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35Y1 - 에어 간판용 받침구 - Google Patents

에어 간판용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35Y1
KR200487935Y1 KR2020180001482U KR20180001482U KR200487935Y1 KR 200487935 Y1 KR200487935 Y1 KR 200487935Y1 KR 2020180001482 U KR2020180001482 U KR 2020180001482U KR 20180001482 U KR20180001482 U KR 20180001482U KR 200487935 Y1 KR200487935 Y1 KR 200487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air
support
suppor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형
Original Assignee
정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형 filed Critical 정우형
Priority to KR2020180001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에어 간판용 받침구는, 상단면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받침구 본체; 상기 받침구 본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되 에어 기둥이 안착 지지되는 기둥 안착 지지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외곽을 이루되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 외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구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 기둥을 지지하는 기둥 지지용 벽체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기둥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는 홈부; 상기 받침구 본체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 슬롯; 상기 받침구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덧살부; 및 상기 덧살부들 모두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게 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간판용 받침구{Air signboard support}
본 고안은,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간판은 음식점이나 상점 등에서 판매 상품, 업종 등의 광고 패턴(pattern)을 기재하여 행인들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 광고 패턴을 시트에 인쇄하여 원통형으로 재봉한 후, 에어(air) 기둥 형태를 형성한 다음, 이를 받침구 상부에 고정하고 여기에 공기압을 넣은 원통형의 에어간판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간판은 저렴한 제작비용, 이동설치의 편리성, 광고 효과의 탁월성, 보관의 용이성 등의 이유로 인해 많이 애용되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 간판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 간판(1)은 에어 기둥(10)과, 에어 기둥(10)의 하단부에서 에어 기둥(10)을 지지하되 송풍장치 등이 수납되는 받침구(20)를 포함한다.
에어 기둥(10)은 원통형으로 재봉되어 튜브와 같이 형성된 것으로서 공기가 유출되지 않게 코팅한 천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시트(sheet)로 적용된다. 이러한 에어 기둥(10)의 표면에 문자나 도안과 같은 광고 패턴(11)이 인쇄될 수 있다.
한편, 받침구(20)는 에어 기둥(1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에어 기둥(10) 내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고 공기압으로 인한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침구(20)가 에어 기둥(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에어 기둥(10)을 지지한다.
이러한 받침구(20)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 기둥(10)을 견고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무거운 중량체로 적용되며, 사이즈가 큰 부피를 갖는다.
따라서 받침구(2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구조의 받침구(20)는 부피만 과도하게 클 뿐이며, 구조 대비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635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2-001083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4-003337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9303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단면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받침구 본체; 상기 받침구 본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되 에어 기둥이 안착 지지되는 기둥 안착 지지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외곽을 이루되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 외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구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 기둥을 지지하는 기둥 지지용 벽체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기둥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는 홈부; 상기 받침구 본체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 슬롯; 상기 받침구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덧살부; 및 상기 덧살부들 모두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게 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와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 사이에는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를 보강하는 보강용 덧살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표면에 광고 패턴이 형성되는 에어 기둥; 및 상기 에어 기둥의 하단부에서 상기 에어 기둥을 지지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간판용 받침구는, 상단면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받침구 본체; 상기 받침구 본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되 에어 기둥이 안착 지지되는 기둥 안착 지지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외곽을 이루되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 외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구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 기둥을 지지하는 기둥 지지용 벽체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기둥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는 홈부; 상기 받침구 본체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 슬롯; 상기 받침구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덧살부; 및 상기 덧살부들 모두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게 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와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 사이에는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를 보강하는 보강용 덧살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 간판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의 이미지,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100)은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110)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에어 기둥(110)과, 에어 기둥(110)의 하단부에서 에어 기둥(110)을 지지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기둥(11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으로 재봉되어 튜브와 같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에어 기둥(110)은 공기가 유출되지 않게 코팅한 천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 있다.
에어 기둥(110)의 표면에는 문자나 도안과 같은 광고 패턴(111)이 인쇄될 수 있다. 물론, 광고 패턴(111)이 반드시 인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테이프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에어 간판용 받침구(120)는 에어 기둥(11)을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에어 기둥(110) 내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고 공기압으로 인한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에어 간판용 받침구(120)는 에어 기둥(1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에어 기둥(110)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다만, 종전의 받침구(2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부피만 과도하게 클 뿐 구조 대비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조의 에어 간판용 받침구(120)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120)에 의하면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110)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에어 간판용 받침구(120)는 외관 구조물로서의 받침구 본체(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구 본체(121)는 단면적이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포개어 적층하기에 유리하다.
이러한 받침구 본체(121)는 상단면(122)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즉 마치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받침구 본체(121)가 상단면(122)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면 작은 부피일지라도 에어 기둥(110)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데에 상당히 유리하다.
받침구 본체(121)의 하단부에는 상호간 등간격으로 다수의 덧살부(132)가 배치된다. 그리고 덧살부(132)들 모두에는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게 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1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133)가 적용되면 에어 간판(100) 전체의 중량을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에 상당히 유리하다. 특히, 받침구 본체(121)의 하단부에 다수의 덧살부(132)를 형성시킨 후, 이곳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133)가 적용되게 함으로써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133)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형상을 예방할 수 있다.
받침구 본체(121)의 중앙 영역에는 에어 기둥(110)이 안착 지지되는 기둥 안착 지지부(123)가 마련된다.
이때, 기둥 안착 지지부(123)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되 받침구 본체(121)의 상단면(12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 기둥(110)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기둥 안착 지지부(123)의 외측에는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가 마련된다.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는 에어 기둥(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는 기둥 안착 지지부(123)의 외곽을 이루되 받침구 본체(121)의 상단면(122) 외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받침구 본체(12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에어 기둥(110)의 하단부 영역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에 유리하고, 또한 에어 기둥(110)을 설치하는 작업이 수월해진다.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와 받침구 본체(121)의 상단면(122) 사이에는 보강용 덧살대(134)가 마련된다. 보강용 덧살대(134)로 인해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가 파손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기둥 안착 지지부(123)의 중앙 영역에는 에어 기둥(110)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보스부(125)가 마련된다.
보스부(125)로의 접근을 위해 받침구 본체(121)의 측면에는 상호 대칭되게 다수의 측면 슬롯(131)이 형성된다. 보스부(125)에 에어 자동 충전기 등을 탑재한 경우, 측면 슬롯(131)을 통해 전선을 통과시켜 에어 자동 충전기와 연결할 수 있다.
기둥 안착 지지부(123)에는 관통부(128)와, 홈부(129)가 마련된다. 관통부(128)는 보스부(125)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기둥 안착 지지부(123)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홈부(129)는 보스부(125)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기둥 안착 지지부(123)에 홈 형태로 마련된다. 관통부(128)는 전선이 통과되도록 하거나 빗물이 빠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홈부(129)는 작은 부품 등을 배치하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110)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220)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구조와 기능이 모두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220)에는 에어압 감지부(270)와, 에어 자동 충전기(260)가 탑재되며, 이들의 컨트롤을 위해 컨트롤러(280)가 구비된다.
에어압 감지부(270)는 에어 기둥(110, 도 2 참조) 내에 충전되는 에어압을 감지한다. 그리고 에어 자동 충전기(260)는 보스부(125) 영역에 마련되며, 에어 기둥(110)을 충전하기 위한 에어를 자동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자동 충전기(260)는 받침구 본체(121)의 측부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26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기존의 에어 간판과 달리 별도의 전선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다.
한편, 컨트롤러(280)는 에어압 감지부(27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에어 자동 충전기(260)의 동작이 자동으로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280)는 중앙처리장치(281, CPU), 메모리(2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81)는 본 실시예에서 에어압 감지부(27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에어 자동 충전기(260)의 동작이 자동으로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281)와 연결된다. 메모리(2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2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2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80)는 에어압 감지부(27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에어 자동 충전기(260)의 동작이 자동으로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110, 도 2 참조)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320)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구조와 기능이 모두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320)는 받침구 본체(121), 기둥 안착 지지부(123) 및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의 구성들을 비롯해서 이들에 부속되는 다수의 구성들(제1 실시예 참조)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간판용 받침구(320)는 전술한 기본 구성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와, 에어가 빠진 빈 에어 기둥(110, 도 2 참조)이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의 도움으로 기둥 안착 지지부(123) 영역에 수납된 때, 기둥 안착 지지부(123) 영역의 상부 개구를 덮는 착탈식 덮개(350)를 더 포함한다.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는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에 고정되는 고정 벽체부(341)와, 고정 벽체부(341)에 연결되되 고정 벽체부(341)에 대하여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이동 벽체부(342)를 포함한다.
이에, 도 11 및 도 12처럼 이동 벽체부(342)를 내리면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의 길이가 짧아지고, 도 13처럼 이동 벽체부(342)를 올리면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도 13처럼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의 길이가 길어지면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와 함께 에어 기둥(110)을 지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에어 기둥(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가 마련되면 도 11처럼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로 인해 기둥 안착 지지부(123), 기둥 지지용 벽체부(124) 및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공간에 에어가 빠진 빈 에어 기둥(110, 도 2 참조)을 접어 수납시킬 수 있다. 이때, 수납된 에어 기둥(110)에 이물이 묻지 않도록 착탈식 덮개(350)가 결합될 수 있다. 착탈식 덮개(350)는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340)로 인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에어 기둥(110, 도 2 참조)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등 보관과 핸들링이 탁월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에어 간판 110 : 에어 기둥
111 : 광고 패턴 120 : 에어 간판용 받침구
121 : 받침구 본체 122 : 상단면
123 : 기둥 안착 지지부 124 : 기둥 지지용 벽체부
125 : 보스부 128 : 관통부
129 : 홈부 131 : 측면 슬롯
132 : 덧살부 133 : 미끄럼 방지용 푸트
134 : 보강용 덧살대

Claims (3)

  1. 상단면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받침구 본체; 상기 받침구 본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되 에어 기둥이 안착 지지되는 기둥 안착 지지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외곽을 이루되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 외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구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 기둥을 지지하는 기둥 지지용 벽체부;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기둥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 상기 보스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는 홈부; 상기 받침구 본체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 슬롯을 포함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덧살부;
    상기 덧살부들 모두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게 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푸트; 및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안착 지지부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제작되되,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와 상기 받침구 본체의 상단면 사이에는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를 보강하는 보강용 덧살대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 길이 가변 조절부는, 상기 기둥 지지용 벽체부에 고정되는 고정 벽체부와, 상기 고정 벽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 벽체부에 대하여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이동 벽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일측에는 에어압 감지부와 에어 자동 충전기가 탑재되고, 상기 받침구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압 감지부와 상기 에어 자동 충전기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압감지부와 상기 에어 자동 충전기에 필요한 전원을 생산하도록 상기 받침구 본체의 측부에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간판용 받침구.
KR2020180001482U 2018-04-03 2018-04-03 에어 간판용 받침구 KR200487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82U KR200487935Y1 (ko) 2018-04-03 2018-04-03 에어 간판용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82U KR200487935Y1 (ko) 2018-04-03 2018-04-03 에어 간판용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935Y1 true KR200487935Y1 (ko) 2018-11-23

Family

ID=6455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482U KR200487935Y1 (ko) 2018-04-03 2018-04-03 에어 간판용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3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837B1 (ko) 1988-09-30 1992-12-19 주식회사 금성사 레이저 프린터용 홀로그래피 주사장치
KR200207318Y1 (ko) * 2000-07-13 2000-12-15 김길순 움직이는 광고용 에어탑
KR20040029303A (ko) 2001-08-24 2004-04-0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엔진의 가스 교환 밸브의 가변 제어 장치
KR20050014656A (ko) * 2004-06-02 2005-02-07 이용민 에어간판용 고정장치
KR20120063556A (ko) 2010-03-31 2012-06-15 미츠이 조센 시스템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837B1 (ko) 1988-09-30 1992-12-19 주식회사 금성사 레이저 프린터용 홀로그래피 주사장치
KR200207318Y1 (ko) * 2000-07-13 2000-12-15 김길순 움직이는 광고용 에어탑
KR20040029303A (ko) 2001-08-24 2004-04-0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엔진의 가스 교환 밸브의 가변 제어 장치
KR20050014656A (ko) * 2004-06-02 2005-02-07 이용민 에어간판용 고정장치
KR20120063556A (ko) 2010-03-31 2012-06-15 미츠이 조센 시스템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6369B1 (en) Web cam stand system
CN105845473A (zh) 利用卡扣连接的便于自由拆卸组合的智能开关安装盒
KR200487935Y1 (ko) 에어 간판용 받침구
US20100176266A1 (en) Mounting system
CN105934590B (zh) 一种安装支架及盒子
CN106051403A (zh) 显示装置
KR20180124389A (ko) 개량형 스크래처
US10577177B2 (en) Flexible pond liner
KR200386239Y1 (ko) 칠판책상
CN207935683U (zh) 一种可拆卸支架及组合式电视底座
CN203129517U (zh) 一种用于计算机机房的防静电地板支架
CN202353628U (zh) 可扩展屏幕的电子装置
KR102001832B1 (ko) 무대 차량
JP2014071966A (ja) 照明装置
CN205428385U (zh) 电子媒体阅读设备
CN206018464U (zh) 集成吊顶应急照明装置
CN219118659U (zh) 墙板踢脚线组件
CN213786069U (zh) 充电专用桌
KR20140067322A (ko) 배너 스탠드
CN219962318U (zh) 一种可平行连接的置物架
KR101391097B1 (ko) 생활정보지용 거치대
CN217406886U (zh) 一种电源模块安装支架
CN212525497U (zh) 一种钢筋放卷架
CN218562883U (zh) 一种防水盖板结构
CN216849243U (zh) 一种人行通道广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