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74Y1 - Wrench for a support - Google Patents

Wrench for a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74Y1
KR200487674Y1 KR2020180002673U KR20180002673U KR200487674Y1 KR 200487674 Y1 KR200487674 Y1 KR 200487674Y1 KR 2020180002673 U KR2020180002673 U KR 2020180002673U KR 20180002673 U KR20180002673 U KR 20180002673U KR 200487674 Y1 KR200487674 Y1 KR 200487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ight adjustment
pipe
height
w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6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준원
Original Assignee
송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원 filed Critical 송준원
Priority to KR2020180002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74Y1/en
Priority to JP2018004439U priority patent/JP321992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8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open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25G1/043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포트용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규격화된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에 모두 적용되면서, 타격하지 않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져 적업의 편리성 및 용이성을 가지도록 하는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를 제공함으로써, 소음공해방지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래브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받침하도록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시켜 상기 슬래브 사이에 구성된 서포트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높이조절너트(40)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40)는 양단에 대칭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A'형태와, 돌기가 120°등간격으로 형성되는 'B'형태 및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대칭되는 방향에 조절용 손잡이가 구성되는 'C'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 모두 적용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40)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높이조절너트용 렌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wrench and is applied to all of the height adjustment nuts of the standardized 'A' to 'C' shape, and the height adjustment nut is installed and disassembled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without hitt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ench for height adjustment of a building support, which has convenience and ease of use, and prevents noise pollution and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s arranged between slabs of a building to support a form for forming the slabs; And a height adjustment nut (4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so as to install and disassemble the support constructed between the slabs;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has an 'A'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ends, a 'B'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f 120 °, and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and symmetrical at one end Quot; C " And a wrench 100 for a height adjusting nut which is applied to all of the height adjusting nuts 40 of the 'A' to 'C' shape to perform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

Figure R2020180002673
Figure R2020180002673

Description

서포트용 렌치{Wrench for a support}Wrench for a support

본 고안은,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너트용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에 모두 적용되면서, 타격하지 않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져 적업의 편리성 및 용이성을 가지도록 하는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를 제공함으로써, 소음공해방지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서포트용 렌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ench for a height adjustment nut of a construction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ench for a height adjustment nut of a construction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wrench for preventing noise pollution and safety accidents by providing a height adjustment wrench for a building support that has a height adjustment nut installed and disassembled to provide ease of use and ease of use.

일반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 현장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기까지 거푸집을 사용하고,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in a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 a support device is used which supports a concrete mold and molds until concrete is laid and cured.

대표적인 예로,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이다.A typical example is a construction pipe support.

이러한,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는 공사현장에 다수 사용됨으로써, 공사중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상판구조물의 압축하중을 균일한 분포하중으로 분산시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Such a constructional pipe support is widely used in a construction site, thereby functioning to distribute and support a compressive load of an excessive roof structure which is locally applied during construction under a uniform distribution load.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을 시공할 경우에, 상, 하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슬래브를 시공하여야 할 부분의 하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그 시공과정에서 장선과 멍에와 같은 가설빔(beam)들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상기 가설빔들의 하부를 파이프 서포트들이 지지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construct a slab for partitioning upper and lower layers when a building is constructed, a slab formwork is first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slab to be installed. In the process, the mold is supported by temporary beams such as a joist line and a yoke, and the pipe supports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hypothetical beams.

상기 가설빔들의 지지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파이프 서포트는 일반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beams, the pipe supports are generally assembled in a height adjustable structure.

이러한,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의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89388호를 참조하면,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받침판(11)이 설치되고, 양쪽에 장공(13)이 각각 형성된 조절나사관(12)이 상단에 설치된 하부파이프(10)와, 상기 하부파이프(10)에 하단이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받이판(21)이 설치되며, 외주면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핀구멍(22)이 각각 형성된 상부파이프(20)와, 상기 장공(13)들과 핀구멍(22)들을 통하여 상, 하부파이프(10)(20)를 고정하는 고정핀(30), 및 상기 조절나사관(12)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핀(30)의 양단을 지지하는 높이조절너트(40)로 구성된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construction pipe support, referring to Korean Utility Model No. 20-389388, as shown in Figs. 2 to 3, a building pipe support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1 at the lower end thereof, A lower pipe 10 provided with an adjusting screw pipe 12 formed at its upper end and having a slot 13 formed therein and a receiving plate 21 install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lower pipe 10, The upper pipe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in holes 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ipe 10 and the upper pipe 20 through the elongated holes 13 and the pin holes 22 And a height adjustment nut 40 which is fastened to the adjustment screw pipe 12 and supports both ends of the fixing pin 30.

상기한 바와 같은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에 따르면, 높이조절너트(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너트(40)가 조절나사관(12)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고정핀(30)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조절나사관(12)의 장공(13)의 길이만큼 상부파이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빔의 하부에 파이프 서포트를 배치한 상태에서, 그 높이를 조절하여 가설빔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파이프 서포트를 이탈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ipe support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ing nut 40 is lifted or lowered by the adjusting screw 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to support both ends of the fixing pin 30, The height of the upper pipe 20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long hole 13 of the adjustment screw pipe 12 so that the height of the pipe support can be adjusted in a state where the pipe support is disposed below the hypothetical beam supporting the formwork. Thereb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ypothetical beam, or releasing the pipe support.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서포트에 사용되는 높이조절너트는 형상에 따라 'A' 내지 'C'형태로 구분하고 있으며, 가장 기본적인 'A'형태는 양단에 대칭되는 부분에 돌기가 형성된 형상이고, 'B'형태는 돌기가 120°등간격으로 형성된 형상이며, 'C'형태는 'A'형태와 유사하면서 일측에 높이조절손잡이가 구성되고, 타측에 돌기가 형성된 형태이다.4, the height adjustment nuts used in the pipe supports are divided into 'A' to 'C' shapes according to their shapes. In the most basic 'A' shape, protrusions The 'C' shape is similar to the 'A' shape,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서포트(이하 '서포트'라 통칭함)의 높이 조절을 수행하는 높이조절너트에 대한 전용 공구가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망치와 같은 타격용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일측에 돌출된 돌기를 타격시켜 상기 높이조절너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설치 및 해체공정이 수행된다.However, since a dedicated tool for a height adjustment nut for performing height adjustment of a conventional pipe sup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ort") is not provided, it is possible to use a hitting tool such as a hammer,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process is performed by hitting the projecting protrusion on one side and rotating the height adjusting nut.

이 경우, 타격용 공구로 높이조절너트를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으로 현장의 주변 소음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금속성 물질의 타격에 의해 주변 작업자들에게 소음공해에 의한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noise produced by hitting the height adjustment nut with the hitting tool not only increases the ambient noise in the field, but also provides a factor that hinders work by noise pollution to surrounding workers due to the impact of the metallic material There is a problem.

또한, 슬래브 사이공간에 설치되는 서포트의 확고한 고정을 위해 마지막 조임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는 더욱 큰 타격력으로 타격이 이루어지고, 이때,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손에서 망치가 이탈되어 주변 작업자에게 날아들어가 상해를 입히는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irmly fix the support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labs, the hitting is performed with a larger hitting force at the final tightening portion. At this time, when the hammer is released from the hand due to the operator's mistake, There is a risk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이러한, 문제점은 서포트를 설치할 경우뿐만 아니라 해체작업을 수행할 때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problem is caused not only when a support is installed but also when performing a disassembly oper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12991호(2006.04.05.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412991 (Registered on Apr. 5, 2006)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629438호(2016.06.13. 공고)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29438 (published on June 13, 2016)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655786호(2016.09.08. 공고)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55786 (Announced 2016.09.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규격화된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에 모두 적용되면서, 타격하지 않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져 적업의 편리성 및 용이성을 가지도록 하는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를 제공함으로써, 소음공해방지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서포트용 렌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nut which is applied to all of the height adjusting nuts of 'A' to '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wrench for preventing noise pollution and safety accidents by providing a wrench for height adjustment of a construction support that has a convenient and easy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래브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받침하도록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시켜 상기 슬래브 사이에 구성된 서포트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는 양단에 대칭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A'형태와, 돌기가 120°등간격으로 형성되는 'B'형태 및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대칭되는 방향에 조절용 손잡이가 구성되는 'C'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에 모두 적용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40)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높이조절너트용 렌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ab,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s formed between slabs of a building to support a die for forming the slab; And a height adjustment nu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so as to install and disassemble the support constructed between the slabs; The height adjusting nut includes a 'A'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ends, a 'B'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f 120 °, a 'B'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t one end, '; And a height adjustment nut wrench 100 applied to the height adjustment nuts of the 'A' to 'C' shapes to perform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본 고안에 있어서, 서포트용 렌치는, 상기 높이조절너트에 구성된 돌기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wrench includes: a mount configured to support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height adjustment nut;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gripped by an operator.

본 고안에 있어서, 거치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성된 높이조절너트에 구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 중 'A' 및 'C'형태에서 타측에 구성되는 돌기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고정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받침목;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성된 상기 높이조절너트 중 'B'형태에서 어느 하나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B'형태의 높이조절너트에 대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body;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rotrusion formed in a height adjusting nut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is inserted; The height adjusting nu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s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as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A' and 'C' ; And a 'B' shape of the height adjusting nu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insert and disassemble the height adjusting nut of 'B' type Do.

본 고안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일단이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 고정되고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관; 및 상기 고정관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필요에 따라 회전모멘트를 증강시키도록 하여 높이조절너트에 대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fixing pipe having one end fix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auxiliary pipe extending from the fixing pipe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increase the rotation moment as needed,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eight adjusting nut.

본 고안에 있어서, 손잡이부에는, 상기 고정관에서 보조관을 인출시키지 않을 경우에 항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관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관에 복귀된 상태에서 삽입깊이를 제한시키도록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ncludes a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inserted state at all times when the auxiliary tube is not drawn out from the fixed tube;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pipe includes a stopper for restricting an insertion depth in a state of being returned to the fixing pipe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내측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관의 외주연에는 상기 안내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관에서 보조관을 일정길이 인출시킨 상태에서 높이조절너트를 설치 및 해체작업시 상기 고정관을 중심으로 보조관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uide groove having a certain depth is formed inside the fixing pipe; The auxiliary pipe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auxiliary pipe is extended from the fixing pip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height adjusting nut is installed and disassembled, And a guide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guide protrusion from being formed.

본 고안에 의하면, 규격화된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에 모두 적용되면서, 타격하지 않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너트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져 적업의 편리성 및 용이성을 가지도록 하는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를 제공함으로써, 소음공해방지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disassemble the height adjusting nut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without hitting, while being applied to the height adjusting nuts of the standardized 'A' to 'C' There is provided an effect of preventing noise pollution and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providing a wrench for height adjustment of a building support.

도 1a 및 1b은 일반적인 건축용 서포트의 상태도.
도 2는 일반적인 건축용 서포트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건축용 서포트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도.
도 4a 내지 4c는 일반적인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너트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너트용 렌치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너트용 렌치의 결합상태도.
도 7a 및 7b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너트용 렌치의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B'형태의 높이조절너트에 작용하는 높이조절너트용 렌치의 작용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너트용 렌치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너트용 렌치의 결합상태도.
FIGS. 1A and 1B are diagrams of a general construction suppo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construction support.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general construction support.
4A to 4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height adjusting nut of a typical construction suppor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rench for a height adjusting nu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ed state of a wrench for a height adjusting nu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7A and 7B are operational views of a wrench for a height adjusting nu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operational view of a wrench for a height adjusting nut acting on a height adjustment nut of the 'B' sh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rench for a height adjusting n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n assembled state of a wrench for a height adjusting n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in which it may be accomplished,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tail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e are used in a generic sense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It is used not to exclude.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one or more combinations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spectiv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conventional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 예>&Lt; Embodiment 1 >

제1실시 예의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100)는 규격화된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 모두 적용되면서, 타격하지 않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너트(40)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져 적업의 편리성 및 용이성을 제공함으로써, 소음공해방지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height adjustment wrench 100 of the construction suppo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height adjustment nuts 40 of the standardized 'A' to 'C' shapes, 40 is installed and disassembled to provide convenience and ease of work, thereby preventing noise pollution and safety accidents.

상기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1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너트(40)에 걸림되는 거치부(110) 및 상기 거치부(110)의 일측에 일정길이 연장되는 손잡이부(120)를 포함한다.5 to 8, the height adjustment wrench 100 of the construction suppor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10 which is engaged with a height adjusting nut 40 and a mounting portion 110 which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nd includes a handle 120.

상기 거치부(110)는 전체적으로 'C'형 클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12)로 이루어진다.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of a body 112 formed as a 'C' type clamp as a whole.

또한, 상기 몸체(112)의 일단에는 높이조절너트(40)의 일측에 구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1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1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12, into which the projec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is inserted.

또한, 상기 몸체(112)의 타단에는 'A' 및 'C'형태에서 대칭되는 돌기(또는 조절용손잡이)가 받침되는 받침목(116)이 형성된다.A support 116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112 to receive protrusions (or control knobs) symmetrical in the 'A' and 'C' shapes.

상기 받침목(116)은 상기 몸체(112)의 타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손잡이부(120)와의 연결 및 고정을 이루어지는 기능을 동반 수행한다.The support 116 extends alo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12 and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handle 120.

즉, 상기 몸체(112)의 일단에 구성된 삽입공(114)을 통해 'A' 또는 'C'형태의 일측에 구성된 돌기를 삽입시키면, 상기 'A' 또는 'C'형태의 타측에 구성된 돌기부분이 상기 몸체(112)의 타단에 구성된 받침목(116)의 일단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결국, 'A' 또는 'C' 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거치가 완료된다.That is, when a projec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A' or 'C' shape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4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12,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 or 'C'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of the 'A' or 'C' shape is finally fixed b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116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12.

또한, 상기 몸체(112)의 일측에는 'B'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서 120°등간격으로 형성된 돌기 중 어느 하나가 걸림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홈(118)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118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12 so that any one of the protrusions formed at equal intervals of 120 ° from the 'B' type height adjusting nut 40 can be hooked.

상기 삽입홈(118)은 'B'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서 120°등간격으로 형성된 돌기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118 is formed as a streamlined groove so that protrusions formed at 120 ° equally spaced from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of 'B' shape can be inserted smoothly.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B'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서 120°등간격으로 형성된 돌기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홈이 이면 어느 형태든 사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the groove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nut 40 of 'B' shape at regular intervals of 120 °.

이에 따라, 'B'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서 120°등간격으로 형성된 돌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몸체(112)의 일측에 구성된 삽입공(114)에 삽입시키고, 상기 삽입공(114)에 삽입된 돌기와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된 다른 하나의 돌기가 삽입홈(11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설치 및 해체시 작업자가 공구의 무게를 덜 느끼고 작업이 용이하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insertion hole 114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rojections formed at equal intervals of 120 ° in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of the 'B' shape, The operator can feel the weight of the tool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and the work is less likely to cause the work It is easy and convenient.

상기 손잡이부(120)는 상기 거치부(110)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110)를 중심으로 회전모멘트 작용이 일어남에 따라 높이조절너트(40)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The handle 1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110 and acts as a rotation moment about the mounting part 110 so that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is facilitated .

상기 손잡이부(12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고정관(122)을 포함한다.The handle 120 includes a fixing tube 1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고정관(122)은 파이프와 같은 관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xing pipe 12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like a pipe.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한 형태이면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or structur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being easily gripped by an operator can be used.

또한, 상기 고정관(122)의 일단에는 상기 거치부(110)의 받침목(116)의 일단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110)와 손잡이부(120) 사이의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One end of the supporting frame 116 of the fixing part 110 is inserted into a certain depth at one end of the fixing pipe 122 so as to maintain a firm fixed state between the fixing part 110 and the holding part 120. [ do.

이 경우, 상기 고정관(122)의 일단에 받침목(116)의 일단을 일정깊이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관(122)의 일단을 상기 받침목(116)에 압착시킨 후 용접 등으로 융착시켜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this case, after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116 is inserted to a certain depth at one end of the fixing pipe 122, one end of the fixing pipe 122 is pressed to the support frame 116 and then fused by welding or the like to secure a fixed state .

또한, 상기 고정관(122)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관(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요시에 상기 고정관(122)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회전모멘트를 향상시켜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설치 및 해체시 힘을 증강시키도록 하는 보조관(124)을 포함한다.The fixing pipe 122 has a function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ixing pipe 122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pipe 122 to improve the rotation moment, And an auxiliary pipe 124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pipe.

상기 보조관(124)은 상기 고정관(122)의 내측에 구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관(122)의 내경과 동일 또는 다소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The auxiliary pipe 124 is configured to have an outer diameter equal to or somewha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pipe 122 so that the auxiliary pipe 124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formed inside the fixing pipe 122.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조관(124)은 상기 고정관(122)의 외경에 위치되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관(122)에 대한 길이를 연장시키는 기능을 통해 지렛대의 원리에서와 같이,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회전모멘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 또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The auxiliary pipe 124 may be located at an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ipe 122 to extend its length and may have a function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ixing pipe 122 It is possible to adopt any structure or form that can improve the rotation moment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ing nut 40, as in the principle of the leverage.

또한, 상기 손잡이부(120)에는 상기 보조관(12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6)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andle 120 includes a spring 126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auxiliary pipe 124.

상기 스프링(126)은 상기 보조관(124)이 상기 고정관(122)의 내측에 항상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고정관(122)에서 보조관(124)을 일정길이 인출시킨 후 상기 보조관(124)에 대한 파지력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상기 고정관(122)에 보조관(124)이 원위치되도록 한다.The spring 126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keep the auxiliary tube 124 in a state of being always positioned inside the fixed tube 122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auxiliary tube 124 in a fixed The auxiliary pipe 124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fixed pipe 122 when the gripping force of the auxiliary pipe 124 is removed.

이 경우, 상기 스프링(126)은 상기 거치부(110)의 일단과 보조관(1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보조관(124)에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spring 126 is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110 and the auxiliary pipe 124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auxiliary pipe 124.

물론, 상기 스프링(126)은 상기 거치부(110)와 보조관(124) 사이에 구성되는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조관(124)이 고정관(112)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Of course, the spring 126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auxiliary pipe 124, and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pipe 124 is positioned in the fixing pipe 112 Any structure or shape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can be adopted.

또한, 상기 보조관(124)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126)에 의해 고정관(122)으로 복귀될 때 복귀길이를 제한시키도록 하는 스톱퍼(128)가 구성된다.A stopper 128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pipe 124 to restrict the return length when the spring 126 returns to the fixing pipe 122.

상기 스톱퍼(128)는 상기 보조관(124)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관(122)의 일단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프링(126)의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보조관(124)이 상기 고정관(122)의 내측으로 완전히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후에 상기 보조관(124)을 사용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opper 128 is fixed to one end of the auxiliary pipe 124 and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ixing pipe 122 so that the auxiliary pipe 124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6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pe 122 So that the auxiliary pipe 124 can be easily grasped when it is desired to use the auxiliary pipe 124 later.

몰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톱퍼(128)은 보조관(124)이 고정관(122)으로 복귀될 때 복귀길이를 제한시켜 사용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And the stopper 128 may be of any structure or form that allows the ease of use to be limited by restricting the return length when the auxiliary tube 124 is returned to the fixed tube 122 Do.

또한, 상기 스톱퍼(128)의 일단에는 상기 보조관(124)이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될 때 상기 스프링(126)의 탄성력으로 상기 스톱퍼(128)와 고정관(122) 사이가 충격 및 충격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완충부재(129)를 포함한다.When the auxiliary pipe 124 is returned to the one end of the stopper 128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6,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6 causes the stopper 128 and the fixing pipe 122 to impact and / And a cushioning member 129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preventing noise generated during a shock.

상기 완충부재(129)는 상기 스톱퍼(128)와 고정관(122)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 및 완충작용으로 상기 스톱퍼(128)를 보호하도록 한다.The buffer member 129 protects the stopper 128 by reducing shock and noise generated between the stopper 128 and the fixing pipe 122 and buffering the buffer member.

이 경우, 상기 완충부재(129)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스톱퍼(128)와 고정관(122)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소음을 완충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buffer member 129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e, or synthetic resin, and may be any material that can buffer shock or noise generated between the stopper 128 and the fixing pipe 122 .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A' 내지 'C' 형태로 구분되는 높이조절너트(4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설치 및 해체작업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ment wrench 100 of the constructed construction support can be applied to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divided into 'A' to 'C' shape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noise or a safety accident occurring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peration for the main body 40.

또한,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100)는 고정관(122)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보조관(124)을 구성함으로써, 지렛대 원리와 같이, 회전모멘트에 대한 힘을 증강시켜 상기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면서 편리하도록 한다.The height adjustment wrench 100 of the construction support is constructed by forming the auxiliary pipe 124 extending in the fixed pipe 122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orce for the rotation moment is increased, It is easy and convenient to install and disassemble it.

<제2실시 예>&Lt; Embodiment 2 >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실시 예의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너트용 렌치(100)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와 손잡부(120)를 포함한다.9 and 10, the wrench 100 for the height adjusting nut of the construction support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mounting part 110 and a hand holding part 120.

또한, 상기 손잡이부(120)에는 고정관(122)과 보조관(12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andle 120 includes a fixing pipe 122 and an auxiliary pipe 124.

또한, 상기 고정관(122)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내홈(123)이 구성된다.Further, a guide groove 123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fixing pipe 122.

상기 안내홈(123)은 상기 고정관(122)의 내측면에서 상기 고정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guide groove 12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ipe 12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ipe 122.

또한, 상기 안내홈(123)은 복수로 구성된다.Further, the guide groove 12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이 경우, 상기 안내홈(123)은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guide grooves 123 are formed in mutually symmetrical directions.

상기 보조관(124)에는 외주연에 일정길이 돌출되는 안내돌기(125)가 구성된다.The auxiliary pipe 124 is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125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상기 안내돌기(125)는 상기 안내홈(123)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guide protrusion 125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3.

이는, 상기 고정관(122)에서 보조관(124)을 인출시켜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설치 및 해체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고정관(122)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관(124)에 회전모멘트 작용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활한 설치 및 해체작업을 간섭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auxiliary pipe 124 is pulled out from the fixing pipe 122 and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is performed, the auxiliary pipe 124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ipe 122, So that smooth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can be interfered with.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건축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용 렌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height-adjusting wrench of the construction suppo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높이조절너트용 렌치 110: 거치부
112: 몸체 114: 삽입공
116: 받침목 118: 삽입홈
120: 손잡이부 122: 고정관
123: 안내홈 124: 보조관
125: 안내돌기 126: 스프링
128: 스톱퍼 129: 완충부재
100: Wrench for height adjustment nut 110:
112: body 114: insertion hole
116: supporting frame 118: insertion groove
120: handle 122: fixed pipe
123: guide groove 124: auxiliary pipe
125: guide projection 126: spring
128: stopper 129: buffer member

Claims (5)

건축물의 슬래브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받침하도록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시켜 상기 슬래브 사이에 구성된 서포트의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높이조절너트(40)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40)는 양단에 대칭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A'형태와, 돌기가 120°등간격으로 형성되는 'B'형태 및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대칭되는 방향에 조절용 손잡이가 구성되는 'C'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A' 내지 'C'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 모두 적용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40)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높이조절너트용 렌치(100)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너트용 렌치(100)는,
상기 높이조절너트(40)에 구성된 돌기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110); 및
상기 거치부(110)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20)는,
일단이 상기 거치부(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관(122); 및
상기 고정관(122)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필요에 따라 회전모멘트를 증강시키도록 하여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관(124)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120)에는,
상기 고정관(122)에서 보조관(124)을 인출시키지 않을 경우에 항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6)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관(124)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관(122)에 복귀된 상태에서 삽입깊이를 제한시키도록 하는 스톱퍼(1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용 렌치.
A plurality of supports configured between the slabs of the building to support the dies for forming the slabs;
And a height adjustment nut (4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so as to install and disassemble the support constructed between the slabs;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has an 'A'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ends, a 'B' shap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f 120 °, and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and symmetrical at one end Quot; C &quot;
And a height adjustment nut wrench 100 applied to the height adjustment nuts 40 of the 'A' to 'C' shapes to perform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The height adjustment nut wrench (100)
A mounting portion 110 configured to support protrusions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nut 40; And
And a grip portion 120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gripped by an operator,
The handle 120 includes:
A fixing pipe 122 having one end fix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1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d an auxiliary pipe (124) fo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ixing pipe (122) to increase the rotation moment as needed,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In the handle 120,
And a spring (126)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inserted state when the auxiliary pipe (124) is not drawn out from the fixed pipe (122);
A stopper 128 for restricting an insertion depth of the auxiliary pipe 124 in a state of being returned to the fixing pipe 122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6;
Wherein the support wrench compris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10)는,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일단에 구성된 높이조절너트(40)에 구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114)과;
상기 몸체(112)의 타단에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40) 중 'A' 및 'C'형태에서 타측에 구성되는 돌기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너트(40)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손잡이부(120)가 고정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받침목(116); 및
상기 몸체(112)의 일측에 구성된 상기 높이조절너트(40) 중 'B'형태에서 어느 하나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B'형태의 높이조절너트(40)에 대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홈(1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용 렌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110)
A body 112;
An insertion hole 114 into which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nut 4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12 is inserted;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12 and the height adjustment nut 40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ounted as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A' and 'C' A pedestal 116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for fixing the handle 120; And
B 'shape of the height adjusting nut 40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12 so that the height adjusting nut 40 can be installed and disassembled An insertion groove 118;
Wherein the support wrench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80002673U 2018-06-15 2018-06-15 Wrench for a support KR2004876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673U KR200487674Y1 (en) 2018-06-15 2018-06-15 Wrench for a support
JP2018004439U JP3219922U (en) 2018-06-15 2018-11-15 Support wr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673U KR200487674Y1 (en) 2018-06-15 2018-06-15 Wrench for a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674Y1 true KR200487674Y1 (en) 2018-10-19

Family

ID=6404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673U KR200487674Y1 (en) 2018-06-15 2018-06-15 Wrench for a suppor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19922U (en)
KR (1) KR20048767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067A (en) * 2019-10-12 2019-12-31 肖孟辉 Rubber cylinder belt cleaning device is used in print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12Y1 (en) * 2005-04-20 2005-07-21 이정실 A wrench adjustable handle
KR200412991Y1 (en) 2006-01-02 2006-04-05 김중삼 Pipe support for construction
KR100853934B1 (en) * 2007-04-24 2008-08-25 주식회사 엔케이 Multipurpose spanner for marine fire hose coupling
KR20100118963A (en) * 2010-06-24 2010-11-08 배영진 A multi purpose wrench for a support
KR101629438B1 (en) 2015-10-12 2016-06-13 김종호 Supporter equiped with stopper of non-portable rotary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place method for rotary plate thereof
KR101655786B1 (en) 2015-03-31 2016-09-08 서갑수 Support for releasing dice interval h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12Y1 (en) * 2005-04-20 2005-07-21 이정실 A wrench adjustable handle
KR200412991Y1 (en) 2006-01-02 2006-04-05 김중삼 Pipe support for construction
KR100853934B1 (en) * 2007-04-24 2008-08-25 주식회사 엔케이 Multipurpose spanner for marine fire hose coupling
KR20100118963A (en) * 2010-06-24 2010-11-08 배영진 A multi purpose wrench for a support
KR101655786B1 (en) 2015-03-31 2016-09-08 서갑수 Support for releasing dice interval holding device
KR101629438B1 (en) 2015-10-12 2016-06-13 김종호 Supporter equiped with stopper of non-portable rotary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place method for rotary plat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9922U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787B2 (en) Construction support
JP4738886B2 (en) Equipment foundation
KR101314537B1 (en) A manhol housing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a manhol
AU2009307708B2 (en) Core hole seal assembly and method
US8074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KR101789320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ocreate Slab by Making Wall
KR200487674Y1 (en) Wrench for a support
KR101618703B1 (en) Slab concrete mold for building
KR101320699B1 (en) A maintain distance device of concrete mold using one piece type bolt
KR20180080606A (en) Structure of exterior insulation
CN219033570U (en) U-shaped embedded ring
KR101661034B1 (en) Water pipe bracket for wall construction
KR200412991Y1 (en) Pipe support for construction
KR200481132Y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assembly of framework
KR10151803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column having self-restraint features
KR101806000B1 (en) Extender for extending length of support
KR20050061405A (en) Fixing apparatus for mold
KR102105232B1 (en) Temporary bent connecting steel pipe pile cap pressing against the pile
CN219255978U (en) Prefabricated post reinforcing bar positioning die
KR200485853Y1 (en) Fixing apparatus for sleeve instal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s
KR101705202B1 (en) U-head jack assembly
KR101639311B1 (en) Manhole height adjustment implement and manho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292542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200345020Y1 (en) Binding Apparatus of Inner and Outer Form for Concrete Pouring
KR102269595B1 (en) Device For Preventing Buoyance In Hollow Core Sla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