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49Y1 - 수평기 - Google Patents

수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49Y1
KR200487449Y1 KR2020170003367U KR20170003367U KR200487449Y1 KR 200487449 Y1 KR200487449 Y1 KR 200487449Y1 KR 2020170003367 U KR2020170003367 U KR 2020170003367U KR 20170003367 U KR20170003367 U KR 20170003367U KR 200487449 Y1 KR200487449 Y1 KR 200487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shaft
central
horizont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학
Original Assignee
(주)에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비 filed Critical (주)에스비
Priority to KR2020170003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3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of the tubular type, i.e. for indicating the level in one direction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평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수평기포관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를 형성하여,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기포관을 상면, 하면 및 측면에서 동시에 관측 가능하게 구성되는 수평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평기{LEVEL}
본 고안은 수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수평기포관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를 형성하여,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기포관을 상면, 하면 및 측면에서 동시에 관측 가능하게 구성되는 수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평기는 수평 또는 수직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서, 양측이 밀봉된 투명한 관의 내부에 에테르 또는 알콜을 수용시키되 일정크기의 기포를 형성시켜 수평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에 상기 수평기를 올려놓았을 때 기포가 이동하는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수평 또는 수직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기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수평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평측정부(20)가 구성되고, 상기 수평측정부(20)의 일측으로 몸체(10) 내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직측정부(30)가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수평기는 수평, 수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수평기를 올려놓은 후에 이동되는 기포의 움직임을 확인하여 대상물의 수평, 수직도 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수평기는 수평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평측정부를 몸체의 상면에과 측면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상물의 수평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항상 몸체의 하면을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시킨 후 수평측정부를 통해 수평도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평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수평기포관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를 형성하여,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기포관을 상면, 하면 및 측면에서 동시에 관측이 가능한 수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부분에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는 중앙설치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앙설치홈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투명한 관체 내부에 액체가 충진되며, 충진된 액체에 기포가 인입되고, 외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충진된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눈금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수평 확인이 가능한 수평기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중앙설치홈에 설치된 수평기포관이 투시되도록 중앙설치홈과 연통되는 상부투시공 및 하부투시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투시공 및 하부투시공을 통해 중앙설치홈에 설치된 수평기포관을 상측과 하측의 양방향에서 관측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중앙몸체와, 중앙몸체의 양측에서 폴딩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접철되는 한쌍의 측방몸체로 분할 구성되되, 상기 중앙몸체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중앙설치홈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 중앙설치홈에 설치된 수평기포관이 투시되도록 중앙설치홈과 연통되는 상부투시공 및 하부투시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몸체는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분에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는 측방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설치홈에는 상하방향 또는 45도 각도로 투명한 관체 내부에 액체가 충진되고, 충진된 액체에 기포가 인입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충진된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눈금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수직 또는 45도 각도의 확인이 가능한 보조기포관이 설치되며, 상기 폴딩힌지는 일측에 상기 중앙몸체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반원 형상의 제1회동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회동부의 상하부면에 상기 제1회동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축과, 일측에 상기 측방몸체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반원 형상의 제2회동부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회동부의 상하부면에 상기 제2회동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축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홀 및 제2홀이 형성되는 이음판과, 상기 제1축 및 제2축에 장착된 이음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음판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축 및 제2축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부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각도를 이루면서 제1각도조절자석바가 설치되고, 상기 제2회동부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1각도조절자석바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제2각도조절자석바가 설치되어, 상기 제1각도조절자석바에 제2각도조절자석바가 부착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몸체에 대해 상기 측방몸체가 각도 조절된 다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는 수평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수평기포관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를 형성하여, 수평을 측정하기 위한 수평기포관을 상면, 하면 및 측면에서 동시에 관측이 가능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수평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결합사시도이며,
도7은 도6에 따른 수평기가 접철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8 및 도9는 도6에 따른 수평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는 몸체(110) 및 수평기포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중앙부분에 전면, 후면이 개구되는 중앙설치홈(111)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110)에는 후술하는 수평기포관(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몸체(110)의 중앙부분에 중앙설치홈(11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이 라운드진 형상의 직육면체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직육면체형상을 포함한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몸체(110)를 철재 대상물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석판(11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중앙설치홈(111)이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기 때문에, 중앙설치홈(111)에 후술하는 수평기포관(120)이 설치되면 개구를 통해 전면, 후면에서 수평기포관(120)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수평기포관(120)은 상기 중앙설치홈(111)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되, 투명한 관체(121)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기포관(120)의 투명한 관체 내부에는 액체가 충진되고, 충진된 액체에 기포(122)가 인입된다. 그리고, 수평기포관(120)의 투명관체(121) 외면에 사용자가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123)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수평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수평기포관(120)의 투명한 관체에 충진된 액체 내부에서 기포(122)가 눈금(123)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수평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몸체(110)의 상면(1a)과 하면(1b)에는 상기 중앙설치홈(111)에 설치된 수평기포관(120)이 투시되도록 중앙설치홈(111)과 연통되는 상부투시공(131) 및 하부투시공(13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평기를 통해 수평을 측정할 때, 상기 상부투시공(131) 및 하부투시공(132)을 통해 중앙설치홈(111)에 설치된 수평기포관(120)을 상측과 하측의 양방향에서 관측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수평기를 통해 천정의 수평을 측정할 때, 수평기의 상면(1a)과 하면(1b)의 어느쪽을 천정에 부착하여도, 상기 상부투시공(131) 및 하부투시공(132)을 통해 중앙설치홈(111)에 설치된 수평기포관(120)을 관측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수평 측정작업이 매우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몸체(110)가 접철식으로 마련되어 작은 부피로 보관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몸체(1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절곡 구조체의 수평이나 협소한 공간에서도 구조물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는 중앙몸체(110-1)과, 중앙몸체(110-1)의 양측에서 폴딩힌지(150)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몸체(110-1)에 대해 양방향으로 접철되는 한쌍의 측방몸체(110-2)로 분할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몸체(110-1)은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중앙설치홈(111)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중앙설치홈(111)에 설치된 수평기포관(120)이 투시되도록 중앙설치홈(111)과 연통되는 상부투시공(131) 및 하부투시공(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몸체(110-2)는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분에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는 측방설치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설치홈(113)에는상하방향 또는 45도 각도로 투명한 관체(141) 내부에 액체가 충진되고, 충진된 액체에 기포(142)가 인입되며, 외면에 눈금(143)이 표시되어 충진된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눈금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수직 또는 45도 각도의 확인이 가능한 보조기포관(1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폴딩힌지(150)는 일측에 상기 중앙몸체(110-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151a)가 형성되고 타측에 반원 형상의 제1회동부(151b)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51)과, 상기 제1회동부(151b)의 상하부면에 상기 제1회동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축(152)과, 일측에 상기 측방몸체(110-2)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153a)가 형성되고 타측이 반원 형상의 제2회동부(153b)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153)과, 상기 제2회동부(153b)의 상하부면에 상기 제2회동부(153b)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축(154)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3)을 연결하며, 상기 제1축(152)과 제2축(153)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홀 및 제2홀(155a)이 형성되는 이음판(155)과, 상기 제1축(152) 및 제2축(154)에 장착된 이음판(15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음판(155)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축(152) 및 제2축(153)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원판(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기에 따르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가 중앙몸체(110-1)와 측방몸체(110-2)로 분할되고 중앙몸체(110-1)와 측방몸체(110-2)가 폴딩힌지(150)를 통해 완전하게 겹쳐지게 폴딩 접철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철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이동시 가방 등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몸체(110-1)에서 측방몸체(110-2)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측방몸체(110-2)에 수직도 또는 45도를 확인을 위한 보조기포관(140)이 설치되기 때문에, 중앙몸체(110-1)에서 측방몸체(110-2)의 각도를 조절하여 절곡 구조체의 수평도, 수직도 및 45도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구조물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르면,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151b)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각도를 이루면서 제1각도조절자석바(151c)가 설치되고, 상기 제2회동부(153b)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1각도조절자석바(151c)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제2각도조절자석바(153c)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각도조절자석바(151c)에 제2각도조절자석바(153c)가 부착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몸체(110-1)에 대해 상기 측방몸체(110-2)가 각도 조절된 다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앙몸체에 대해 측방몸체가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조절된 다음, 고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를 이루는 절곡 구조체의 수평도 수직도 및 45도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중앙몸체에 대해 측방몸체가 각도 조절된 후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몸체 120: 수평기포관
131: 상부투시공 132: 하부투시공
140: 보조기포관 150: 폴딩힌지

Claims (3)

  1. 중앙부분에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는 중앙설치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중앙설치홈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투명한 관체 내부에 액체가 충진되며, 충진된 액체에 기포가 인입되고, 외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충진된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눈금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수평 확인이 가능한 수평기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중앙설치홈에 설치된 수평기포관이 투시되도록 중앙설치홈과 연통되는 상부투시공 및 하부투시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투시공 및 하부투시공을 통해 중앙설치홈에 설치된 수평기포관을 상측과 하측의 양방향에서 관측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중앙몸체와, 중앙몸체의 양측에서 폴딩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접철되는 한쌍의 측방몸체로 분할 구성되되,
    상기 중앙몸체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중앙설치홈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 중앙설치홈에 설치된 수평기포관이 투시되도록 중앙설치홈과 연통되는 상부투시공 및 하부투시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몸체는 중공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분에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는 측방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설치홈에는 상하방향 또는 45도 각도로 투명한 관체 내부에 액체가 충진되고, 충진된 액체에 기포가 인입되며, 외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충진된 액체 내부에서 기포가 눈금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수직 또는 45도 각도의 확인이 가능한 보조기포관이 설치되며,
    상기 폴딩힌지는 일측에 상기 중앙몸체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반원 형상의 제1회동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회동부의 상하부면에 상기 제1회동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축과, 일측에 상기 측방몸체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반원 형상의 제2회동부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회동부의 상하부면에 상기 제2회동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축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홀 및 제2홀이 형성되는 이음판과, 상기 제1축 및 제2축에 장착된 이음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음판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축 및 제2축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각도를 이루면서 제1각도조절자석바가 설치되고,
    상기 제2회동부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45도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1각도조절자석바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제2각도조절자석바가 설치되어,
    상기 제1각도조절자석바에 제2각도조절자석바가 부착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중앙몸체에 대해 상기 측방몸체가 각도 조절된 다음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기.
KR2020170003367U 2017-06-28 2017-06-28 수평기 KR200487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67U KR200487449Y1 (ko) 2017-06-28 2017-06-28 수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67U KR200487449Y1 (ko) 2017-06-28 2017-06-28 수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49Y1 true KR200487449Y1 (ko) 2018-09-17

Family

ID=6370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67U KR200487449Y1 (ko) 2017-06-28 2017-06-28 수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492A (zh) * 2021-11-17 2022-02-18 桂县 一种工程质量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838A (ko) * 1990-02-10 1991-09-30 조경호 착탈식 수직 및 수평 측정용 각도기
JPH0622913U (ja) * 1992-04-16 1994-03-25 株式会社エビス 気泡管式水準器の気泡管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838A (ko) * 1990-02-10 1991-09-30 조경호 착탈식 수직 및 수평 측정용 각도기
JPH0622913U (ja) * 1992-04-16 1994-03-25 株式会社エビス 気泡管式水準器の気泡管取付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492A (zh) * 2021-11-17 2022-02-18 桂县 一种工程质量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CN114061492B (zh) * 2021-11-17 2023-10-03 湖北精兴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工程质量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77428A1 (en) Leveling and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5964505B2 (ja) クリノメーター、それを利用した走向及び傾斜角測定方法
KR200487449Y1 (ko) 수평기
US20200064132A1 (en) Level status indicator system and method
CN105022155A (zh) 手术显微镜系统
KR200487955Y1 (ko) 수평기
CN207687620U (zh) 可升降定位旋转台
CN105371834B (zh) 检测质量块及采用该检测质量块的陀螺仪
CN207095565U (zh) 尺子
US10480940B2 (en) Leveling and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2004212378A (ja) 傾斜測定器
KR20100034792A (ko) 수준기(水準器)
KR200463225Y1 (ko) 학습용 주향 및 경사 측정장치
JP6184278B2 (ja) 液面表示計
CN212807008U (zh) 一种桥梁施工用桥面水平检测装置
CN204788373U (zh) 便于测量的建筑尺
CN202974589U (zh) 一种焊缝泄漏检测真空罩
KR20080004099U (ko) 수평각도측정기
CN215338032U (zh) 一种建设工程用多功能测量工具
CN208620985U (zh) 两墙夹角及圆弧半径测量装置
CN213874306U (zh) 一种画框摆放用校平设备
CN216448786U (zh) 建设工程管理用检测尺
CN212779515U (zh) 一种可精准计量的医院药房用取药装置
CN219675095U (zh) 一种水平尺
CN213576695U (zh) 一种压差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