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74Y1 -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74Y1
KR200486574Y1 KR2020150001366U KR20150001366U KR200486574Y1 KR 200486574 Y1 KR200486574 Y1 KR 200486574Y1 KR 2020150001366 U KR2020150001366 U KR 2020150001366U KR 20150001366 U KR20150001366 U KR 20150001366U KR 200486574 Y1 KR200486574 Y1 KR 200486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assembled
support member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71U (ko
Inventor
박노길
Original Assignee
박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길 filed Critical 박노길
Priority to KR2020150001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7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에 한 것으로, 특히 지주받침대를 합성수지로 성형함에 있어서, 2등분 구성이 되도록 성형하되, 분할된 2개의 받침부재(10a)(10a') 각각은 일 측에 삽입편(13)이, 그리고 타 측에는 상기 삽입편(13)이 끼워지는 삽입부(14)를 가지게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주받침대(10)가 동일한 형태로 된 두 개의 받침부재(10a)(10a')로 이루어져 있는데다가, 각각의 받침부재(10a)(10a')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탄성삽입편(13)과 탄성삽입부(14)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기 설치된 고설재배상의 지주 외곽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 조립시킨 상태에서 직결피스(p)를 걸림홈(15)을 통해 지주(2)에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기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도 침하방지를 위해 손쉽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따르게 되며, 더불어 설치작업이 매우 손쉬워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A supporter for high position cultivating bed}
본 고안은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로 지주받침대를 성형하되, 서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2등분 구성하여 기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도 손쉽게 조립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딸기는 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데, 이는 통상 모주에서 런너가 뻗어 나온 어린 모종을 포트에 증식한 다음, 이 포트에서 어느 정도 성장하면 성장된 모종을 하우스 내부 바닥의 흙에 재배하거나 또는 별도의 받침대 위에 설치한 상(베드)에 정식하여 재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우스 바닥에서의 재배는 각종 전염병의 확산가능성이 높고, 또, 딸기 수확시의 작업자세도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으므로, 딸기를 땅에 재배하는 방식은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방식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딸기 재배농가는 베드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설치하여 재배하는 고설재배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설재배방식은, 딸기 모종을 정식하는 상(베드)을 지주를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게 설치하게 되는데, 상(베드)에 딸기 모종이 정식되면 한층 더 중량이 나가게 되어 지주 또한 땅속으로 서서히 더 들어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다수의 지주를 횡파이프로 연결시켜 지주의 침하를 막거나 또는 지주마다 끼운 뒤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직결나사 등으로 체결 고정시키는 지주받침대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지주받침대는 그 구조적 특성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즉, 다수의 지주를 횡파이프로 연결시켜 지주의 침하를 막는 방법은 다수의 지주하단에 횡파이프를 댄 다음 용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재배상을 철거하거나 교환설치하고자 할 때 용접부위를 모두 제거해야만 분해될 수 있어 철수 또는 철거에 대한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르고, 지주마다 끼워 설치하는 지주받침대는 주로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으로 직결피스로 지주에 체결 고정시키는데, 이는 고설재배상을 시공 설치하고자 할 때 지주받침대를 미리 지주관에 끼운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 설치되어 있는 재배상의 지주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따른다.
또한, 지주 하단에 바닥레일 받침대를 조립설치하게 되면 지주받침대가 바닥레일 받침대의 두께 만큼 지면에서 들뜨게 되어 지주 침하방지를 위한 본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도 따른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지주받침대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지주받침대를 합성수지로 성형함에 있어서, 2등분 구성이 되도록 2개의 지주받침부재로 성형하되, 분할된 2개의 지주받침부재 각각은 일 측에 삽입편이, 그리고 타 측에는 상기 삽입편이 끼워지는 삽입부를 가지게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고설 재배상을 새롭게 설치 시공할 때는 물론, 기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도 신속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2등분 구성된 지주 받침대(10)는 물론 한 몸체로 된 지주받침대(10')의 저면에 받침대용 홈(16)을 더 형성하여 지주(2) 하단에 바닥레일 받침대(3) 결합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려는데도 목적이 있다.
고설재배상(1)의 지주(2)에 설치하여 지주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지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받침대(10)를 반쪽 구성으로 형성한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조립하였을 때 하나의 완전한 지주받침대(10)가 되게 하는데, 상기 각각의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는 플렌지부(11)와 지지관부(12)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 가 맞 닿는 면 양 측에 탄성삽입편(13)과 탄성삽입부(14)를 형성하되, 상기 탄성삽입편(13)과 탄성삽입부(14)는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가 맞 닿았을 때 서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게끔 형성함으로서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를 조립하였을 때 하나의 지주받침대(10)로 조립 형성되게 하고, 받침부재(10a)(10a') 각각의 지지관부(12) 상단 중앙부분에 ∪형의 걸림홈(15)을 형성하여 지주(2) 하단에 설치시 상기 ∪형의 걸림홈(15)을 통하여 지주(2)에 직결피스를 체결함으로서 재배상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10a)(10a')는 저면에 지주(2)에 결합 설치되는 소정 폭의 레일받침대(3)를 감싸 안착되도록 소정의 폭으로 된 홈(16)을 더 형성하되, 상기 레일받침대(3)는 소정의 폭과 길이가 되어 일단은 지주 외주면 하단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지주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된 원호상의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파이프형태의 레일을 안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 고정클립(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관(12a)와 플렌지(11a)로 이루어진 일체형 지주받침대(10')에 있어서, 플렌지(11a)의 저면에 홈(1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주받침대(10)가 동일한 형태로 된 두 개의 받침부재(10a)(10a')로 이루어져 있는데다가, 각각의 받침부재(10a)(10a')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탄성삽입편(13)과 탄성삽입부(14)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기 설치된 고설재배상의 지주 외곽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직결피스(p)를 걸림홈(15)을 통해 지주(2)에 체결하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된다. 따라서 기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도 침하방지를 위해 손쉽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따르게 되며, 더불어 설치작업이 매우 손쉬워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또한, 저면에 받침대용 홈(16)이 형성되어 있어 고설재배상(1)의 지주(2) 하단에 레일받침대(3)가 결합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설치가 용이하여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분해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 몸체로 된 지주받침대의 저면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첨부도면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3은 분해 상태의 평면예시도이고, 도4는 저면사시도, 도5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1~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침하방지용 지주받침대(10)는 반원형으로 분할된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10a)의 일 측에는 하단이 막히고 정면과 상면이 개방된 원호상의 탄성삽입부(14)가, 그리고 타 측에는 선단이 수직으로 길게 절개홈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탄성삽입편(13)이 형성되고, 받침부재(10a')에는 상기 받침부재(10a)와 조립될 수 있도록 일 측에 탄성삽입편(13)이, 그리고 타측에 탄성삽입부(14)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기 설치되어 있는 지주(2)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지주(2)를 중심으로 두 개의 받침부재(10a)와(10a')를 맞대어 결합시킬 때 받침부재(10a)에 형성된 탄성삽입부(14)에는 상대되는 받침부재(10a')에 형성된 탄성삽입편(13)이 끼워지고, 동시에 받침부재(10a)에 형성된 탄성삽입편(13)에는 상대되는 받침부재(10a')의 탄성삽입부(14)가 끼워지게 되어 온전한 하나의 지주받침대(1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지주(2)에 지주받침대(10)를 조립한 뒤에는 지주받침대(10) 하부에 형성되는 플렌지부(11)를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받침부재(10a)(10a') 각각의 걸림홈(15)을 통해 직결피스(p)를 지주(2)에 박아 체결하게 되면 재배상의 하중이 지주(2)에 작용할 때 재배상의 하중을 지주받침대(10)가 안정적으로 받아주게 되어 지주(2) 및 재배상의 침하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지주받침대(10)가 재배상의 하중을 지탱하게 됨으로 재배상이 쳐지거나 변형되지 않아 안정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주받침대(10)는 새롭게 재배상을 시설할 때는 물론, 이미 설치 사용 중인 재배상에도 손쉽게 설치 사용하여 재배상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지주받침대(10)가 두 쪽의 받침부재(10a)(10a')로 분할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손쉽게 지주에 결합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 상기 받침부재(10a) 및 (10a')는 동일한 모양과 구조로 형성되게 됨으로, 금형 등의 제작이 손쉽고 그 비용이 저렴하게 들며, 이로 인한 원가절감과 생산성 극대화 등 모든 점에서 유리한 효과도 따른다.
한편, 본 고안의 지주받침대(10)는 받침부재(10a) 및 받침부재(10a') 저면에 소정의 폭으로 홈(1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수레의 안정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레일을 지지하는 소정폭의 레일받침대(3)를 지주(2) 하단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도 상기 홈(16)에 레일받침대(3)가 끼워지게 되어 지주(2)에 지주받침대(1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a)(10a')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에 지주(2)에 결합 설치된 소정 폭의 레일받침대(3)을 감싸 안착되도록 소정의 폭으로 된 홈(16)을 더 형성하되, 상기 레일받침대(3)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되어 일단은 지주 외주면 하단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지주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된 원호상의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파이프형태의 레일을 안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 고정클립(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기 때문에 지주(2)에 레일받침대(3)가 연결조립된 상태에서 지주받침대(10)를 조립시공하고 할 경우 받침부재(10a)(10a')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6)이 레일받침대(3)을 감싼 상태로 안착되기 때문에 안정적이면서도 깔끔하게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일체형으로된 지주받침대(10')의 저면사시도인데, 이는 지주받침대(10')의 저면에 홈(16)을 형성한 것이므로, 이 또한 고설재배상의 지주(2) 하단에 레일받침대(3)가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도 지주받침대(10') 저면에 형성된 홈(16)이 레일받침대(3)를 감싸듯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주받침대(10)를 두 쪽으로 분리 구성하여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로 분리 구성한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치 운용되고 있는 고설재배상의 지주에도 손쉽게 조립하여 고설재배상의 침하를 예방할 수 있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조립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고, 도6에서와 같이 일체형 지주받침대(10')의 경우는 고설재배시설을 새롭게 구비할 때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지주받침대(10)(10') 저면에 소정의 폭으로 홈(16)을 형성한 것이기에 지주(2)에 레일받침대(3)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홈(16)이 레일받침대(3)를 안정적으로 감싸게 되어 지주받침대(10)(1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따라서 고안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고설재배상 2 : 지주 3 : 레일받침대
4 : 레일 10, 10' : 지주받침대
10a, 10a': 받침부재 11 : 플렌지부 12 : 지지관부
13 : 탄성삽입편 14 : 탄성삽입부 15 : 걸림홈
16 : 받침대용 홈 p : 직결피스

Claims (4)

  1. 고설재배상(1)의 지주(2)에 설치하여 지주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받침대(10)를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조립하였을 때 하나의 완전한 지주받침대(10)가 되게 하는데, 상기 각각의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는 플렌지부(11)와 지지관부(12)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 가 맞닿는 면 양 측에 탄성삽입편(13)과 탄성삽입부(14)를 형성하되, 상기 탄성삽입편(13)과 탄성삽입부(14)는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가 맞닿았을 때 서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게끔 형성함으로서 받침부재(10a)와 받침부재(10a')를 조립하였을 때 하나의 지주받침대(10)로 조립 형성되게 하고, 받침부채(10a)(10a') 각각의 지지관부(12) 상단 중앙부분에 ∪형의 걸림홈(15)을 형성하여 지주(2) 하단에 설치시 상기 ∪형의 걸림홈(15)을 통하여 지주(2)에 직결피스를 체결함으로서 재배상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a)(10a')는 저면에 지주(2)에 결합 설치되는 소정 폭의 레일받침대(3)를 감싸 안착되도록 소정의 폭으로 된 홈(16)을 더 형성하되, 상기 레일받침대(3)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되어 일단은 지주 외주면 하단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지주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된 원호상의 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파이프형태의 레일을 안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 고정클립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1366U 2015-03-02 2015-03-02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KR200486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366U KR200486574Y1 (ko) 2015-03-02 2015-03-02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366U KR200486574Y1 (ko) 2015-03-02 2015-03-02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71U KR20160003071U (ko) 2016-09-12
KR200486574Y1 true KR200486574Y1 (ko) 2018-06-08

Family

ID=5695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366U KR200486574Y1 (ko) 2015-03-02 2015-03-02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608B1 (ko) * 2019-02-12 2019-10-01 박상목 이송대차 주행용 레일 설치 겸용 침하방지브라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32Y1 (ko) * 1999-08-24 2000-02-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재지주의 매설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32Y1 (ko) * 1999-08-24 2000-02-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재지주의 매설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71U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276B2 (en) Plant support assembly
US7966768B2 (en) Staking system for growing container
KR20110018637A (ko)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KR102103528B1 (ko) 고설 재배용 회동식 자묘 육성 장치
KR101441662B1 (ko) 농작물용 비가림 하우스의 지지대
US9060469B2 (en) Mobile assembly with screen for plant training
KR200483993Y1 (ko) 재배식물 지지대
KR200486574Y1 (ko) 고설재배상의 지주 침하 방지용 받침대
US10813297B2 (en) Potted plant support apparatus
KR101521641B1 (ko) 원호형 수목지지대
KR101279800B1 (ko) 지지부가 보강된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JP2018007650A (ja) 緑化構造体及び簡易フェンス又は広告表示体
KR20120052109A (ko) 농작물 지지장치
KR20200109456A (ko) 작물가지 지지대
KR101719791B1 (ko) 식물용 보호덮개
KR102630726B1 (ko) 분할형 고설재배용 지지대와 지주대 고정장치
RU194716U1 (ru) Модульный элемент бордюра
KR20190000028U (ko) 스티로폼 배드와 비닐 배드의 설치가 가능한 고설재배용 지지대
KR101509441B1 (ko) 식물 재배 하우스용 접철식 중앙 지지대의 설치구조
KR20160002289A (ko) 고설 재배상의 지주 받침대
JP3140489U (ja) 農業用ハウス
KR200432124Y1 (ko) 농작물 지지 결합구조
KR20220163727A (ko) 고설재배용 지지대와 지주대 고정장치
CN205567304U (zh) 一种园林苗木用防风紧固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