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99Y1 - Fuse Switch - Google Patents

Fuse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99Y1
KR200487499Y1 KR2020160007712U KR20160007712U KR200487499Y1 KR 200487499 Y1 KR200487499 Y1 KR 200487499Y1 KR 2020160007712 U KR2020160007712 U KR 2020160007712U KR 20160007712 U KR20160007712 U KR 20160007712U KR 200487499 Y1 KR200487499 Y1 KR 200487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vehicle
fuse box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7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2128U (en
Inventor
양해서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60007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99Y1/en
Publication of KR20180002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2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9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퓨즈 스위치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 및 상기 퓨즈박스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와, 상기 퓨즈박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박스는, 오프 모드 시,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온 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차량의 중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The fus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se box having a plurality of fuses installed therein to prevent damage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a vehicle, an on mode in which a dark current flowing into the fuse box is interrupted, And a switch member capable of switching modes depending on whether the fuse box is inserted or not in an off mode in which a dark current flows in the vehicle, wherein the fuse box include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switch member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portion of the vehicle tha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al component in the on mode,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 the on mode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The value shall include a block that blocks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Description

퓨즈 스위치{Fuse Switch}Fuse Switch

본 고안은 퓨즈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퓨즈박스에 모드 전환이 용이한 퓨즈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se switch in which mode switching is facilitated in a fuse box.

차량은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차량 내 설치된 전장품에 의하여 암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차량 내 흐르는 암전류는 차량을 사용하고 있는 과정에서는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차량이 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므로,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dark current flows in the vehicle due to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dark current flowing in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turned off is a general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vehicle. However, since the battery of the vehicle may be discharged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being displayed, do.

이를 위하여, 차량에는 차량이 판매되기 전에 차량 내 암전류를 차단하는 퓨즈 스위치 외에 각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가 마련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fuse box having a fus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electrical component in addition to a fuse switch for blocking the dark current in the vehicle before the vehicle is sold.

상기의 암전류 차단 퓨즈 스위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인도하기 전에 암전류를 차단하고 있는 온(On) 상태이다. 이때, 차량을 판매하는 딜러가 퓨즈 스위치(10A) 표면에 형성된 홈에 별도의 공구(예컨대,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퓨즈 스위치(10A)의 상태를 오프(Off)로 변경한 뒤,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전달한다. As shown in FIG. 1 (a), the dark current cutoff fuse switch is an on state in which the dark current is blocked before the vehicle is delivered to the vehicle purchaser. At this time, the dealer who sells the vehicle inserts a separate tool (for example, a driver)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fuse switch 10A to change the state of the fuse switch 10A to OFF, .

이와 다르게, 도 1의 (b)에 도시된 퓨즈 스위치(10B)는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인도하기 전에 판매자가 모드 전환 바(bar)(12)를 당겨 퓨즈 스위치(10B)의 상태를 오프로 변경하여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전달한다. Alternatively, the fuse switch 10B shown in FIG. 1 (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ller turns the state of the fuse switch 10B off by pulling the mode change bar 12 before delivering the vehicle to the vehicle purchaser And delivers the vehicle to the vehicle buyer.

이때, 차량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차량을 인도하기 전에 퓨즈 스위치(10A, 10B)의 모드를 변경할 때, 퓨즈 스위치(10A, 10B)의 상태가 완전히 전환되지 않아 차량 내 암전류가 계속 차단되어 차량이 구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when the mode of the fuse switches 10A, 10B is changed before the vehicle seller delivers the vehicle to the purchaser, the state of the fuse switches 10A, 10B is not completely switched, There was no problem.

또한, 종래의 퓨즈 스위치(10A, 10B)는 판매자가 직접 모드 전환 바(12)를 잡거나,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장착되어야 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퓨즈 스위치(10A, 10B)의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어 퓨즈박스 의 사이즈 또한 증가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Since the conventional fuse switches 10A and 10B require a space in which the seller directly holds the mode switching bar 12 or a separate device such as a driver is mounted, the fuse switches 10A and 10B are large in size So that the size of the fuse box also increases.

더욱이, 퓨즈 스위치(10A, 10B)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판매자의 퓨즈 스위치(10A, 10B) 모드 전환에 불편함이 있었다. Moreo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switching the mode of the fuse switch 10A, 10B of the seller in that a separate device for operating the fuse switches 10A, 10B is requir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드 전환이 용이한 퓨즈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se switch which is easy to switch modes.

또한, 본 고안은 사이즈를 최소화한 퓨즈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at providing a fuse switch with a minimized size.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드 전환이 가능한 퓨즈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use switch capable of switching modes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퓨즈 스위치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 및 상기 퓨즈박스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와, 상기 퓨즈박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박스는, 오프 모드 시,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온 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차량의 중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se switch comprising: a fuse box having a plurality of fuses installed therein to prevent damage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fuse box inserted in the fuse box, And a switch member capable of switching mod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ff mode in which a dark current flows in the vehicle separated from the fuse box, And the switch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unit of the vehicle tha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al component in the on mode, and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 the on mode, the second terminal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nd a block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units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the on mode.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차량 판매자가 차량을 구매자에게 인도할 때,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지 않는 온 모드에서,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모드 전환이 가능해지므로 모드 전환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switch for disconnecting a fuse switch for switching from a fuse box to an off mode in which an in-vehicle dark current flows in an on mode in which a dark current in a vehicle does not flow when a vehicle seller delivers a vehicle to a buyer The mode can be switch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ccuracy of the mode switching can be improved.

또한,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에서 퓨즈 스위치를 분리하면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차량 판매 후,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the vehicle seller removes the fuse switch from the fuse box, the state of the fuse switch is not changed to the state prior to mounting the fuse switch in the fuse box, thereby preventing the buyer from arbitrarily changing the mode of the vehicle after selling the vehicle.

또한,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에서 퓨즈 스위치를 분리하면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차량 판매 후,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the vehicle seller removes the fuse switch from the fuse box, the state of the fuse switch is not changed to the state prior to mounting the fuse switch in the fuse box, thereby preventing the buyer from arbitrarily changing the mode of the vehicle after selling the vehicle.

더욱이, 퓨즈 스위치의 온 모드와 오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재의 구성 및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witch member for controlling the on mode and the off mode of the fuse switch can be facilitated.

도 1은 종래의 퓨즈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퓨즈 스위치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퓨즈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퓨즈 스위치의 온(On) 및 오프(Off) 모드에 따른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퓨즈 스위치의 모드 전환에 따른 작동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use switch,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us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use switch of FIG. 2,
FIG. 4 is a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On and Off modes of the fuse switch of FIG. 2,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mode switching of the fuse switch of FIG.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ertain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se specific details, as well as variations thereof,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center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스위치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스위치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스위치부재의 온(On) 및 오프(Off) 모드에 따른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스위치부재의 모드 전환에 따른 작동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member of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member of FIG. 2,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switch member of Fig. 4 according to mode switching. Fig.

도면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스위치는 판매될 차량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퓨즈 스위치의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 설치된 상태이면 차량이 판매되기 전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서 분리되면 차량이 판매된 상태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퓨즈 스위치는 판매된 차량 이외에 암전류를 차단해야 하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퓨즈 스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전장품(30a, 30b)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200) 및 상기 퓨즈박스(200)에 삽입되어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도 2의 (a) 참고)와, 퓨즈박스(200)에서 분리되어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도 2의 (b) 참고)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100)를 포함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use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be sold. When the switch member 100 of the fuse switch is installed in the fuse box 200, And the vehicle is sold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disconnected from the fuse box 200. However, the fuse switch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which is required to shut off the dark current in addition to the vehicle on sale Of cour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use switch includes a fuse box 2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ses for prevent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30a and 30b installed on the vehicle from being damaged, and a fuse box 200 inserted into the fuse box 200, (See FIG. 2 (a)) in which the dark current is cut off and an off mode (see FIG. 2 (b)) in which the dark current flows in the vehicle separated from the fuse box 200 And a switch member 100 capable of switching mod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witch member 100 is in the on state.

상기 퓨즈박스(200)는 온 모드 시, 상기 스위치부재(10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스위치장착부(220)와, 오프 모드 시, 차량의 배터리에서 차량 내 전장품(30a, 30b)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접촉하는 제1 단자(240a)와 제2 단자(240b)를 포함한다. The fuse box 200 can supply a current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o the in-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30a and 30b in the off mode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on mode. The first terminal 240a and the second terminal 240b.

이에 대해, 상기 스위치부재(100)는, 온 모드에서 차량 내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의 중앙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단자(240a)와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120a)와, 제1 단자 연결부(120a)와 이격되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자(240b)와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120b) 및 온 모드 시,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140)를 포함한다. The switch member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50 of the vehicle that supplies power to the in-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in the on mode and includes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20a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240a,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part 120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art 120a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240b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part 120b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parts 120a, 120a, and 120b to block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즉, 스위치부재(100)가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 끼움, 장착되는 온 위치 시, 상기 스위치부재(100)가 상기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를 차단하면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접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차량 배터리와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 결과, 차량이 판매되기 전에 차량 내에 암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차량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nd is mounted, the switch member 100 mov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re not grounded. As a resul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battery and the electrical components 30a, 30b in the vehicle is block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rk current from flowing in the vehicle before the vehicle is sold, there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vehicle battery.

이와 다르게, 스위치부재(100)가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서 분리되는 오프 위치 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는 접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결과, 배터리와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게 되고, 차량 구매자는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의 구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may be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dis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The battery and the in-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30a and 3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dark current flows through the vehicle, and the vehicle purchaser can confirm the driving of the in-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30a and 30b.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 장착 또는 분리함에 따라 차량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판매 가능한 차량의 경우,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200)에서 스위치부재(100)를 분리한 이후에 퓨즈박스(200)에 스위치부재(100)를 재 장착하지 않는 한,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 장착된 온 위치로 차량 모드가 전환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스위치 부재(100)를 차량 구매자에게 전달하지 않는다면 차량이 판매된 후에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mode can be switched by attaching or detaching the switch member 100 to or from the fuse box 200. Therefore, in the case of a vehicle which can be sold, the switch member 100 is mounted on the fuse box 200, as long as the vehicle seller does not relocate the switch member 100 to the fuse box 200 after detaching the switch member 100 from the fuse box 200. [ The vehicle mode is not switched to the ON position in which the fuse box 200 is mounted. Therefore, if the switch member 100 is not delivered to the vehicle purchaser, the buyer can arbitrarily prevent the mode of the vehicle from being switched after the vehicle is sold.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스위치부재(100)의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는 도체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부(140)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된다. Referring again to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20b of the switch member 100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hielding portion 14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부재(100)가 온 모드로 전환될 때, 배터리 전원(도 4의 O_B+3 참고)은 제2 단자(240b)와 연결되며, 차량의 중앙제어부(MCU)(50)로 전원이 입력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중앙제어부(50)는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 삽입된 온 모드 상태임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70)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지 않으므로 오프(Off)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4)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40b a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MCU) 50 of the vehicle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switched to the ON mod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central control unit 50 recognizes that the switch member 100 is in the on-mode state in which the fuse box 200 is inserted. At this time, since the relay 70 is not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source, the relay 70 is turned off. Therefore, the in-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30a and 30b are not operated.

이때, 스위치부재(100)가 온 모드로 전환할 때,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와 접하는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는 도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 사이의 차단부(140)은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의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20b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turned on, The blocking portions 14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20b are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o block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한편, 상기와 다르게, 스위치부재(100)가 오프 모드로 전환하면, 배터리 전원(도 4의 O_B+3 참고)은 차량 내 전장품(30a, 30b)으로 전원을 공급하되, 중앙제어부(50)로는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중앙제어부(50)는 스위치부재가 퓨즈박스(2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인지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switched to the off mode, the battery power supply (see O_B + 3 in FIG. 4) supplies power to the in-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30a and 30b, while the central control unit 50 Power is not input. As a result, the central control unit 50 recognizes that the switch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fuse box 200.

이때, 차량 내 전장품(30a, 30b) 중 차량 내 룸램프 등과 같이 전류가 상시 공급되지 않아도 되는 전장품(30a)은 배터리 전원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릴레이(70)에서 제어한다. 즉, 시동 오프 후, 중앙제어부(50)는 전장품(30a)의 계속적인 배터리 소모에 따른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시동 오프되고, 일정 시간(예컨대, 20분) 경과 후, 릴레이(70)를 제어하여 전장품(30a)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electric component 30a, which is not always supplied with the current, such as an in-vehicle room lamp among the in-vehicle electric components 30a and 30b, is controlled by the relay 70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power source. That is, after the start-up, the central control unit 50 is turned off to prevent battery discharge due to continuous battery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component 30a, and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0 minutes) So that the electric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component 30a is cut off.

도 5를 참고하면, 제1 단자(240a)는 온 모드 시, 제2 단자(24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오프 모드 시, 제2 단자(240b)를 향해 복원되는 제1 탄성부(260a)를 포함하고, 제2 단자(240b)는 제1 탄성부(260a)와 마주하며, 오프 모드 시, 제1 탄성부(260a)와 면접하는 제2 탄성부(260b)를 포함한다. 5, the first terminal 240a is resilient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terminal 240b in the on mode, and the first resilient portion 250b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second terminal 240b in the off mode. And the second terminal 240b includes a second elastic portion 260b that faces the first elastic portion 260a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portion 260a in the off mode.

즉, 스위치부재(100)는 온 모드일 때,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 위치한다. 이후, 차량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차량을 판매한 뒤,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서 분리하면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접속하여 차량의 배터리에서 차량의 전장품(30a, 30b)으로 전류가 공급되면서 스위치부재(100)가 오프 모드로 상태를 전환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in the ON mode,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fter the vehicle seller sells the vehicle to the purchaser and then the switch member 100 is separated from the fuse box 200,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re connected to connect the electric components 30a And 30b to switch the state of the switch member 100 to the off mode.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는 상기 온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가 접하고 있는 상태를 복원위치라 할 때, 스위치부재(100)가 온 모드인 경우,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가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 위치한 스위치부재(100)에 의해 멀어진 상태로 변형되어 있다. 이후, 스위치부재(100)를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가 복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ortions 260a and 260b allow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to be connected when the mode is switched from the on mode to the off mode. That is, when the switch member 100 is in the on-mode, wh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ortions 260a and 26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ortions 260a and 260b 1 and the second terminals 240a, 240b, as shown in Fig. Thereafter, the switch member 1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ortions 260a and 260b are restored to their restored positions, 240a, and 24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차량 판매자가 차량 판매 후, 퓨즈박스(200)에서 스위치부재(100)를 분리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과정 없이 용이하게 차량의 모드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fter the vehicle seller releases the switch member 100 from the fuse box 200,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40a and 24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mode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changed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process.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스위치부재(100)는 단자 연결부(120) 및 차단부(140) 상단을 고정하며, 온 모드 시, 퓨즈박스(200) 상측에서 돌출되고, 오프 모드 시, 상기 퓨즈박스(200)에서 단자 연결부(120) 및 차단부(140)의 동시 분리를 안내하는 핸들부(160)를 포함한다. The switch member 100 is fixed on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blocking portion 140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use box 200 in the on mode and in the off mode, And a handle portion 160 for guiding the simultaneous separation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20 and the blocking portion 140 in the case 200.

상기 핸들부(160)는 차량 판매자가 스위치부재(1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손잡이로 사용되어 보다 용이하게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서 분리 가능하게 한다. The handle portion 160 is used as a handle when the vehicle seller intends to separate the switch member 100 so that the switch member 100 can be more easily detached from the fuse box 200. [

이를 위해 핸들부(160)는 차량 판매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핸들부(160) 표면에는 주름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handle part 160 may be formed with a non-slip part 16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part 160 so as to be easily gripped by the vehicle seller.

상기와 같이, 차량 판매자가 차량을 구매자에게 인도할 때,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지 않는 온 모드에서,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모드 전환이 가능해지므로 모드 전환의 정확성이 향상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seller delivers the vehicle to the purchaser, the switch member 100, which switches to the off mode in which the in-vehicle dark current flows in the on mode in which the in-vehicle dark current does not flow, is separated from the fuse box 200 At the same time, mode switching becomes possible, which improves the accuracy of mode switching.

또한,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200)에서 퓨즈 스위치를 분리하면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200)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차량 판매 후,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f the vehicle seller removes the fuse switch from the fuse box 200, the fuse box 200 is not changed to the state before mounting the fuse switch to the fuse box 200, It is effective.

또한, 퓨즈박스(200)에 스위치부재(100)가 삽입되는 공간 이외에 스위치부재(100)의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삽입,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퓨즈박스(200)의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space in which the switch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fuse box 200,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inserting and mounting a separate tool for switching the state of the switch member 100, The specification can be minimized.

더욱이, 퓨즈 스위치의 온 모드와 오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재의 구성 및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witch member for controlling the on mode and the off mode of the fuse switch can be facilitated.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스위치부재
120: 단자 연결부
140: 차단부
160: 핸들부
200: 퓨즈박스
240a: 제1 단자
240b: 제2 단자
260a: 제1 탄성부
260b: 제2 탄성부
100: Switch member
120: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40:
160:
200: Fuse box
240a: first terminal
240b:
260a: first elastic part
260b: second elastic portion

Claims (4)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 및
상기 퓨즈박스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와, 상기 퓨즈박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박스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각각 한 쌍의 단자쌍을 포함하며, 제1 단자의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오프 모드 시, 제1 단자의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와 제2 단자의 어느 한 단자가 접촉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온 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차량의 중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의 단자쌍과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의 단자쌍과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A fuse box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ses for preventing damage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n on mode in which a dark current flowing into the fuse box is interrupted in the fuse box and an off mode in which a dark current flows in the vehicle separated from the fuse box, ; / RTI >
The fuse box include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wherein each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pair of terminals, and one of the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In the off mode,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first terminal and a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switch member comprises: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part of the vehicl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component in the on mode and contacting the terminal pair of the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 the on mode and contacts the terminal pair of the second terminal,
And a block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units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는,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는 부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are formed of conductors,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중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는, 상기 모드 시, 상기 제2 단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오프 모드 시,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한 단자를 향해 복원되는 제1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한 단자는, 상기 제1 탄성부와 마주하며 상기 오프 모드 시, 상기 제1 탄성부와 면접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ac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power source, during the On mode, the second terminal and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and the off mode, the second end of any of the terminals towards the restored first elastic portion that Including,
And one of the second terminals includes a second elastic portion facing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portion in the off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및 상기 차단부 상단을 고정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퓨즈박스의 상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오프 모드 시, 상기 퓨즈박스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및 상기 차단부의 동시 분리를 안내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member comprise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and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ortion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use box in the on mode, And a handle portion for guiding the simultaneous separation of the blocking portions.
KR2020160007712U 2016-12-30 2016-12-30 Fuse Switch KR2004874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712U KR200487499Y1 (en) 2016-12-30 2016-12-30 Fuse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712U KR200487499Y1 (en) 2016-12-30 2016-12-30 Fuse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28U KR20180002128U (en) 2018-07-10
KR200487499Y1 true KR200487499Y1 (en) 2018-09-28

Family

ID=6290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712U KR200487499Y1 (en) 2016-12-30 2016-12-30 Fuse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99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631A (en) * 2001-05-16 2002-11-27 Yazaki Corp Connector structure of automobile do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47U (en) * 1991-07-01 1993-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Fuze Box
JPH08171837A (en) * 1994-12-20 1996-07-02 Nec Corp Short-circuiting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631A (en) * 2001-05-16 2002-11-27 Yazaki Corp Connector structure of automobil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28U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9101A (en) Electric Plug-In Module
US20160190775A1 (en) Power distribution uni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including modular construction and assemblies
KR101890683B1 (en) Isolation mechanism of controller for circuit breaker
US3938068A (en) Electrical plug and outlet unit
WO2015145957A1 (en) Switch device
JP2008529469A (en) Switchable fuse distribution block
KR20160105170A (en) Dark Current Blocking Switch of Junction Box
KR200487499Y1 (en) Fuse Switch
CN109300741B (en) Electrical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n electrical power unit
JP2009110855A (en) Power source device
JP2002101508A (en) Plug socket board and power plug
JP6827221B2 (en) Switch and distribution board
US8207626B1 (en) Device for activating a vehicle odometer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GB2459985A (en) Apparatus for Testing Automotive Relays
US20220310331A1 (en) Energy store including a housing and bridge plug
US5153523A (en) Selective fused circuit continuity test apparatus
CN208862318U (en) Replaceable socket insert row
US20050219033A1 (en) Fuse status indicator for fuse cartridge
CN104966958A (en) Fuse terminal
JP3157518U (en) electrical plug
JP5419035B2 (en) Power supply device
CN111989831A (en) Socket system
KR20120107896A (en) Detachabl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KR101964813B1 (en) Contacting point structure of dark current blocking switch
KR101949895B1 (en) A terminal block of motor with easy wiring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