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47Y1 - 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47Y1
KR200486547Y1 KR2020160007291U KR20160007291U KR200486547Y1 KR 200486547 Y1 KR200486547 Y1 KR 200486547Y1 KR 2020160007291 U KR2020160007291 U KR 2020160007291U KR 20160007291 U KR20160007291 U KR 20160007291U KR 200486547 Y1 KR200486547 Y1 KR 200486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ulture soil
hole
planted
ca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2020160007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4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Abstract

내부에 수용되는 배양토가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에 대한 보관 안정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식물이 식재되도록 배양토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화분; 하부가 상기 화분의 상부에 삽입되되, 내부는 상기 수용된 배양토의 상면부가 커버되도록 연장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관통하도록 재배홀이 형성된 배양토덮개; 및 상기 화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상기 식재된 식물이 보호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분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화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er pot with a storage spac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plant is planted so that a culture soil is accommodated therein, so that the storage soil contained therein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storage s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plant. A culture soil cover in which a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pot, an inner part thereof is extended so as to cover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ccommodated soil, and a cultivation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art so that the stem of the planted plant penetrates; And a cap member that is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 to protect the planted plant.

Description

다기능 화분장치{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A multi-functional plant pot apparatus

본 고안은 다기능 화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는 배양토가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에 대한 보관 안정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다기능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o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potting device having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ease of use for plants by preventing the culture soil contained there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일반적으로, 화분은 실내외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식물들이 식재되는 것으로, 즉 일정한 크기의 화분에 식물이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도록 배양토가 수용되며, 상기 배양토에 화초가 식재되어 관상용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potted plants are cultivated plants that are cultivated for indoor or outdoor use, that is, cultivated soil is received so that the plants are continuously supplied with nutrients in a certain size, and flowers are planted in the cultivated soil and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여기서, 상기 화분은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 내지 외부환경 등에 대응하여 사용되도록 다양한 크기 및 무게를 갖는다. 즉, 사람이 한 손으로 드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 및 무게에서부터 여러 사람이 같이 힘을 합쳐야 들 수 있을 정도로 크기 및 무게가 큰 화분 등 여러 가지의 화분이 있다.Here, the pollen may have various sizes and weights to be u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ype of plant to be planted or the extern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re are various kinds of pots, such as pots, which are large enough to be able to be lifted by one hand, and large in size and weight so many people can join together.

특히, 상기 화분은 구조적인 특성상 휴대가 불가능한 특징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크기 및 무게를 가지며 캡슐 형태의 투명용기 내에 식물이 식재되는 소형화된 화분이 제안되고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pollen has a feature that it is not portable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 miniaturized pollen having a size and a weight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and planted in a capsule-shaped transparent container has been proposed.

이때, 상기 소형화된 화분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 살아있는 식물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다는 것과 더불어 지속적인 관리와 애정을 쏟을 수 있으므로 장식성 및 유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화된 화분은 실내의 바닥 또는 장식장 등에 배치하거나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도 배치하는 경우에도 용이하므로 공간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niaturized flowerpot can carry on living plants at all times when the user carries the flowerpot, and can keep ongoing care and affection, so that decoration and play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the miniaturized flower pot can be easily placed even on a floor or a cabin of a room or in a place where the space is narrow, so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더욱이, 배란다, 거실 및 옥상 등에 텃밭을 가꾸기 위해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등을 이용하여 묘종을 구입하는 경우, 상기 소형화된 화분은 공간활용도가 높고 적재가 용이하므로 상기 묘종이 식재된 후 택배 등의 배달에 주로 사용된다.Furthermore, when a user purchases seedlings using electronic commerce or the like in order to cultivate a garden on ovulation, a living room, or a rooftop, the miniaturized flowerpot has a high space utilization and is easy to load. Therefore, after the seedlings are planted, It is mainly used.

그러나, 상기 소형화된 화분은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택배 등의 배달을 위한 이동과정에서 진동 내지 충격이 발생되어 내부에 수용된 배양토 내지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잔존하는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iniaturized flowerpot has a problem in that vibrations or impacts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portation for the user to carry or delivering such as courier, and the discharged water from the cultivated soil or the planted plant which is contained in the inside or the remaining water leaks to the outside .

또한, 상기 소형화된 화분의 내부에 식재된 식물이 진동 내지 충격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되지 않아 뿌리의 식재상태가 불안정해져 식물의 생육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lants planted in the miniaturized flowerpot are not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due to vibration or impact, and the planting condition of the roots is unstable and the growth rate of plants is lowered.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931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89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되는 배양토가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에 대한 보관 안정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다기능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potting device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ease of use for plants by preventing the culture soil contained there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상기의 과제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식물이 식재되도록 배양토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화분; 하부가 상기 화분의 상부에 삽입되되, 내부는 상기 수용된 배양토의 상면부가 커버되도록 연장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관통하도록 재배홀이 형성된 배양토덮개; 및 상기 화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상기 식재된 식물이 보호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분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화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er pot with an open space at its upper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in which a culture soil is received to plant plants therein; A culture soil cover in which a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pot, an inner part thereof is extended so as to cover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ccommodated soil, and a cultivation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art so that the stem of the planted plant penetrates; And a cap member that is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 to protect the planted plant.

여기서, 상기 배양토덮개의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상기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되되 상호 대향되는 단부가 선택적으로 중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lid part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culture soil lid and having an opening part opened at one side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stem of the planted plant, Do.

이때, 상기 캡부재의 하부측 외주면 및 상기 화분의 상부측 내주면 중 일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나사부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배양토덮개의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 가압 고정되는 안착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는 투영성 재질로 형성되되, 외부 공기가 순환되는 통풍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crew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memb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flowerpot, and a female screw portion to which the screw portion is coupled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 cap memb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vent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circulated is formed.

그리고, 상기 배양토덮개는 외주프로파일이 상기 화분의 상부측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재배홀이 형성된 배양토가압부와, 상기 배양토가압부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부에 상기 안착가압부가 형성된 테두리연장부와, 상기 화분의 상부측 내주면과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테두리연장부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재된 식물이 측부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배양토가압부 및 상기 테두리연장부에는 상기 재배홀로부터 일측이 동시에 개구되는 삽입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ulture soil lid has a pressurized soil portion in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profi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upper part of the flowerpot and in which the growth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dge of the culture soil pressurized portion, And a step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extending portion so as to be contac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llen portion, wherein the cultivated soil has a pressing portion and a rim extending portion And an insertion opening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cultivation hole is opened at the same time is formed.

한편, 상기 화분의 하부에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분배출홀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화분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하부캡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for discharging water and a lower cap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such that the water discharge hole is opened or closed Do.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multifunction poll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캡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가압 고정되는 상기 배양토덮개에 의해 화분에 수용된 배양토의 상면부가 견고하게 커버되므로 택배 등의 배달을 위한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도 상기 수용된 배양토가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보관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top surface of the culture soil contained in the flower pot is firmly covered by the culture soil cover which is pressed and fixed by the coupling of the cap member, vibration and shock generated in the course of movement for delivery of a courier or the like, So that the storage st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상기 보조덮개부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식재된 식물 종류에 따라 줄기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관통홀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된 상기 개구부의 상호 대향되는 단부를 선택적으로 중첩하여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 프로파일이 식재된 식물 줄기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auxiliary lid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rofile of the through hole selectively overlaps the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opening portions opened to one side from the through hole, even if the diameters of the stem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lant type planted.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plant stem, so that the compati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셋째, 상기 캡부재는 상기 화분의 상부에 나사결합만으로도 손쉽게 착탈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양토덮개 및 상기 보조덮개부는 상기 화분 내부로부터 별도의 분리를 위한 과정없이도 상기 캡부재의 분리만으로도 손쉽게 착탈가능하므로 조립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 the cap member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only by screwing on the upper part of the pot, and the culture soil lid and the auxiliary lid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pot without detaching it, And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 po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po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function po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AB in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po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po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function potting device viewed from the direction AB of Fig. 3. Fig.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화분장치(100)는 화분(10), 배양토덮개(20) 그리고 캡부재(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ultifunctional pollen dispens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len 10, a culture soil cover 20, and a cap member 30.

여기서, 상기 다기능 화분장치(100)는 내부에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식물이나 묘종 등이 식재된다. 이때, 상기 다기능 화분장치(100)는 실내의 바닥 또는 장식장 등에 배치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며 식물을 재배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택배 등의 배달을 위한 이동과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multifunctional pollen dispenser 100 is planted with plants and seedlings cultivated therein for ornamental purposes. At this time, the multifunctional pollen dispenser 100 may be placed in a floor or a cabinet of a room, or carried by a user and used for cultivating a plant, or may be used for a delivery process for delivering a courier or the like.

한편, 상기 화분(10)은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화분(10)은 바닥부(13)와, 상기 바닥부(13)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측벽부(1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len 10 is opened at the top and a receiving space 10a is formed therein. In detail, the pollen pot 10 includes a bottom 13 and a sidewall 14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n outer edge of the bottom 13.

이때, 상기 바닥부(13) 및 상기 측벽부(14)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0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a)에는 톱밥 및 마른 황토와 퇴비, 모래 등이 적절히 혼합된 배양토(R)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수용된 배양토(R)에는 식물(p)이 식재되며 상기 화분(10)의 개구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식재된 식물(p)이 성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space 10a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ttom portion 13 and the side wall portion 14, and the receiving space 10a is filled with a mixture of sawdust and dried loess, compost, R) is accommodated. The plant (p) is planted in the culture soil (R), and the plant (p) plant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pots (10) can grow.

여기서, 상기 화분(1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용공간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단면이 협소화될 수 있다.Here, the pollen 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cross section may be narrowed so that the area of the receiving space de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화분(10)의 단면은 사각형 내지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배양토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a matter of course, the pollen 10 may have a rectang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or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has a hous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ulture soil so that plants can be planted.

또한, 상기 화분(10)은 외력에도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내지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코팅된 종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ollen 10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etal, or the like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so as to minimize wear or damage to external force, and may be formed of coated paper or the like as the case may be.

한편, 상기 화분(10)의 상측으로 상기 배양토덮개(20)가 구비되되, 상기 배양토덮개(20)의 하부가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체결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ulture soil lid 2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t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culture soil lid 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pot 10.

상세히,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양토덮개(20)는 배양토가압부(21), 테두리연장부(22) 그리고 단턱부(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2 to 3, the culture soil cover 20 includes cultured soil including a pressing portion 21, a rim extending portion 22, and a step 23.

여기서, 상기 배양토가압부(21)는 상기 화분(10)의 상부측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줄기가 관통하도록 재배홀(2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양토가압부(21)는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에 안착됨에 따라 하면부가 상기 수용된 배양토(R)와 접촉되며, 상기 수용된 배양토(R)에 식재된 식물(p)은 상기 재배홀(21a)을 통해 실질적으로 상기 배양토가압부(21)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10)의 개구된 상부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soil pressing portion 21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upper part of the pot 10 and a cultivation hole 21a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ot 21 so that the stem of the plant desirable. At this time, as the pressing portion 2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ccommodated soil R,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ccommodated soil R, and the plant (p) planted in the accommodated soil (R) The culture soil may grow through the pressurizing portion 21 substantially through the cultivation hole 21a and toward the open top of the pot.

그리고, 상기 테두리연장부(22)는 상기 배양토가압부(21)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두리연장부(22)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연장되되, 상기 화분(10)의 내주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m extending portion 22 preferably extends upward from the rim of the pressing portion 21. At this time, the rim extension part 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len 10, extending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여기서,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상부에는 안착가압부(2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안착가압부(20a)는 상기 배양토가압부(21)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가압부(20a)는 후술되는 상기 캡부재(30)의 하부측 단부(30b)로부터 가압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가압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seating pressing part 20a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im extension part 22. The seating pressing portion 20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extending portion 22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rim of the pressing portion 21 and the seating pressing portion 20a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lower end portion 30b of the cap member 30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end portion 30b of the cap member 30. At this time, the arrows shown in Fig. 3 are preferably understoo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force is provided.

또한, 상기 단턱부(23)는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턱부(23)는 상기 화분(10) 일측의 내주면에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23)는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외곽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설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가압부(20a)와 이격되어 돌설될 수 있다.The step 23 may protrude out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22 and the step 23 may be hook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len 10. At this time, the step 23 can protrude outward from the rim of the rim extension 22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rim 20a.

즉, 상기 배양토덮개(20)는 하부가 상기 화분(10)에 삽입되고 내부는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가 커버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23)에 의해 가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culture soil cover 20 may be provided such th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pot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d soil R is covered with the interior thereof. Can be maintained.

이때, 상기 테두리연장부(22)는 상기 단턱부(23)에 의해 상기 화분(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호 접촉이 최소화되므로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dge extension part 22 is spa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10 by the step 23, so that the mutual contact is minimized, so that abrasion due to friction is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금속, 실리콘 및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가압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ulture soil lid 2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have predetermined rigidity and elasticity. Of course, sinc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silicone, rubber, etc.,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predetermined rigidity and elasticity so as not to be damaged by a pressing force.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캡부재(30)는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캡부재(30)는 상기 식재된 식물(p)이 보호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는 곡면(30a)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식재된 식물(p)이 보호되는 보호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30)의 상부가 곡면(30a)으로 형성됨에 따라 미감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완만한 곡면에 의해 외부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1 to 3,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 member 30 is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10. In detail, the cap member 30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30a at its lower portion to protect the planted plant p, and a protective space in which the planted plant p is protected is formed inside the cap member 30 . Here,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member 30 is formed as the curved surface 30a, not only the aesthetics are improved, but also the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s can be improved by a gentle curved surface.

이때, 상기 캡부재(30)가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화분(10)의 상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식재된 식물(p)은 상기 보호공간에 수용되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cap member 3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10, the plant p is placed in the protective space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10, .

여기서, 상기 캡부재(30)의 상부에는 외부 공기가 순환되는 통풍홀(3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재(30)가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통풍홀(32)을 통해 상기 보호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므로 상기 식재된 식물(p)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vent hole 32 through which external air circulates is formed on the cap member 30. In this way, even when the cap member 3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t 10, the protective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32, so that the planted plant p grows smoothly have.

그리고, 상기 캡부재(30)는 투영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캡부재(30)는 투영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햇빛 등의 빛에너지가 상기 캡부재(30)의 내부로 투과되므로 상기 식재된 식물(p)의 광합성작용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캡부재(30)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므로 관상이 용이하며 인테리어 조성에 있어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cap member 3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the cap member 30 is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light energy such as sunlight is transmitted into the cap member 30 even when the cap member 30 is mounted on the flower pot 10, p) can proceed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cap member 30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 user can easily take a tubular shape and provide a sense of beauty in interior composition.

한편, 상기 캡부재(30)의 하부측 외주면 및 상기 화분(10)의 상부측 내주면 중 일측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나사부(31)가 결합되는 암나사부(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threaded portion 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cap member 30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pollen 10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11 to which the threaded portion 31 is coupled is formed at the other side. .

따라서, 상기 나사부(31)는 상기 암나사부(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30)는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식재된 식물(p)을 관리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crew portion 31 can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11 and the cap member 30 can be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10, And can be easily managed.

이때, 상기 나사부(31)가 상기 암나사부(11)에 결합된 상태, 즉 상기 캡부재(30)가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양토덮개(20)의 외곽 테두리 즉,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가압부(20a)는 상기 캡부재(30)의 하부에 가압 고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screw portion 31 is engaged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11,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cap member 3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t 10, the outer edge of the culture soil cover 20, The seating pressing part 20a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extension part 22 is preferably press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p member 30. [

상세히, 상기 나사부(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제공되는 회전력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11)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부(31) 및 상기 암나사부(11)의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캡부재(30)의 하부가 상기 바닥부(13) 측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배양토덮개(20)가 가압 고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threaded portion 31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1 according to a rotational force provid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cap member 30 is lowered toward the bottom portion 13 by screwing the threaded portion 31 and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1, so that the culture soil lid 20 can be pressed and fixed.

즉, 상기 캡부재(30)가 상기 화분(10)의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나사부(31) 및 상기 암나사부(11)가 상호 나사체결되면서 하강됨에 따라 상기 배양토덮개(20)를 하측방향으로 가압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화분(10)의 이동 또는 쓰러짐에도 상기 수용된 배양토(R) 내지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이탈이 방지되어 상기 식재된 식물(p)의 뿌리 손상, 생장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ap member 3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10 and the screw portion 31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11 are screwed together and lowered, the culture soil cover 20 is pressed downward It can be stably fixed. As a result, the detachment of the cultivated soil (R) or the planted plant (p) is prevented even when the pollen (10) is moved or collapsed,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plant (p) .

여기서, 상기 캡부재(30)의 하부가 상기 화분(10)의 하측 방향을 향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캡부재(30)의 하부측 단부(30b)는 상기 배양토덮개(20)의 외곽 테두리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된 배양토(R) 방향으로 상기 배양토덮개(20)에 가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As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member 30 is lower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pot 10, the lower side end portion 30b of the cap member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culture soil cover 20 And a press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culture soil cover 20 in the direction of the accommodated soil (R).

이때, 상기 배양토가압부(21)는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가압부(20a)를 통해 외측 테두리측에 가압력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된 배양토(R)는 상기 배양토가압부(21)에 의해 상면부가 커버되면서도 상기 배양토가압부(21)의 테두리측으로 가압력이 제공되므로 상기 재배홀(21a)에 배치되는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가압부(20a)를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이 실질적으로 상기 식재된 식물(p)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식재된 식물(p)은 가압력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lture soil pressing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pressing force on the side of the outer rim through the seating pressing portion 20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m extending portion 22. [ Therefore, the accommodated soil (R) is covered with the pressured portion 21 by the press portion 21 so that the culture soil is pressed against the edge of the press portion 21 so that the planted plant (21a) 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That is, as the pressing force provided through the seating pressing portion 20a is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the planted plant p, the influence of the pressing force on the planted plant p can be minimized.

여기서, 가압력에 의한 영향은 가압력이 상기 식재된 식물(p)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제공되는 경우, 상기 식재된 식물(p)의 뿌리 측에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밀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수분 및 공기의 순환율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성장 저하가 유발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fluence of the pressing force is such that when the pressing force is provided directly adjacent to the plant (p) planted, the density of the contained soil (R) is excessively increased at the root side of the plant (p)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as the net exchange rate of air and air decreases, the growth of the planted plant (p) is lowered.

따라서,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상기 캡부재(30)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캡부재(30) 및 상기 수용된 배양토(R) 사이에 클램핑 고정되어 상기 수용된 배양토(R)가 가압되면서도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Therefore, the culture soil lid 20 is clamped between the cap member 30 and the contained soil R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cap member 30, so that the contained soil R is pressurized, (p) can be stably grown.

이에 따라, 상기 캡부재(30)가 결합됨에 따라 가압 고정되는 상기 배양토덮개(20)에 의해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가 견고하게 커버되므로 택배 등의 배달을 위한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도 상기 수용된 배양토(R)가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보관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top surface of the encapsulated soil R is firmly covered by the clay cover 20 which is pressed and fixed by the coupling of the cap member 30, The stored culture soil R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even after impact, so that the storage st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상기 캡부재(30)의 분리만으로도 상기 화분(10)의 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수용된 배양토(R) 내지 상기 식재된 식물(p)의 교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The culture soil cover 20 can be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pot 10 only by separating the cap member 30 so that it is easy to exchange and manage the potting soil R or the planted p .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일측에는 절개부(2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절개부(22a)는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슬릿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절개되는 면적이 협소화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절개부(22a)는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역방향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2 to 4, it is preferable that a cutout 2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im extension 22. In detail, the cutout portion 22a is formed by cutting one side of the frame extension portion 22, and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lit shape. At this time, the area cut from the upper part of the frame extension part 22 toward the lower part may be narrowed. That is, the cut-out portion 22a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hose cross-section viewed from the front is reverse.

여기서,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상기 캡부재(30)의 하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화분(10)의 내부에서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연장부(22)는 실질적으로 상기 화분(10)의 상부측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ulture soil lid 20 may be lowered inside the pots 10 as it is press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member 30. [ At this time, the rim extension part 22 may be formed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10.

또한, 상기 화분(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협소화되므로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상기 화분(10)의 내부에서 하강됨에 따라 상기 절개부(22a)에는 상호 대향되는 단부가 인접하도록 압축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는 압축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ection 10 is narrow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e culture soil lid 20 is compressed in the pot 10 so that the opposite ends thereof are adjacent to the incising part 22a,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arrows shown in Fig. 4 are preferably understoo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ressive force is provided.

즉,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상기 화분(10)에 삽입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테두리연장부(22)가 압축력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3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테두리연장부(22)는 탄발복원될 수 있다.That is, as the depth of the culture soil lid 20 inserted into the pots 10 becomes deeper, the rim extension 22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pressing force by the cap member 30 is released The frame extension portion 22 can be restored elastically.

따라서, 상기 테두리연장부(22)가 탄성변형에 의해 직경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23)는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외측방향에 대한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화분(10)의 내부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삽입깊이에 상관없이 상기 단턱부(23)가 상기 화분(10)의 내부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안정적으로 상기 수용된 배양토(R)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edge extension portion 22 can be adjusted by elastic deformation and the edge portion 23 can be adjusted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edge extension portion 22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inside contact state can be maintained. Also, the culture soil lid 20 can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step portion 23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ot 10 regardless of the depth of insertion, and can stably pressurize and secure the received soil layer R.

더욱이, 상기 테두리연장부(22)의 직경이 선택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배양토덮개(20)의 삽입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관리에 대한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 as the diameter of the rim extending portion 22 is selectively adjusted,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culture soil lid 2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ceived culture soil R, have.

한편, 상기 배양토덮개(20)의 하측에는 보조덮개부(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외주면 프로파일이 상기 화분(10)의 상단부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배양토덮개(20)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를 커버할 수 있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lid 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lture soil lid 20. Preferably, the auxiliary lid portion 4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fil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upper end of the pollen 10. At this time, the auxiliary lid unit 4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lture soil lid 20, and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ed culture soil R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ed culture soil R.

여기서, 상기 보조덮개부(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재배홀(21a)과 연통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상기 식재된 식물(p)이 상기 보조덮개부(40)를 관통할 수 있다.A through hole 41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uxiliary lid 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habilitating hole 21a. The plant p, which has been plan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 And can penetrate through the lid portion 40.

이때, 상기 관통홀(41)은 상기 재배홀(21a)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줄기에 인접하는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를 커버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hole 4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rowth hole 21a. Accordingly, the auxiliary lid portion 40 may cover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ccommodated soil (R) adjacent to the stem of the planted plant (p).

그리고,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유연성 재질의 합성수지, 비닐, 알루미늄 호일, 코팅된 종이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섬유, 스티로폼, 실리콘 및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lid 4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plastic, aluminum foil, coated paper, or the like. Of course, it may be formed of fibers, styrofoam, silicon, metal, or the like, as the case may be.

또한, 상기 보조덮개부(40)에는 복수개의 공급홀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그물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공급홀을 통해 수분 및 공기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조덮개부(40)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수용된 배양토(R)에 골고루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홀은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입자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ly holes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lid unit 40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net shape. At this time, water and ai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hole, so that the user can supply water evenly to the accommodated soil R without detaching the auxiliary lid 40. Here, the supply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uch that the particles of the accommodated soil (R) are not relea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보조덮개부(40)에는 상기 관통홀(41)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관통홀(41)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lid 4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42 which is open to one side from the through-hole 41. [ In detail, the auxiliary lid part 4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as it is opened from the through hole 41 to one side.

여기서,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종류에 따라 줄기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관통홀(41)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된 상기 개구부(42)의 상호 대향되는 단부를 선택적으로 중첩하여 상기 관통홀(41)의 내주면 프로파일이 상기 식재된 식물(p) 줄기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 auxiliary lid part 4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even if the diameter of the stem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lanted plant material, The opposite end portions may be selectively superimpos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file of the through hole 41 may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the planted stem of the plant so that compati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의 직경이 변화되므로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화분(10)의 상단부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부(42)에 형성되는 상호 대향되는 단부가 선택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Since the diame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accommodated soil R is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accommodated soil R, the auxiliary lid 40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upper end of the pot 10, The mutually opposed ends formed on the base 42 can be selectively overlapped.

즉, 상기 화분(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협소화되므로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부(42)에 형성된 상호 대향되는 단부를 중첩하여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보조덮개부(40)의 단면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42)에 형성된 상호 대향되는 단부를 중첩하지 않고도 상기 보조덮개부(40)가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를 커버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pots 10 is narrow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e end parts of the pots 10 overlapping with the opposite ends of the opening 42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accommodated soil R, The cross section of the auxiliary lid portion 4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to cover the portion. Of course, the ancillary lid 40 can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ed enriched soil R without overlapping mutually opposed ends formed in the opening 42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accommodated soil R.

또한,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개구부(42)를 통해 상기 식재된 식물(p)을 상기 관통홀(4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식재된 식물(p)이 소정의 크기로 성장한 경우에는 상기 식물의 꽃 내지 잎 등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상기 관통홀(41)의 내측에 상기 식재된 식물(p)을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lso, the auxiliary lid part 40 can easily insert the planted plant p into the through-hole 41 through the opening part 42. [ That is, when the planted plant (p) grows to a predetermined size,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planted plant (p) into the through hole (41)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the flower, There is a problem.

이때,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개구부(42)의 상호 대향되는 단부를 중첩하여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줄기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관통홀(41) 내측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삽입과정에서 상기 식재된 식물(p)과의 접촉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된 배양토(R) 상면부가 외부 방향으로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auxiliary lid part 4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1 so as to enclose the stem part of the plant p, which overlaps mutually opposed ends of the opening part 42, Not only the contact with the plant (p) cultivated in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but also the exposing of the received culture soil (R) in the outward direction can be minimized.

이에 따라,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화분(10)의 내부에 삽입과정에 있어서 상기 식재된 식물(p)과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별도의 분할 및 조립 과정없이 상기 개구부(42)를 통해 상기 식재된 식물(p)을 상기 관통홀(41)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xiliary lid part 40 minimizes the contact with the plants p planted in the inside of the pollen 10 and prevents damage to the planted plant p The safety of the plant can be improved. Furthermore, since the plant p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41 through the opening 42 without separate splitting and assembling processes, us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배양토가압부(21) 및 상기 테두리연장부(22)에는 상기 재배홀(21a)로부터 일측이 동시에 개구되는 삽입개구부(2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상기 보조덮개부(4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재배홀(21a)에 상기 식재된 식물(p)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개구부(21b)가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ortion 21 and the frame extension portion 22 are formed with an insertion opening portion 21b through which the one side of the culture hole 21 is opened at the same time. In detail, the culture soil cover 20 is insert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lid 40, and the insertion opening 21b is formed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planting hole 21a. .

이때, 상기 식재된 식물(p)은 상기 삽입개구부(21b)를 경유하여 줄기부분이 상기 재배홀(2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식재된 식물(p)과 상기 배양토덮개(20) 간의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plant p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ultivation hole 21a via the insertion opening 21b and the plant p and the culture soil lid 2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ultivation hole 21a. The damage of the planted plant (p)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삽입개구부(21b)는 상기 수용된 배양토(R)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42)와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덮개부(40)가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에 안착된 후 상기 개구부(42)가 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배양토덮개(20)는 상기 개구부(42)가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개구부(21b)가 상기 개구부(42)와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opening 21b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pening 42 so that the accommodated soil R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4, after the auxiliary lid 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ed soil R, the culture soil lid 20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portion The insertion opening 21b may be inser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pening 42 so that the opening 42 is not exposed upward.

따라서, 상기 개구부(42)의 상부는 상기 배양토가압부(21)에 의해 커버되면서도 상기 삽입개구부(21b)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덮개부(40)에 의해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가 커버되므로 이동 및 충격에도 상기 수용된 배양토(R)가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42 is covered with the pressing portion 21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ed soil R is covered by the auxiliary lid 4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opening 21b The accommodated culture soil 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even when it is moved and impacted.

이때,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상기 캡부재(30)가 상기 화분(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하측으로 가압력이 제공되어 상기 배양토덮개(20)에 의해 가압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cap member 30 is screwed to the pot 10, the auxiliary cap 40 may be pressed downward by the encapsulating lid 20 provided with a pressing force downward.

이와 같이, 상기 보조덮개부(40)는 사용자가 상기 캡부재(30)에 나사결합을 위한 소정의 힘만 제공하여도 하측으로 가압력이 제공되어 탄성변형되는 상기 배양토덮개(20)에 의해 가압 고정되면서도 상기 보조덮개부(40)는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없이도 상기 배양토덮개(20)에 의해 손쉽게 고정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lid part 4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force by the us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force for screwing to the cap member 30, while being pressed and fixed by the culture soil lid 20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by a downward pressing force, The auxiliary lid 40 can be easily fixed by the culture soil lid 20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fixing part,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배양토덮개(20) 및 상기 보조덮개부(40)가 이중으로 견고하게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를 커버하여 이동 및 충격에도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보관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양토덮개(20) 및 상기 보조덮개부(40)가 상기 수용된 배양토(R)의 상면부에 이중으로 커버되므로 외부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culture soil lid 20 and the auxiliary lid 40 cover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ultivated soil R which is solidly doubly and securely stored,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more, since the culture lid 20 and the auxiliary lid 40 are double-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ed culture soil R,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and the warmth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화분(10)의 하부에는 수분배출홀(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수분배출홀(12)은 상기 바닥부(13)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10a)이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discharge hole 12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10. In detail, the water discharge hole 1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3, and the external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0a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수분배출홀(12)은 상기 바닥부(13)의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분(10)의 측벽부(14)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화분(10)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수분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case, the water discharge hole 12 may be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13 o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below the sidewall 14 of the pollen 10, and water drain holes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provided that the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pollen 10.

여기서, 상기 화분(10)에는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성장을 위하여 소정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수분배출홀(12)을 통해 공급된 물의 일부가 배출되므로 상기 식재된 식물(p)은 필요한 만큼 수분이 공급될 뿐만 아니라 상기 화분(10) 내에 잔존하는 물이 부패하여 상기 식재된 식물(p)의 성장 저하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predetermined water is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pollen (10) for growing the plant (p) planted. At this time, since a part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12 is discharged, not only the moisture is supplied as much as necessary to the planted plant (p), but also the water remaining in the flowerpot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the growth medium (p) from being lowered.

한편, 상기 수분배출홀(12)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부캡(5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부캡(50)에는 상기 화분(10)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ap 50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 hole 12 is opened or closed. In detail, the lower cap 50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por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er pot 10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이때, 상기 결합홈부의 내주면은 상기 바닥부(13)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분(10)의 하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fi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en 10 may be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하부캡(50)은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고무, 합성수지 및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부에 상기 화분(10)의 하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하부캡(50)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화분(10)의 하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ap 5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Of cours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and metal depending on the case. Therefore, when the lower part of the pot 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lower cap 5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lower part of the pot 10 can be fitt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화분(10)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부에 대응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화분(10)의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50)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후크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후크결합될 수도 있다.Of course, a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10, and a threa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portion. Further,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ot 10, and a hook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lower cap 50 at positions mutually op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

이에 따라, 상기 하부캡(50)이 상기 화분(1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화분(10)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수분배출홀(12)이 폐쇄되므로 사용자는 누설에 대한 우려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다기능 화분장치(100)를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s the lower cap 50 is mounted on the pot 10, the water discharge hole 12 is closed so that the water remaining in the pot 10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multifunctional pollen dispenser 100 can be carried with stability without worry, and the por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이, 상기 하부캡(50)은 상기 화분(10)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택배 등의 배달을 위한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내지 충격에도 상기 화분(10)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관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cap 5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ollen 10, water remaining in the pollen 10 leaks to the outside due to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in the course of delivery for deliveries So that the storage st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상기 캡부재(30) 및 상기 화분(10) 중 어느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캡부재(30)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면, 상기 캡부재(3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는 각각 상기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는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Further, a handle may be further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cap member 30 and the pollen 10. The cap member 30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knob engagement holes to which the knob portion is coupled, respectively,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ne side of the cap member 30, The handle portion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이때,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이 각각 상기 손잡이결합홀에 결합되어 힌지 회전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화분장치(10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handle portion may be hingedly coupled to the handle engagement holes, respectively. Since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multi-function potting device 100 using the handle, portability and ease of use are improved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화분 20 : 배양토덮개
20a :안착가압부 21 : 배양토가압부
21b : 삽입개구부 22 : 테두리연장부
23 : 단턱부 30 : 캡부재
40 : 보조덮개부 50 : 하부캡
100 : 다기능 화분장치
10: Flowerpot 20: Coating soil cover
20a: a seating pressing portion 21:
21b: insertion opening 22:
23: step portion 30: cap member
40: auxiliary lid part 50: bottom cap
100: Multifunctional pots

Claims (5)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식물이 식재되도록 배양토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화분;
하부가 상기 화분의 상부에 삽입되되, 내부는 상기 수용된 배양토의 상면부가 커버되도록 연장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관통하도록 재배홀이 형성된 배양토덮개; 및
상기 화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상기 식재된 식물이 보호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분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캡부재의 하부측 외주면 및 상기 화분의 상부측 내주면 중 일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나사부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배양토덮개의 외곽 테두리에는 상기 캡부재의 하부에 가압 고정되는 안착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는 투영성 재질로 형성되되, 외부 공기가 순환되는 통풍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양토덮개는 외주프로파일이 상기 화분의 상부측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재배홀이 형성된 배양토가압부와, 상기 배양토가압부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부에 상기 안착가압부가 형성된 테두리연장부와, 상기 화분의 상부측 내주면과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테두리연장부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재된 식물이 측부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배양토가압부 및 상기 테두리연장부에는 상기 재배홀로부터 일측이 동시에 개구되는 삽입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장치.
A flower pot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culture soil is accommodated so that plants are planted therein;
A culture soil cover in which a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pot, an inner part thereof is extended so as to cover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ccommodated soil, and a cultivation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art so that the stem of the planted plant penetrates; And
And a cap member that is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er pot,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ower side of the cap memb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upper side of the flowerpot and a female screw portion at which the threaded portion is engaged is formed at the other side, Wherein the cap memb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s a vent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circulated,
Wherein the culture soil cover has a pressing portion form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profil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profile of an upper portion of the flowerpot and formed with a 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rim of the culture soil pressing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extension portion so as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llen,
Wherein an insertion opening is formed in the extrusion portion of the cultivating soil so that the planted plant is inserted from the side portion and the insertion opening portion in which the one side from the cultivation hole is opened at the sam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토덮개의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상기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되되 상호 대향되는 단부가 선택적으로 중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uxiliary lid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culture soil lid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stem of the planted plant penetrates throug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hole, Polle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하부에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분배출홀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화분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하부캡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to discharge water,
Further comprising a lower cap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erpot such that the water discharge hole is opened or closed.
KR2020160007291U 2016-12-15 2016-12-15 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 KR2004865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1U KR200486547Y1 (en) 2016-12-15 2016-12-15 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1U KR200486547Y1 (en) 2016-12-15 2016-12-15 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547Y1 true KR200486547Y1 (en) 2018-06-04

Family

ID=6259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91U KR200486547Y1 (en) 2016-12-15 2016-12-15 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47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959B1 (en) * 2018-09-27 2019-03-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Package assembly for banker plants transferring
KR102010041B1 (en) *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Sound control sound-insect observation device
KR102157626B1 (en) * 2020-02-07 2020-09-21 주식회사 하얀 Smart pot
KR20200132229A (en) * 2019-05-16 2020-11-25 조영태 Assembling type flower po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57Y1 (en) * 1993-09-11 1996-02-07 문응식 Flower-pots
JP3046165U (en) * 1997-08-07 1998-02-24 大澤 晧年 Bowl pot with lid
KR200288931Y1 (en) 2002-06-26 2002-09-10 김영학 Portable apparatus for cultivating mini cactus
KR200393056Y1 (en) * 2005-05-18 2005-08-17 박성숙 Multipurpose container
JP3120311U (en) * 2006-01-10 2006-03-30 原欽 陳 Display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57Y1 (en) * 1993-09-11 1996-02-07 문응식 Flower-pots
JP3046165U (en) * 1997-08-07 1998-02-24 大澤 晧年 Bowl pot with lid
KR200288931Y1 (en) 2002-06-26 2002-09-10 김영학 Portable apparatus for cultivating mini cactus
KR200393056Y1 (en) * 2005-05-18 2005-08-17 박성숙 Multipurpose container
JP3120311U (en) * 2006-01-10 2006-03-30 原欽 陳 Display contai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959B1 (en) * 2018-09-27 2019-03-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Package assembly for banker plants transferring
KR102010041B1 (en) *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Sound control sound-insect observation device
KR20200132229A (en) * 2019-05-16 2020-11-25 조영태 Assembling type flower pot
KR102213943B1 (en) 2019-05-16 2021-02-08 조영태 Assembling type flower pot
KR102157626B1 (en) * 2020-02-07 2020-09-21 주식회사 하얀 Smart p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47Y1 (en) multi-functional plantpot apparatus
CA2186920C (en) Plant sprouting pot
US10165733B2 (en) Urn and planter combination
KR101079849B1 (en) Packaging case for raising seedling plant
US20100077660A1 (en) Suspended planting platform for a plant container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US20130291436A1 (en) Stackable plant pot assembly
US20060112624A1 (en) Flower bouquet holder and kit
CN208175487U (en) A kind of can constantly be the plastic flowerpot of plant root portion support material
US3841021A (en) Cultivation pot for seedlings and plants
JP2006223298A (en) Flowerpot
KR102565791B1 (en) Flowerpat for Terrarium
KR930004180B1 (en) Plant cultivating device
KR200402372Y1 (en) A can flowerpot
US7743554B2 (en) Potted plant soil retainer
TWM587892U (en) Containers for growing plants
JPH1146592A (en) Container for plant culture
KR20190017216A (en) Packing container for safe shipment of seedling
KR200369971Y1 (en) A flowerpot is doubleness
KR200363010Y1 (en) a pot for growing vegetation
JP2000262151A (en) Flowerpot.planter
JPH10113081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shelf
KR200363047Y1 (en) A separation flowerpot
KR200291856Y1 (en) A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0180142Y1 (en) Flowerport using icecream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