형상을 기준으로 제1 걸이면(S1) 및 제2 걸이면(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이부(23)는 아치형의 고정대(20)로부터 연장되는 제1 걸이면(S1), 제1 걸이면(S1)과 예각을 이루며 식품 용기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제2 걸이면(S2)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ok portion 23 may be divided into a first hook surface (S1) and a second hook surface (S2) based on the shape. More specifically, the hook portion 23 is a first hook surface (S1) extending from the arch holder 20, the second hook is at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hook surface (S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seat is seated It may be divided into the back surface (S2).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식품 용기에 장착시킨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mounted o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식품 용기(A)의 가장자리는 걸이부(23)의 제2 걸이면(S2)에 안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걸이면(S2)과 연결된 제1 걸이면(S1)은 고정대(20)와 함께 사용자가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A is seated on the second hook surface S2 of the hook portion 23, and the first hook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hook surface S2 (S1). ) May form a handle shape that allows the user to hold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together with the holder 20.

즉, 걸이부(23)의 제2 걸이면(S2)은 고정대(20)와 식품 용기(A)가 걸린 상태에서 지지대(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식품 용기(A)에 담긴 식품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hook surface S2 of the hook portion 23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10 in a state where the holder 20 and the food container A are caught, and thus the food container A The food can be kept stable without being skewed to either sid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식품 용기에 장착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unting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ood container, Figure 5 uses a food container hand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how to do it.

도 4를 참조하면,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식품 용기(A)에 장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식품 용기(A)의 상부에 두고 고정대(20)를 통해 소정의 힘을 가할 수 있으며, 힘이 가해짐에 따라 변형되는 고정대(20)의 모습이 화살표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mount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to the food container A, the user puts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on the top of the food container A and has a predetermined force through the holder 20. Can be added, the appearance of the deformed stand 20 is deformed as the force is applied can be displayed as an arrow.

즉, 고정대(20)에 소정에 힘이 가해짐에 따라, 고정대(20)의 양 끝 단에 연결된 걸이부(23)의 각도가 기울게 되며, 제1 걸이면(S1) 및 제2 걸이면(S2)이 이루고 있는 공간 사이로 식품 용기(A)의 가장 자리가 삽입될 수 있다.That is, as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holder 20, the angle of the hook portion 23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older 20 is inclined, and if the first hook (S1) and the second hook ( An edge of the food container A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S2).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대(10)와 고정대(20)에 의해 사용자의 힘이 가해진 이후, 식품 용기 손잡이(100)가 식품 용기(A)의 가장자리에 다음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5, after the user's force is applied by the support 10 and the fixed support 20 having elastic force,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can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A) as follows. have.

그에 따라, 사용자가 고정대(20)를 통해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당기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이 가해지게 되며, 사용자는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통해 식품 용기(A)를 들어올릴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ulls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through the holder 20, a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5, and the user opens the food container A through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Can be lifted.

지금까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품 용기 손잡이(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의 양 단에 형성된 유연한 소재의 고리, 걸이부(23)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식품 용기의 상단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So far, the structure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is formed by the hook of the flexible material formed on both ends of the hand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ok portion 23,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o the top of the food container It can be fixed firmly.

또한,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이 담긴 식품 용기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지 않아, 식품 용기를 이동시킬 때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날카롭게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을 잡지 않아도 되는 바, 사용자는 안전하게 식품 용기를 들어올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body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food containers containing hot or cold foods, thus preventing the risk of burns when moving the food containers, and the user can safely lift the food containers because Can be.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용기의 크기는 식품 용기가 삽입되는 배식대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상이한 바,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통해 다양한 식품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식품 용기 손잡이(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도 6 내지 도 9에 대한 내용이며,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commonly used food containe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food table into which the food container is inserted, the length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to lift the various food containers through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It may be desirable to adjust. This is the content of FIGS. 6 to 9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0)의 상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식품 용기에 장착시킨 사시도이다.6 is a top view of the suppor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is mounted o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식품 용기 손잡이(100)의 지지대(10)는 아치형의 고정대(20)가 관통 가능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H)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정 간격은 식품 용기(A)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upport 10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may verify that at least two holes H through which the arch holder 20 is penetrated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ood container (A).

즉, 도 7과 같이 식품 용기(A)의 폭(W3)에 따라 지지대(10)에 형성되는 홀(H)의 간격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식품 용기(A)의 규격에 맞게 식품 용기 손잡이(10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width (W3) of the food container (A) as shown in Figure 7 can be formed differently the interval of the hole (H) formed in the support 10, the user to meet the standard of the food container (A) The size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can be adjusted.

한편, 식품 용기 손잡이(100)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은 식품 용기(A)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고정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인 바, 아치형의 고정대(20)는 중앙에 연결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i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holder 20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container (A), the arch-shaped holder 20 is the connection portion 27 in the center ) May be further included.

즉, 고정대(20)는 연결부(27)를 통해 지지대(10)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홀(H)에 관통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으며, 고정대(20)의 길이 조절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7)를 통해 두 개로 나누어지는 고정대(20) 중 하나의 고정대가 다른 하나의 고정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정대(20)는 평판형태가 아닌 홀을 가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That is, the fixture 20 may be separated to penetrate two or more holes H formed in the support 1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7, and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xture 2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have. For example, one of the two stator 20 divid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7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one, in this case, the stator 20 may be in the form having a hole rather than a flat plate shape have.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가 식품 용기에서 분리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how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is separated from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식품 용기(A)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지지대(10)와 고정대(20)를 함께 잡아 들어 올릴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정대(20)의 끝 단에 배치되어 있는 걸이부(23)가 식품 용기(A)의 가장자리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식품 용기를 원하는 장소에 삽입 또는 안착시킨 후에 식품 용기(A)와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8 and 9, in order to separate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coupled to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A, the user may lift up the support 10 and the holder 20 together. Accordingly, the hook portion 23 disposed at the end of the holder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A, and the user inserts or seats the food container in a desired place, and then the food container A ) And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can be easily separated.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대(10)와 고정대(2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10 and the fixing 20 shown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대(10)의 양 끝 단에 형성된 홀(H1, H2, H3)은 아치형의 고정대(20)가 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holes H1, H2, and H3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10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휜 direction.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0)와 고정대(20)를 함께 잡아 올리면서 식품 용기(A)와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분리시킬 경우, 지지대(10)쪽에 형성된 홀(H)과 맞닿아 있는 고정대(20)의 일부 영역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지지대(10) 및 고정대(20)의 마모를 방지하고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고정대(20)가 삽입되는 지지대(10)의 양 끝 단 홈(H1, H2, H3)은 고정대(20)가 휘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separating the food container A and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while holding up the support 10 and the support 20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with the hole (H) formed on the support 10 side Since some areas of the holder 20 may be damaged, the holder 20 is inserted to prevent wear of the holder 10 and the holder 20 an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who uses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Both end grooves H1, H2, and H3 of the support 10 may be bent at the same angle as 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20 is bent.

지금까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 손잡이(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품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식품 용기 손잡이(100)를 고정시킬 수 있어, 많은 양의 음식이 담긴 무거운 식품 용기를 손쉽게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치형의 고정대(20)와 평판형의 지지대(10) 외에 추가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 단가가 저렴한 바, 이를 사용하는 점포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So far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ood container hand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ood container handles 100 can b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d container, so that the heavy food contain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ood can be easily lifted and moved.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arch-shaped holder 20 and the plate-shaped support 10, bar production cost is low, i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stores using the sam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식품 용기 손잡이
10: 지지대
20: 고정대
23: 걸이부
25: 미끄럼 방지 부재
27: 연결부
S1: 제1 걸이면
S2: 제2 걸이면
100: food container handle
10: support
20: fixture
23: hanger
25: non-slip member
27: connection
S1: the first one
S2: second girl

Claims (1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의 지지대(10); 및
상기 지지대(10)의 양 끝 단을 관통하는 아치형의 고정대(20);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20)는, 양 끝 단에서 식품 용기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걸릴 수 있는 걸이부(23);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용기 손잡이.
A flat support 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rch holder 20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10; Including,
The holder 20, the hook portion 23 that can be caught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at both ends;
Food container handl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3)는,
상기 지지대(10)의 양 끝 단에 형성되어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20)가 관통하는 홀(H)의 폭보다 두꺼운 폭으로 형성되는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portion 23,
Food container handl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upport (10) is formed in a width thicker than the width of the hole (H) through which the arch-shaped holder (20) penetr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3)는,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20)로부터 연장되는 제1 걸이면(S1) 및 상기 제1 걸이면(S1)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식품 용기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제2 걸이면(S2)으로 이루어진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portion 23,
The first hook surface (S1) and the second hook surface (S2) that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hook surface (S1) extending from the arch-shaped holder 20 is formed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S2) Food container hand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3)의 제2 걸이면(S2)은,
상기 고정대(20)와 상기 식품 용기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second hook (S2) of the hook portion 23,
The food container handle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upport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er (20) and the food container is lo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3)는,
상기 식품 용기와 맞닿는 일면에서 상기 걸이부(23)의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을 가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25);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portion 23,
An anti-slip member 25 having a friction force greater than that of the hook portion 23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od container;
Food container handl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 상기 고정대(20) 또는 걸이부(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연성을 가지는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upport (10), the holder (20) or the hook portion 23 has a soft food container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20)가 관통 가능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H)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10,
At least two holes (H) through which the arched holder 20 is penetrated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 food container hand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홀(H)의 간격은 상기 식품 용기의 폭과 대응되는,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spacing of the two or more holes H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food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20)는,
상기 두 개 이상의 홀(H)에 관통되도록 분리 가능한 연결부(27);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8,
The arch holder 20 is,
A connection part 27 detachable to penetrate the two or more holes H;
Food container handl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양 끝 단에 형성된 홀(H)은,
상기 아치형의 고정대(20)가 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식품 용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2,
Holes H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10,
Food container handle of the arcuate fixture 20 is formed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휜 direction.
KR2020190000515U 2019-02-01 2019-02-01 Food container handle KR20048984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15U KR200489842Y1 (en) 2019-02-01 2019-02-01 Food container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15U KR200489842Y1 (en) 2019-02-01 2019-02-01 Food container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842Y1 true KR200489842Y1 (en) 2019-08-19

Family

ID=6776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15U KR200489842Y1 (en) 2019-02-01 2019-02-01 Food container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42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21B1 (en) 2008-05-08 2010-11-03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JP3206813U (en) * 2016-07-25 2016-10-06 日本プロシード株式会社 Packaged food handle
KR20170002240U (en) * 2015-12-16 2017-06-26 이종원 gripper combined case co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21B1 (en) 2008-05-08 2010-11-03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KR20170002240U (en) * 2015-12-16 2017-06-26 이종원 gripper combined case cover
JP3206813U (en) * 2016-07-25 2016-10-06 日本プロシード株式会社 Packaged food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0255A1 (en) Pillow
US9643696B1 (en) Paddleboard seat assemblies
US5688023A (en) Chair frame
US20120018468A1 (en) Hot pot transport
CA2863512A1 (en) Exercise mat
US6206356B1 (en) Tray for holding food
KR200489842Y1 (en) Food container handle
US5154116A (en) Fork supporting device for fondue pot
US9808118B2 (en) Vertical cooking apparatus
US20160029852A1 (en) Lid Holding Device
US20080141911A1 (en) Tray for walker
KR200469946Y1 (en)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EP0604781B1 (en) Support for food preparations for equiping an oven
US20220380079A1 (en) Bag loader
US20190053662A1 (en) Clamshell griddle
KR200486551Y1 (en) Portable folding table
JP5588188B2 (en) Backpack for school bags
KR101053857B1 (en) Adjustable table for removable armrest
CN220275478U (en) Get a set clamp convenient to stabilize centre gripping
KR100871337B1 (en) A pot-lid hanger for combination
KR100962111B1 (en) A chair board
JPH0346751Y2 (en)
US1932125A (en) Coffeepot
KR200483946Y1 (en) Auxiliary shelf for table
US20200331677A1 (en) Container Stra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