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02Y1 -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 Google Patents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02Y1
KR200488102Y1 KR2020170005105U KR20170005105U KR200488102Y1 KR 200488102 Y1 KR200488102 Y1 KR 200488102Y1 KR 2020170005105 U KR2020170005105 U KR 2020170005105U KR 20170005105 U KR20170005105 U KR 20170005105U KR 200488102 Y1 KR200488102 Y1 KR 200488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auxiliary
fixing
hol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이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주 filed Critical 이형주
Priority to KR2020170005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홀더와 제2홀더를 고정구를 이용하여 쉽고 용이하게 총열에 고정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1홀더와 제2홀더의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내측에 라이트와 같은 조준장치를 연결하여 야간에 라이트를 이용하여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을 비추었을 때 총열이 같이 멧돼지를 향하기 때문에 야간의 유해동물을 빠르게 진압할 수 있으며 보조홀더체를 이용하여 라이트와 레이저포인터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향상과 함께 유해동물에 대한 조준사격이 향상될 수 있는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aim device holder for shotgun}
본 고안은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포인트나 라이트와 같은 장치를 엽총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에 관한 것이다.
근자들어 유해동물, 특히, 덩치가 크고 개체수가 많은 멧돼지로 인해 작물, 과수원, 분묘와 같은 유해동물의 먹을거리가 있는 야외 장소가 피해를 입고 있으며, 특히 농작물이나 먹을거리를 심어 놓으면 농작물이 자라기도 전에 유해동물들이 땅을 헤집어놓거나 모두 파먹어서 농민들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농작물 피해뿐만 아니라 유해동물들이 산에서 도심지까지 출몰하여 시민들에게 위협을 주거나 피해를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수단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해동물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 목책기나 덫, 차단끈, 총포(수렵)를 이용하여 살생, 포획하는 수단 및 기피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이 대상 농작물이나 시설물에 접근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수단이 있다.
이중, 총포를 이용한 유해퇴치수단의 경우에는 엽총으로 탄환을 발사하여 직접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을 퇴치하고 있는 바, 엽총으로 사용되는 탄환의 경우 산탄이라 불리우는 탄환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산탄은 발사된 산탄이 폭발할 때 여러 개의 작은 탄알이 터져 나오는 탄환을 일컫는 것으로, 잘고 작은 탄환 또는 연지탄을 많이 모아 발사하는 탄자이고 사격하면 탄환들이 넓게 퍼지면서 한꺼번에 발사되며 일반탄에 비해 사정거리와 관통력이 떨어지지만 탄이 확산되는 면 전체에 피해를 가할 수 있어 근거리에서 위력적이다.
한편, 엽총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는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진행되는 바, 주간의 경우에는 사물의 식별이 용이하기 때문에 레이저포인트나 라이트와 같은 장치가 필요치 않으나, 야간의 경우에는 주변이 어두워 사물의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레이저포인트나 라이트와 같은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야간의 경우 주변을 비추는 라이트를 들고 다녀야 하는 바 엽사가 한 손으로 라이트를 들고 다니는 과정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멧돼지에 대해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어 제대로 조준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격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간의 경우에는 주변 사물에 대한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정조준이 어려워 레이저 포인트와 같은 야간 조준장치를 엽총에 부착하여 사용하고는 있으나, 레이저 포인트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음에 따라 야간 사격에 있어서 어려움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171615호인 소총용 광학장치 홀더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광학장치몸체와, 상기 광학장치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상부홀더와, 타단부가 상기 상부 홀더의 타단부에 제1축에 의해 축결합되고 개인화기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홀더와, 상기 제1축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홀더를 탄성지지하는 제1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하부홀더의 일단부에 제2축에 의해 축결합되고 상기 상부홀더의 걸림턱이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와, 상기 제2축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고정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개인화기의 방아쇠의 주변에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걸림고정부에 연결되는 걸림해제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걸림해제부를 사용하여 광학장치몸체와 함께 상부홀더를 개인화기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개인화기에 홀더를 장착함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홀더에 광학장치만을 홀딩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라이트와 레이저포인트를 하나의 홀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71615호(2012.07.31.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38989호(2001.07.06. 등록)
본 고안은 야간 사격에 필요한 라이트와 레이저포인트와 같은 엽총용 조준장치를 하나의 홀더를 이용하여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함에 따른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엽총과 홀더와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는, 상단 내측에 호형의 제1밀착부가 구비되고 하단 내측에 호형의 제1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밀착부와 제1수용부 사이에 제1고정구멍을 갖는 제1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호형의 제1밀착부 상단에 제1걸이부가 구비되는 제1홀더와; 상기 제1밀착부와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상단 내측에 호형의 제2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수용부와 대칭되도록 하단 내측에 호형의 제2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밀착부와 제2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부와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과 대응되는 제2고정구멍을 갖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걸이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호형의 제2밀착부 상단에 제2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홀더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제1고정구멍과 상기 제2홀더의 제2고정구멍을 체결하여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를 총열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구멍의 내면에는 제1나사체결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의 내면에는 제2나사체결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의 외면에는, 상기 제1나사체결홈부와 제2나사체결홈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나사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홀더 또는 제2홀더 중 어느 하나의 홀더 하단 외면에는 보조체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체결부에 체결되는 보조홀더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보조체결부는, 상기 제1홀더 또는 제2홀더 중 어느 하나의 홀더 하단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경사면과 하단경사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진 복수개 체결돌부와; 상기 복수개 체결돌부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 체결홈부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홀더체는, 호형의 제1보조수용부와 상기 제1보조수용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결합구멍이 구비된 제1결합면과 상기 제1보조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 상단에 상기 체결돌부의 상단경사면이 끼워져 밀착되는 제1경사밀착홀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경사밀착면을 갖는 제1보조홀더와; 상기 제1보조홀더의 제1보조수용부와 대응되는 호형의 제2보조수용부와 상기 제2보조수용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구멍에 각각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이 각각 구비된 제2결합면을 갖는 제2보조홀더와; 상기 제1보조홀더의 제1경사밀착면에 밀착되는 제2경사밀착면이 상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부의 하단경사면이 끼워져 밀착되는 제2경사밀착홀이 상단 타측에 구비되며 가이드구멍을 갖는 밀착고정부와; 상기 밀착고정부의 가이드구멍을 관통하되 하단에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는 밀착가이드와; 상기 밀착가이드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연결부에 힌지연결되어 힌지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밀착가이드를 상기 제1보조홀더측으로 밀어주는 힌지푸싱부와; 상기 제1보조홀더와 상기 밀착고정부를 연결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보조홀더에 나사체결되되 하단이 상기 밀착가이드의 상단에 밀착되는 나사조절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제1홀더와 제2홀더를 고정구를 이용하여 쉽고 용이하게 총열에 고정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1홀더와 제2홀더의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내측에 라이트와 같은 조준장치를 연결하여 야간에 라이트를 이용하여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을 비추었을 때 총열이 같이 멧돼지를 향하기 때문에 야간의 유해동물을 빠르게 진압할 수 있으며 보조홀더체를 이용하여 라이트와 레이저포인터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향상과 함께 유해동물에 대한 조준사격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가 엽총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가 총열에 장착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의 보조홀더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의 보조홀더체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와 보조홀더체가 총열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와 보조홀더체가 총열에 장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홀더(10)와 제2홀더(20), 고정구(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홀더(10)와 제2홀더(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위치되어 엽총의 총열 외면에 각각 고정구(30)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엽총의 총열 외면에 밀착 고정된 제1홀더(10)와 제2홀더(20)를 이용하여 라이트나 레이저포인터와 같이 야간 사격에 필요한 조준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라이트나 레이저포인터와 같은 장치를 쉽고 간단하게 엽총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홀더(10)는, 상단 내측에 호형의 제1밀착부(11)가 구비되고 하단 내측에 호형의 제1수용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밀착부(11)와 제1수용부(12) 사이에 제1고정구멍(13)을 갖는 제1고정부(14)가 구비되며 상기 호형의 제1밀착부(11) 상단에 제1걸이부(1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제2홀더(20)는, 상기 호형의 제1밀착부(11)와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상단 내측에 호형의 제2밀착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수용부(12)와 대칭되도록 하단 내측에 호형의 제2수용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밀착부(21)와 제2수용부(22)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부(14)와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13)과 대응되는 제2고정구멍(23)을 갖는 제2고정부(24)와 상기 제1걸이부(15)와 대칭되도록 상기 호형의 제2밀착부(21) 상단에 제2걸이부(25)가 구비되며 상기 제1홀더(1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를 각각 호형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라이트나 레이저포인터의 외면이 대개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라이트나 레이저포인터의 외면이 상기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 내측에 위치되어 밀착 고정됨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밀착부(11)와 제2밀착부(21)를 호형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엽총의 총열 외면 각각에 상기 제1밀착부(11)와 제2밀착부(21)가 밀착 고정됨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1걸이부(15)와 제2걸이부(25)를 상기 제1밀착부(11)와 제2밀착부(21) 상단에 각각 구비한 이유는, 상기 제1밀착부(11)와 제1밀착부(21)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엽총의 총열 외면에 각각 밀착 고정된 후, 엽총의 총열 외면 상단에 상기 제1걸이부(15)와 제2걸이부(25)가 걸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홀더(10)와 제2홀더(20)가 엽총의 총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구(30)는, 상기 제1홀더(10)의 제1고정구멍(13)과 상기 제2홀더(20)의 제2고정구멍(23)을 체결하여 상기 제1고정부(14)와 제2고정부(24)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홀더(10)와 제2홀더(20)를 총열에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제1고정구멍(13)의 내면에는 제1나사체결홈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23)의 내면에는 제2나사체결홈부(23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나사체결홈부(131)와 제2나사체결홈부(231)에 나사체결되도록 나사돌부(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구(30)의 외면에 나사돌부(3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나사돌부(31)가 상기 제1나사체결홈부(131)과 제2나사체결홈부(231)에 각각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홀더(10)와 제2홀더(20)를 고정하면 되고, 제1홀더(10)와 제2홀더(20)를 엽총의 총열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역시 고정구(30)를 회전시켜 분리하면 쉽고 용이한 장착성은 물론 분리성에 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의 상기 제1홀더(10) 또는 제2홀더(20) 중 어느 하나의 홀더 하단 외면에는 보조체결부(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체결부(40)에 체결되는 보조홀더체(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보조체결부(40) 및 이 보조체결부(40)에 체결되는 보조홀더체(50)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하나의 엽총 총열에 라이트와 레이저포인터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체결부(40)는, 상기 제1홀더(10) 또는 제2홀더(20) 중 어느 하나의 홀더 하단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경사면(41)과 하단경사면(42)이 경사지게 이루어진 복수개 체결돌부(43)와, 상기 복수개 체결돌부(4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 체결홈부(4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홀더체(50)는, 호형의 제1보조수용부(511)와 상기 제1보조수용부(511)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결합구멍(512)이 구비된 제1결합면(513)과 상기 제1보조수용부(511)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 상단에 상기 체결돌부(43)의 상단경사면(41)이 끼워져 밀착되는 제1경사밀착홀(514)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경사밀착면(515)을 갖는 제1보조홀더(51)와, 상기 제1보조홀더(51)의 제1보조수용부(511)와 대응되는 호형의 제2보조수용부(521)와 상기 제2보조수용부(521)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구멍(512)에 각각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522)이 각각 구비된 제2결합면(523)을 갖는 제2보조홀더(52)와, 상기 제1보조홀더(51)의 제1경사밀착면(515)에 밀착되는 제2경사밀착면(531)이 상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부(43)의 하단경사면(42)이 끼워져 밀착되는 제2경사밀착홀(532)이 상단 타측에 구비되며 가이드구멍(533)을 갖는 밀착고정부(53)와, 상기 밀착고정부(53)의 가이드구멍(533)을 관통하되 하단에 힌지연결부(541)가 구비되는 밀착가이드(54)와, 상기 밀착가이드(54)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연결부(541)에 힌지연결되어 힌지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밀착고정부(53)와 밀착가이드(54)를 상기 제1보조홀더(51)측으로 밀어주는 힌지푸싱부(55)와, 상기 제1보조홀더(51)와 상기 밀착고정부(53)를 연결하는 스프링(56)과, 상기 제1보조홀더(51)에 나사체결되되 하단이 상기 밀착가이드(54)의 상단에 밀착되는 나사조절구(5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보조체결부(40)와 보조홀더체(50)는, 상기 보조체결부(40)의 상단경사면(41) 및 하단경사면(42)에 상기 보조홀더체(50)의 제1경사밀착홀(514)과 제2경사밀착홀(532)이 강하게 밀착되는 것에 의해 보조체결부(40)에 보조홀더체(50)를 체결한다.
즉, 상기 제1보조홀더(51)의 제1경사밀착홀(514)을 상기 보조체결부(40)의 상단경사면(41) 상단에 덮어지도록 끼운 상태에서 상기 힌지푸싱부(55)를 제1보조홀더(51)와 제2보조홀더(52)측으로 밀어주면 상기 밀착고정부(53)가 제1보조홀더(51)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밀착고정부(53)의 제2경사밀착홀(532)이 보조체결부(40)의 하단경사면(42)을 덮도록 밀착되면서 보조체결부(40)에 상기 보조홀더체(50)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또한, 보조체결부(40)에 보조홀더체(50)를 체결한 후, 상기 제1보조홀더(51)의 제1보조수용부(511)와 상기 제2보조홀더(52)의 제2보조수용부(521) 내측에 레이저포인터와 같은 조준장치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결합구멍(512)과 제2결합구멍(522)을 피스나 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제1보조홀더(51)와 제2보조홀더(52)에 고정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제1홀더 11 : 제1밀착부
12 : 제1수용부 13 : 제1고정구멍
14 : 제1고정부 15 : 제1걸이부
20 : 제2홀더 21 : 제2밀착부
22 : 제2수용부 23 : 제2고정구멍
24 : 제2고정구 25 : 제2걸이부
30 : 고정구 31 : 나사돌부
40 : 보조체결부 41 : 상단경사면
42 : 하단경사면 43 : 체결돌부
44 : 체결홈부 50 : 보조홀더체
51 : 제1보조홀더 52 : 제2보조홀더
53 : 밀착고정부 54 : 밀착가이드
55 : 힌지푸싱부 56 : 스프링
57 : 나사조절구 131 : 제1나사체결홈부
231 : 제2나사체결홈부 511 : 제1보조수용부
512 : 제1결합구멍 513 : 제1결합면
514 : 제1경사밀착홀 515 : 제1경사밀착면
521 : 제2보조수용부 522 : 제2결합구멍
523 : 제2결합면 531 : 제2경사밀착면
532 : 제2경사밀착홀 533 : 가이드구멍
541 : 힌지연결부

Claims (2)

  1. 상단 내측에 호형의 제1밀착부(11)가 구비되고 하단 내측에 호형의 제1수용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밀착부(11)와 제1수용부(12) 사이에 제1고정구멍(13)을 갖는 제1고정부(14)가 구비되며 상기 호형의 제1밀착부(11) 상단에 제1걸이부(15)가 구비되는 제1홀더(10)와;
    상기 호형의 제1밀착부(11)와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상단 내측에 호형의 제2밀착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수용부(12)와 대칭되도록 하단 내측에 호형의 제2수용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밀착부(21)와 제2수용부(22)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부(14)와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13)과 대응되는 제2고정구멍(23)을 갖는 제2고정부(24)와 상기 제1걸이부(15)와 대칭되도록 상기 호형의 제2밀착부(21) 상단에 제2걸이부(25)가 구비되며 상기 제1홀더(1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홀더(20)와;
    상기 제1홀더(10)의 제1고정구멍(13)과 상기 제2홀더(20)의 제2고정구멍(23)을 체결하여 상기 제1고정부(14)와 제2고정부(24)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홀더(10)와 제2홀더(20)를 총열에 고정하는 고정구(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구멍(13)의 내면에는 제1나사체결홈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23)의 내면에는 제2나사체결홈부(23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나사체결홈부(131)와 제2나사체결홈부(231)에 나사체결되도록 나사돌부(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홀더(10) 또는 제2홀더(20) 중 어느 하나의 홀더 하단 외면에는 보조체결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체결부(40)에 체결되는 보조홀더체(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체결부(40)는,
    상기 제1홀더(10) 또는 제2홀더(20) 중 어느 하나의 홀더 하단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경사면(41)과 하단경사면(42)이 경사지게 이루어진 복수개 체결돌부(43)와;
    상기 복수개 체결돌부(4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 체결홈부(44)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홀더체(50)는,
    호형의 제1보조수용부(511)와 상기 제1보조수용부(511)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결합구멍(512)이 구비된 제1결합면(513)과 상기 제1보조수용부(511)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 상단에 상기 체결돌부(43)의 상단경사면(41)이 끼워져 밀착되는 제1경사밀착홀(514)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경사밀착면(515)을 갖는 제1보조홀더(51)와;
    상기 제1보조홀더(51)의 제1보조수용부(511)와 대응되는 호형의 제2보조수용부(521)와 상기 제2보조수용부(521)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구멍(512)에 각각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522)이 각각 구비된 제2결합면(523)을 갖는 제2보조홀더(52)와;
    상기 제1보조홀더(51)의 제1경사밀착면(515)에 밀착되는 제2경사밀착면(531)이 상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부(43)의 하단경사면(42)이 끼워져 밀착되는 제2경사밀착홀(532)이 상단 타측에 구비되며 가이드구멍(533)을 갖는 밀착고정부(53)와;
    상기 밀착고정부(53)의 가이드구멍(533)을 관통하되 하단에 힌지연결부(541)가 구비되는 밀착가이드(54)와;
    상기 밀착가이드(54)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연결부(541)에 힌지연결되어 힌지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밀착고정부(53)와 밀착가이드(54)를 상기 제1보조홀더(51)측으로 밀어주는 힌지푸싱부(55)와;
    상기 제1보조홀더(51)와 상기 밀착고정부(53)를 연결하는 스프링(56)과;
    상기 제1보조홀더(51)에 나사체결되되 하단이 상기 밀착가이드(54)의 상단에 밀착되는 나사조절구(57)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KR2020170005105U 2017-09-28 2017-09-28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KR200488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05U KR200488102Y1 (ko) 2017-09-28 2017-09-28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05U KR200488102Y1 (ko) 2017-09-28 2017-09-28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02Y1 true KR200488102Y1 (ko) 2018-12-13

Family

ID=6466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105U KR200488102Y1 (ko) 2017-09-28 2017-09-28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98U (ko) * 2020-12-08 2022-06-15 김무중 총열에 자착되는 광 조사장비를 구비한 엽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898U (ja) * 1983-07-11 1985-02-05 アジアオプチカル株式会社 ライフルに照準スコ−プを取り付けるためのリングマウント
KR200238989Y1 (ko) 2001-04-25 2001-10-12 (주)이오시스템 케이-2소총의 조준경 홀더
JP2004271172A (ja) * 2003-03-05 2004-09-30 Patrick Arachequesne Sarl 小火器にホログラフ照準を取付けるための取付け機構
KR101171615B1 (ko) 2010-12-10 2012-08-09 이영욱 소총용 광학장비 홀더
KR20140034911A (ko) * 2011-06-17 2014-03-20 콜트 디펜스 엘엘씨 화기용 체결 전방 조준기 및 체결 전방 조준기가 형성된 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898U (ja) * 1983-07-11 1985-02-05 アジアオプチカル株式会社 ライフルに照準スコ−プを取り付けるためのリングマウント
KR200238989Y1 (ko) 2001-04-25 2001-10-12 (주)이오시스템 케이-2소총의 조준경 홀더
JP2004271172A (ja) * 2003-03-05 2004-09-30 Patrick Arachequesne Sarl 小火器にホログラフ照準を取付けるための取付け機構
KR101171615B1 (ko) 2010-12-10 2012-08-09 이영욱 소총용 광학장비 홀더
KR20140034911A (ko) * 2011-06-17 2014-03-20 콜트 디펜스 엘엘씨 화기용 체결 전방 조준기 및 체결 전방 조준기가 형성된 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98U (ko) * 2020-12-08 2022-06-15 김무중 총열에 자착되는 광 조사장비를 구비한 엽총
KR200495610Y1 (ko) 2020-12-08 2022-07-08 김무중 총열에 자착되는 광 조사장비를 구비한 엽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352A (en) Gun sight system
US11815327B2 (en) Archery bow support device
US9404711B1 (en) Reusable laser sighting device adapter for rocket launcher
US4594803A (en) Spent shell receiver
KR200488102Y1 (ko) 엽총용 조준장치 홀더
US11320231B2 (en) Double crossbow
US9316464B2 (en) Firearm lead sight
US9417025B1 (en) Apparatus having clamp device and forestock-support member for firearm
US11678656B2 (en) Mount accessory
US20160216062A1 (en) Quick disconnect accessory mount and safety latch
US6951072B2 (en) Barrel mounted foldout gunrest hook
US6499706B1 (en) Emplacement stand
US20030000123A1 (en) Device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ounting accessories to weapons including a scent generating device
US20140305020A1 (en) Firearm Camera Mount
KR102418457B1 (ko) 레이저 조준기가 장착된 엽총
US9733039B2 (en) Debris control apparatus
KR200495610Y1 (ko) 총열에 자착되는 광 조사장비를 구비한 엽총
US10365064B2 (en) Mount for rangefinders and other auxiliaries for shooting devices
US20200158469A1 (en) Adjustable Rotating Stock Butt and Sighting Device
US20130192073A1 (en) Laser targeting viewing device and method
RU20541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прицела на оружии
US10928151B2 (en) Portable weapon rest
RU200712028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дения прицельного огня стрелковым оружием
CA2901261A1 (en) Apparatus having clamp device and forestock-support member for firearm
RU22107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трубки холодной пристрел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