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44Y1 -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44Y1
KR200487944Y1 KR2020180000809U KR20180000809U KR200487944Y1 KR 200487944 Y1 KR200487944 Y1 KR 200487944Y1 KR 2020180000809 U KR2020180000809 U KR 2020180000809U KR 20180000809 U KR20180000809 U KR 20180000809U KR 200487944 Y1 KR200487944 Y1 KR 200487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quarium
bell
suction pip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0592U (en
Inventor
유진형
김문진
Original Assignee
유진형
김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형, 김문진 filed Critical 유진형
Priority to KR2020180000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44Y1/en
Publication of KR20180000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9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4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는 개방되고 외벽으로 둘러싸여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모아지며, 상부 중심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벨 모양을 가지며 내부공간이 투시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클리닝벨; 상기 클리닝벨의 상부의 통공에 연결되고 상부와 측부에 가지가 형성된 'ㅏ'형관;과 상기 'ㅏ'형관의 상부는 흡입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 타단에 연결되어 클리닝벨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키는 펌프가 연결되며; 상기 'ㅏ'형관의 측부에는 일단이 열려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감압관이 형성되며, 상기 'ㅏ'형관의 상부 흡입관과 측부 감압관의 내측부에는 관을 폐쇄할 수 있는 원반이 형성되고 원반과 연결된 외측부에는 흡입밸브와 감압밸브가 형성되어 'ㅏ'형관의 상부 흡입관과 측부 감압관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대형 아쿠아리움의 사육수 혼탁없이 바닥재 사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할 수 있어 전시의 중단 없이 바닥재를 세척하고 사육수 여과 효율을 높여 대형 아쿠아리움, 대형 양식 수조 등의 유지, 관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bell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bell shape which is opened at the bottom and surrounded by an outer wall and gradually gathered toward the upper part, A suc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pip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and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bell, A pump is connected to the pump; A pressure reducing pip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a' -shaped pipe so as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thereof. A disk for closing the pipe is formed at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ction pipe and the side pressure reducing pipe of the 'a'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suction pipe and the side decompression pipe of the 'a' -shaped pipe can be controlled by forming a suction valve and a pressure reducing valve on the outer side.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quarium, It is possible to remov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manage a large aquarium and a large aquarium by cleaning the flooring material without stopping the exhibition and increas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Description

대형 아쿠아리움 전시관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 large aquarium,

본 고안은 대형 아쿠아리움 전시관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족관 전체를 청소하지 않아도 주변 탁도를 제어하면서 일정 바닥부위의 침전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침전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precipitated foreign matter, which can easily remov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on a certain floor area while controlling the turbidity of surrounding water without cleaning the entire aquarium .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로 과거보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지면서 민물이나 바닷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치는 물고기를 육상에서 감상하며 삶의 여유를 찾고자 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이 자연에서 쉽게 만날 수 없는 수중 생물들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아쿠아리움은 큰 인기를 끌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who want to enjoy life in the sea while enjoying fish swimming freely in fresh water or the sea as being economically more abundant than the past. Also, the aquarium is very popular in that modern people can easily see underwater creatures that are not easy to meet in nature.

세계 최초의 수족관은 1853년에 문을 연 런던 동물원의 ‘피시 하우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부산광역시의 용두산공원에 최초의 해양수족관이 문을 열었으며, 서울 삼성동의 코엑스 아쿠아리움, 한국 최장 해저터널이 존재하는 부산광역시의 부산 아쿠아리움이 유명하며, 고양시에 위치한 아쿠아플라넷이 수도권에서 가장 큰 수족관이다.The world's first aquarium is the 'Fish House' of the London Zoo, which opened in 1853. In Korea, the first marine aquarium was opened in Yongdusan Park in Busan in 1977. The Busan Aquarium in Busan is famous for its COEX Aquarium in Seoul-dong, Seoul and the longest underwater tunnel in Korea. Is the largest aquarium in the world.

수족관은 물 속이나 물가에서 생활하는 동물을 수집, 사육, 진열, 전시하는 기능을 하는데, 어패류와 무척추동물, 양서류, 해양 포유동물, 파충류 등의 동물과 수초 등을 유리와 플라스틱 등 투명한 수조에 넣어 공개하게 된다. 그러나 자연 상태의 수계환경을 그대로 육상으로 가져와서 어류 등을 기르는 일은 복잡하면서도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시스템이다. 수족관의 물고기는 육상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인위적으로 조절되는 사육수에서 길러지기 때문에 수계 환경 스스로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여과, 수질 관리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An aquarium is a function that collects, breeds, displays and exhibits animals living in water or on the water. It puts animals and aquatic plants such as fish and shellfish, invertebrates, amphibians, marine mammals and reptiles in transparent water tanks such as glass and plastic Will be released. However, bringing the natural water environment to the land and raising the fish is a complex and careful system. Since fish in aquariums are cultivated in artificially controlled reservoirs in a limited space on the land, the aquatic environment can not maintain homeostasis by itself, and therefore, continuous management such as filtration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s necessary.

대형 수족관의 경우, 물고기들이 바다와 똑같은 환경 즉 수질을 만들어 줄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장비들을 통틀어 생명유지 여과장치(Life Support System;LSS)라고 한다. 여과장치의 구성을 보면 주로, 프로테인 스키머, 오존발생기, 샌드필터, Bio Ball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a large aquarium, it is called the Life Support System (LSS), in which the fish are installed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sea, that is, to provide water quality.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mainly includes a protein skimmer, an ozone generator, a sand filter, and a Bio Ball.

프로테인스키머는 사육수에 발생하는 유기물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된다. 수생생물의 먹고 남은 먹이 또는 배설물, 수초의 잎 등은 수질을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는데, 프로테인스키머는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아주 작은 공기 방울에 흡착하여 외부로 거품형태로 배출시켜 수조의 수질을 안정시키는 여과 장치이다. 스키머는 사육수에 떠도는 유기물들이 암모니아나 아질산으로 생물학적으로 분해되기 전에 직접 제거하는 방식의 여과로, 작은 공기방울과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므로 표면장력이 큰 해수 수족관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Protein skimmer is used to remove organic matter from breeding water. The protein skimmer adsorbs the organic matter present in the water in a very small amount of air bubbles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bubbles so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tank is reduced. It is a filtering device that stabilizes. The skimmer is a filtration method that removes floating organic matter before it is biologically decomposed into ammonia or nitrite by the use of small air bubbles and surface tension of water, so it is useful in a seawater aquarium with large surface tension.

수족관에서 오존(O3)은 응집제(flocculent), 살균제(disinfectant), 산화제(oxidant) 및 탈취제(eodorant)등으로 작용한다. 오존은 산화력이 염소의 6배가 될 정도로 높아 강력한 산화작용으로 미생물의 세포막을 파괴시키며, 유독한 암모니아와 아질산을비교적 무해한 질산염으로 산화시킨다. 또한 유기물을 산화시켜 전체 시스템 내의 유기물 부하량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용존 유기물이 산화되면 물 색이 투명해진다. 또한 발생된 오존은 무해한 산소로 쉽게 환원되어 수중에 용존 산소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오존은 또한 응집제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LSS에서 오존발생기는 스키머의 벤추리관에 연결된 관을 통하여 주입되며, 이 경우 사육수 내의 유기물양이 적으면 살균제로 작용하나, 유기물양이 많으면 응집제로 작용하여 포말형성을 촉진하여 유기물 제거에 기여하게 된다.In an aquarium, ozone (O 3 ) acts as a flocculent, a disinfectant, an oxidant and an eodorant. Ozone is oxidizing power as high as 6 times that of chlorine, so strong oxidizing action destroys the cell membrane of microorganisms and oxidizes toxic ammonia and nitrite to relatively harmless nitrate. It also oxidizes the organic material to reduce the organic loading in the overall system. When the dissolved organic matter is oxidized, the color of the water becomes transparent. In addition, the generated ozone is easily reduced by harmless oxygen and has an effect of increasing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Ozone can also be used as a coagulant. In a typical LSS, the ozone generator is injected through a pipe connected to the venturi tube of Skimmer. In this case, if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in the water is small, it acts as a disinfectant. Thereby promoting foam form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샌드필터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규조사에 물을 통과시켜 필터 표면에 의해 고형물질이 여과됨으로써 사육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이다. 또한, 호기성 박테리아가 많이 부착할 수 있도록 만든 플라스틱 공인 바이오볼을 통해 넓은 면적에서 여과할 수 있다. 수족관의 물은 배수되어 생명유지 여과장치를 거쳐 다시 수족관으로 입수되면서 지속적으로 수질이 관리된다.The sand filter is a filtration device that removes foreign matter from the breeding water by passing water through a cuvet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filtering the solid material by the filter surface. In addition, it can be filtered in a wide area through a bio-ball made of plastic that can attach a lot of aerobic bacteria. The water in the aquarium is drained and returned to the aquarium through the biofilter, and water quality is continuously maintained.

한편 아쿠아리움에서 바닥은 장식이나 여과 또는 수초 등의 식재를 위하여 적절한 바닥재를 선택하여 배치하게 된다. 바닥재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여과박테리아의 증식을 도우며, 물의 항상성 유치에 도움을 준다. 바닥재에는 자연 모래에서부터 흑사, 금사, 은사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작은 크기의 알갱이로 된 산호조각의 산호사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quarium, the floor is selected and placed with appropriate flooring for decoration, filtration or planting such as aquatic plants. The bottom layer has a large surface area, which helps the growth of filtration bacteria and helps attract water homeostasis.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ooring, from natural sand to black sand, gold and silver, and there are coral sculptures made of small sized granules.

아름다운 수족관의 조성을 위하여, 그리고 여과와 수초 등을 위하여 바닥재가 필요하지만 바닥재 사이에는 섭이되지 않은 어류의 먹이나 배설물이 침전되거나 사육수에 부유하던 이물질이 침전되어 부패하여 수질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굵은 알갱이의 바닥재를 사용할 경우, 침전 이물질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나, 이러한 지속적인 여과에도 수족관 하부에 이물질이 침전되어 수질악화의 원인이 된다. For the construction of a beautiful aquarium, and for filtration and aquatic plants, it is necessary to have a flooring, bu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food and feces of undisturbed fish are settled between floors, or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water is precipitated and deteriorated. Particularly when using the coarse grain flooring, a large amount of precipitated foreign matter may occur. Therefore, even in this continuous filtration, foreign matter precipitates in the lower part of the aquarium, which causes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대형 아쿠아리움의 경우, 이러한 침전 이물질은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침전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육수가 쉽게 혼탁해지며, 이는 전시를 위해 투명도를 유지해야하는 아쿠아리움에서는 제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물질이 분산되면서, 유해 세균을 퍼뜨리거나 유해 세균에 영양물질을 공급하여 수질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In the case of a large aquarium, these precipitated foreign substances are not easily remov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sediment foreign matter, breeding water becomes turbid easily, which is difficult to remove in an aquarium where transparency must be maintained for exhibition.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spersed, the harmful bacteria are spread, or the nutrients are supplied to the harmful bacteria to caus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대형 아쿠아리움에서는 수족관을 비우고 청소하기도 용이하지 않아 이러한 침전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 large aquarium, it is not easy to empty and clean an aquari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device that can easily remove such sediment foreign substance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91056호에서는 상기 수족관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장치, 물을 흡입하기 위한 워터펌프, 상기 여과장치와 워터펌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 상기 워터펌프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공기배출노즐, 및 상기 물/공기배출노즐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호스를 구비하는 수족관용 이물질 제거장치로서, 상기 여과장치는 필터본체;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이물질거름통;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며, 원주면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제2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본체와 이물질거름통이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이 장착되는 필터수용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Korean Patent No. 10-0791056,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for aquarium includes a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 water pump for sucking water, 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filtration device and the water pump, A water / air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water, and an air suction hose connected to the water / air discharge nozzle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filter device comprises: a filter body; A foreign matter filter for accommodating foreign matter; A second filter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tube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ts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length direction; And a filter accommodating tank in which the filter body and the foreign matter filtering tu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 which the connecting pipe is moun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7173호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족관의 수질을 수중생물의 생육에 적합한 수질환경으로 개선하고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거품제거구역, 정수구역, 유량조절구역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거품제거구역에 설치되고 물에 포함된 거품과 함께 단백질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장치와, 거품제거구역과 유량조절구역을 연결하는 유량조절관과, 정수구역에 설치되고 거품제거장치를 통과하면서 거품과 부유물질 등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되는 물In Korean Patent No. 10-0957173, a case is divided into a bubble removing zone, a water purification zone, and a flow rate control zone so as to improve and maintain the water quality of aquarium to a water quality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growth of aquatic organisms, A defoaming device installed in the defoaming zone to remove suspended substances such as proteins with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a flow control pipe connecting the defoaming zone and the flow control zone, a bubble eliminator Water that flows in the state that bubbles and floating substances are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을 2차로 정수하여 고형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력식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를 개시하고 있다.And a gravity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solid matter by purifying the water in aquatic environ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9185호에서는 수족관 내에 담수 된 물이 일정기간이 경과 하여 활어 등으로부터 이물질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족관을 청소할 때 수족관에 연결된 필터부를 분리하여 청소한 후 다시 결합 설치함으로 수족관내의 물을 전부 배출하지 않고 간편하게 수족관을 청소할 수 있는 수족관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9185 discloses a method of cleaning aquarium by removing filter parts connected to an aquarium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live fish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lapses in the aquarium, Which can easily clean the aquarium without discharging all of the water in the aquarium.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8911호에서는 물의 순환방식인 바이패스(by pass) 방식을 오버 플로우(over flow) 방식으로 전환시켜 수조내의 물을 원활히 순환시키고 물의 순환 방향에 따라 활어의 배설물 또는 비늘 등이 수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을 스트레이너(strainer) 또는 엘리먼트(element)를 정수기로 유입되기 직전에 설치하여 이물질이 정수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수질을 오래도록 유지 시켜주는 활어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Korean Patent No. 10-1068911, by-pass system, which is a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s converted into an overflow system so that water in a water tank is circulated smoothly. In accordance with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water, A foreign matter moving along the strainer may be installed just before the strainer or the element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purifier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water purifier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nd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for a long time. Removal device.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외벽으로 둘러싸이며 하부는 열려 있는 일정 부피를 갖는 클리닝벨, 클리닝벨의 상부의 통공에 연결되고 상부와 측부에 가지가 형성된 'ㅏ'형관이 형성되어 사육수의 혼탁없이 바닥재 사이에 침전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본 고안의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 과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a cleaning bell having a through-hole formed at its upper portion and surrounded by an outer wall, a lower portion having a certain volume, a cleaning bell connected to the upper hole of the cleaning bell,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aquarium sediment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foreign matter precipitated between the bottom materials is efficiently removed without causing turbidity of the aquarium.

대형 아쿠아리움이나 양식수조의 경우, 바닥재 사이로 침전된 침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특히 전시 목적의 수조에서 전시나 양식 중에 사육수의 투명도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거하기는 쉽지 않았다. 특히 침전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육수가 쉽게 혼탁해지며, 이물질이 분산되면서, 유해 세균을 퍼뜨리거나 유해 세균에 영양물질을 공급하여 수질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으며, 대형 아쿠아리움은 수족관을 완전히 비우고 청소하기도 용이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대형 아쿠아리움, 또는 양식수조 등에서 사육수의 혼탁없이 바닥재 사이에 침전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아쿠아리움 침전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large aquariums and aquaculture tanks, it is not easy to remove precipitated sediment that has settled between the bottoms, and it was not easy to remove them without affecting the transparency of the water in the exhibition or the aquaculture, especially in the exhibition tanks.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removing sediment foreign matter, the breeding water easily becomes turbid. As the foreign matter is disper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armful bacteria are spread or the nutrients are supplied to the harmful bacteria to cause th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The large aquarium can completely empty and clean the aquarium It was not eas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quarium sediment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at effectively removes foreign matter precipitated between the bottoms of a large aquarium or aquaculture tank without causing turbidity of raised water.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는 개방되고 외벽으로 둘러싸여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모아지며, 상부 중심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벨 모양을 가지며 내부공간이 투시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클리닝벨; 상기 클리닝벨의 상부의 통공에 연결되고 상부와 측부에 가지가 형성된 'ㅏ'형관;과 상기 'ㅏ'형관의 상부는 흡입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 타단에 연결되어 클리닝벨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키는 펌프가 연결되며; 상기 'ㅏ'형관의 측부에는 일단이 열려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감압관이 형성되며, 상기 'ㅏ'형관의 상부 흡입관과 측부 감압관의 내측부에는 관을 폐쇄할 수 있는 원반이 형성되고 원반과 연결된 외측부에는 흡입밸브와 감압밸브가 형성되어 'ㅏ'형관의 상부 흡입관과 측부 감압관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bell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bell shape which is opened at the bottom, gently gathered at the upper part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and formed at the upper center, A suction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pip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and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bell, A pump is connected to the pump; A pressure reducing pip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a' -shaped pipe so as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thereof. A disk for closing the pipe is formed at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ction pipe and the side pressure reducing pipe of the 'a' And a suction valve and a pressure reducing valve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suction pipe and the side pressure reducing pipe of the 'a' pipe.

본 고안에 따른 아쿠아리움 침전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여 대형 아쿠아리움의 사육수 혼탁없이 바닥재 사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전시의 중단 없이 침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여과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바닥재를 세척하고 사육수 여과 효율을 높여 대형 아쿠아리움, 대형 양식 수조 등의 유지,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without stopping the exhibition by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precipitated between the floors without causing turbidity of water for raising a large aquarium by means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the aqua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to maintain and manage large aquariums and large aquariums by raising water filtr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부 단면도이다. A : 클리닝벨을 오염물질이 침전된 바닥재에 고정한 모습. B : 펌프 작동으로 클리닝벨 내에 음압이 형성되어 바닥재와 오염물질이 떠오른 모습. C : 감압밸브를 열어 클리닝벨 내부 음압을 낮추어 바닥재가 하부러 떨어지는 모습. D : 클리닝벨 내부의 침전 이물질이 제거된 모습.
도 2는 본 고안의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가 아쿠아리움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를 대형 수족관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aquarium sediment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e cleaning bell is fixed to the settled flooring. B: Sound pressure builds up in the cleaning bell due to pump operation, resulting in flooring and contaminants rising. C: Opening the decompression valve to lower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causing the bottom to fall down. D: The precipitate inside the cleaning bell has been remove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quarium settling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quarium.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quarium sediment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large aquarium.

본 고안은 대형 아쿠아리움에서 사육수 혼탁없이 바닥재 사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전시의 중단 없이 바닥재를 세척하고 침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sediment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capable of removing floor sediment and removing sediment foreign matter without stopping the exhibition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precipitated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s in a large aquarium.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concrete exampl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외벽으로 둘러싸이며 하부는 열려 있는 일정 부피를 갖는 클리닝벨(110), 클리닝벨(110)의 상부의 통공에 연결되고 상부와 측부에 가지가 형성된 'ㅏ'형관(160), 'ㅏ'형관(160)의 상부는 흡입관(12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120) 타단에 연결되어 클리닝벨(110)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키는 펌프, 'ㅏ'형관(160)의 측부에는 일단이 열린 감압관(140)에 형성되고, 감압관(14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감압밸브(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aquarium sediment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bell 110 includes a cleaning bell 110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its upper portion and surrounded by an outer wall and having a predetermined open volume at its lower portion. The cleaning bell 110 is connected to a through ho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bell 110, A pump for connecting the suction pipe 120 to one end of the suction pipe 120 and forming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And a decompression valve (150) formed on the side of the decompression pipe (140) and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compression pipe (140).

도 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리닝벨(110)은 하부가 열려져 있는 종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쿠아리움의 침전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클리닝벨(110)의 하부의 열린 부분을 이물질을 제거하려는 바닥에 고정시킨다. 침전이물질은 주로 바닥재의 사이에 끼어 있어 외관으로는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바닥재 아래에서 부패가 진행되어 암모니아 등 수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클리닝벨(110) 하부의 열린 부분을 바닥재(a)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클리닝벨(110)을 바닥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클리닝벨(110)이 바닥에 고정되면 클리닝벨(110) 내부 공간이 외부와 일시적으로 격리된다. 이때 클리닝벨(110) 상부에 연결된 'ㅏ'형관(160)의 두 연결부는 흡입밸브(130)와 감압밸브(150)에 의하여 모두 닫혀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A), the cleaning bell 110 is formed as a bell with a bottom opened. The open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bell (110) is fixed to the flo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to remov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from the aquarium. Precipitated foreign matter is often trapped between the flooring and is often invisible to the outside, but corruption may progress under the flooring, which may deteriorate the quality of water such as ammonia. The cleaning bell 110 is fixed to the floor by inserting the open part under the cleaning bell 110 into the flooring material a. When the cleaning bell 110 is fixed to the floor, the inner space of the cleaning bell 110 is temporarily isolat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two connection portions of the 'a' -shaped tube 16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bell 110 are closed by the suction valve 130 an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50.

도 1의 B는 펌프 작동으로 클리닝벨 내에 음압이 형성되어 바닥재와 오염물질이 떠오른 모습을 나타낸다. 클리닝벨(110)이 바닥재에 고정되면 펌프(200)를 작동시키고, 흡입밸브(130)를 열어 클리닝벨(110) 내부에 순간적인 음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음압은 클리닝벨(110) 내부에 위치한 바닥재(a)와 여기에 침전된 이물질(b)을 상부로 용승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이어야 한다.FIG. 1B shows a state in which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cleaning bell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to cause the bottom material and the contaminants to float. When the cleaning bell 110 is fixed to the bottom material, the pump 200 is operated and the suction valve 130 is opened to generate instantaneous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This sound pressure should be sufficient to allow the flooring (a) located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and the foreign matter (b) deposited thereon to topple.

대형 아쿠아리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바닥재인 산호사는 특히 일반 모래보다 그 비중이 낮아 본 고안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여 상부로 쉽게 올라온다. 또한 해수수조에 바닥재로 산호사를 사용하면 산호사가 pH 상승과 칼슘 보강으로 인한 수질 안정을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다. 클리닝벨(110)의 공간이 넓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펌프에 의해서 산호사 이외에 일반 모래도 쉽게 클리닝벨(110)로 올라올 수 있다.As a general flooring used in a large aquarium, the coral is easily raised to the upper part by the sediment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ower in specific gravity than ordinary sand. In addition, when coral is used as a bottom material in a seawater tank, the coral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quality of the water due to pH increase and calcium reinforcement. Since the space of the cleaning bell 110 is not wide, ordinary sand other than the coral can be easily raised to the cleaning bell 110 by a general pump.

클리닝벨(110)에서 바닥재와 오염물질이 움직이면서 서로 분리되고 바닥재는 클리닝벨(110) 내부의 사육수에 의하여 세척된다. 이때 클리닝벨(110) 내부는 외부와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침전 오염물질이 클리닝벨 내부에서 용승되더라도 클리닝벨(110) 외부로 퍼지지 않고, 클리닝벨 내부에서 모두 처리된다. 따라서 대형 아쿠아리움에서 본 고안에 따른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로 침전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는 제거되는 이물질은 클리닝벨(110)과 흡입관(120) 만을 거쳐 제거되고 클리닝벨(110) 외부로 확산되지 않기 때문에 사육수가 혼탁되지 않고 바닥재의 침전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강한 음압에 의하여 바닥재가 클리닝벨(110)의 상부 흡입관(120)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즉, 바닥재가 흡입관(120)으로 올라가기 전 'ㅏ'형관(160) 일측에 형성된 감압밸브(150)를 열어 클리닝벨(110) 내부의 음압을 낮춘다.In the cleaning bell 110,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contamina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moving, and the flooring material is cleaned by the breeding water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At this time, since the inside of the cleaning bell 110 is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settling contaminants are swollen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the cleaning bell 110 is not spread out of the cleaning bell 110,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to be removed is removed only through the cleaning bell 110 and the suction pipe 120 and is not diffused outside the cleaning bell 110 during the removal of the precipitated foreign substances by the apparatus for removing precipitated foreign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large aquarium. It is possible to remov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without being cloudy. At this time, care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 bottom material from rising to the upper suction pipe (120) of the cleaning bell (110) by strong sound pressure. That is, before the bottom material moves up to the suction pipe 120,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50 formed at one side of the 'a' mold 160 is opened to lower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도 1의 C는 감압밸브를 열어 클리닝벨 내부 음압을 낮추어 바닥재가 하부러 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감압밸브(150)를 열면 감압관(140)으로 클리닝벨 외부의 사육수가 흡입되므로 상대적으로 클리닝벨(110) 내부의 음압은 낮아진다. 이 때문에 바닥재는 충분한 압력을 받지 못하고 자신의 무게에 의하여 클리닝벨(110)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바닥재와 함께 용승했던 침전 이물질은 바닥재보다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클리닝벨(110) 내부 음압이 감압된 후에도 상부의 흡입관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1C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ttom of the floor is dropped by lowering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by open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When the decompression valve 150 is opened, the breeding water outside the cleaning bell is sucked by the decompression pipe 140, so that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is relatively low. As a result, the floor material does not receive sufficient pressure and fall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bell 110 due to its own weight. However, since the sediment foreign body that has survived with the flooring material has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e flooring material,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110 is sucked into the upper suction pipe even after the pressure is reduced.

도 1의 D는 클리닝벨 내부의 침전 이물질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바닥재의 세척을 극대화하고 침전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감압밸브(150)를 열었다 닫았다를 반복하며 바닥재와 침전이물질을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때 클리닝벨 내부의 침전이물질은 상부 흡입관(120)으로만 흡입되고 클리닝벨(110) 외부로 확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클리닝벨(110) 내부의 침전이물질이 제거되면 클리닝벨(110)을 다른 바닥재부분으로 이동시켜 침전이물질을 제거한다.FIG. 1D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cipitated foreign matters in the cleaning bell are removed. Repeat the decompression valve (150) opening and closing to maximize the cleaning of the flooring and completely remove any precipitate, and completely separate the flooring and sediment.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precipitated foreign substances in the cleaning bell are sucked only into the upper suction pipe 120 and not diffused outside the cleaning bell 110. When the precipitated foreign substances in the cleaning bell 110 are removed, the cleaning bell 110 is moved to another bottom portion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따라서 본 고안의 아쿠아리움 이물질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바닥재의 침전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클리닝벨의 열린 하부를 아쿠아리움의 바닥재 사이에 고정하는 단계 (1), 클리닝벨 내부로 바닥재와 침전이물질이 떠오르도록 클리닝벨 내부에 음압을 가하는 단계 (2), 상기 떠오른 바닥재가 흡입관에 흡입되기 전에 감압밸브를 열어 클리닝벨 내부를 감압시키고 바닥재는 가라앉히고 침전이물질은 흡입관으로 흡입시키는 단계 (3)로 침전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클리닝벨 내부의 침전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2)단계와 (3)단계를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remov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floor by using the aquarium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1) of fix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cleaning bell between the floor materials of the aquarium, a cleaning bell (3) to remove the precipitated foreign material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bell (2), opening the decompression valve to reduce the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soaking the bottom material and sucking the precipitated foreign material into the suction pipe And steps (2) and (3)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precipitated foreign matters in the cleaning bell are completely removed.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유기물을 직접 제거하여 유기물로 인한 수질의 개선과 함께 침전물로 인한 유해가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의 상하 운동으로 바닥재가 세척됨으로써 바닥재의 여과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directly remove the organic matter,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organic matter and preventing the harmful gas caused by the sediment. Also, since the floor material is washed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loor material,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floor material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도 2는 본 고안의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가 아쿠아리움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흡입관(120)으로 흡입된 침전이물질이 혼합된 사육수는 1차 여과를 거친 후, 생명유지 여과장치(Life Support System;LSS)로 이동하여 프로테인 스키머, 오존발생기, 샌드필터 및 Bio Ball 등을 거쳐 사육수로 재활용될 수 있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quarium settling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quarium. The feed water mixed with the sediment foreign material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120 is subjected to the primary filtration and then moved to the life support system (LSS), and is passed through the protein skimmer, the ozone generator, the sand filter, It can be recycled as breeding water.

도 3은 본 고안의 아쿠아리움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를 대형 수족관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대형 아쿠아리움에서는 잠수부가 오염물질이 침적된 바닥을 중심으로 본 고안에 따른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침전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오염물질의 제거를 확실히 하고 바닥재가 흡입관(120)으로 딸려올라오지 않도록 클리닝벨(110)은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 아크릴,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quarium sediment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large aquarium. In a large aquarium, divers can remove sediment from the sediment using a sediment removal device based on the idea that the sediment is centered on the sediment floor. The cleaning bell 1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 translucent material and is preferably formed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acrylic, transparent or translucent plastic so as to ensure the removal of contaminants and to prevent the bottom material from coming up with the suction tube 120.

본 고안에 따른 아쿠아리움 침전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여 대형 아쿠아리움의 사육수 혼탁없이 바닥재 사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전시의 중단 없이 바닥재를 세척하고 침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여과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직접 제거로 사육수 여과 효율을 높여 대형 아쿠아리움, 대형 양식 수조 등의 유지, 관리에 이용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precipitated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s without rubbing the surface of the large aquarium by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quarium, thereby reducing the filtration cost by cleaning the flooring material and removing precipitated foreign matter, It can be used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large aquariums and large aquariums by raising water filtration efficiency by direct elimination of foreign matter, which is industrially applicable.

100 : 수족관 110 : 클리닝벨
120 : 흡입관 130 : 흡입밸브
140 : 감압관 150 : 감압밸브
160 : 'ㅏ'형관
200 : 펌프 210 : LSS
220 : 입수관
a : 바닥재 b : 오염물질
100: Aquarium 110: Cleaning Bell
120: suction pipe 130: suction valve
140: Pressure reducing pipe 150: Pressure reducing valve
160: 'a' mold
200: pump 210: LSS
220: Receiving pipe
a: Flooring material b: Contaminant

Claims (1)

대형 아쿠아리움의 전시관 수중에서 잠수부가 사용하는 침전이물질 제거장치로서,
하부는 개방되고 외벽으로 둘러싸여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모아지며, 상부 중심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벨 모양을 가지며 내부공간이 투시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클리닝벨;
상기 클리닝벨의 상부의 통공에 연결되고 상부와 측부에 가지가 형성된 'ㅏ'형관;
상기 'ㅏ'형관의 상부는 흡입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 타단에 연결되어 클리닝벨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키는 펌프가 연결되며; 상기 'ㅏ'형관의 측부에는 일단이 열려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감압관이 형성되며;
상기 'ㅏ'형관의 상부 흡입관과 측부 감압관의 내측부에는 관을 폐쇄할 수 있는 원반이 형성되고 원반과 연결된 외측부에는 원반의 개폐를 조절하는 흡입밸브와 감압밸브가 형성되어
대형 아쿠아리움의 전시관 수중에서 잠수부가 'ㅏ'형관의 상부 흡입관과 측부 감압관의 원반 개폐를 조절함으로서, 클리닝벨 내부에서 떠오른 바닥재가 흡입관으로 흡입되기 전에 감압밸브를 열어 클리닝벨 내부를 감압시켜 바닥재는 가라앉히고 침전이물질은 흡입관으로 흡입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아쿠아리움 전시관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
As a sediment removal device used by diver in the exhibition hall of a large aquarium,
A cleaning bell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bell shape in which a lower part is opened and surrounded by an outer wall and gently gathered toward the upper part,
'A' shaped pipe connected to the upper hole of the cleaning bell and having branches formed on the upper and side portions;
An upper portion of the 'a' -shaped pipe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suction pipe, a pump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to form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cleaning bell; A pressure reducing pipe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a' -shaped pipe so that one end thereof is opened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A disk for closing the tub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ction pipe and the side decompression tube of the 'a' -shaped tube, and a suction valve and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k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connected to the disk
In the exhibition hall of a large aquarium, the diver adjus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suction pipe and the side decompression pipe of the 'a' pipe, so that the floating material inside the cleaning bell is decompressed inside the cleaning bell by open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before being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And the sucked foreign matter can be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to be removed. The apparatus for removing precipitated foreign substances in a large aquarium exhibition hall.
KR2020180000809U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KR2004879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09U KR200487944Y1 (en)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09U KR200487944Y1 (en)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265A Division KR20170139830A (en) 2016-06-10 2016-06-10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92U KR20180000592U (en) 2018-02-28
KR200487944Y1 true KR200487944Y1 (en) 2018-11-23

Family

ID=6138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09U KR200487944Y1 (en)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4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7742A (en) * 2018-10-15 2019-01-15 合肥亿翔智能制造有限公司 A kind of filter mechanism of fish pond clean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962B2 (en) * 1990-11-13 2000-01-24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Video data compression coding
JP3168041B2 (en) * 1991-12-27 2001-05-21 旭化成株式会社 Connection structure of wood panel base
KR200370594Y1 (en) 2004-08-23 2004-12-17 유귀식 A glass fish bowl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962U (en) * 1994-03-14 1994-09-06 株式会社マリンインテリアエンジニアズ Aquarium cleaning device
DE19948405A1 (en) * 1999-10-07 2001-04-12 Dieter Thom Device and method for detaching deposits and incrustations in water systems
KR100791056B1 (en) 2007-10-01 2008-01-04 강동완 Contaminat elminating apparatus for aquarium
KR101068911B1 (en) 2008-10-29 2011-09-30 곽일 Debris Removal Device in Live Fish Tank
KR100957173B1 (en) 2009-06-03 2010-05-11 김혜경 Purifier of quality of water for aquarium
KR101119185B1 (en) 2009-07-14 2012-03-20 문경수 An aquarium
JP3168041U (en) * 2010-07-02 2011-06-02 康夫 久保田 Atmospheric pressure reduc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962B2 (en) * 1990-11-13 2000-01-24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Video data compression coding
JP3168041B2 (en) * 1991-12-27 2001-05-21 旭化成株式会社 Connection structure of wood panel base
KR200370594Y1 (en) 2004-08-23 2004-12-17 유귀식 A glass fish bowl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92U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734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US10982400B2 (en) Structure for an aquatic space and method for conserving large bodies of water
US5160622A (en) Method for filtering aquarium water
US6517724B1 (en) Air charged backwashing bioclarifier
ES2844402T3 (en) Structure containing a body of water greater than 15,000 m3 for recreational use
KR101867109B1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JP2007508813A (en) Autotrophic sulfur denitrification chamber and calcium reactor
CN109796109A (en) A kind of sea-farming seed breeding purificating raw water processing method
CA3091737A1 (en) Aquaculture cage comprising a main chamber and a peripheral ring chamber
JP2007325558A (en) Method for water treatment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KR200487944Y1 (en)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WO2000006504A1 (en) Clean water system and its structure
JP3955192B2 (en) Aquaculture equipment
KR200257701Y1 (en) Aquarium with Treatment Equipment of Wastewater
CN108623087B (en) Process for treating bad water body and deep water culture
KR20170139830A (en) Apparatus for removing bottom sluge in aquarium
JPH11262344A (en) Device for cleaning water
JP4586147B2 (en)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JP2019170165A (en) Fish aquaculture device
JPH10244290A (en) Filtration method of water in water tank and filter
JP2006205000A (en) Advanced purification system using closed water area by "sea hollow (utsuro)"
KR100475445B1 (en) An oceanarium of functional the ebb and flow
EP1164839A1 (en)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fresh water
KR200486179Y1 (en) Bubble station for removing small gas bubbles in aquarium
KR20080038212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