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81Y1 - Bracket for Handrail - Google Patents

Bracket for Hand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81Y1
KR200489481Y1 KR2020160003334U KR20160003334U KR200489481Y1 KR 200489481 Y1 KR200489481 Y1 KR 200489481Y1 KR 2020160003334 U KR2020160003334 U KR 2020160003334U KR 20160003334 U KR20160003334 U KR 20160003334U KR 200489481 Y1 KR200489481 Y1 KR 200489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nut
nut
handrail
support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3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4340U (en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구 filed Critical 김현구
Priority to KR2020160003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81Y1/en
Publication of KR20170004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4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8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레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핸드레일 고정구는 벽체에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스페이서부를 매개로 회동로드부와 레일받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핸드레일을 고정하는 동시에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벽체에 마감재가 구비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rail fastener.
To this end, the handrail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for stable engagement with the wall, and the pivot rod portion and the rail support portion are rotatably coupled through a spacer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hereb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angle of the handrail can be easily adjusted while fixing the handrail, and even when the finishing material is provided on the wall, the constru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Description

핸드레일 고정구{Bracket for Handrail}Handrail Fixture {Bracket for Handrail}

본 고안은 핸드레일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핸드레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스페이서부를 매개로 회동로드부와 레일받침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rail fastener for fixing a handrail to a wall, and a supporting part is formed to enable stable connection to the wall, and a pivoting rod part and a rail supporting part are rotatably coupled through a spacer part coupled to the supporting part. .

일반적으로 병원, 장애인 복지시설, 학교, 노인시설 등 공공건물의 통행로인 벽면 또는 계단 벽면에는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의 보행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핸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a handrail is provided on a wall or a stair wall which is a passage of a public building such as a hospital, a welfare facility for the disabled, a school, an elderly facility, and the like to help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patient to walk.

이러한 핸드레일은 건물의 실내 계단벽체 또는 복도벽체에 브라켓이 구비된 고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에 핸드레일 프레임을 결합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벽체에 설치된 고정대의 브라켓 하부에 양쪽 측면부가 브라켓의 상부 폭과 같은 폭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 프레임을 고정대의 브라켓에 설치하고, 핸드레일 프레임에 핸드레일 커버를 결합할 때 핸드레일 커버의 양측 선단부가 결합될 틈새가 매우 좁아서 조립 과정에서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handrail is provided with a fixed base having a bracket in an indoor stepped wall or a corridor wall of a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by coupling the handrail frame to the fixed base. Since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bracket of the fixed bracket provided on the wall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the handrail frame is mounted on the bracket of the fixing table, and when the handrail cover is engaged with the handrail frame, So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 problems in the assembling proces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0757029호(2007. 09. 03.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의 '벽 부착용 핸드레일'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브래킷의 걸림부에 핸드레일을 끼우고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체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작업자가 쪼그려 앉아서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핸드레일를 일정 각도 돌린 상태에서 브래킷의 걸림부에 끼우고 다시 회전시켜 위치를 설정하게 되어 있어 걸림부의 체결공과 핸드레일의 체결공을 서로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wall-mounted handrail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757029 (registered on Mar. 03, 200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1, a method of inserting a handrail into the latching portion of the bracket and fastening it from the bottom to the top by means of separate fastening means is adopted, so that it is troublesome for the operator to work in a squat,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fastening holes of the fastening part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handrail.

또한, 핸드레일이 계단 벽체에 설치되어질 경우 각도조절이 어려움과 동시에 계단 벽체와 핸드레일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을 경우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handrail is installed on the stepped wall,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ngle,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epped wall and the handrail is not constant, the work has been difficult.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493970호(2015. 02. 10.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의 '핸드레일 고정 브라켓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먼저 벽체에 매립홀을 형성하고, 고정 브라켓트의 매립지지부를 벽체에 형성된 매립홀에 삽입하여 결합함에 따라 견고한 결속을 확보할 수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applicant has proposed a 'handrail fixing bracket' of Registration No. 10-1493970 (registered on Feb. 10,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In the prior art document 2, the embedding holes of the fixing brackets were inserted into the embedding holes formed in the wall of the wall, and then solid bridges were secured.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매립홀을 형성하고 매립지지부를 가압함에 따른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콘크리트 벽체가 노출되지 않고, 벽체에 목재 또는 금속재 마감이 노출되거나 타일 마감이 형성된 경우에는 시공이 곤란한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 2, there is a complication in construction due to forming the buried hole and pressing the landfill, and when the concrete wall is not exposed and the wood or metallic finish is exposed to the wall or the tile finish is formed, There were additional difficulties.

본 고안은 핸드레일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균일하지 못한 평활도를 갖는 벽체에 의하여 핸드레일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도 스페이서부의 길이만 달리하여 핸드레일이 일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벽체에 마감재가 구비된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지지부와 스페이서부가 상호 충분한 결합력을 지니도록하여 앵커결합이 아니어도 우수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는 핸드레일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handrail, and even if the spacing between the hand rails is not constant due to the wall having unevenness in smoothness, the handrail can be installed constantly So tha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lso, even when the wall is provided with the finishing material,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and the supporting part and the spacer part can have a sufficient bonding strength with each ot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은 핸드레일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핸드레일 고정구(A)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고정구(A)는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스페이서부(200)와, 상기 스페이서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로드부(300)와, 상기 회동로드부(300)의 일단에 핸드레일을 지지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받침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통공(111)이 형성된 지지판(110)과 너트부(125)가 형성된 리벳너트(1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가 관통되어 결합되어진다.The handrail fixture A includes a support 100 fixed to a wall, a spacer 200 coupled to the support 100, A pivoting rod part 300 rotatably coupled to the spacer part 200 and a rail receiving part 400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pivoting rod part 300 so as to support the handrail, . The support part 100 includes a support plate 110 having a through hole 111 and a rivet nut 120 having a nut part 125. The rivet nut 1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nut portion 125 of the nut is inserted and coupled.

또한,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11)에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가 관통되어 결합되어지되,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하단에는 플랜지(122)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가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걸리면서 상기 지지판(110)의 중심 저면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113)에 안착되어지며,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가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 방향으로 프레싱되어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하부에 이탈방지링(123)이 형성되어진다.The support part 100 is coupled to the nut part 125 of the rivet nut 120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nut part 125 of the rivet nut 120 A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is engaged with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to form a circular concave And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And a release preventing ring 123 is formed under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by pressing.

또한, 상기 스페이서부(200)는 연결볼트(210)는 상기 회동로드부(300)의 연결공(310)과 중공스페이스(220)를 관통하여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olts 210 of the spacer 200 pass through the connecting hole 310 and the hollow space 220 of the pivoting rod part 300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part 125 of the rivet nut 120 (Not shown).

또한,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하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0)에 걸려질 수 있다.A flange 122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hung on the support plate 110.

또한,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에는 상기 플랜지(122)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이탈방지링(123)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nuts 125 of the rivet nut 120 may have a separation preventing ring 123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ange 1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revent the support plate 110 from being detached.

또한, 상기 리벳너트(120)의 이탈방지링(123)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마찰돌기(124)가 형성되어 리벳너트(12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124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lease preventing ring 123 of the rivet nut 120 to prevent the rivet nut 120 from rotating.

그리고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의 중심에 원형의 오목부(1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3)에 상기 플랜지(122)가 안착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10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circular recess 113 at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plate 110 and the flange 122 can be seated in the recess 113.

본 고안은 지지부에 결합된 스페이서부를 매개로 회동로드부와 레일받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핸드레일을 고정하는 동시에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al rod portion and the rail support portion are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spacer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hereby achieving an effect that the angle of the handrail can be easily adjusted while fixing the handrail.

또한, 벽체로부터 핸드레일 사이의 간격이 중공스페이서의 길이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일치 못한 평활도를 갖는 벽체에 핸드레일이 일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by all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rail and the wall to be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hollow spacer, the handrail can be uniformly installed on the wall having unevenness in smoothness,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또한, 지지부를 구비하여 벽체에 마감재가 구비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Further, even when the wall is provided with the finish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easily construct the wall.

나아가,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부는 지지판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리벳너트가 구비되고, 스페이서부가 상기 리벳너트에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와 스페이서부가 상호 충분한 결합력을 지니도록하여 앵커결합이 아니어도 우수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wall is provided with a rivet nut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pacer portion is coupled to the rivet nut, so that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pacer portion have sufficient mutual engagement force, have.

그리고 이를 통해 공기를 줄이는 가운데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while reducing ai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구에 핸드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구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rail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rail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andrail is coupled to a handrail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handrail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구(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치 못한 평활도를 갖는 벽체로부터 핸드레일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100), 스페이서부(200), 회동로드부(300) 및 레일받침부(400)로 구성되어 있다.1 to 4, the handrail fixtur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andrail to be easily installed from a wall having a non-uniform smoothness with a predetermined gap, A spacer portion 200, a pivoting rod portion 300, and a rail receiving portion 400.

상기 지지부(100)는 핸드레일(R)이 벽체(W)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W)가 콘크리트가 아닌 경우나 벽체(W)에 목재 또는 금속재 마감이 노출되거나 타일 마감이 형성된 경우에도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00 allows the handrail R to be stably supported on the wall W so that when the wall W is not made of concrete or when the timber or metallic finish is exposed to the wall W or when the tile finish is formed So that the workability can be secured.

이러한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의 중심에 통공(111)이 형성되어 리벳너트(120)가 상기 통공(1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부(200)가 리벳너트(120)에 결합된다.The support part 100 has a through hole 1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10 so that the rivet nut 1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The spacer 200 is inserted into the rivet nut 120, Lt; / RTI >

상기 리벳너트(120)는 스페이스(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평판형의 지지부(100)로 전달하여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rivet nut 120 functions to transfer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pace 200 to the support portion 100 of the flat plate type so that the load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한편, 상기 리벳너트(120)에는 나사산(1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부(200)는 연결볼트(210)가 상기 회동로드부(300)의 연결공(310)과 중공스페이서(22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리벳너트(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A thread 121 is formed on the rivet nut 120. A connecting bolt 210 is formed on the rivet nut 120 to connect the connecting hole 310 of the pivot rod part 300 and the hollow spacer 220 So that it can be screwed to the thread 121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vet nut 120.

이때, 상기 스페이서부(200)의 중공스페이서(220)와 연결볼트(210)를 사용함에 있어 그 길이를 달리하는 부재로 치환함으로써 균일치 못한 평활도를 갖는 벽체의 경우에도 핸드레일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hollow spacer 220 and the connecting bolt 210 of the spacer 200 are used, the handrail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하단에는 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걸려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flange 12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so as to be caught in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상기 플랜지(122)는 리벳너트(120)가 지지판(110)의 통공(1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기능함은 물론 스페이서부(200)에 전달되는 하중이 지지판(110)으로 전달되어 분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flange 122 functions not only to prevent the rivet nut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but also to allow the load transferred to the spacer 200 to be transmitted to the support plate 110 for dispersion Function.

또한,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11)을 중심으로 상하에 지지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0)이 벽체에 지지될 때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스페이서부(200)를 축으로 하여 상하로 지지되도록 하므로써 수직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ing part 100 includes a support hole 112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hrough hole 1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10 so that when the support plate 110 is supported on the wall,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pacer unit 200 to be vertically supported with the coupled spacer 200 as an axis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vertical load.

한편, 상기 지지판(110)은 상하 방향으로 긴 타원형상으로 제작하여 핸드레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지지판(110)의 상하 방향의 두께가 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plate 110 may be formed in a long elliptica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re effectively correspond to the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handrail,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late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made thicker, .

또한,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가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 방향으로 프레싱되어 상기 너트부(125)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이탈방지링(123)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23 is forme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to prevent the support plate 110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지지판(110)은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와 이탈방지링(123) 사이에 형성된 일정 간격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지지판(110)과 리벳너트(120)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우수한 지지력의 확보가 가능하다.The support plate 11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etween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and the escape prevention ring 123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rivet nut 12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는 지지판(110)의 통공(111)을 관통하도록 구비한 상태에서 리벳너트(120)의 일부분을 프레싱하여 이탈방지링(123)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플랜지(122)와 이탈방지링(123) 사이에 지지판(11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가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 방향으로 프레싱되어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하부에 이탈방지링(123)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지지판(110)이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와 이탈방지링(123) 사이에 결합되어진다.Specifically,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thereby pressing a part of the rivet nut 120 to form an escape prevention ring 123 Whereby the support plate 110 is firmly coupled between the flange 122 and the escape prevention ring 123. That is,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support plate 110 is coupled between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and the escape prevention ring 123 by forming a release prevention ring 123 below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한편, 상기 리벳너트(120)의 이탈방지링(123)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마찰돌기(124)가 형성되어 리벳너트(12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124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23 of the rivet nut 120 to prevent the rivet nut 120 from rotating.

상기 이탈방지링(123)에 복수의 마찰돌기(124)가 형성됨에 따라 이탈방지링(123)과 지지판(110)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스페이서부(200)의 연결볼트(210)를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벳너트(120)가 회동되거나, 뜰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124 are formed o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23 so that a sufficient frictional for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23 and the support plate 110. As a result, 210, the rivet nut 120 may be rotated or the yarding phenomenon may be prevented to ensure durability.

또한,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의 중심 저면에 원형의 오목부(1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3)에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가 안착되도록 한다.The supporting portion 100 is formed such that a circular recess 11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entral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110 and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is seated on the recess 113 do.

상기 지지판(110)에 오목부(113)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0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하여 지지판(110)이 절곡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recess 113 in the support plate 110, the strength of the support 100 can be increased, and the support plate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프레싱 과정을 통하여 오목부(113)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가 구비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lso, the recess 113 can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pressing process to secure a space for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to be easily seated.

한편, 상기 스페이서부(200)는 연결볼트(210)가 중공스페이스(220)를 관통되도록 구성되어지되, 벽체(W)로부터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볼트(210)가 회동로드부(300)의 일측 연결공(310)과 중공스페이서(220)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The spacer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on bolt 210 passes through the hollow space 220 and function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W.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hollow spacer (220) through the one connection hole (310) of the pivoting rod part (300).

상기 중공스페이서(220)의 일측은 회동로드부(300)에 맞닿아지고, 타측은 지지부(100)의 지지판(110)에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트(210)가 리벳너트(12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체결이 완료된다.One end of the hollow spacer 220 is in contact with the pivot rod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spacer 22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10 of the supporter 100. When the connection bolt 210 is inserted into the rivet nut 120, The fastening is completed.

이때, 상기 중공스페이서(220)는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간격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low spacer 220 is cut according to a length required in the field, and the spacing can be easily controlled through the hollow spacer 220.

또한, 상기 연결볼트(210)는 볼트몸체(211) 일측에 나사부(212)가 형성되고, 타측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육각 렌치공이 형성된 볼트헤드(2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bolt head 2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bolt 210 so as to have a threaded portion 212 at one side of the bolt body 211 and a hexagonal wrench hole at the other side for easy adjustment can do.

한편, 상기 회동로드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공(310)은 상기 연결볼트(210)가 관통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2 연결공(320)에는 후술할 힌지볼트(430)가 관통되어지되, 상기 힌지볼트(430)는 레일받침부(400)의 힌지편(420)과 제2 연결공(320)을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olts 31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ivoting rod part 300 and the hinge bolts 43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s 320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hinge bolt 430 may be coupled to the hinge piece 420 of the rail receiving part 40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hole 320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상기 레일받침부(400)는 핸드레일(R)이 회동로드부(30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받침몸체(410)에 나사관통홀(4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받침몸체(410)의 일측이 원형으로 벤딩되어 힌지편(4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The rail receiving portion 400 functions to easily engage the handrail R with the pivoting rod portion 300. A screw through hole 411 is formed in the receiving body 410 and the receiving body 410 Are bent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hinge pieces 420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받침몸체(41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핸드레일(R)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힌지편(420)은 받침몸체(410)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회동로드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옷이나 기타 부분과 상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inge piece 42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receiving body 410 so that the hinge piece 42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receiving body 4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upled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portion 300, thereby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user's clothes or other portions.

상술한 핸드레일 고정구(A)를 이용하여 핸드레일(R)이 시공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handrail R using the above-described handrail fixture A is as follows.

먼저, 핸드레일(R)이 시공되어질 벽체(W)의 특정위치에 지지부(100)를 고정한 후, 상기 지지부(100)의 리벳너트(120)에 스페이서부(200)의 연결볼트(210)가 회동로드부(300)의 연결공(310)과 중공스페이서(220)를 관통하도록 구비한 상태에서 가결합되도록 한다.The connecting bolt 210 of the spacer 200 is inserted into the rivet nut 120 of the supporting part 100 after the supporting part 100 is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wall W to be handrail R, And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spacer 310 of the pivot rod part 300 and the hollow spacer 220 so as to pass therethrough.

이때, '가결합'은 완전히 조이는 것이 아니라 추후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정 정도로만 조임 결합하여 부재간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In this case, the 'joining' is defined as a degree of being able to maintain the joined state between the members by tightening only a certain degree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later, not completely tightened.

상기 리벳너트(120)와 연결볼트(210)의 가결합이 완료되면, 핸드레일(R)의 하부에 레일받침부(400)의 받침몸체(410)가 맞대어지도록 구비한 상태에서 나사관통홀(411)을 통해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편(420)의 중심이 회동로드부(300)의 제2 연결공(32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한다.When the coupling of the rivet nut 120 and the connecting bolt 210 is completed, the receiving body 410 of the rail receiving portion 4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rail R, 411 and the center of the hinge piece 420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320 of the pivot rod part 300.

이후, 힌지볼트(430)가 레일받침부(400)의 힌지편(420)과 회동로드부(300)의 제2 연결공(320)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가결합하고, 상기 레일받침부(400)와 회동로드부(300)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연결볼트(210)와 힌지볼트(430)를 완전히 조임으로써, 핸드레일(R)의 시공이 완료되어진다.The hinge bolt 430 is coup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hinge piece 420 of the rail receiving part 400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320 of the rotating rod part 300 in order, The construction of the handrail R is completed by precis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pivoting rod portion 300 and completely tightening the connecting bolt 210 and the hinge bolt 430. [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구(A)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실용신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handrail fasten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claim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anyone.

A:핸드레일 고정구 100:지지부
110:지지판 111:통공
112:지지공 113:오목부
120:리벳너트 121:나사산
122:플랜지 123:이탈방지링
124:마찰돌기 200:스페이서부
210:연결볼트 211:볼트몸체
212:나사부 213:볼트헤드
220:중공스페이서 300:회동로드부
310:연결공 320:제2 연결공
400:레일받침부 410:받침몸체
411:나사관통홀 420:힌지편
430:힌지볼트 W:벽체
R:핸드레일
A: Handrail fastener 100: Support
110: support plate 111: through hole
112: Support hole 113:
120: rivet nut 121: threaded
122: flange 123:
124: Friction projection 200:
210: connecting bolt 211: bolt body
212: threaded portion 213: bolted head
220: hollow spacer 300:
310: connecting ball 320: second connecting ball
400: rail receiving portion 410: receiving body
411: screw through hole 420: hinge piece
430: Hinge Bolt W: Wall
R: Hand rail

Claims (5)

벽체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스페이서부(200)와, 상기 스페이서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로드부(300)와, 상기 회동로드부(300)의 일단에 핸드레일을 지지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받침부(400)로 구성되어지는 핸드레일 고정구(A)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11)에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가 관통되어 결합되어지되,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하단에는 플랜지(122)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가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걸리면서 상기 지지판(110)의 중심 저면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113)에 안착되어지며,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가 상기 지지판(110)의 통공(111)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 방향으로 프레싱되어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하부에 이탈방지링(123)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지지판(110)이 상기 리벳너트(120)의 플랜지(122)와 이탈방지링(123) 사이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페이서부(200)의 연결볼트(210)는 상기 회동로드부(300)의 일측 연결공(310)과 상기 스페이서부(200)의 중공스페이스(220)를 관통하여 상기 리벳너트(120)의 너트부(125)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1)에 나사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고정구.
A support part 100 stably supported on the wall, a spacer part 200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00, a pivoting rod part 300 rotatably coupled to the spacer part 200, And a rail receiving part (400)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ing part (300) so as to support the handrail,
The support part 100 is coupled to the nut part 125 of the rivet nut 120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lower part of the nut part 125 of the rivet nut 120 And a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is engaged with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to form a circular recessed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support plate 110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122 of the rivet nut 120 and the escape prevention ring 123 by forming the escape prevention ring 123 below the nut 125 of the rivet nut 120. [ And the connection bolts 210 of the spacer 20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hole 310 of the pivot rod 300 and the hollow of the spacer 200, Is screwed into a thread (121)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part (125) of the rivet nut (120) through the space (2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판(11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11)을 중심으로 상 하에 지지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리벳너트(120)의 이탈방지링(123)에는 복수의 마찰돌기(124)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고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100 is formed with a support hole 112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with respect to a through hole 1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10.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123 are formed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123 of the rivet nut 120, (12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rail.






KR2020160003334U 2016-06-15 2016-06-15 Bracket for Handrail KR20048948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34U KR200489481Y1 (en) 2016-06-15 2016-06-15 Bracket for Hand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34U KR200489481Y1 (en) 2016-06-15 2016-06-15 Bracket for Hand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40U KR20170004340U (en) 2017-12-26
KR200489481Y1 true KR200489481Y1 (en) 2019-06-24

Family

ID=6125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334U KR200489481Y1 (en) 2016-06-15 2016-06-15 Bracket for Hand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8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745A (en) * 2020-01-17 2021-09-08 Norcros Group Holdings Ltd A grab ra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4579B (en) * 2019-03-04 2024-03-29 沈阳精合数控科技开发有限公司 Universal riveting auxiliary tool and rivet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93B1 (en) * 2006-08-18 2007-08-08 주식회사 승일실업 Blaze-invasion prevention set for balustrade
KR101493970B1 (en) * 2014-04-16 2015-02-17 김현구 Fixed handrail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742A (en) * 1997-10-28 1999-05-18 Ichijyo Home Building Co Ltd Bracket for handra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93B1 (en) * 2006-08-18 2007-08-08 주식회사 승일실업 Blaze-invasion prevention set for balustrade
KR101493970B1 (en) * 2014-04-16 2015-02-17 김현구 Fixed handrail bra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745A (en) * 2020-01-17 2021-09-08 Norcros Group Holdings Ltd A grab 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40U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9549B2 (en) Pull up system and bar locking fastener therefor
US20050045785A1 (en)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a support to a rail of a deck
KR200489481Y1 (en) Bracket for Handrail
KR200480877Y1 (en) Fixing device of stone panel for architectures
TW201922146A (en) Corner member for a supportive frame assembly
JP3221490U (en) Handrail structure for care pole
KR200426209Y1 (en) Clamping Device for Installing Safety Working Table in Job Site
US10081935B2 (en) Brace support device
KR101458549B1 (en) Auto hinge axis supporter of hinged door
US3480242A (en) Removable stanchion
KR101493970B1 (en) Fixed handrail bracket
KR101403385B1 (en) Fixing bracket for construction pipe supporting tool
KR101425590B1 (en) The stairway where the angle control is possib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irway
KR200469870Y1 (en) Joist and yoke fastening device
KR200358782Y1 (en) A mold supporting member of upper slab for bridge
KR101823039B1 (en) A handrail fixing device for construction
GB2430006A (en) Clamping unit for a stairway
JPH0640735Y2 (en) Suspended support bracket
KR20150089198A (en) Nuts fastening device
JP4099421B2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horizontal handrail following vertical handrail
KR20180002527U (en) A variable support for construction
JP4073356B2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vertical handrail
JP2001193248A (en) Auxiliary handrail
KR101540887B1 (en) Device for fixing a vinyl
KR102302572B1 (en) Fixed structure of cei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