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45Y1 - 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 Google Patents

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45Y1
KR200486645Y1 KR2020160006532U KR20160006532U KR200486645Y1 KR 200486645 Y1 KR200486645 Y1 KR 200486645Y1 KR 2020160006532 U KR2020160006532 U KR 2020160006532U KR 20160006532 U KR20160006532 U KR 20160006532U KR 200486645 Y1 KR200486645 Y1 KR 200486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ray
tray main
suppor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1486U (en
Inventor
나대석
이화성
나미희
전하준
변미순
Original Assignee
나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희 filed Critical 나미희
Priority to KR2020160006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45Y1/en
Publication of KR20180001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8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4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물을 수납하고 운반하며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트레이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적재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측면과 밑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기홀을 통해 공기와 수분을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트레이본체;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길이방향 양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본체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본체지지대; 및 상기 트레이본체와 상기 본체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본체와 상기 본체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지지대는,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트레이본체 길이방향의 양 말단에 커넥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본체지지대를 회전시켜서 트레이본체의 상단에 고정하고 적재물이 담긴 트레이본체를 적재물의 손상 없이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capabl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oads and stacking them in multi-
A tray main body having a top opened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load therein and at least one vent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o communicate air and moistur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A pair of body support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y body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a connector installed on the tray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upport for rotatably hinging the tray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upport to each other,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surround a part thereof.
A main body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y main body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o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and to hold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in a multi- It is easy to carry.

Description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본 발명은 적재물들을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가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여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적재물의 적재가 가능한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loa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capable of being stacked in multi-stages so that a larger amount of loads can be stacked in a limited space. will be.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는 식품용 트레이는 오늘날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조리용 김을 담아 포장하기 위한 김 트레이를 비롯하여, 각종 해조류는 물론 딸기, 방울 토마토, 복숭아, 블루베리, 키위, 참다래 등과 같은 과일, 나아가 호도, 밤, 잣, 대추, 아몬드 등과 같은 견과류를 담아 포장하는 각종 트레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각종 과일이나 식품을 담아 포장하기 위한 모든 트레이를 식품용 트레이로 통칭한다.Food trays made of synthetic resin films are used extensively today. A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there are various kinds of algae such as a kimchi tray for packing a kimchi for cooking, fruits such as strawberry, drop tomato, peach, blueberry, kiwi and kiwi fruit, Various trays for packaging nuts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trays for packaging such fruits or food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ood trays.

이러한 식품용 트레이는 통상 폴리에스터(PET) 필름을 비롯하여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스티렌(PS) 필름으로 제조된다. 우선 합성수지 필름을 제조한 후, 그 합성수지 필름을 금형을 이용하여 압진공 공법으로 제조한다.Such food trays are usually made of polypropylene (PP) or polystyrene (PS) films, as well as polyester (PET) films. First, a synthetic resin film is produced, and then the synthetic resin film is produced by a press-vacuum method using a mold.

간단히 설명하면, 필름을 금형에 위치시키고, 적절한 온도로 가열한 후, 금형 외부쪽에서는 기체로써 압력을 가하고, 금형 내부쪽에서는 진공으로 흡입함으로써 각종 식품용 트레이를 제조한다. Briefly, the film is placed in a mold, heated to a suitable temperature, pressure is applied with a gas from the outside of the mold, and vacuum is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mold to produce various food trays.

이러한 압진공 공법에 의하여 식품용 트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od tray by such a vacuum press method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식품용 트레이는 통상 직육면체의 4각 형태와 사발이나 대접 모양의 원형 형태로 구분된다.Food trays are usually divided into a rectangular shape with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round shape with a bowl or bowl.

두꺼운 필름을 사용할수록 그만큼 수지 원료가 많이 소요되고, 그 결과 제조원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한 얇은 필름만을 사용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제조된 식품용 트레이는 내용물을 담은 경우에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해야 하고, 그 상부에서 실링(sealing)과 같은 방법으로 밀봉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공정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The thicker the film is, the more the resin raw material is consum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use only infinite thin film. Because manufactured food trays must maintain a certain shape even when they contain the contents and have to be of a certain strength in order to facilitate such a process, since they must be sealed in the same way as on the top.

다시 말해서, 트레이 상부에서 실링 작업을 할 때, 트레이가 강도가 약해서 쉽게 찌그러진다면 실링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얇은 필름을 사용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식품용 트레이를 제조하는 중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seal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tray, if the tray is weak in strength and easily crushed, the sealing operation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echnique to manufacture a food tray to maintain sufficient strength while using a thin film.

이제까지 제조되고 있는 김 트레이를 예를 들면, 통상 0.35 mm 두께의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의 한계이다. 그 두께가 0.35 mm 이하인 경우에는 실링 작업 등에 필요한 강도를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와 같은 사정은 다른 용도의 트레이에도 마찬가지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Kim tray which has been manufactured so far, the use of a 0.35 mm thick PET film is the limit of the technology. If the thickness is 0.35 mm or less, the strength necessary for sealing work can not be obtained.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the same is true for other types of trays.

이와 같은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13-0004124호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에서 개시 되었다. Such an example is disclosed in Prior Art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3-0004124 'Food tray having excellent strength structure'.

종래기술에 따른 식품용 트레이는 대향되는 2개의 장 측면, 대향되는 2개의 단 측면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식품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장 측면에는 긴 리브와 짧은 리브가 교대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긴 리브는 굴곡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tray for fo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two opposite long side surfaces, two opposed short side surfaces and a bottom surface, wherein a long rib and a short rib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ong side, The long rib is formed to penetrate the bent portion.

상기 짧은 리브는 상기 굴곡부 직전까지 상기 장 측면 상에만 형성되며, 상기 단 측면에는 긴 리브와 짧은 리브가 교대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긴 리브는 상기 굴곡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짧은 리브는 상기 굴곡부 직전까지 상기 단 측면 상에만 형성된다.Wherein the short ribs are formed only on the long side surface up to just before the bending portion, the long ribs and the short ribs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hort side surface, the long ribs are formed to penetrate the bending portion, And only on the short side until just before the bent portion.

상기 바닥면에는 관통 리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단 측면에 평행하도록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인접하는 관통 리브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리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면의 상기 관통리브는 상기 장 측면의 상기 긴 리브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rib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hort side at regular intervals, and connection ribs connecting the adjacent through rib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penetrating ribs on the bottom surface are preferably not staggered with the long ribs on the side of the long side but staggeredly staggered.

한편, 한정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양의 채소나 기타 식자재들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상기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단으로 쌓아올릴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트레이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Meanwhil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a tray having a function of stacking up a plurality of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in a limited space has been actively studied.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74479호(고안의 명칭: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4479 (name of design: tray for food having excellent strength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한정된 적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트레이를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y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rays in a multi-tiered manner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a limited stacking space do.

또한, 적재되는 적재물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서 내부 공간의 구획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ortation tray which can be stored in a multistage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dividing an internal space according to various sizes of loads to be load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는, 적재물을 수납하고 운반하며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트레이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적재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측면과 밑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기홀 을 통해 공기와 수분을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트레이본체;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길이방향 양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본체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본체지지대; 및 상기 트레이본체와 상기 본체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본체와 상기 본체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지지대는,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정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capable of being stored in multi-stages, which is capabl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oads and stacking them in multi-tiers, wherein the tray is manufactured in a box- And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o communicate air and moistur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A pair of body support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y body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a connector installed on the tray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upport for rotatably hinging the tray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upport to each other, And can be made to have a length set to surround a part thereof.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트레이본체 길이방향 양말단 상부의 설정된 부분에서 상기 트레이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설정된 길이의 걸림봉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걸림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지지대가 상기 트레이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걸림봉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리모양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include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tegrally with the tray body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tray body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ocking part joint which is integrally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cking ba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cking part, at a portion where the main body supporting part is coupled to the tray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bar can do.

또한, 상기 본체지지대는, 상부에서 상기 트레이본체 모서리들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트레이본체 모서리들의 하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트레이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 및 상기 트레이본체의 양측면과 맞닿는 부분에서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면서 수직한 상태로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본체의 양측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support base is protru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tray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fixes the main body of the tray while receiving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of the tray. And a bent portion formed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ly from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rtion abutting both sides of the tray main body and to cover a part of both sides of the tray main body.

또한, 상기 트레이본체 길이방향 양내측면의 설정된 위칙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홀이 결합되면서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본체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시키는 공간구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of the tray main bod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divide the space inside the tray main body into upper and lower spaces Member. ≪ / RTI >

또한, 상기 공간구획부재는, 수분이나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Also, the space partition member may be manufactured using a nonwoven fabric capable of communicating moisture or air.

본 고안의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는, 트레이본체 길이방향의 양 말단에 커넥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본체지지대를 회전시켜서 트레이본체의 상단에 고정하고 적재물이 담긴 트레이본체를 적재물의 손상 없이 다단으로 적재가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A transport tray capable of being housed in the multi-t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support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s vertically movable, It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without damaging the load, so it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또한, 빈 트레이본체의 경우에는 본체지지대를 회전을 통해 트레이본체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하여 여러 개의 트레이본체의 적재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mpty tray main body, the upper part of the tray main body is completely opened by rotating the main body support base, so that a plurality of tray main bodies can be stacked.

또한, 트레이본체 내부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공간구획부재를 이용하여 트레이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적재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보다 많은 적재물을 적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it is possible to load the load more while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load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tray body up and down by using the space dividing member having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ray bod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운반트레이의 평면도.
도 3는 상기 커넥터의 부분상세도.
도 4는 상기 운반트레이에 공간구획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livery tray capable of being stor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carrier tray;
3 is a partial detail view of the connector;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ace partition member is mounted on the transportation tray;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context of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운반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3는 상기 커넥터의 부분상세도이고, 도 4는 상기 운반트레이에 공간구획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partial detail view of the connector,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 the conveyance tray. FIG.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is mounted.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을 수납하고 운반하며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트레이로서, 본 발명은 트레이본체(100), 본체지지대(200) 및 커넥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tray main body 100, a main body support 200, and a connector 300, which can house and carry loads and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상기 트레이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적재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측면과 밑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홀(30)이 형성되어 있어 통기홀(30)을 통해 공기와 수분을 내외부로 소통시킬 수 있다.The tray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loads therein. At least one vent hole 30 is formed on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tray main body 100, Air and moisture can be communicated inside and outside.

상기 본체지지대(2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트레이본체(100) 개구부의 길이방향 양말단에 결합되어 트레이본체(100)의 하부를를 받쳐주면서 지지할 수 있다.The body support 200 may be coupled to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opening of the tray body 10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y body 100.

본체지지대(200)는 트레이본체(100)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레이본체(100) 개구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정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in body suppor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enclose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tray body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tray main body 100.

본체지지대(200)는 고정돌기(210)와 절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support 200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210 and a bent portion 220.

상기 고정돌기(210)는 상부에서 트레이본체(100) 모서리들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본체(100) 모서리들의 하부를 수용하면서 트레이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s 210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lower portions of the corners of the tray main body 100 so that the tray main body 100 can be fixed while receiv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corners of the tray main body 100.

상기 절곡부(220)는 트레이본체(100)의 양측면과 맞닿는 부분에서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면서 수직한 상태로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트레이본체(100)의 양측면의 일부분을 감쌀수 있다.The bent portions 220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ly from a portion of the tray main body 100 that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tray main body 100 and may cover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tray main body 100.

상기 커넥터(300)는 트레이본체(100)와 본체지지대(200)에 각각 설치되어 트레이본체(100)와 본체지지대(200)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The connector 300 is installed on the tray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support 200 so that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support 200 can be rotatably hinged to each other.

커넥터(300)는 걸림부(310)와 걸림부 조인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300 may include a locking part 310 and a locking part joint 320.

상기 걸림부(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트레이본체(100) 길이방향 양말단 상부의 설정된 부분에서 트레이본체(100)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설정된 길이의 걸림봉(31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catching par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catching rod 312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with the tray body 100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tray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have.

걸림봉(312)을 걸림부(3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소재 또한, 합성수지나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engaging rod 31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310, or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a steel such as aluminum or stainless steel, or the like.

상기 걸림부 조인트(320)는 걸림봉(3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본체지지대(200)가 트레이본체(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걸림봉(312)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리모양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joint 3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ortion 320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gaging rod 312 at a portion where the body supporting portion 200 is engaged with the tray body 100,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cking part 310. [

본 발명의 운반트레이(10)는 공간구획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ance tra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ace partition member 400.

상기 공간구획부재(400)는 트레이본체(100) 길이방향 양내측면의 설정된 위칙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50)에 대응하여 결합홀(70)이 형성되며, 결합돌기(50)와 결합홀(70)이 결합되면서 설치되어 트레이본체(100)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시킬 수 있다.The space dividing member 40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7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50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ray main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y main body 100,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tray main body 100 can be divided up and down.

공간구획부재(400)는 수분이나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다공성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공간구획부재(400)는 상기의 부직포 외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은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도 있다. The space partition member 4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porous nonwoven fabric capable of communicating moisture or ai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nonwoven fabric, the space partition member 4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good workability.

트레이본체(100)와 본체지지대(200)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벼운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tray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support 20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excellent in durability and light in weight.

트레이본체(100)와 본체지지대(200)의 소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종류로는 페놀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아크릴수지, 우레아/멜라민수지, 실리콘수지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synthetic resin used as the material of the tray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support 200 include a phenol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polyamide resin, an acrylic resin, a urea / melamine resin, and a silicone resin.

본체지지대(200)의 소재로는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 외에도 내구성이 탁월하고 가벼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support 200, besides the synthetic resi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a steel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stainless steel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light in weight.

본 고안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의 사용방법으로, 이용자가 본체지지대(200)를 커넥터(300)를 이용하여 개방하고 트레이본체(100)의 내부에 적재물을 수납한 다음, 본체지지대(200)의 절곡부(220)를 이용하여 본체지지대(200)를 트레이본체(100)에 안착시키고 고정돌기(210)로 다른 트레이본체(100)를 하부를 지지하면서 받쳐주면서 다층으로 운반트레이(10)의 적재가 가능하다.A user uses the connector 300 to open the main body support 200 using the connector 300 and then loads the load into the main body 100. Then, And the other tray main body 100 is supported by the fixing protrusions 210 while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tray main body 100. The multi- Loading is possible.

또한, 운반트레이(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지지대(200)를 개방하고 트레이본체(100)를 다른 트레이본체(100)의 내에 여러겹으로 층을 이루면서 보관이 가능하여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많은 수의 운반트레이(10)의 보관이 가능하다. When the transport tray 10 is not used, the main body support 200 is opened and the tray main body 100 can be stored in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other tray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store a large number of transport trays 10.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운반트레이
30 : 통기홀
50 : 결합돌기
70 : 결합홀
100 : 트레이본체
200 : 본체지지대
210 : 고정돌기
220 : 절곡부
300 : 커넥터
310 : 걸림부
312 : 걸림봉
320 : 걸림부 조인트
400 : 공간구획부재
10: Carrying tray
30: vent hole
50: engaging projection
70: Coupling hole
100:
200: Body support
210: Fixing projection
220:
300: connector
310:
312:
320: Joint part joint
400: space partition member

Claims (5)

적재물을 수납하고 운반하며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트레이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적재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측면과 밑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기홀을 통해 공기와 수분을 내외부로 소통시키는 트레이본체;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길이방향 양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본체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본체지지대; 및
상기 트레이본체와 상기 본체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본체와 상기 본체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지지대는,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트레이본체 개구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며,
상기 본체지지대는,
상부에서 상기 트레이본체 모서리들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트레이본체 모서리들의 하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트레이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 및
상기 트레이본체의 양측면과 맞닿는 부분에서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면서 수직한 상태로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본체의 양측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
As a tray that can store and transport loads and can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 tray main body having a top opened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load therein and at least one vent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o communicate air and moistur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A pair of body support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y body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And a connector rotatably hinged to the tray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upport,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ray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upporter,
Wherein the body support comprises:
The tray body opening being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enclose a part of the tray body ope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y body opening,
Wherein the body support comprises:
A fix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tray main body to fix the tray main body while receiving a lower portion of the tray main body corners; And
And a bent portion formed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ly from a portion of the tray main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tray main body and to cover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tray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트레이본체 길이방향 양말단 상부의 설정된 부분에서 상기 트레이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설정된 길이의 걸림봉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걸림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지지대가 상기 트레이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걸림봉의 형상에 대응하여 고리모양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tegrally with the tray body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tray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d a locking part joint formed integrally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cking ba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cking part at a part where the main body supporting par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part, Wherein the multi-stage transport tray is capable of being stor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본체 길이방향 양내측면의 설정된 위칙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홀이 결합되면서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본체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시키는 공간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ray main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y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간구획부재는,
수분이나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4,
The space partition member may include:
Wherein the nonwoven fabric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capable of communicating moisture or air.
KR2020160006532U 2016-11-09 2016-11-09 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KR2004866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32U KR200486645Y1 (en) 2016-11-09 2016-11-09 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32U KR200486645Y1 (en) 2016-11-09 2016-11-09 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86U KR20180001486U (en) 2018-05-18
KR200486645Y1 true KR200486645Y1 (en) 2018-06-19

Family

ID=6229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32U KR200486645Y1 (en) 2016-11-09 2016-11-09 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4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917A (en) 2021-12-29 2023-07-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folding tr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4163A (en) * 1993-11-12 1996-02-27 Rehric Pacific Company, Inc. Adjustable bail tray
KR20000031246A (en) * 1998-11-04 2000-06-05 오세전 Module type box for carrying live fish and system of carrying live fish
KR20150003349U (en) * 2014-02-28 2015-09-07 황병길 Box for safety transportation and meat quality improvement of live crab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343Y1 (en) * 2002-08-19 2002-11-04 이영철 A basket having a multi-section
KR100478102B1 (en) 2003-02-19 2005-03-24 주식회사 대신제과 Walnut cake knea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145047A (en) * 2015-02-06 2016-08-12 阪和興業株式会社 Box-shaped pall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4163A (en) * 1993-11-12 1996-02-27 Rehric Pacific Company, Inc. Adjustable bail tray
KR20000031246A (en) * 1998-11-04 2000-06-05 오세전 Module type box for carrying live fish and system of carrying live fish
KR20150003349U (en) * 2014-02-28 2015-09-07 황병길 Box for safety transportation and meat quality improvement of live cra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917A (en) 2021-12-29 2023-07-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folding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86U (en)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500A (en) Insulated storage/transport container for perishables
MXPA02010221A (en) Container.
JP5840183B2 (en) Collective packaging container
US8844739B2 (en) Food storage container
US9810514B2 (en) Ammunition carrier consumer package
PL195589B1 (en) Package
KR200486645Y1 (en) Multi-capable storage transport tray
US20060027586A1 (en) Freezer storage container with ventilation openings
US20190106243A1 (en) Modular storage system
JP2005350080A (en) Foamed container for precooling and method for molding it
JP2018104063A (en) Fruit vegetables transport container
KR200463647Y1 (en) A grape packing box
JP2002104542A (en) Cold preserving container
US3715071A (en) Protective article tray
CA1075646A (en) Food container
KR20130005611U (en) A grape box
US20160236829A1 (en) End-Hinged Produce Containers And Produce Packing System Using Same
US20190233164A1 (en) Planter stacking ribs
JP2002096834A (en) Transfer tray
KR20140000631U (en) Pack for packing agricultural products
JP3743871B2 (en) Combination of sealed container and storage tray
KR200366851Y1 (en) A multiple-stage heaping equpment of safekeeping receptacle for food
JPH11130069A (en) Heat-insulating container
JP2018034809A (en) Assembly packaging container
AU2019101840A4 (en) A collapsibl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