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79Y1 - An infant chair - Google Patents

An infant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79Y1
KR200489779Y1 KR2020170005772U KR20170005772U KR200489779Y1 KR 200489779 Y1 KR200489779 Y1 KR 200489779Y1 KR 2020170005772 U KR2020170005772 U KR 2020170005772U KR 20170005772 U KR20170005772 U KR 20170005772U KR 200489779 Y1 KR200489779 Y1 KR 200489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state
shee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7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1190U (en
Inventor
이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아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아의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아의자
Priority to KR2020170005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79Y1/en
Publication of KR20190001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9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7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2Foldable chairs
    • A47D1/023Foldable chairs of high chai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2Fold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유아용 의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유아용 의자는, 바닥면 측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와, 등받이와 좌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좌석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좌석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각종 유아 용품이 놓여지는 받침면을 구비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좌석부, 및 지지부가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받침부의 받침면 측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인출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받침시트를 구비한 보조받침부를 포함한다.
A baby chair is disclosed.
The baby chair has a support part for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a seat part having a backrest and a seat and arrang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and arrange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seat part side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A support having a support surface on which a baby article is place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pins to enable the folding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the seat and the support are in a plane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surface side of the support And an auxiliary supporting part having a supporting sheet which is formed to enable a withdrawal operation to be selectively covered or opened.

Description

유아용 의자{An infant chair}Infant chair

본 고안은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hair.

일반적으로 유아용 의자는 유아를 안정적으로 앉힌 상태로 급식을 하거나, 놀이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a baby chair is mainly used when feeding or playing in a stable sitting state.

유아용 의자는 대부분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져서, 유아를 앉힌 상태로 사용할 때에는 의자 형태를 이루도록 펼쳐지는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고,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부피 축소가 가능하게 접혀지는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chair for a baby is mostly made of a foldab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an unfolded state to form a chair when the infant is used in a sitting state, it is formed to be operable in a folded state that can be reduced in volume during storage or transport.

이러한 접이식 유아용 의자는 의자 형태를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나 운반을 위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접이식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folding baby chair should not only be able to secure form stability in the unfolded state to form a chair, but also preferably have a folding structure that can be reduced in volume when folded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특히, 유아용 의자는 의자가 펼쳐진 상태에서 받침부 상에 각종 급식 용기 등을 올려놓은 상태로 매번 유아에게 급식을 하는 점을 감안하면, 받침부 측을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In particular, a baby chair is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nd managed hygien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eeding to the infant every time in the state of placing the various food containers and the like placed on the support in the chair unfolded state. .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9647호(Patent Document 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79647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접이식 조작이 용이하고, 특히 급식이나 놀이를 위한 각종 유아 용품들이 놓여지는 받침대를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chair that is easy to fold and operate the chair, in particular hygienic use and management of the base on which various baby products for feeding or play are plac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바닥면 측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A support for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등받이와 좌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좌석부;A seat having a backrest and a seat and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좌석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각종 유아 용품이 놓여지는 받침면을 구비한 받침부;A support part disposed above the support part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seat part side, the support part having a support surface on which various infant goods are placed;

상기 받침부, 상기 좌석부, 및 상기 지지부가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upport part, the seat part, and the support part by a pin coupling to enable a folding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y are in a plane with each other; And

상기 받침부의 받침면 측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인출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받침시트를 구비한 보조받침부;An auxiliary supporting part having a supporting sheet formed to be able to be pulled out in a state capable of selectively covering or opening the supporting surface side of the supporting part;

를 포함하는 유아용 의자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baby chair comprising a.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접이식 방식으로 의자를 간편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부의 표면(받침면) 측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상태로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받침부를 구비하여, 특히 받침부 상에 식기 등을 올려놓은 상태로 급식을 할 때 받침부의 표면 측이 음식물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folding or folding the chair in a simple manner, as well as an auxiliary support that is formed to be operable in a state capable of selectively covering the surface (supporting surface) side of the support, in particular the support When feeding with a tableware or the like placed on the table, the surface side of the supporting par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od, which can be expected to be more hygienic to use and manag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baby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aby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o the ext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지지부(2), 좌석부(4), 받침부(6), 연결부(8), 및 보조받침부(1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baby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the baby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2), the seat portion 4, the support portion 6, the connection portion 8, and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10).

지지부(2)는 의자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지지대(A)와, 제2 지지대(B)를 구비하고, 바닥 측에 세워져서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이격 배치된다.The support part 2 serves as a chair leg, and has a first support A and a second support B, as shown in FIGS. 1 to 3,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standing on the floor and facing each other. do.

제1 지지대(A) 측에는 제2 지지대(B) 측과 대응하는 단차부(A1)가 형성되고, 도 3에서와 같이 단차부(A1) 측에 제2 지지대(B)가 위치되면서 제1 지지대(A)와 제2 지지대(B)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tepped portion A1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B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A, and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support B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A1. (A) and the second support (B) is formed to be folded in a state parallel to each other.

즉, 단차부(A1)는 후술하는 연결부(8)에 의한 핀(pin) 결합방식으로 지지부(2), 좌석부(4), 및 받침부(6)를 연결할 때, 이들이 서로 평면 형태를 이루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슬림한 상태로 접혀질 수 있는 단차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ep portion A1 connects the support portion 2, the seat portion 4, and the support portion 6 in a pin coupling manner by the connecting portion 8 to be described later, they form a planar shap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3 it can provide a step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 a slim state.

그리고, 제1 지지대(A) 및 제2 지지대(B)는 도 1에서와 같이 둘레부 중에서 상부 둘레부 측이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A and the second support 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the upp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ircumference is open as shown in FIG. 1.

좌석부(4)는 등받이(C)와 좌대(D)를 구비하고,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유아 착석이 가능한 좌석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지지부(2)의 상부 측에 배치된다.The seat 4 has a backrest C and a seat D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 in a state of forming a seat capable of infant seating as shown in FIGS. 1 and 2.

좌석부(4)는 의자의 접힘 조작이나 펼침 조작시 이와 연계하여 후술하는 연결부(8)에 의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등받이(C)와 좌대(D)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혀지거나, 좌석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셋팅된다.The seat portion 4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C and the base D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to 3 by a connecting portion 8 to be described later in connection with the folding or extending operation of the chair. It is set to be unfolded in the form of a seat.

등받이(C)와 좌대(D)는 서로 접혀진 상태의 측면 두께가 지지부(2)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접혀진 의자의 슬림화와 부합하는 좌석부(4) 구조를 이룰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rest C and the base D have the same side thickness as the side thickness of the support part 2 or more thinly folded. This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the structure of the seating portion 4 in accordance with the slimming of the folded chair.

받침부(6)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받침면(E)을 구비하고, 지지부(2)의 상부 측에서 좌석부(4)와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The supporting part 6 has a supporting surface E as shown in FIGS. 1 to 2, and is dispose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art 4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part 2.

받침부(6)는 의자가 평면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접혀질 때 이와 부합하도록 후술하는 연결부(8)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평면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접혀지거나, 도 2에서와 같이 받침 기능이 가능하도록 수평한 상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연결 셋팅된다.Support portion 6 is folded in a state forming a flat form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3 by the connecting portion 8 to be described later to match this when the chair is folded in a state forming a flat form, or as shown in Figure 2 The connection is set so that it can be unfolded in a horizontal state to enable it.

받침면(E)은 받침부(6) 측이 받침 기능이 가능하게 펼쳐질 때, 수평한 상태를 이루면서 예를 들어, 급식(給食)을 위한 각종 음식 용기(T), 또는 놀이를 위한 각종 장난감(미도시) 등이 놓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Supporting surface (E) is a horizontal state, for example, when the supporting unit 6 side is extended to enable the supporting function, for example, various food containers (T) for feeding, or various toys for play ( And the like).

그리고, 좌석부(4)와 받침부(6) 측에는 유아의 착석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벨트(F)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belt 4 and the support 6 may be provided with a seat belt (F) to ensure the seating safety of the infant.

연결부(8)는 제1 연결부(8a) 및 제2 연결부(8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part 8 is provided with the 1st connection part 8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8b.

제1 연결부(8a) 및 제2 연결부(8b)는 지지부(2), 좌석부(4), 및 받침부(6)가 서로 평면 형태를 이루는 슬림(slim)한 상태로 접혀지거나, 의자 형태로 펼쳐질 수 있는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게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8b are folded in a slim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2, the seat part 4, and the support part 6 form a flat shape with each other, or in a chair shape.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in coupling to enable the operation in the unfoldable state.

제1 연결부(8a)는 지지부(2)와 받침부(6)의 접힘 동작이나 펼침 동작이 서로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핀 결합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8a is formed to provide a pin-coupled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support part 2 and the support part 6 can be made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8a)는 제1 체결핀(P1)과, 제2 체결핀(P2)을 구비하고, 지지부(2)의 제1 지지대(A)와 제2 지지대(B)를 받침부(6) 측과 각각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1 to 3,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a includes a first fastening pin P1 and a second fastening pin P2, and the first support base A and the second of the support part 2. It is set in the state connecting the support (B) to the base portion 6 and the pin coupling, respectively.

즉, 제1 체결핀(P1)은 제1 지지대(A)의 상부 측에 받침부(6)를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되고, 제2 체결핀(P2)은 제1 체결핀(P1)의 체결 지점과 간격을 띄우고 제2 지지대(B)의 상부 측에 받침부(6)를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That is, the first fastening pin (P1) is set in the state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6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A) by pin coupling, the second fastening pin (P2) is the first fastening pin (P1) Spaced apart from the fastening point of the) and is set in the state of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6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 by pin coupling.

이때, 제1 체결핀(P1)과 제2 체결핀(P2)의 체결 지점은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의자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배열을 이루도록 셋팅된다. 그러면, 의자를 접을 때 제1 지지대(A)의 단차부(A1) 측에 서로 평행한 상태로 제2 지지대(B)가 수용되면서 슬림하게 접혀질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oint of the first fastening pin (P1) and the second fastening pin (P2) is set to form an array that is located in a straight line in the up, down direction when the chair is folded based on FIG. Then, when the chair is folded, the second support B may be accommodated in a stat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stepped portion A1 side of the first support A to form a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 a slim manner.

제2 연결부(8b)는 제1 연결부(8a)에 의한 지지부(2)와 받침부(6)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과 연계하여 좌석부(4)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핀 결합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8b has a pin coupling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seat part 4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association with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support part 2 and the support part 6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8a. It is formed to provid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8b)는 제3 체결핀(P3)과, 제4 체결핀(P4), 제5 체결핀(P5), 및 제6 체결핀(P6)을 구비하고, 지지부(2)와 받침부(6) 측에 좌석부(4) 측을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1 to 3, the second connection part 8b includes a third fastening pin P3, a fourth fastening pin P4, a fifth fastening pin P5, and a sixth fastening pin P6. It is provided, and is set in a state of connecting the seat portion 4 side by pin coupling on the support portion 2 and the support portion 6 side.

즉, 제3 체결핀(P3)은 받침부(6)와 등받이(C)를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되고, 제4 체결핀(P4)은 등받이(C)와 제2 지지대(B)를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되며, 제5 체결핀(P5)은 좌대(D)와 제1 지지대(A)를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That is, the third fastening pin (P3) is set in a state connecting the support 6 and the backrest (C), the fourth fastening pin (P4) for connecting the backrest (C) and the second support (B) It is set in the state, the fifth fastening pin (P5) is set to the state connecting the pedestal (D) and the first support (A).

그리고, 제6 체결핀(P6)은 등받이(C)와 좌대(D)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연결 상태를 이루도록 등받이(C) 측에 일측이 고정된 브라켓(Q)의 타측을 핀 결합으로 좌대(D) 측에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And, the sixth fastening pin (P6) of the bracket (Q), one side is fixed to the backrest (C) side to form a connection stat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facing the backrest (C) and the base (D) to each other It is set in the state connecting the other side to the pedestal (D) side by pin coupling.

그러면, 등받이(C)와 좌대(D)는 브라켓(Q)에 의해 서로 연결 지지되면서 제6 체결핀(P6)의 체결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연결 상태를 이룰 수 있다.Then, the backrest C and the pedestal 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racket Q while being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point of the sixth fastening pin P6.

제4 체결핀(P4)은 등받이(C)와 제2 지지대(B)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될 때, 도 4에서와 같이 제2 지지대(B)의 가이드홈(B1) 측에 핀 일단이 끼워져서 이 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셋팅된다.When the fourth fastening pin P4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C and the second support B are connected, one end of the pin is located at the guide groove B1 side of the second support B as shown in FIG. 4. It is fitted and is slidably set along this groove.

가이드홈(B1)은 제2 지지대(B) 측에서 지지대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 타입으로 연장 형성되어 의자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과 부합하도록 제4 체결핀(P4)의 연결 상태(위치)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Guide groove (B1)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 groove ty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om the second support (B) side to guid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ourth fastening pin (P4) to match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chair Play a role.

예를 들어, 의자의 펼침 조작시에는 제4 체결핀(P4)이 등받이(C) 측에 고정된 상태로 도 4에서와 같이 핀 끝단이 가이드홈(B1)의 어느 한쪽(상부) 홈 단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펼침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4 체결핀(P4)의 핀 끝단 측이 가이드홈(B1)의 홈 단부 측에 걸려진 상태가 되면서 의자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지지력도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ir is unfolded, as shown in FIG. 4, with the fourth fastening pin P4 fixed to the backrest C side, the end of the pin toward the one end (upper) groove end side of the guide groove B1. The movement can be guided so that the unfolding operation can be made smoothly, and the pin end side of the fourth fastening pin (P4) is caught in the groove end side of the guide groove (B1) while the chair shape can be stably maintained. It can also give support.

그리고, 의자의 접힘 조작시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제4 체결핀(P4)의 핀 끝단이 가이드홈(B1)의 타측(하부) 홈 단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접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When the chair is folded, the pin end of the fourth fastening pin P4 is moved to the other side (lower) groove end side of the guide groove B1 as illustrated in FIG. 5,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may be smoothly performed. .

특히, 제1 연결부(8a) 및 제2 연결부(8b)는 의자가 접혀진 상태일 때 도 5에서와 같이 제1 체결핀(P1), 제2 체결핀(P2), 제3 체결핀(P3), 및 제4 체결핀(P4)이 제2 지지대(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상태로 배열되고, 제5 체결핀(P5)과 제6 체결핀(P6)은 제1 지지대(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상태로 배열되도록 셋팅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8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8b have a first fastening pin P1, a second fastening pin P2, and a third fastening pin P3 as shown in FIG. 5 when the chair is folded. , And the fourth fastening pins P4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B, and the fifth fastening pins P5 and the sixth fastening pins P6 are arranged on the first support base. It is set to arrange | position in the state locat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그러면, 의자를 접을 때 좌석부(4)와 받침부(6) 측이 지지대(A, B)들과 서로 평면 형태를 이루는 슬림한 상태로 접혀질 수 있는 접이식 핀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n, when the chair is folded, the seat part 4 and the support part 6 side can form a folding pin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 a slim state forming a flat shape with the support bases A and B.

한편, 보조받침부(10)는 받침부(6)의 표면 보호(오염 방지)와 부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support 10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consistent with the surface protection (pollution prevention) of the support (6).

특히, 보조받침부(10)는 받침부(6)의 받침면(E) 측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에 의한 표면 오염 방지가 가능하게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auxiliary support 10 is formed to enable the use and management to prevent the surface contamination by food in a manner to selectively cover or open the support surface (E) side of the support (6).

도 1 내지 도 2,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보조받침부(10)는 받침시트(S)를 구비하고, 이 받침시트(S)가 롤 스크린(roll-screen) 타입으로 조작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1 to 2, and 6 to 7,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10 includes a supporting sheet S, and the supporting sheet S is operated in a roll-screen type. It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즉, 받침시트(S)는 도 6에서와 같이 받침부(6)의 둘레부 내측에 형성된 시트수납부(H) 내측에 배치되며, 이 시트수납부(H) 내측에 설치된 제1 가이드축(S1) 측에 롤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로 셋팅된다.That is, the supporting sheet S is disposed inside the sheet storing portion H formed insid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6, as shown in FIG. 6, and has a first guide shaft installed inside the sheet storing portion H. It is set in a state wound in a roll shape on the S1) side.

받침시트(S)는 받침부(6)의 받침면(E) 면적과 대응하는 크기의 둘레부를 가지며, 둘레부 중에서 대향하는 둘레부 일측이 제1 가이드축(S1) 측에 고정된 상태로 롤 모양으로 감겨진다.The supporting sheet S has a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supporting surface E of the supporting portion 6, and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guide shaft S1 side. Wound into shape

시트수납부(H)는 제1 가이드축(S1) 측에 감겨진 받침시트(S)가 수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는 인출슬롯(H1)이 형성되어, 이 인출슬롯(H1)을 통해서 사용자가 받침시트(S)의 일단(자유단) 측을 잡은 상태로 외부로 당길 수 있는 공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Sheet storage portion (H) has a size and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receiving seat (S) wound on the side of the first guide shaft (S1), the withdrawal slot (H1) is formed on one side, this withdrawal slot (H1) Through) the user is formed to have a space structure that can be pulled to the outside while holding the one end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sheet (S).

그리고, 시트수납부(H)의 외부면 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개폐도어(H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받침시트(S)의 유지보수(교체, 세척 등) 작업시 외부에서 수납부 공간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 closing door H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heet storage part H as shown in FIG. 6. Then, for example, during the maintenance (replacement, washing, etc.) operation of the backing sheet (S)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from the outside.

받침시트(S)는 내오염성 및 방수성을 가지며, 충격 흡수가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의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시트, 우레탄시트 또는 실리콘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Support sheet (S) has a stain resistance and waterproof, and a sheet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shock absorption can be used, for example, a rubber sheet, urethane sheet or silicon sheet may be used.

그리고, 제1 가이드축(S1)은 받침시트(S)의 인출 조작과 연계하여 탄성부재(S2)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시트(S)를 수납 상태로 리턴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shaft S1 may be formed to return the supporting sheet S to the storage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2 in conjunction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supporting sheet S. FIG.

탄성부재(S2)는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박판의 스프링이 나선 모양으로 감겨진 태엽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elastic member S2, for example, a spring may be used in which a thin spring is wound in a spiral shape as shown in FIG. 6.

즉, 탄성부재(S2)는 제1 가이드축(S1)이 축선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태엽 모양의 둘레부가 탄력적으로 오무라지는 상태로 작동되면서 탄성력을 축척하고, 제1 가이드축(S1) 측에 외력이 제거되면 반대 방향으로 제1 가이드축(S1)을 탄력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S2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pring shape elastically retracts when the first guide shaft S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bout the axis, and scales the elastic force, and the first guide shaft S1.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on the) side, it may be set to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shaft S1 can be elastical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그러면, 제1 가이드축(S1)은 받침시트(S)가 시트수납부(H)의 인출슬롯(H1)을 통해서 외측으로 인출 조작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축선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받침시트(S)가 축의 외부면 상에 탄력적으로 감겨지면서 시트수납부(H) 내측에 수납되는 상태로 리턴 동작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Then, the first guide shaft (S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bout the axis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n the state that the support sheet (S)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ake-out slot (H1) of the sheet storage portion (H), While the support sheet (S) is elastically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can be operated to return to the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sheet storage portion (H).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받침시트(S)의 자유단 측에는 시트 조작성을 높이기 위한 고정구(I)가 설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6, the free end of the support sheet (S) may be provided with a fixture (I) for improving the sheet operability.

고정구(I)는 받침시트(S)를 펼쳐진 상태로 잡아줄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Fixture (I) is formed to provide a fixing force that can hold the support sheet (S) in an unfolded state.

고정구(I)는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받침시트(S)의 자유단 측에 고정되어 시트수납부(H)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받침시트(S)가 받침부(6)의 받침면(E) 측을 덮도록 펼쳐진 상태로 조작될 때 받침부(6) 측에 형성된 고정핀(J) 측에 분리 가능하게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For example, the fastener I is fixed to the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sheet S, as shown in FIG. 6, and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eet storage unit H, and the support sheet S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 6) is formed to be separably hung on the fixing pin (J) side formed on the supporting portion (6) side when operated in the unfolded state to cover the supporting surface (E) side.

즉, 고정구(I)는 받침시트(S)의 인출시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함과 아울러, 인출 조작과 연계하여 고정핀(J) 측에 걸려지도록 조작되면서 받침시트(S)를 펼쳐진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fixing device (I) acts as a kind of handle when the support sheet (S) is pulled out, and is fixed to the fixing pin (J) side in conjunction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to hold the support sheet (S) in an unfolded state. It is formed to be.

고정구(I)는 원터치 고정 방식으로 받침시트(S)를 펼쳐진 상태로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받침시트(S)의 조작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Fixture (I) can be easily fixed in the unfolded state, or can be released in the unfolded state by the one-touch fixing metho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ase of operation of the base sheet (S).

이러한 보조받침부(10)는 받침부(6)의 받침면(E) 측을 받침시트(S)를 이용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으므로, 특히 유아를 앉힌 상태로 급식을 할 때 용기(T)에 담겨진 음식물(Y)의 일부가 떨어지거나 흘러나오더라도 받침면(E) 측에 묻지 않도록 간편하게 가림 처리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 10 may be selectively covered as shown in Figure 7 using the support sheet (S) to the support surface (E) side of the support (6), especially when feeding the infant sitting Even if a part of the food Y contained in the container T falls or flows out, it can be simply covered so as not to get on the side of the supporting surface E.

그리고, 받침시트(S)는 내오염성, 방수성, 및 완충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유아의 신체 접촉시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음식물(Y)이 스며들지 않는 상태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시트층을 제공할 수 있다.And, the support sheet (S)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tain-resistant, waterproof, and cushioned, so that not only can protect the infant from impact dur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infant, but also easily in a state that food (Y) does not penetrate easily. A sheet layer that can be removed can be provided.

그러므로, 이러한 보조받침부(10)를 구비하면, 받침부(6)의 사용 안전성 및 위생 환경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auxiliary support 1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the use safety and sanitary environment of the support 6.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보조받침부(10) 측과 대응하는 위생커버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8 to 9, the infan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anitary cover part 12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10.

위생커버부(12)는 보조받침부(10) 측과 연계하여 조작되면서 받침부(6) 측을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 관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anitary cover part 12 is formed to be more hygienically used to manage the supporting part 6 side while being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10 side.

위생커버부(12)는 도 8에서와 같이 위생커버지(K)와, 인출유도구(L)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sanitary cover part 12 includes a sanitary cover K and a drawing oil tool L as shown in FIG. 8.

위생커버지(K)는 제2 가이드축(K1)의 외부면 상에 롤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로 시트수납부(H) 내측에서 받침시트(S) 측과 서로 평행한 상태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될 수 있다.The sanitary cover (K) is spaced in a state of being ro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shaft (K1) in a state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sheet (S) side in the sheet storage portion (H). Can be.

위생커버지(K)는 종이 재질의 티슈타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 가이드축(K1) 측에 감겨지는 길이방향으로 절취선(K2)들이 형성되어 각 절취선(K2)을 따라 절취(截取)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anitary cover (K) is made of a paper towel form, the cut line (K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ound on the side of the second guide shaft (K1) is cut (각 取) method along each cut line (K2)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sequentially.

절취선(K2)들의 간격은 받침부(6)의 받침면(E) 면적과 대응하는 상태로 위생커버지(K)의 절취 제거가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interval between the cutting lines K2 is formed to enable the removal of the sanitary cover K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supporting surface E of the supporting part 6.

인출유도구(L)는 위생커버지(K)의 길이방향 자유단 측이 받침시트(S) 측에 겹쳐진 상태로 접촉될 수 있도록 유도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된다.Withdrawal oil tool (L) is formed to enable the induction operation so that the longitudinal free end side of the sanitary cover (K) can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heet (S) in the overlapping state.

즉, 인출유도구(L)는 도 8에서와 같이 로울러 형태로 이루어지며, 시트수납부(H) 내측에서 로울러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브래킷(L1)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withdrawal oil tool (L) is made in the form of a roller as shown in Figure 8, it can be fixed to the bracket (L1) side in a state capable of free rotation about the roller axis from the inside of the sheet storage (H). .

브래킷(L1)은 도 8에서와 같이 시트수납부(H) 외측으로 일측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돌출부를 잡은 상태로 인출유도구(L) 측을 위생커버지(K)의 인출과 부합하는 누름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As shown in FIG. 8, one side of the bracket L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heet storage part H, and the user presses the drawing oil tool L side with the withdrawal of the sanitary cover K while the user holds the protrusion. It is set to operate with.

그리고, 브래킷(L1)은 탄성부재(L2)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유도부(L) 측을 누름 해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L1 may be set to elastically move the pull-out inducing part L side in the pressing releas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L2.

이러한 위생커버부(12)는 도 9에서와 같이 받침시트(S)의 인출 조작과 연계하여 인출유도구(L) 측을 누름 조작하면, 위생커버지(K)의 자유단 측이 받침시트(S) 측에 겹쳐지는 상태로 눌려지므로 받침시트(S)의 인출 동작 중에 위생커버지(K)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함께 인출될 수 있다.The sanitary cover portion 12, as shown in Figure 9, in conjunction with the extraction operation of the support sheet (S) by pressing the take-out oil tool (L) side, the free end side of the sanitary cover (K) is the support sheet ( Since it is pressed in the overlapping state on the S) side, the hygienic cover (K) can be taken out together in a state of overlapping each other during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support sheet (S).

이때, 인출유도부(L)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위생커버지(K)는 인출되지 않고, 받침시트(S)만 인출되는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w-out induction part L is not pressed, the sanitary cover K is not drawn out,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support sheet S is drawn out.

그러므로, 위생커버부(12)는 보조받침부(10)의 조작과 연계하여 받침부(6)의 받침면(E) 표면 측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아에게 급식을 할 때 음식물(Y)이 받침면(E) 측으로 떨어져서 받침면(E) 표면이 오염되는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anitary cover part 12 can more stably protect the surface side of the supporting surface E of the supporting part 6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10, and particularly, when feeding to infants.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food (Y) falls to the support surface (E) side and the surface of the support surface (E) is contaminated.

또한, 음식물(Y)이 묻어서 오염된 위생커버지(K)를 절취선(K2)을 이용하여 절취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분리 제거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Y) can be easily removed and removed by a method of cutting the sanitary cover (K) contaminated by the cutting line (K2).

따라서, 본 고안은 의자를 간편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접이식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 및 보관(운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받침부(6) 측의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한층 더 위생적인 상태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and storage (transport) by providing a foldable structure that can easily expand or fold the chair, in particular, formed to prevent the surface contamination of the supporting part 6 side further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nd managed in a more hygienic state can be provided.

2: 지지부 4: 좌석부 6: 받침부
8: 연결부 10: 보조받침부 12: 위생커버부
2: support portion 4: seat portion 6: support portion
8: connection part 10: auxiliary support part 12: sanitary cover part

Claims (4)

바닥면 측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
등받이와 좌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좌석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좌석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각종 유아 용품이 놓여지는 받침면을 구비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상기 좌석부, 및 상기 지지부가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핀 결합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받침부의 받침면 측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인출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받침시트를 구비한 보조받침부; 및
위생커버지와 인출유도구를 구비한 위생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위생커버지는,
제2 가이드축의 외부면 상에 롤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보조받침부의 받침시트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받침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유도구는,
상기 위생커버지가 상기 받침시트 측과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위생커버지 일측을 누름 또는 누름 해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아용 의자.
A support for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A seat having a backrest and a seat and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A support part disposed above the support part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seat part side, the support part having a support surface on which various infant goods are place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upport part, the seat part, and the support part by a pin coupling to enable a folding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y are in a plane with each other;
An auxiliary supporting part having a supporting sheet formed to be able to be pulled out in a state capable of selectively covering or opening the supporting surface side of the supporting part; And
A sanitary cover unit having a sanitary cover and a drawing oil tool;
Including;
The sanitary cover,
It is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side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heet 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in a state wound in a roll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shaft,
The withdrawal oil utensils,
The hygiene cover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press or release the hygienic cover one side to be pulled out in a state overlapping with the support sheet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받침부는,
상기 받침시트 측이 제1 가이드축 상에 롤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받침부 내측에 형성되는 시트수납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upport unit,
The support seat side of the baby seat,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eat receiving portion side form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in a roll shape on the first guide shaf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시트는,
고무시트, 우레탄시트 또는 실리콘시트가 사용되는 유아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sheet,
Baby chair with rubber seat, urethane seat or silicone seat.
삭제delete
KR2020170005772U 2017-11-10 2017-11-10 An infant chair KR2004897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72U KR200489779Y1 (en) 2017-11-10 2017-11-10 An infant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72U KR200489779Y1 (en) 2017-11-10 2017-11-10 An infant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90U KR20190001190U (en) 2019-05-20
KR200489779Y1 true KR200489779Y1 (en) 2019-08-06

Family

ID=6665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772U KR200489779Y1 (en) 2017-11-10 2017-11-10 An infant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79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06Y1 (en) * 2010-08-13 2011-04-15 최석재 Disposable Tablecloth Fee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47B1 (en) 2013-07-05 2015-01-09 김채연 Baby chair for dining table
KR20170003569U (en) * 2016-04-06 2017-10-16 주식회사 유아의자 An infant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06Y1 (en) * 2010-08-13 2011-04-15 최석재 Disposable Tablecloth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90U (en)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3869B (en) Soft-sided insulated container with lid fitment
US8490230B2 (en) Diaper bag having an integral changing pad
US20140183322A1 (en) Movable support device
US8505768B2 (en) Food tray
US9924806B2 (en) Portable baby-changing table apparatus attachable to a baby stroller
US20160037905A1 (en) Portable utility surface
US20150128349A1 (en) Changing pad
KR200489779Y1 (en) An infant chair
JP6953656B2 (en) Folding mobile toilet seat
US20160106275A1 (en) Travel toilet seat cover with matching carrying case
US20120227169A1 (en) Toilet Training Stool
US20080222789A1 (en) Back Stress Reducing Kneeling Device
JP3216156U (en) Sheet stocker
KR200483447Y1 (en) Travel carrier for bed and sofa combined
JPWO2014033786A1 (en) Aircraft restroom unit
US20140360410A1 (en) Compact Folding Su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70238669A1 (en) Fold-out tray incorporated in an item of luggage
US20130318698A1 (en) Toilet Training Stool
US10836284B1 (en) Hygienic kit for airplanes
JP6910908B2 (en) Dispenser for desktop paper towels
KR101247959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wheelchair
US20060103089A1 (en) Household lectern
CN204232650U (en) Chair
JP2016116637A (en) Sheet dispenser and sheet transfer mechanism
US11617453B2 (en) Shield for high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