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033Y1 - supporting plate - Google Patents

support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033Y1
KR200487033Y1 KR2020170005774U KR20170005774U KR200487033Y1 KR 200487033 Y1 KR200487033 Y1 KR 200487033Y1 KR 2020170005774 U KR2020170005774 U KR 2020170005774U KR 20170005774 U KR20170005774 U KR 20170005774U KR 200487033 Y1 KR200487033 Y1 KR 200487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rods
fixing
main body
mou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7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2020170005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3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정사진을 세우거나 이동시에 편리하게 받칠 수 있으며, 위패 또는 명패를 크게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는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를 얻기 위한 것 인바,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는 제사 상단에 영정을 세울 수 있는 받침대 역활과 발인시에 가족 중에 한 분이 영정사진을 들고 이동시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들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며, 제사상 또는 가구 등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후방 좌우측지지대를 형성하고 벽에 걸 수 있는 효율적이고 뛰어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btain a tabletop or a nameplate fixed base which can be easily supported when setting up or moving the picture of the child, and can mount the tablet or the nameplate regardless of the size,
The tablets or stationary stationary stand of Yeongjeong photo is a pedestal that can stand on the top of the sacrifice. It is designed to be conveniently and securely lifted when a family member carries a photo of Yeongjeong at the time of striking and can be put on a priesthood or furniture. So that it can be hung on the wall.

Description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supporting plate}The supporting plate of the photo of the royal family

본 고안은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정사진을 세우거나 이동시에 편리하게 받칠 수 있으며, 위패 또는 명패를 크게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는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bed tablet or a tabbed tabletop of a photograph of Jungjeong,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conveniently supported when setting up or moving a tablet, It is about the pedestal.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영정사진용 액자는 목재나 금속재로 형성된 액자틀과 액자틀의 전면에 유리나 아크릴로 된 투명판과 액자틀의 후면에 영정사진을 지지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고정판을 분리한 후 영정사진을 넣은 후 다시 고정판을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영정사진을 넣을 수 있다.The usual photo frame used for photographs is composed of a frame made of wood or metal and a transparent plate made of glass or acrylic on the front of the frame and a fixing plate for supporting the photo on the back of the frame. After the fixing plate is removed, The fixing plate can be fixed by fixing means and the photograph of the photograph can be inserted.

종래의 영정사진용 액자는 세워놓기 위한 받침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벽면을 받침대 삼아 비스듬하게 세워놓거나 다른 받침 수단을 통해 영정테이블의 상부에 세워놓을 수 있으며, 영정사진용 액자를 세워놓은 상태가 보기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세워놓은 상태에서 사람의 손이나 다른 물건에 살짝 부딪히더라도 쉽게 쓰러지게 되어 고인의 명복을 비는데에 누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photo frame for photo is not equipped with a stand for standing upright, so that the wall can be erected at an angle as a pedestal or can be raised at the top of the table by using other supporting means. Not only is it not good, but even if it hits a person's hand or other object in a state of standing up easily, it falls down easi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pushes to press the clothes of the deceased pers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 등록 제20-0430014호 받침대가 구비된 영정사진용 액자는 목재나 금속재로 된 액자틀과 액자틀의 전면에 유리나 아크릴 등으로 된 투명판과 액자틀의 후면에 영정사진을 지지하는 고정판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아래쪽이 되는 액자틀의 전면에 소정넓이를 가지면서 바닥면이 평편한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액자와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영정사진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지 액자를 받쳐주는 역활만 하므로 발인시에 영정을 들고 이동시에 무게감을 느끼고, 실수로 놓칠 경우 파손 및 낭패를 보는 문제점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0014 is equipped with a pedestal, and the photo frame for the photo is a transparent plate made of glass or acrylic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or frame made of wood or metal, The fram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ram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a flat bottom surface, but the frame and the pedestal are integrally formed, and since other frames can not be used, There is a problem, and it only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frame, so when you take a photo, you feel the weight when you move it.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정사진을 제사상 또는 상단에 세울 수 있도록 한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발인시에 영정 사진을 이동하기 편리하게 형성된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top or a nameplate fixed base of a photo of a young person who can set up a photo of a young person on a priesthood or a top, To provide a pedestal.

본 고안은 영정액자(100)가 받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30); 상기 본체부(30)의 전방에 영정액자의 바닥이 받쳐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앞으로 당기고 뒤로 밀어넣을 수 있는 좌우측 지지대(40, 40')가 받침대 끝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 영정고정걸이대(50, 5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본체부(30)의 전면에 영정액자(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부(3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고정걸이대(50, 50')의 양쪽 끝에 걸림홈(52, 52')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52, 52')에 영정액자(100)가 끼워진 상태로 길이가 조절되는 영정고정걸이대(50, 50'); 상기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한쪽 측면에 측면지지대(62, 62')가 형성되어 있고, 위패고정설치대(60, 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패(200)의 좌우 크기에 따라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좌우 방향의 크기가 조절되는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 및 상기 본체부(30)의 후방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경첩(22, 22')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사진 액자(100)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된 후방 좌우측지지대(20, 20');로 이루어진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frame (30)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a frame (100) and having a pedestal at a lower end there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and 40 ', which are pulled forward and can be pushed back,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30, Left and right pedestals 10 and 10 '; The stationary hooks 50 and 50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stationary frame 100 can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30 while being moved in the left- 50 ', 50', 50 ', 50', 5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frame 50', 50 ', and the length of the locking frame 50, 50' ); Side supports 62 and 6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fixtures 60 and 60', and tab fastening fixtures 60 and 6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ront left and right fins 10 and 10'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mounts 60 and 60 'that ar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ze of the tablet card fixing mounts 60 and 6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izes of the tabletop 200; And a rear left and right support rods 20 and 2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30 so as to be foldable or unfolded by hinges 22 and 22' ; And a stationary pedestal such as a tablets or a calligrapher.

본 고안의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는 제사 상단에 영정을 세울 수 있는 받침대 역활과 발인시에 가족 중에 한 분이 영정사진을 들고 이동시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들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며, 제사상 또는 가구 등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후방 좌우측지지대를 형성하고 벽에 걸 수 있는 효율적이고 뛰어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The tablets or the nameplate fixed shelf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edestal to stand on the top of the sacrifice, and it is designed so that one of the family members can take a picture of the house and carry it safely when moving. It is a very useful device that has an efficient and excellent effect to form a rear left and right support for hanging and hanging on a wall.

도 1은 본 고안의 영정사진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영정사진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영정사진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영정사진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영정사진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영정사진 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영정사진 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ll photo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ll photo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ll photo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hotographic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ll picture photograp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ill photo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ill photo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영정액자(100)가 받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30);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frame (30)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a frame (100) and having a pedestal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본체부(30)의 전방에 영정액자의 바닥이 받쳐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앞으로 당기고 뒤로 밀어넣을 수 있는 좌우측 지지대(40, 40')가 받침대 끝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and 40 ', which are pulled forward and can be pushed back,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30, Left and right pedestals 10 and 10 ';

영정고정걸이대(50, 5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본체부(30)의 전면에 영정액자(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부(3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고정걸이대(50, 50')의 양쪽 끝에 걸림홈(52, 52')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52, 52')에 영정액자(100)가 끼워진 상태로 길이가 조절되는 영정고정걸이대(50, 50'); The stationary hooks 50 and 50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stationary frame 100 can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30 while being moved in the left- 50 ', 50', 50 ', 50', 5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frame 50', 50 ', and the length of the locking frame 50, 50' );

상기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한쪽 측면에 측면지지대(62, 62')가 형성되어 있고, 위패고정설치대(60, 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패(200)의 좌우 크기에 따라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좌우 방향의 크기가 조절되는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 및Side supports 62 and 6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fixtures 60 and 60', and tab fastening fixtures 60 and 6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ront left and right fins 10 and 10'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mounts 60 and 60 'that ar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ze of the tablet card fixing mounts 60 and 6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izes of the tabletop 200; And

상기 본체부(30)의 후방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경첩(22, 22')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사진 액자(100)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된 후방 좌우측지지대(20, 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A rear left and right support rods 20 and 2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30 by hinges 22 and 22'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capable of standing on the floor of the photo frame 10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op or a nameplate fixed base.

본 고안에 있어서 좌우 위패고정설치대는 좌우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하부면 양쪽에 걸림고리(64, 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걸림고리(64)와 걸림고리(64') 사이에 중앙지지대(16, 16')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지지대(16, 16')의 양쪽에 삽입홈(14, 14-1, 14', 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중앙지지대(16, 16')가 좌우측 지지대(40, 4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패(200)의 좌우 크기에 따라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좌우 방향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fixing mounts are provided with fastening hooks 64 and 64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fastening fixing supports 60 and 60', and both the fastening hooks 64 and 64 ' 16 ', and insertion grooves 14, 14-1, 14', 14'-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rods 16, 16 '
When the center support rods 16 and 16 'of the left and right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and 40 ', the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ze of the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ize of the wristwatch 200.

본 고안 전방 좌우측지지대는 액자의 두께가 두꺼운 영정사진 액자를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에 고정하는 경우 좌우측 지지대(40, 40')를 앞으로 당기고 뒤로 밀어넣어서 두께가 두꺼운 영정사진 액자를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rods 40 and 40 'are pushed forward and backward when fixing a photo frame of a thick photo frame to the front left and right pedestals 10 and 10' And can b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pedestals 10 and 10 '.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고안에서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의 본체부(30)는 영정액자(100)가 받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는 본체부(30)의 전방에 영정액자의 바닥이 받쳐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앞으로 당기고 뒤로 밀어넣을 수 있는 좌우측 지지대(40, 40')가 받침대 끝에 형성되어 있고, 영정고정걸이대(50, 50')는 영정고정걸이대(50, 5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본체부(30)의 전면에 영정액자(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부(3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고정걸이대(50, 50')의 양쪽 끝에 걸림홈(52, 52')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52, 52')에 영정액자(100)가 끼워진 상태로 길이가 조절되며,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는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한쪽 측면에 측면지지대(62, 62')가 형성되어 있고, 위패고정설치대(60, 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패(200)의 좌우 크기에 따라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좌우 방향의 크기가 조절되고, 후방 좌우측지지대(20, 20')는 본체부(30)의 후방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경첩(22, 22')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사진 액자(100)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영정사진을 제사상 또는 상단에 세울 수 있으며, 발인시에 영정 사진을 이동하기 편리하다.
As shown in FIGS. 1 to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30 of the tablets or stationary-type pedestal is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frame 100, a pedestal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and 40 ', which are pulled forward and can be pushed back,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30 in such a manner as to protrude forward so that the bottom of the frame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main frame 100 and the main frame 50 can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30 while the main fixing frames 50 and 50 ' Ar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fixed fixing members 50 and 50 'and the fixed frame 100 is attached to the fixing grooves 52 and 52' The length is adjusted in the fitted state,
The left and right wrist rest fixing supports 60 and 6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ront left and right wrist supports 10 and 10' and have side supports 62 and 62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wrist rest fixing supports 60 and 60'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ze of the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ize of the wristwatch 200, and the size of the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The frame 20 and 20 'are attached by hinges 22 and 22' so that they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30. The frame 20 and 20 ' Can be placed on the priesthood or on the top, and it is convenient to move the photo of the goddess at the time of the footsteps.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고안에서 좌우 위패고정설치대는 좌우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하부면 양쪽에 걸림고리(64, 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걸림고리(64)와 걸림고리(64') 사이에 중앙지지대(16, 16')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지지대(16, 16')의 양쪽에 삽입홈(14, 14-1, 14', 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중앙지지대(16, 16')가 좌우측 지지대(40, 4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패(200)의 좌우 크기에 따라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좌우 방향의 크기가 조절되어 영정사진을 제사상 또는 상단에 세울 수 있으며, 발인시에 영정 사진을 이동하기 편리하다.
As shown in FIGS. 1 to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tabular fixation mounts are provided with engagement rings 64 and 64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tabular fixture mounts 60 and 60' The centering supports 16 and 16 'are formed between the hooking rings 64 and the insertion grooves 14, 14-1, 14' and 14'-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ing supports 16 and 16 'Lt; / RTI >
When the center support rods 16 and 16 'of the left and right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and 40 ', the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ze of the tablet mounting fixture 60 and 6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ize of the tablet set 200, so that the tablet can be set up on the prize or top, and it is convenient to move the tablet .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고안에서 전방 좌우측지지대는 액자의 두께가 두꺼운 영정사진 액자를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에 고정하는 경우 좌우측 지지대(40, 40')를 앞으로 당기고 뒤로 밀어넣어서 두께가 두꺼운 영정사진 액자를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에 고정할 수 있어 영정사진을 제사상 또는 상단에 세울 수 있으며, 발인시에 영정 사진을 이동하기 편리하다.As shown in FIGS. 1 to 7,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fixing a photo frame of a photo frame having a thick frame to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 supports 10 and 10 ', the front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pull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s 40 and 40' It is possible to fix the photo frame with a thick thickness on the front left and right pedestals 10 and 10 'so that the photo frame can be set up on the prize or the top, and it is convenient to move the photo frame on the foot.

10, 10': 전방 좌우측받침대 20, 20': 후방 좌우측지지대
30: 본체부 40, 40': 좌우측 지지대
50, 50': 영정고정걸이대
100, 100-1: 영정사진 액자 200: 위패
10, 10 ': front left and right pedestals 20, 20': rear left and right pedestals
30: main body 40, 40 ': left and right supports
50, 50 ': Fixed hangers
100, 100-1: Picture frame photo frame 200: tablets

Claims (3)

영정액자(100)가 받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30);
상기 본체부(30)의 전방에 영정액자의 바닥이 받쳐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앞으로 당기고 뒤로 밀어넣을 수 있는 좌우측 지지대(40, 40')가 받침대 끝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
영정고정걸이대(50, 5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본체부(30)의 전면에 영정액자(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부(3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고정걸이대(50, 50')의 양쪽 끝에 걸림홈(52, 52')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52, 52')에 영정액자(100)가 끼워진 상태로 길이가 조절되는 영정고정걸이대(50, 50');
상기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한쪽 측면에 측면지지대(62, 62')가 형성되어 있고, 위패고정설치대(60, 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패(200)의 좌우 크기에 따라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좌우 방향의 크기가 조절되는 좌우위패고정설치대(60, 60'); 및
상기 본체부(30)의 후방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경첩(22, 22')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영정사진 액자(100)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된 후방 좌우측지지대(20, 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
A main body 30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frame 100 and having a pedestal at a lower end there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and 40 ', which are pulled forward and can be pushed back,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30, Left and right pedestals 10 and 10 ';
The stationary hooks 50 and 50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stationary frame 100 can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30 while being moved in the left- 50 ', 50', 50 ', 50', 5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frame 50', 50 ', and the length of the locking frame 50, 50');
Side supports 62 and 6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fixtures 60 and 60', and tab fastening fixtures 60 and 6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ront left and right fins 10 and 10'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mounts 60 and 60 'that ar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ze of the tablet card fixing mounts 60 and 6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izes of the tabletop 200; And
A rear left and right support rods 20 and 2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30 by hinges 22 and 22'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capable of standing on the floor of the photo frame 100;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ixed to the b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위패고정설치대는 좌우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하부면 양쪽에 걸림고리(64, 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걸림고리(64)와 걸림고리(64') 사이에 중앙지지대(16, 16')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지지대(16, 16')의 양쪽에 삽입홈(14, 14-1, 14', 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중앙지지대(16, 16')가 좌우측 지지대(40, 4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패(200)의 좌우 크기에 따라서 위패고정설치대(60, 60')의 좌우 방향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mounting brackets are formed with fastening hooks (64, 64 ')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tab fastening mounting brackets (60, 60' And 14 '- 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s 16 and 16', respectively, and the center supports 16 and 16 ' ,
When the center support rods 16 and 16 'of the left and right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and 40 ', the wristwatch fixing mounts 60 and 60'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ze of the wristwatch fixing mounts (60, 60 ')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ize of the wristwatch (2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좌우측지지대는 액자의 두께가 두꺼운 영정사진 액자를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에 고정하는 경우 좌우측 지지대(40, 40')를 앞으로 당기고 뒤로 밀어넣어서 두께가 두꺼운 영정사진 액자를 전방 좌우측받침대(10, 1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left and right support rods are formed by pulling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40, 40 ') forward and pushing them backward when fixing the photo frame with a thick photo frame to the front left and right pedestals (10, 10' Wherein the photo frame can be fixed to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 pedestals (10, 10 ').









KR2020170005774U 2017-11-10 2017-11-10 supporting plate KR2004870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74U KR200487033Y1 (en) 2017-11-10 2017-11-10 support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74U KR200487033Y1 (en) 2017-11-10 2017-11-10 support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33Y1 true KR200487033Y1 (en) 2018-07-27

Family

ID=6304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774U KR200487033Y1 (en) 2017-11-10 2017-11-10 support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3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64A (en)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카일루스 Temporary charnel house installed on funeral bu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259B1 (en) * 1998-06-22 1999-10-25 和夫 秋田 Bone Buddhist Altar
KR20130001647U (en) * 2011-09-01 2013-03-11 김종원 Portrait supporter
KR20140039579A (en) * 2012-09-24 2014-04-02 이성윤 A chair for carrying coffin
KR20150006651A (en) * 2013-07-09 2015-01-19 김종원 Supporter for the deceased person's portrai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259B1 (en) * 1998-06-22 1999-10-25 和夫 秋田 Bone Buddhist Altar
KR20130001647U (en) * 2011-09-01 2013-03-11 김종원 Portrait supporter
KR20140039579A (en) * 2012-09-24 2014-04-02 이성윤 A chair for carrying coffin
KR20150006651A (en) * 2013-07-09 2015-01-19 김종원 Supporter for the deceased person's portrai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64A (en)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카일루스 Temporary charnel house installed on funeral b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3244A1 (en) Combination collapsible table picture frame
KR200487033Y1 (en) supporting plate
JP3226107U (en) Portable photography stand
US3065943A (en) Back rests for picture frames
CN210011514U (en) Drawing board for preschool education
KR20130001647U (en) Portrait supporter
KR20180003636U (en) supporting plate
KR101254634B1 (en) Portrait supporter
KR100696936B1 (en) A decoration furniture having a table
RU140418U1 (en) TABLE ADJUSTABLE
JP2000229016A (en) Simple table
CN210493477U (en) A fixed bolster for baby shoots
KR200485877Y1 (en) Multi functional picture frame
CN214904795U (en) Study desk convenient for placing articles
KR200443794Y1 (en) Picture frame
TWM278321U (en) Fixing buckle structure of demonstration shelf
CN220898209U (en) Portable sketching easel
JP2520572Y2 (en) Curtain board mounting device
CN216724030U (en) Auxiliary cooling device for rice bowl
KR19990035772U (en) Easel
KR200430014Y1 (en) A frame having supporter for portrait
KR950008914Y1 (en) Cooker
KR200169223Y1 (en) Display table
KR200479001Y1 (en) Table
JP2008212322A (en) Hol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