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068Y1 - 근육지지기구 - Google Patents
근육지지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068Y1 KR200487068Y1 KR2020180001049U KR20180001049U KR200487068Y1 KR 200487068 Y1 KR200487068 Y1 KR 200487068Y1 KR 2020180001049 U KR2020180001049 U KR 2020180001049U KR 20180001049 U KR20180001049 U KR 20180001049U KR 200487068 Y1 KR200487068 Y1 KR 2004870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ortion
- support
- supporting
- muscle
- worn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10000001361 achilles tend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10000003314 quadriceps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03098 Ganglion Cyst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5400 Synovial Cys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094 Chronic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298 acut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02 isch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9 isoki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65 kne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72 metatars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7 neural contro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17 patell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9 protective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육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대퇴사두근, 종아리, 아킬레스건 등을 지지하여 해당 근육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는,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 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며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는,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 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며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근육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부위에 착용되어 해당 근육을 지지할 수 있는 근육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전면 허벅지에서 만져지는 근육으로서 대퇴사두근(musculus quadriceps femoris)은 무릎을 안정시키고 달리는 동안 다리를 앞으로 움직이는데 도움을 주며 착지시에 충격을 흡수하기도 한다.
대퇴사두근은 슬개골의 근위부에 부착하여 무릎을 펴는 운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사람이 선 자세를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보행하는데 가장 중요한 근육이다.
대퇴사두근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대퇴사두근의 수축시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구부린 채 걸어 다니고, 종아리를 쭉 펴지 못하며, 근육이 약화되면 골반이 후방 경사되어 요추 후만의 자세가 된다. 더불어, 무릎 근육의 약화로 인해 무릎을 굽히고 걷게 된다.
따라서, 무릎이 완전히 끝 범위까지 펴지지 않을 경우에는 무릎 관절 주변 근육뿐 아니라 고관절 주변근육까지 진단하여 관리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관절, 근육의 급성통증이나 만성통증에서 관절에 기인한 것인지 근육의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 진단을 하기란 어렵다.
왜냐하면 근육과 관절 그리고 인체와 중력을 따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종래에 보조기나 치료소도구 제품들은 임상적으로 접근 하지 않고 뼈의 구조만을 바라보고 만들어진 보호기나 근육의 수축원리는 고려하지 않고 근육을 마사지, 지압하는 효과에 대해서 미지수인 제품들이 많이 나와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근육과 관절의 치료는 근재교육을 통한 뇌의 신경조절에까지 영향을 미쳐야 가능하지만 종래 출시되고 있는 제품들은 실제적으로는 그 효과와 그 제품에서 발휘하고자 하는 성능을 제공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퇴사두근, 종아리, 아킬레스건 등을 지지하여 해당 근육을 보호할 수 있는 근육지지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는,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 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며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각각 허벅다리에 착용되거나, 또는 허벅다리와 무릎에 착용될 수 있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각각 종아리에 착용되거나, 아킬레스건에 동시 착용된다.
그리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는 제1착용부재,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향 경사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는 제2착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양측이 상기 제1착용부재 및 제2착용부재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신체부위에 접촉되어 해당 근육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신체부위에 접촉되어 해당 근육을 지지하는 부가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는, 대퇴사두근, 종아리, 아킬레스건 등을 지지하여 해당 근육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대퇴사두근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대퇴사두근과 무릎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종아리와 아켈레스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9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대퇴사두근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대퇴사두근과 무릎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종아리와 아켈레스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9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근육지지기구(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대퇴사두근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대퇴사두근과 무릎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가 종아리와 아켈레스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허벅다리의 대퇴사두근(내측광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종아리(비복근 외측두, 비복근 내측두, 아킬레스건 등을 지지하여 해당 근육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반슬, 외반슬, 반장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근육지지기구(1)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구는 제1지지부(10), 제2지지부(20), 착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는 각각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부위의 근육을 지지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는 도3과 같이 허벅다리에 착용되거나, 또는 도4와 같이 허벅다리와 무릎에 동시에 착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는 허벅다리나 무릎의 윤곽에 맞게 밀착될 수 있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가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는 그 저면이 허벅다리의 앞면과 양측면을 동시에 감싼다.
이때, 일반적으로 허벅다리는 그 굵기가 골반과 가까운 상측에서부터 무릎과 가까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제1지지부(10)는 허벅다리 중 골반과 가까운 상측을 감쌀 수 있고, 제2지지부(20)는 무릎과 가까운 하측을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부(10)는 허벅다리를 감싸 외측광근, 대퇴직근 및 내측광근을 지지함으로써, 대퇴사두근의 만성적 긴장상태를 완화시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관절과 인대의 불필요한 부하를 줄여준다.
아울러,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는 대퇴사두근을 지지하여 대퇴사두근의 불균형으로 인해 무릎의 통증과 근육의 수축으로 인한 내반슬, 외반슬 및 반장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슬와(슬관전뒤에 있는 능형(菱形)의 함몰된 부분)저림증을 완화시켜준다.
또한,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가 피로근육에 산소를 공급하고 혈류의 이동을 보조함에 따라, 다리로 과격한 운동을 하거나 장시간 운동을 하더라도 대퇴사두근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파열, 허혈성 통증,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를 이용한 운동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고, 운동 성취도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인체는 통증을 피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근육의 사용을 변화하게 되는데,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는 등장성, 등척성, 등속성 수축에 관여하여 통증으로 관절의 감각 수용기가 받아왔던 잘못된 신경 반응을 바르게 잡아주고, 관절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그리고,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는 근육의 길이 차이에 의한 변형 또한 중력이 작용하는 허벅다리에 대해서 근육의 자극을 정상으로 수용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며, 정상적인 자극과 늘어난 근육에 안정적인 자극이 동시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기에서 성인이 되기까지 아주 오랜 시간동안 잘못된 근육사용으로 다리모양이 변해 관절이나 근육통으로 고생하는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한편, 착용부(30)는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면서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를 허벅다리, 무릎 등의 신체부위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1착용부재(31)와 제2착용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착용부재(31)는 도2를 기준으로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좌측을 연결한다.
제1착용부재(31)는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하단에서 제2착용부재(32)를 향해 수평 절곡되어 허벅다리 뒷 부분에 착용된다.
제2착용부재(32)는 도2를 기준으로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우측을 연결한다.
제2착용부재(32)는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하단에서 제1착용부재(31)를 향해 절곡된다.
제2착용부재(32)는 신체부위의 윤곽에 맞게 밀착될 수 있으며, 그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각도는 약 30° 내지 50°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착용부재(32)를 상기한 수치로 형성할 시 근육지지기구(1)의 착용력을 높여 사용 중 허벅다리에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경결과 트리거포인트를 능동적으로 풀어주거나 잡아주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착용부(30)로 인해 대퇴사두근의 경결을 외측과 내측으로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어,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바지를 입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착용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착용부재(32)의 각도는 상기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사이즈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상 설명한 제1지지부(10), 제2지지부(20), 착용부(30)는 친환경 수지로서, 환경호르몬,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으며, 폐기 시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는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10), 제2지지부(20), 착용부(30)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벅다리나 기타 종아리와 같은 다른 신체부위 용이하게 착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는 도5와 같이 종아리에 착용되거나, 도6과 같이 아킬레스건에 착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측면이 종아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밀착되어 비복근 외측두 및 비복근 내측두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아킬레스건에 착용되는 경우에도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측면이 아킬레스건에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상측은 종아리에 착용하고, 하측은 아킬레스건에 착용하여 종아리와 아킬레스 건을 모두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7 및 도8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대해 설명한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육지지기구(1)가 허벅다리에 착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7 및 도8와 같이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사이에는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가 지지하는 못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부가 지지부(40)가 결합된다.
부가 지지부(40)는 제1지지부(10) 및 2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하단에 제1착용부재(31) 및 제2착용부재(3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홈(31a,32a)에 끼움 고정되는 돌기(41)가 형성된다.
따라서, 부가 지지부(40)는 제1착용부재(31) 및 제2착용부재(32)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다.
부가 지지부(40)는 제1착용부재(31) 및 2착용부(30)재에 결합될 시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의 사이에 위치되는 허벅다리를 감싸 근육을 지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10)와 2지지부 및 부가 지지부(40)가 고루게 분포된 상태에서 허벅다리를 감쌈에 따라, 외측광근, 대퇴직근 및 내측광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부가 지지부(40)는 외측광근, 대퇴직근 및 내측광근을 더욱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9 및 도10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대해 설명한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근육지지기구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근육지지기구(1)가 허벅다리에 착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9 및 도10과 같이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에는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가 지지하는 못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부가 지지부(50)가 결합된다.
부가 지지부(50)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에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홈(10a,10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돌기(51)가 형성된다.
따라서, 부가 지지부(50)는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다.
이때, 부가 지지부(50)는 다수개가 서로 평행하는 형태로 제1지지부(10) 및 제2지지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역시 제1지지부(10)와 2지지부 및 부가 지지부(50)가 고루게 분포된 상태에서 허벅다리를 감쌈에 따라, 외측광근, 대퇴직근 및 내측광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근육지지기구 10 : 제1지지부
10a,20a,31a,32a : 홈 20 : 제2지지부
30 : 착용부 31 : 제1착용부재
32 : 제2착용부재 40,50 : 부가 지지부
41,51 : 돌기
10a,20a,31a,32a : 홈 20 : 제2지지부
30 : 착용부 31 : 제1착용부재
32 : 제2착용부재 40,50 : 부가 지지부
41,51 : 돌기
Claims (6)
-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신체부위를 감싸 해당 부위의 근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며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는 제1착용부재,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향 경사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는 제2착용부재를 포함하는 근육지지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각각 허벅다리에 착용되거나, 또는 허벅다리와 무릎에 착용될 수 있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근육지지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각각 종아리에 착용되거나, 아킬레스건에 동시 착용되는 근육지지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양측이 상기 제1착용부재 및 제2착용부재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신체부위에 접촉되어 해당 근육을 지지하는 부가 지지부를 포함하는 근육지지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신체부위에 접촉되어 해당 근육을 지지하는 부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근육지지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049U KR200487068Y1 (ko) | 2018-03-12 | 2018-03-12 | 근육지지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049U KR200487068Y1 (ko) | 2018-03-12 | 2018-03-12 | 근육지지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068Y1 true KR200487068Y1 (ko) | 2018-07-31 |
Family
ID=6304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049U KR200487068Y1 (ko) | 2018-03-12 | 2018-03-12 | 근육지지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068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7462A (ja) * | 1999-07-09 | 2001-01-23 | Morito Co Ltd | 膝用サポータ |
JP2010136846A (ja) * | 2008-12-11 | 2010-06-24 | Yasushi Shimizu | 矯正補助具 |
KR101330343B1 (ko) | 2012-02-01 | 2013-11-15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무릎관절 보조를 통한 보행 보조가 가능한 무릎보장구 |
KR20130132486A (ko) * | 2010-12-28 | 2013-12-04 |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 하퇴용 서포터 |
-
2018
- 2018-03-12 KR KR2020180001049U patent/KR20048706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7462A (ja) * | 1999-07-09 | 2001-01-23 | Morito Co Ltd | 膝用サポータ |
JP2010136846A (ja) * | 2008-12-11 | 2010-06-24 | Yasushi Shimizu | 矯正補助具 |
KR20130132486A (ko) * | 2010-12-28 | 2013-12-04 |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 하퇴용 서포터 |
KR101330343B1 (ko) | 2012-02-01 | 2013-11-15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무릎관절 보조를 통한 보행 보조가 가능한 무릎보장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65024B2 (en) | Support brace | |
US5215508A (en) | Ankle rehabilitation device | |
KR101064031B1 (ko) | 체형교정용 바지 | |
US9795499B2 (en) | Apparatus having brace assembly for muscle | |
US8403872B2 (en) |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 |
KR100742181B1 (ko) | 무릎 보호대 | |
US8540655B2 (en) |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 |
US10765548B2 (en) | Knee joint orthosis | |
WO2006043476A1 (ja) | スポーツウェア | |
EP3138540A1 (en) |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 |
US20170105864A1 (en) | Triple flexion device | |
JPWO2019159281A1 (ja) | 踵足首サポーター | |
De la Corte‐Rodriguez et al. | The current role of orthoses in treating haemophilic arthropathy | |
US20240164930A1 (en) | Versatile Articulated Dynamic Response Ankle Foot Orthosis | |
US11241340B2 (en) | Assistive device for hamstring injury rehabilitation | |
KR102011203B1 (ko) |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 |
KR200487068Y1 (ko) | 근육지지기구 | |
KR101675338B1 (ko) | 트레이닝 팬츠 | |
JP2007186803A (ja) | サポータ | |
KR20200086136A (ko) | 고관절 및 무릎인대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 |
Quillen | An alternative management protocol for lateral ankle sprains | |
US20150141890A1 (en) | Dynamically responsive brace | |
JP2022076424A (ja) | 関節サポーター | |
Zhu | Function of gluteus maximus and lower limbs injury in a global perspective | |
Ogrodzka et al. | Dysfunction of locomotion after resection of the meniscus based on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