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71Y1 -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 Google Patents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71Y1
KR200488771Y1 KR2020180003613U KR20180003613U KR200488771Y1 KR 200488771 Y1 KR200488771 Y1 KR 200488771Y1 KR 2020180003613 U KR2020180003613 U KR 2020180003613U KR 20180003613 U KR20180003613 U KR 20180003613U KR 200488771 Y1 KR200488771 Y1 KR 200488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lder
distribution
cable
serie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식
Original Assignee
(주)천인
(주)가온전자
안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인, (주)가온전자, 안영식 filed Critical (주)천인
Priority to KR2020180003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6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e.g. around high voltage are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Abstract

본 고안은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배선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허용전력을 극대화하며 배선간의 간섭에 의한 쇼트가 방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있어서, 사각판상의 절연체로 형성된 보드몸체(10)와 상기 보드몸체(10)의 양측 단의 보드몸체(10) 양면에 형성된 파워단자(20), 상기 보드몸체(10)의 양면 파워 단자 사이에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직렬접속단자(30), 상기 직렬접속단자(30)의 솔더측에 형성되는 파워쇼트방지부(40) 및 파워단자(20)와 직렬접속단자(30)에는 솔더분할선부(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선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허용전력을 극대화하며 배선간의 간섭에 의한 쇼트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Distribution boards for power distribution cables for LED}
본 고안은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있어서, 직렬접속단자의 파워케이블 인입 측에 형성되는 파워쇼트방지부 및 파워단자와 직렬접속단자에는 솔더분할선부를 형성하여서, 배선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허용전력을 극대화하며 배선간의 간섭에 의한 쇼트가 방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은 직류변환되어 입력된 DC파워를 LED기구로 분배 공급하여 LED기구가 점등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은 직류변화된 DC파워가 입력되는 파워입력케이블과 상기 파워입력케이블과 결선되는 다수의 분배케이블 및 파워입력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된 전원을 분배케이블로 분배 결선시키는 분배보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분배보드는 사각판상의 절연체로 형성된 보드몸체와 상기 보드몸체의 양측 단의 보드몸체 양면에 형성된 파워솔더단 및 상기 파워솔더단 사이에 구비되는 직렬접속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은 SMD와 같은 직류변환장치에서 직류변환되어 입력된 DC파워를 파워입력케이블로 입력받아 다수의 분배케이블을 통하여 LED기구에 DC전원을 공급하여서 LED기구가 점등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는 솔더 결속되는 분배케이블이 상호간에 겹치게 구성되어 있어 배선의 간섭에 의한 쇼트 손상되고 허용전류가 낮아 과대 발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보 제20-0484405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가 솔더 결속되는 분배케이블이 상호간에 겹치게 구성되어 있어 배선의 간섭에 의한 쇼트 손상되고 허용전류가 낮아 과대 발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있어서, 사각판상의 절연체로 형성된 보드몸체와 상기 보드몸체의 양측 단 양면에 형성된 파워단자, 상기 보드몸체의 양면 파워 단자 사이에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직렬접속단자, 상기 직렬접속단자의 파워입력케이블 인입 측에 형성되는 파워쇼트방지부 및 파워단자와 직렬접속단자에 형성한 솔더분할선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파워단자와 직렬접속단자 및 파워쇼트방지부로 구성하고, 파워쇼트방지부 및 파워단자와 직렬접속단자에는 솔더분할선부를 형성함으로써, 배선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허용전력을 극대화하며 배선간의 간섭에 의한 쇼트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선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결선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솔더홀을 형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배선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배선간의 간섭에 의한 쇼트가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은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있어서, 보드몸체(10)와 파워단자(20), 직렬접속단자(30), 파워쇼트방지부(40) 및 솔더분할선부(5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드몸체(10)는 사각판상의 절연체로 형성되며 양면에 실장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워단자(20)는 보드몸체(10)의 양측 단 양면에 파워입력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동박과 갖은 도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직렬접속단자(30)는 보드몸체(10)의 양면 파워단자(20) 사이에 분배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동박과 갖는 도체로 등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파워쇼트방지부(40)는 직렬접속단자(30)를 파워단자(20)의 솔더부 측으로 짧게 형성하여 보드몸체(10)에 직렬접속단자(30)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솔더분할선부(50)는 파워단자(20)와 직렬접속단자(30)에 솔더되는 각 케이블이 분할되어 솔더되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솔더분할선부(50)가 형성된 파워단자(20)는 분배케이블 인입 측으로 두 개의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을 형성하고, 파워입력케이블 인입 측은 상기 두 개의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이 하나의 도선으로 연결되게 하는 파워연결도선(22)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솔더분할선부(50)가 형성된 직렬접속단자(30)는 분배케이블 인입 측으로 두 개의 직력접속분배솔더단(31)을 형성하고, 파워입력케이블 인입 측은 상기 두 개의 직렬접속분배솔더단이 하나의 도선으로 연결되게 하는 분배연결도선(32)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직렬접속분배솔더단과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 및 파워연결도선(22)에는 케이블 실장을 위한 솔더시 솔더가 정위치 솔더되게 도체를 원형으로 절개형성한 솔더홀(60)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적용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있어서, 사각판상의 절연체로 형성된 보드몸체(10)와 상기 보드몸체(10)의 양측 단의 보드몸체(10) 양면에 형성된 파워단자(20), 상기 보드몸체(10)의 양면 파워 단자 사이에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직렬접속단자(30), 상기 직렬접속단자(30)의 솔더측에 형성되는 파워쇼트방지부(40) 및 파워단자(20)와 직렬접속단자(30)에는 솔더분할선부(50)를 형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배선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허용전력을 극대화하며 배선간의 간섭에 의한 쇼트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상기 직렬접속단자(30)를 짧게 형성하여 보드몸체(10)의 파워입력케이블 인입 측에 파워쇼트방지부(40)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파워단자(20)에 솔더되는 파워입력케이블이 직렬접속단자(30)와 간섭되지 않고 안정되고 명확한 절연상태에서 솔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파워단자(20)에 솔더분할선부(50)를 형성하여 파워단자(20)를 2 개의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과 파워연결도선(22)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파워입력케이블의 솔더 위치와 상기 파워단자(20)에 솔더되는 분배케이블이 명확하게 이격되고 케이블이 한 곳에 집중 솔더되지 않아 한곳에 직중 적인 전원이 인가됨으로 인한 과열 및 허용전류가 낮아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직렬접속단자(30)에 솔더분할선부(50)를 형성하여 직렬접속단자(30)를 2 개의 직렬접속분배솔더단과 분배연결도선(32)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직렬 접속되는 각각의 분배케이블의 솔더 위치가 한 곳에 집중 솔더되지 않고 명확하게 상호 이격되어서 솔더되어 한 곳에 직중 적인 전원이 인가됨으로 인한 과열 및 허용전류가 낮아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상기 직렬접속분배솔더단과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 및 파워연결도선(22)에 솔더홀(60)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케이블 실장을 위한 솔더시 솔더가 정위치 솔더되어 파워입력케이블과 분배케이블이 명확한 위치에 솔더되는 것이다.
10 : 보드몸체
20 : 파워단자
21 : 직렬접속파워솔더단 22 : 파워연결도선
30 : 직렬접속단자
31 : 직력접속분배솔더단 32 : 분배연결도선
40 : 파워쇼트방지부
50 : 솔더분할선부
60 : 솔더홀

Claims (3)

  1.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에 있어서;
    사각판상의 절연체로 형성된 보드몸체(10)와 상기 보드몸체(10)의 양측 단 양면에 형성된 파워단자(20), 상기 보드몸체(10)의 양면 파워 단자 사이에 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직렬접속단자(30), 상기 직렬접속단자(30)의 파워입력케이블 인입 측에 형성되는 파워쇼트방지부(40) 및 파워단자(20)와 직렬접속단자(30)에 형성한 솔더분할선부(50)으로 구성하고;
    상기 솔더분할선부(50)가 형성된 파워단자(20)는 분배케이블 인입 측으로 두 개의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을 형성하고, 파워입력케이블 인입 측은 상기 두 개의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이 하나의 도선으로 연결되게 하는 파워연결도선(22)를 형성하며;
    상기 솔더분할선부(50)가 형성된 직렬접속단자(30)는 분배케이블 인입 측으로 두 개의 직렬접속분배솔더단(31)을 형성하고, 파워입력케이블 인입 측은 상기 두 개의 직렬접속분배솔더단이 하나의 도선으로 연결되게 하는 분배연결도선(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접속분배솔더단(31)는 케이블 실장을 위한 솔더시 솔더가 정위치 솔더되게 도체를 원형으로 절개형성한 솔더홀(6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직렬접속파워솔더단(21) 및 파워연결도선(22)에는 케이블 실장을 위한 솔더시 솔더가 정위치 솔더되게 도체를 원형으로 절개형성한 솔더홀(6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KR2020180003613U 2018-08-03 2018-08-03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KR200488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13U KR200488771Y1 (ko) 2018-08-03 2018-08-03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13U KR200488771Y1 (ko) 2018-08-03 2018-08-03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71Y1 true KR200488771Y1 (ko) 2019-07-04

Family

ID=6722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613U KR200488771Y1 (ko) 2018-08-03 2018-08-03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7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91B1 (ko) 2019-10-02 2020-03-04 주식회사 가온전자 직렬 led케이블 연결구
KR102096212B1 (ko) 2019-10-02 2020-04-01 주식회사 가온전자 병렬 led케이블 연결구
KR102099618B1 (ko) 2019-10-02 2020-04-10 (주)가온전자 병렬 연결 led케이블 제조방법
KR102099617B1 (ko) 2019-10-02 2020-04-10 (주)가온전자 직렬 연결 led케이블 제조방법
KR20220044252A (ko) 2022-03-21 2022-04-07 주식회사 가온전자 교류용 led케이블 접속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993A (ja) * 2007-02-07 2008-08-21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KR20110003164U (ko) * 2009-09-22 2011-03-30 (주)폴스텍 윙커의 엘이디 연결구조
KR200484405Y1 (ko)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993A (ja) * 2007-02-07 2008-08-21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KR20110003164U (ko) * 2009-09-22 2011-03-30 (주)폴스텍 윙커의 엘이디 연결구조
KR200484405Y1 (ko)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91B1 (ko) 2019-10-02 2020-03-04 주식회사 가온전자 직렬 led케이블 연결구
KR102096212B1 (ko) 2019-10-02 2020-04-01 주식회사 가온전자 병렬 led케이블 연결구
KR102099618B1 (ko) 2019-10-02 2020-04-10 (주)가온전자 병렬 연결 led케이블 제조방법
KR102099617B1 (ko) 2019-10-02 2020-04-10 (주)가온전자 직렬 연결 led케이블 제조방법
KR20220044252A (ko) 2022-03-21 2022-04-07 주식회사 가온전자 교류용 led케이블 접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771Y1 (ko)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용 분배보드
US10941930B2 (en) Radially symmetric electrical connector
US9178295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gold fingers
CN102365491A (zh) 具有至少一个发光带的照明系统
WO2022109072A4 (en) Dc power attachment device
CN107112654B (zh) 模块-端子台连接结构及连接方法
US10355423B2 (en) Hybrid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overvoltage protection
US20170303427A1 (en) High heat-dissipation circuit board assembly system and power supply including the same
EP2765347A1 (en) Light-emitting module, straight tube lamp and luminaire
US10165692B2 (en) Electrical device
US11201424B2 (en) Printed-circuit board connector for high-current transmission
US5616034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package
US9763333B2 (en) Shared resistor pad bypass
US20130003330A1 (en) Connection unit for electronic devices
EP3089563B1 (en) Use of a circuit board
US6671174B1 (en) 5-pin surface mount contacts and block assembly
US8882309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contacting a lighting means, a lighting module, or lamp
KR20110005943A (ko) 직류 전원 분배반
KR200423102Y1 (ko) 단자대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
CN210107328U (zh) 可串接线灯电路
KR102006268B1 (ko) Pcb 터미널 블록
CN214147805U (zh) 照明装置
CN217545892U (zh) 电力转换装置和马达单元
KR200471607Y1 (ko) 서지 보호장치
CN110062525B (zh) 一种紧固端子、印刷电路板及电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