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15Y1 - 전자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15Y1
KR200487215Y1 KR2020140004020U KR20140004020U KR200487215Y1 KR 200487215 Y1 KR200487215 Y1 KR 200487215Y1 KR 2020140004020 U KR2020140004020 U KR 2020140004020U KR 20140004020 U KR20140004020 U KR 20140004020U KR 200487215 Y1 KR200487215 Y1 KR 200487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otive force
coil
opening
switching devic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350U (ko
Inventor
안태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1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자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방지소자를 코일에 포함하여, 전자개폐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의 방지소자 포함에 따른 설계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코일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역기전력에 의한 전자개폐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소손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전자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개폐장치{ELECTROMAGNETIC SWITCH}
본 명세서는 전자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폐장치의 코일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a이다.
도 2b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b이다.
종래의 전자개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를시 기전력이 발생하는 코일부(10), 기전력이 발생했을시 동작하는 개폐부(20) 및 고전압이 통전되는 고전압 통전부(30)로 이루어 수 있다.
종래의 전자개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구성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데, 도 2a에는 코일부(10)에 기전력이 발생하여 개폐부(20)가 폐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2b에는 코일부(10)에 기전력이 사라져 개폐부(20)가 개로되되, 코일부(10)에 기전력과 반대되는 역기전력이 발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부하에는 역기전력이 발생하고 역기전력이 발생함에 따라 코일과 연결된 전원 부하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고전압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 설계에 있어서 전자개폐장치의 코일단 전류의 역기전력에 대한 방지를 위하여 전자개폐장치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유닛에 역기전력방지를 위한 저항 또는 다이오드를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고전압 전자개폐장치로 신호를 공급하는 부품마다 역기전력방지를 위한 소자를 적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역기전력 방지를 위한 소자가 누락될 시에는 제품의 수명이 줄어들며 차량 단위에서의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종래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방지소자를 코일에 포함하여, 방지소자를 통해 코일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신호전류 인가시 기전력이 발생하는 코일로 이루어진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서 발생한 상기 기전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일부는, 상기 신호전류 차단시 역기전력이 발생하되,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방지소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일은, 일단이 상기 방지소자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방지소자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개폐부는, 평시에 개로되고, 상기 기전력이 발생했을시에 폐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지소자는, 다이오드 또는 저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지소자는, 상기 역기전력을 쇼트시켜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지소자는,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식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기전력 및 역기전력이 유기되는 코일에 방지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전자개폐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의 방지소자 포함에 따른 설계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기전력 및 역기전력이 유기되는 코일에 방지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코일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방지소자를 포함하여 코일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함으로써, 역기전력에 의한 전자개폐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소손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기전력 및 역기전력이 유기되는 코일에 방지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a이다.
도 2b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b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a이다.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b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은 전자개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기존의 모든 개폐장치를 비롯한 전자접촉기, 계전기, 차단기, 누전차단기, 개폐기 등 보호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 내부에 탑재되는 고전압 전자개폐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a이다.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b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의 구조는 종래의 전자개폐장치에서 추가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개폐장치(100)는, 코일부(10) 및 개폐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개폐장치(100)는, 외부프레임, 고전압이 통전되는 고전압 통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는, 신호전류 인가시 기전력이 발생하는 코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부(10)는, 상기 개폐부(20)가 개폐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는, 상기 코일에 상기 신호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신호전류에 의해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기전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20)가 개폐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는, 상기 코일에 상기 신호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기전력과 반대되는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역기전력이 외부로 유기되거나 상기 코일부(10) 및 상기 개폐부(20)에 영향을 주어,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의 내부 및 외부에 소손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상기 코일부(10)에서 발생한 상기 기전력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개폐부(20)는, 선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전자력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식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신호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기전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신호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기전력이 사라지면, 상기 기전력이 사라짐에 따라 초기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는, 상기 신호전류 차단시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되,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방지소자(1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코일부(10)는, 상기 신호전류가 차단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상기 방지소자(11)를 포함하여, 상기 방지소자(11)를 통해 상기 역기전력이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의 내부 및 외부에 소손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상기 코일부(10)의 코일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류 인가시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는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류 차단시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되,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상기 방지소자(11)를 포함하는 상기 코일부(10) 및 상기 코일부(10)에서 발생한 상기 기전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20)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개폐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구성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는 상기 신호전류 인가시 발생하는 상기 기전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20)가 개폐 동작하도록 하는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지소자(11)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은, 일단이 상기 방지소자(11)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방지소자(11)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과 상기 방지소자(11)는 병렬 연결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는, 상기 신호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되, 상기 신호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기전력이 사라지게 되면서 상기 개폐부(20)가 복구되고, 상기 기전력과 반대되는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상기 기전력 및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는 상기 코일과 병렬 연결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했을시 이를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평시에 개로되고, 상기 기전력이 발생했을시에 폐로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20)는,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기전력이 발생했을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로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기전력이 사라지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로되어 초기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평시에 개로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신호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기전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20)가 폐로되어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다이오드 또는 저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가 다이오드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의 일단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는 상기 다이오드의 양극(+)을, 상기 캐소드는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상기 역기전력을 쇼트시켜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방지소자(11)가 상기 역기전력을 쇼트시켜 방지함으로써, 상기 역기전력에 의한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의 내부 및 외부 소손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식일 수 있다.
즉, 상기 방지소자(11)의 보수 및 점검을 위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 실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자개폐장치(100)는, 송전선 및 배전선의 연결 구간, 개폐 구간, 발전소, 변전소, 대형플랜트 및 배전계통의 인입구 및 인출구, 전동차, 전력 기기, 특히 전기자동차 내부의 고전압 유기 부분에 포함되어 선로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의 개폐 기능은, 상기 개폐부(20)의 개폐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20)의 개폐 동작은, 상기 코일부(10)에 발생하는 상기 기전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전력은,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신호전류가 인가되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는, 전류가 흐를시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는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류가 차단될 시 발생하게 되는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방지소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소자(11)는, 상기 역기전력을 쇼트시켜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다이오드일 수 있고, 상기 코일 및 상기 방지소자(11)는 병렬 연결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평시에 개로되고, 상기 기전력이 발생하면 폐로될 수 있어, 상기 코일부(10)에 상기 신호전류가 인가되면 폐로되도록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에 인가된 상기 신호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기전력이 사라지게 되어, 상기 개폐부(20)가 개로되어 초기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에 인가된 상기 신호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기전력과 반대되는 상기 역기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전자개폐장치(100)의 내부 및 외부에 소손의 영향을 주게될 수 있는데, 상기 방지소자(11)가 상기 역기전력을 쇼트시켜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실시 예는, 모든 개폐장치를 비롯한 전자접촉기, 계전기, 차단기, 누전차단기, 개폐기 등 보호기기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의 실시 예는, 특히 전기자동차 내부에 탑재되는 고전압 전자개폐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기전력 및 역기전력이 유기되는 코일에 방지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전자개폐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의 방지소자 포함에 따른 설계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기전력 및 역기전력이 유기되는 코일에 방지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코일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방지소자를 포함하여 코일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함으로써, 역기전력에 의한 전자개폐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소손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개폐장치는, 기전력 및 역기전력이 유기되는 코일에 방지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코일부 11: 방지소자
20: 개폐부 30: 고전압 통전부
100: 전자개폐장치

Claims (6)

  1.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신호전류 인가시 기전력이 발생하는 코일로 이루어진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에서 발생한 상기 기전력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일부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외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전류 차단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방지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신호전류가 인가되는 일단이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평시에 개로되고,
    상기 기전력이 발생했을시에 폐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소자는,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소자는,
    상기 역기전력을 쇼트시켜 상기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장치.
  6. 삭제
KR2020140004020U 2014-05-26 2014-05-26 전자개폐장치 KR200487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20U KR200487215Y1 (ko) 2014-05-26 2014-05-26 전자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20U KR200487215Y1 (ko) 2014-05-26 2014-05-26 전자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50U KR20150004350U (ko) 2015-12-04
KR200487215Y1 true KR200487215Y1 (ko) 2018-08-22

Family

ID=5502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020U KR200487215Y1 (ko) 2014-05-26 2014-05-26 전자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15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665B1 (ko) * 1997-10-17 2000-11-1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코일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50U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8804B2 (ja) Dc回路遮断器及び断路器
SG144843A1 (en) Dc switchgear provided with a commutation-type dc circuit breaker
CN101982913A (zh) 岸电箱
CN205543704U (zh) 一种安全配电开关柜
KR200487215Y1 (ko) 전자개폐장치
CN104835690A (zh) 触发装置
CN106328439B (zh) 继电器模块
CN103346443A (zh) 一种地线带电异常报警的安全漏电保护插头
US9218922B2 (en) Fuse assembly including controlled separable contacts and power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4300493A (zh) 一种智能漏电保护装置
US9831663B2 (en) Surge prot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CN106783283A (zh) 一种基于通讯安全的通讯装配柜
CN206727427U (zh) 中压开关设备
CN201868839U (zh) 过电流保护电路
KR101247274B1 (ko) 과전류차단기 기능을 구비한 서지보호기
JP2011057009A (ja) 鉄道信号用保安器
JP2010246217A (ja) 回路遮断器
SG130957A1 (en) An electrical isolation circuit for preventing current flow from an electrical application to a dc power source
CN105788951A (zh) 固封式户内高压真空断路器保护装置及进行保护的方法
KR101153905B1 (ko) 철도용 낙뢰보호장치
JP2003088135A (ja) インバータモータのサージアブソーバ開閉回路
US2018029411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circuit breaker in metal-clad and metal enclosed switchgear
RU2554635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статоч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ресурса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CN203536935U (zh) 一种具有抗干扰功能的漏电断路器
CN215646148U (zh) 浪涌保护器的后备保护器及浪涌保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