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41Y1 - 배관용 클램프 기구 - Google Patents

배관용 클램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41Y1
KR200489441Y1 KR2020180003279U KR20180003279U KR200489441Y1 KR 200489441 Y1 KR200489441 Y1 KR 200489441Y1 KR 2020180003279 U KR2020180003279 U KR 2020180003279U KR 20180003279 U KR20180003279 U KR 20180003279U KR 200489441 Y1 KR200489441 Y1 KR 200489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ring
band
diameter portion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필주
Original Assignee
공필주
강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필주, 강종덕 filed Critical 공필주
Priority to KR2020180003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용 클램프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암수 방식으로 끼워 져 있는 제1,2배관의 연결부위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써 제1,2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배관을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1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제1밴드링; 제2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2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제2밴드링; 상기 제1밴드링과 제2밴드링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제1밴드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밴드링에 연결되는 연결띠; 상기 제1,2플랜지로 하여금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옥죄기 위한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클램프 기구{Apparatus For Clamp For Pipes}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되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어 배관이 기울거나 직경이 조금 달라도 안정적으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관용 클램프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된다. 배관은 일반적으로 유체를 운반시키기 위한 유로를 위해 사용된다. 본 고안은 특히 보일러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기타 기체를 운반하기 위한 경량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량 배관를 연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배관을 암수방식으로 끼운 다음 그의 외주를 밴드, 클램프 등으로 감싼 후 단단히 조이는 것이다. 배관을 암수로 끼우기 위해서는 단관 형태로 된 조인트를 이용하거나 한쪽 배관의 직경을 조정해야 할 것이다. 배관의 직경을 조정하는 방법은 롤링을 통한 확관이 있다.
배관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클램프 또는 밴드의 형태도 다양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4-0006516호는 결속유지 클립이 클램프의 결속수단을 감싼 상태로 클램프의 일측에 걸어져 고정되므로, 결속수단이 진동 등 외력에 의해 풀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클램프의 결속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제안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7040호는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라브 벽체로부터 노출된 다수의 전산볼트에 결합되어 각종 배관들을 클램핑하기 위한 배관 클램프로서, 간편하고 신속한 클램프의 설치 또는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37597호는 배관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 파이프에 제2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클램핑 몸체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강종에 관계없이 미끌림 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써 배관 이음매에 있어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처럼 사용처, 배관의 특성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클램프가 제공된 바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보일러 연도나 덕트에 사용되는 경량 배관에 사용되는 클램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4-000651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704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3759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경량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배관에 흠집을 내지 않고 탄력적으로 배관을 파지함으로써 배관이 약간 기울어지더라도 빠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배관용 클램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암수 방식으로 끼워 져 있는 제1,2배관의 연결부위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써 제1,2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배관을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1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제1밴드링; 제2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2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제2밴드링; 상기 제1밴드링과 제2밴드링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제1밴드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밴드링에 연결되는 연결띠; 상기 제1,2플랜지로 하여금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옥죄기 위한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클램프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밴드링은 원주방향을 따라 대경부와 소경부가 번갈아가면서 배치되어 톱니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띠는 상기 제1,2밴드링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C"의 형태로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측면상 "
Figure 112018070366702-utm00001
"의 형태로 상기 제1,2밴드링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밴드링의 플랜지와 제2밴드링의 플랜지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볼트공이 타공되어 있음으로써 체결볼트와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조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경량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만곡되어 있는 연결띠에 의해 배관, 특히 배관의 롤링 부위에 흠집을 내지 않고 탄력적으로 배관을 파지할 수 있는 배관용 클램프 기구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클램프 기구에 의하면, 제1밴드링이 탄성적으로 제1배관을 조임으로써 제1배관이 제2배관에 대하여 약간 기울어지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또한 직경에 조금 차이가 나더라도 빠져버리거나 심하게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배관용 클램프 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클램프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클램프 기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클램프 기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클램프 기구의 설치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하겠으며, 필요한 곳에서는 다른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배관용 클램프 기구(1)는 암수 방식으로 끼워 져 있는 제1,2배관(100,200)의 연결부위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써 제1,2배관(100,2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2배관(100,200)은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바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100)에는 롤링부(101)가 배관연결을 위해 마련되어 있으며, 제2배관(200)에도 각각 롤링 또는 컬링에 의하여 말림부(201)와 확관부(202)가 마련되어 있다. 제2배관(200)은 보일러 등의 배연공에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203)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배관용 클램프 기구(1. 이하, '클램프 기구'라 한다)는 제1밴드링(10), 제2밴드링(20), 연결띠(30) 및 조임수단을 포함한다. 제1밴드링(10)은 제1배관(100)을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플랜지(40,41)가 마련되어 있다. 제2밴드링(20)은 제2배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플랜지(40,41)가 마련되어 있다. 제1밴드링(100)과 제2밴드링(200)은 연결띠(30)에 의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연결띠(30)는 제1밴드링(10)과 제2밴드링(20)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제1밴드링(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밴드링(20)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띠(30)에 의해 제1,2밴드링(10,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통공(31)이 마련되고 있다.
조임수단은 플랜지(40,41)로 하여금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옥죄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랜지(40,41) 자체와 체결볼트(2, 너트(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40,41)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제1,2밴드링(10,20)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2배관(100,200)을 조임으로써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5 내지 도 6 참조).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밴드링(10)의 플랜지(40,41)와 제2밴드링(20)의 플랜지(40,41)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하나의 체결볼트(2)를 이용함으로써 제1,2밴드링(10,20)을 동시에 조일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임수단으로 턴버클이 이용될 수도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클램프 또는 결속용 철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조임수단의 방식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제1,2밴드링(10,20)의 폭이 크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밴드링(10)의 플랜지(40,41)와 제2밴드링(20)의 플랜지(40,41)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독립되어 있는 2개의 조임수단을 각각 이용하여 제1,2배관(100,200)을 개별적으로 고정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밴드링(10)은 원주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12)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부(11)가 번갈아가면서 배치되어 기어의 이빨 또는 톱니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소경부(12)가 차지하는 원호길이와 대경부(11)가 차지하는 원호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배관(10)의 표면에 접촉되는 부분은 제1밴드링(10)의 소경부(12)가 될 것이다(도 6 참조).
제1밴드링(10)은 통상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정된 제2밴드링(20)에 대하여 제1밴드링(10)이 측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아니면 제1배관(100)의 직경이 기준치 보다 굵은 경우에도 제1밴드링(10)이 제1배관(10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대경부(11)에 의하여 제1밴드링(10)의 어느 정도 확장될 수 있는 여지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대경부(11)와 소경부(12)의 경계에는 경사부가 있는데 이 경사부는 제1밴드링(10)의 외측원 또는 내측원의 접선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띠(30)는 제1,2밴드링(10,20)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며, 측면상 "C"의 형태로 만곡되어 있다. 이로써 연결띠(30)는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 "
Figure 112018070366702-utm00002
"의 형태로 제1,2밴드링(10,20)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연결띠(30)는 제2배관(200)의 말림부(201)를 압박하여 찌그러뜨리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제1,2배관(100,200)을 서로 분리하려는 힘이 갑작스럽게 작용하여도 이를 탄성적으로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밴드링(20) 역시 제1밴드링(10)과 마찬가지로 소경부와 대경부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클램프 기구 2 : 체결볼트
10 : 제1밴드링 11 : 소경부
12 : 대경부 20 : 제2밴드링
30 : 연결띠 40,41 : 플랜지
100,200 : 제1,2배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암수 방식으로 끼워져 있는 제1,2배관의 연결부위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써 제1,2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배관을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1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제1밴드링;
    제2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2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제2밴드링;
    상기 제1밴드링과 제2밴드링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제1밴드링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밴드링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밴드링과 제2밴드링을 평행하게 이격시키며, 상기 제1밴드링과 제2밴드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통공을 마련하는 연결띠; 및
    상기 제1,2플랜지로 하여금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옥죄기 위한 조임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띠는 상기 제1,2밴드링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C"의 형태로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측면상 "
    Figure 112019020567891-utm00011
    "의 형태로 상기 제1,2밴드링을 연결하고,
    상기 제1밴드링은 원주방향을 따라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부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가 번갈아가면서 배치되어 톱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소경부가 차지하는 원호길이와 대경부가 차지하는 원호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제1배관의 표면에 소경부가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경계에 있는 경사부가 제1밴드링의 외측원, 또는 내측원의 접선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밴드링의 플랜지와 제2밴드링의 플랜지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볼트공이 타공되어 체결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조일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클램프 기구.
KR2020180003279U 2018-07-17 2018-07-17 배관용 클램프 기구 KR200489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79U KR200489441Y1 (ko) 2018-07-17 2018-07-17 배관용 클램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79U KR200489441Y1 (ko) 2018-07-17 2018-07-17 배관용 클램프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41Y1 true KR200489441Y1 (ko) 2019-06-19

Family

ID=6700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79U KR200489441Y1 (ko) 2018-07-17 2018-07-17 배관용 클램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4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763Y1 (ko) * 1997-09-25 2000-06-01 성재갑 위생 배관의 연결 장치(A device for connecting sanitary pipelines)
KR200382029Y1 (ko) * 2005-02-01 2005-04-18 유재혁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100923709B1 (ko) * 2009-08-06 2009-10-27 영동공업 주식회사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KR20120137597A (ko) 2011-05-19 2012-12-24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6211712A (ja) * 2015-05-13 2016-12-15 三菱樹脂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フランジ付き継手部材及びそ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763Y1 (ko) * 1997-09-25 2000-06-01 성재갑 위생 배관의 연결 장치(A device for connecting sanitary pipelines)
KR200382029Y1 (ko) * 2005-02-01 2005-04-18 유재혁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100923709B1 (ko) * 2009-08-06 2009-10-27 영동공업 주식회사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KR20120137597A (ko) 2011-05-19 2012-12-24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6211712A (ja) * 2015-05-13 2016-12-15 三菱樹脂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フランジ付き継手部材及びその接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6310B2 (en) Combination sealing member and pipe couplings
US6435565B2 (en) Clamp for closely spaced pipes
JP4134140B2 (ja) プロフィールクランプ
US10578234B2 (en) Coupling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US11725756B2 (en) Adapter coupling
US8424918B2 (en) Deformable mechanical pipe coupling with shoulder pipe elements
US3944265A (en) Exhaust system connector seal
US6328352B1 (en) Pipe coupling
EP2932145B1 (en) Jointed bridge for clamp assembly
WO2006094306A3 (en) Pipe clamp assembly with v-ring insert
US20090309355A1 (en) Double cover-center cushion decoupler
JP2005509103A (ja) パイプカプラ
EP08495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pipes
US20170211732A1 (en) Clamp
KR200489441Y1 (ko) 배관용 클램프 기구
GB2349677A (en) Earthquake resistant pipe coupling
US4063758A (en) Coupling for pipes
GB2161882A (en) Pipe couplings
JPH0132397B2 (ko)
US20020140232A1 (en) Device for axially conneting two pipe-like components
JP2017116102A (ja) 排気ターボチャージャのタービンハウジングと接続ハウジングとの間の結合装置
US20120061388A1 (en) Pipe and Pipe Joint Covering Apparatus
US4936609A (en) Connector for pipe joint
US3022561A (en) Tube clamp
CN112567162B (zh) 用于夹具组合件的止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