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78Y1 - Disposable apron - Google Patents

Disposable apr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78Y1
KR200486378Y1 KR2020170000937U KR20170000937U KR200486378Y1 KR 200486378 Y1 KR200486378 Y1 KR 200486378Y1 KR 2020170000937 U KR2020170000937 U KR 2020170000937U KR 20170000937 U KR20170000937 U KR 20170000937U KR 200486378 Y1 KR200486378 Y1 KR 200486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osable apron
extending
extension
ap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왕 중 김
Original Assignee
왕 중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 중 김 filed Critical 왕 중 김
Priority to KR202017000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7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41D2400/22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일회용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의 배부분 및 가슴 부분을 가리며 목 부분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일측 팔이 끼워지는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타측 팔이 끼워지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A disposable apron, comprising: a front portion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in a neck portion of the user's abdomen and a breast portion;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to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a user's one arm is inserted;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to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hav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other arm of the user is inserted.

Description

일회용 앞치마{omit}One-off apron {omit}

본 고안은 일회용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apron.

일반적으로 앞치마는 가정이나 요식업체의 주방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기름이나 수분, 또는 음식물찌꺼기 등이 의복으로 튀거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Typically, apron is used to prevent oil, moisture, or food waste from splashing or infiltrating into clothing when cooking various kinds of food in the kitchen of a home or a restaurant.

최근에는 요식업체에서 식사중에 음식물이 손님의 의복에 튀거나 떨어져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 등으로 제작된 앞치마를 손님에게 제공하고 있다.In recent years, foodservice companies have provided customers with aprons, such as cloth, to prevent food from splashing and dripping into guests' clothing during meals.

앞치마는 일반적으로 섬유재질 또는 방수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 후 세탁하여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오랫동안 사용하면 앞치마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손님에게 제공하는 앞치마가 업체의 이미지를 저하 시킬 수 있다.Since the apron is generally made of fiber or waterproof material, it is troublesome to wash it after use, and when it is used for a long time, the color of the apron may change, so apron provided to the customer may deteriorate the image of the company.

최근에는 앞치마를 부직포나 방수 처리가 된 종이 또는 비닐로 제조하여 한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 앞치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disposable aprons have been widely used in which aprons are made of nonwoven fabric, waterproofed paper or vinyl, and used and discarded.

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 의복의 앞면만 보호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 의복의 앞면뿐만 아니라 의복의 뒷면까지도 보호하는 형태로 제작된다.Disposable aprons made of this material are manufactured to protect only the front side of the wearer's clothing or protect the wearer's upper body as well as the front side of the clothes and the back side of the clothes.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 의복의 앞 부분 및 의복의 뒷부분까지 보호하는 일회용 앞치마는 목 부분 및 팔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된 통형 조끼 형태로 제작된다.The disposable apron, which protects the user's upper body and protects the front part of the garment and the rear part of the garmen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und vest of round neck and arm parts.

그러나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고 있어 공기가 쉽게 유입되지 않아 덥고 땀이 차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isposable apron surrounds the upper body of the user, the air can not easily flow into the apron, which causes hot and sweaty problems.

또한, 조끼 형태의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다리 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입기 때문에 일회용 앞치마를 착용할 때 사용자와 많이 마찰 되어 사용자와 일회용 앞치마 사이에 정전기가 심하게 발생 되어 사용자에게 큰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st type disposable apron wear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ser's head to the leg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osable apron when the disposable apron is worn,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99110호, (2007.07.18)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99110, (2007.07.18)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복으로 공기가 쉽게 유입되도록 하며, 사용자와의 마찰을 적게 하여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크게 감소시킨 일회용 앞치마를 제공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apron having a user's discomfort greatly reduced 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by reducing friction with the user and allowing air to flow easily into the wearer's clothing.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의 배부분 및 가슴 부분을 가리며 목 부분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일측 팔이 끼워지는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타측 팔이 끼워지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The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in a neck portion of the wearer's abdomen and a breast portion;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to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a user's one arm is inserted;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to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hav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other arm of the user is inserted.

또한, 일회용 앞치마의 상기 전면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recess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of the disposable apron.

또한, 일회용 앞치마의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의 하부에는 적어도 2 개의 통기공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two vent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disposable apron.

또한, 일회용 앞치마의 상기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되지 않도록 엠보싱 패턴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은 정전기에 의하여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embossed patterns ar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isposable apron so as not to be attached to the wearer's clothes,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are formed as flat surfaces to be attached to the wearer's clothes by static electricity.

또한, 일회용 앞치마의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장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조임끈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of the disposable apron are each provided with a tighten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first and second extending portions from loosening.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뒷부분, 즉, 사용자의 등과 마주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가슴 및 배를 마주하는 일회용 앞치마의 전면부의 양쪽 측면에서 연장되어 일회용 앞치마를 사용자의 가슴 및 배부분과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입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회용 앞치마를 착용할 때 사용자와의 마찰을 적게 하여 사용자와 일회용 앞치마 사이에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rear part of the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art facing the back of the user, is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of the disposable apron facing the user's chest and abdomen, so that the disposable apron is moved horizontally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 with the wearer when the wearer wears the disposable apron, there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wearer and the disposable apron.

또한, 사용자의 등과 마주하는 일회용 앞치마의 뒷부분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트여있고 일회용 앞치마에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상체 쪽으로 유입되고나 배출되는 공기량이 많기 때문에 일회용 앞치마를 착용하여도 덥거나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portion of the disposable apron facing the back of the user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disposable apro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large. It is possible to prevent sweat from getting col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앞치마를 화살표 방향으로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앞치마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앞치마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isposable apron shown in FIG. 1 in an arrow direc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apron shown in FIG. 1 is worn by a user.
FIG. 5 is a rear view of the user with the disposable apron shown in FIG. 1 worn by a user.
6 is a view showing a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differently,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앞치마를 화살표 방향으로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앞치마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앞치마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isposable apron shown in FIG. 1 in an arrow direc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apron shown in FIG. 1 is worn by a user. FIG. 5 is a rear view of the user with the disposable apron shown in FIG. 1 worn by a us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500)는 전면부(100), 제1 연장부(200), 제2 연장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disposable apron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100, a first extension portion 20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0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면부(100),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는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 사용자의 의복을 오염물, 예를 들어, 음식물, 기름 및 화학 약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전면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및 팔들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가슴 및 배를 덮고,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및 팔들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덮는다.4 and 5, the front portion 100,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200 and 300 surround a user's upper body so that the user's garments can be cleaned with contaminants such as food, . The front portion 100 covers the user's chest and belly with the user's neck and arms exposed, as shown in FIG. 4,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200 and 300 are shown in FIG. 5 Thereby covering the user ' s back with the user ' s neck and arms exposed.

전면부(100),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는 비닐계수지 소재, 합성수지 소재, 천 소재 및 종이 소재 등으로 제작된다.The front part 100,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200 and 300 are made of a vinyl resin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cloth material, and a paper material.

도 3을 참조하면, 전면부(100)는 목 삽입홈(110), 제1 통기공(120), 라운드부(130) 및 엠보싱 패턴(140)들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ront portion 100 includes a neck insertion groove 110, a first vent 120, a round portion 130, and an embossing pattern 140.

목 삽입홈(110)은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전면부(100)의 상단 중앙부분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neck insertion groove 110 is formed in a round shape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00, where the user's head is inserted.

제1 통기공(120)은 사용자가 일회용 앞치마(500)를 착용할 경우, 전면부(100)와 사용자의 가슴 및 배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전면부(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새로운 공기를 유입시킨다.The first vent hole 120 may be formed by venting the air existing between the front part 100 and the user's chest and abdomen part to the outside of the front part 100 or by removing the air from the front part 100 when the user wears the disposable apron 500. [ Air is introduced.

제1 통기공(120)은 전면부(100)의 하단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At least one or more first ventilation holes 120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100.

도 3에서는 일예로 통기공(120)이 전면부(100)의 양쪽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In FIG. 3, for example, two vent holes 1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라운드부(130)는 전면부(100)의 하단으로부터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것으로, 라운드부(130)는 사용자가 일회용 앞치마(5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앉거나, 앉은 상태에서 움직임을 편하게 한다.The round part 130 has a concave groove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100. The round part 130 allows the user to relax while sitting or sitting while wearing the disposable apron 500.

라운드부(130)는 오목한 홈(132) 및 2개의 제1 돌출부(134)들을 포함한다. The round portion 130 includes a concave groove 132 and two first projections 134.

오목한 홈(132)은 목 삽입홈(110)과 대응되는 전면부(10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고, 제1 돌출부(134)들은 오목한 홈(132)의 양쪽에 라운드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전면부(100)의 하단은 W 자와 유사한 형상이 된다. 여기서, 2개의 제1 돌출부(134)들은 사용자의 양쪽 허벅지를 각각 덮어 일회용 앞치마(500)의 하단이 사용자의 다리에 감겨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ncave groove 1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100 corresponding to the neck insertion groove 110. The first projections 134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on both sides of the concave groove 132,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100 has a shape similar to the W-shape. Here, the two first protrusions 134 cover the both sides of the user's thighs, respectively,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disposable apron 500 from being wrapped around the user's leg and disturbing the movement of the use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엠보싱 패턴(140)들은 사용자의 가슴 및 배부분과 마주하는 전면부(10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다. 엠보싱 패턴(140)들은 전면부(100)로부터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들이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정전기로 인해 전면부(100)가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embossing patterns 140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00 facing the user's chest and abdomen portions. The embossing patterns 140 allow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200 and 300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ront portion 100 and prevent the front portion 100 from being attached to the user's clothing due to static electricit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면부(100)는 목 삽입홈(110)의 중앙과 라운드부(130)의 오목한 홈(132)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전면부(100)의 왼쪽과 오른쪽은 서로 대칭된다.The front portion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ortion 100 with respect to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neck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concave groove 132 of the round portion 130 And righ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장부(200)는 전면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어 사용자 등 부분의 절반만을 덮는다.Referring again to Figures 1 and 3, the first extension 20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100 to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covers only half of the user's back.

제1 연장부(200)는 제1 개구(210) 및 제2 통기공(220) 및 제2 돌출부(230)를 포함한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200 includes a first opening 210 and a second vent hole 220 and a second projection 230.

제1 개구(210)는 사용자의 양쪽 팔들 중 어느 한쪽의 팔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제1 개구(210)는 전면부(100) 및 제1 연장부(200)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전면부(100) 및 제1 연장부(200)에 대칭이 되도록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opening 210 is a portion into which one of the arms of the user is inserted and the first opening 210 is formed in the front part 100 around the boundary line of the front part 100 and the first extending part 200 100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200. The first extension part 20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개구(210)는 제1 연장부(200)를 전면부(100) 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일회용 앞치마(500)의 상단으로부터 사용자의 가슴과 대응되는 부분까지 신체 형상에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 for example, the first opening 210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posable apron 500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est, whil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00 is folded toward the front portion 100. [ And cut into round shapes according to the body shape.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통기공(220)은 사용자가 일회용 앞치마(500)를 착용할 경우, 제1 연장부(200)와 사용자의 등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1 연장부(200)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새로운 공기를 유입시킨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3, the second vent hole 220 allows the air present between the first extension 200 and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art 200 or introduces new air.

제2 통기공(220)은 제1 개구(210) 및 제1 연장부(200)의 하단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At least one second vent hole 2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pening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00.

도 1 및 도 3에서는 일예로 제2 통기공(220)이 제1 개구(210) 및 제1 연장부(200)의 하단 사이에 제1 연장부(2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In FIGS. 1 and 3, for example, the second vent hole 2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pening 210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00 Respectively.

제2 돌출부(230)는 제1 연장부(200)의 하단에 라운드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전면부(100)의 라운드부(130)와 같이 일회용 앞치마(500)의 하단이 사용자의 다리에 감겨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protrusion 230 is convex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isposable apron 500 is wound around the user's leg as the round part 130 of the front part 100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movement from being disturbed.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연장부(300)는 전면부(100)의 타측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어 사용자 등 부분의 나머지 절반을 덮는다.Referring again to Figures 1 and 3, the second extension 300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ortion 100 to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covers the other half of the user's back portion.

제2 연장부(300)는 제2 개구(210) 및 제3 통기공(220) 및 제3 돌출부(230)를 포함한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00 includes a second opening 210, a third vent hole 220, and a third protrusion 230.

제2 개구(310)는 사용자의 양쪽 팔들 중 나머지 한쪽의 팔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제2 개구(310)는 전면부(100) 및 제2 연장부(300)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전면부(100) 및 제2 연장부(300)에 대칭이 되도록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opening 310 is a portion in which the other of the arms of the user is inserted and the second opening 310 is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00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300, 10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00. The second extension part 300 is formed in a shape of an ellipse.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2 개구(310)는 제2 연장부(300)를 전면부(100) 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일회용 앞치마(500)의 상단으로부터 사용자의 가슴과 대응되는 부분까지 신체 형상에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 for example, the second opening 310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posable apron 500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est, while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300 is folded toward the front portion 100. [ And cut into round shapes according to the body shape.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3 통기공(320)은 사용자가 일회용 앞치마(500)를 착용할 경우, 제2 연장부(300)와 사용자의 등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2 연장부(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새로운 공기를 유입시킨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3, when the user wears the disposable apron 500, the third vent hole 320 allows the air existing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part 300 and the back part of the user to pass through the second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art (300), or to introduce new air.

제3 통기공(320)은 제2 개구(310) 및 제2 연장부(200)의 하단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At least one third vent hole 32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opening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00.

도 1 및 도 3에서는 일예로 제3 통기공(320)이 제2 개구(310) 및 제2 연장부(300)의 하단 사이에 제2 연장부(3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In FIGS. 1 and 3, for example, two third ventilation holes 320 ar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opening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300 Respectively.

제3 돌출부(330)는 제2 연장부(300)의 하단에 라운드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전면부(100)의 라운드부(130)와 함께 일회용 앞치마(500)의 하단이 사용자의 다리에 감겨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third protrusion 330 is convex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3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isposable apron 500 is wound around the user's leg together with the round portion 130 of the front portion 100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movement from being disturbe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들은 정전기에 의하여 사용자의 의복에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들이 붙어 일회용 앞치마(500)를 사용자의 상체에 고정시키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200 and 300 are attached to the wearer's clothing by static electricit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200 and 300 are attached to the disposable apron 500, And is formed as a flat surface to be fixed to the upper bod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200 and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부(100)의 양쪽 측면으로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를 각각 형성하면, 일회용 앞치마(500)를 수평방향으로 입을 수 있어 일회용 앞치마(500)를 입는 동안 사용자와의 마찰이 적어 정전기 발생이 최소화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he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200 and 300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part 100, the disposable apron 500 can be worn horizontally While wearing the disposable apron 500, the occurrence of static electricity is minimized because there is little friction with the user.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앞치마(500)를 착용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로 인해 사용자 등의 척추를 따라 트임이 발생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통기공(120, 220, 320)과 함께 사용자와 일회용 앞치마(500) 사이로 많은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킨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disposable apron 500 is wor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200 and 300 generate a flap along the spine of the user. Therefore, (120, 220, 320) to or from the user and the disposable apron (500).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의 허리와 대응되는 부분에 조임끈부가 더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회용 앞치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한다.6 is a view showing a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disposable apr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except that a disposable apron is further dispos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the same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500)는 전면부(100), 제1 연장부(200), 제2 연장부(300) 및 조임끈부(400)을 포함한다.6, the disposable apron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100, a first extension portion 200, a second extension portion 300, and a fastening boss portion 400 .

조임끈부(400)는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일회용 앞치마(500)를 착용했을 때, 제1 및 제2 연장부(200, 3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일회용 앞치마(500)가 사용자의 상체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pull tab 400 is formed at each of opposit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200 and 300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disposable apron 500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200 and 300 And prevents the disposable apron 500 from easily peeling off the user's upper body.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전면부의 양쪽 측면에 제1 및 제2 연장부를 각각 형성하면, 일회용 앞치마를 수평방향으로 입을 수 있어 일회용 앞치마를 입는 동안 사용자와의 마찰이 적어 정전기 발생이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osable apron can be wor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re is little friction with the user while wearing the disposable apron,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착용하면, 제1 및 제2 연장부로 인해 사용자 등의 척추를 따라 트임이 발생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통기공들과 함께 사용자와 일회용 앞치마 사이로 많은 공기를 유입되고 배출되기 때문에 덥거나 땀이 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osable ap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sinc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are formed along the spine of the user or the like, a large amount of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osable apron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hot or sweating.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n the meantim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other than those disclosed herein are possible.

100...전면부 200...제1 연장부
300...제2 연장부 400...조임끈부
500...일회용 앞치마
100 ... front part 200 ... first extension part
300 ... second extension part 400 ... tightening part
500 ... disposable apron

Claims (5)

사용자의 배부분 및 가슴 부분을 가리며 목 부분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일측 팔이 끼워지는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사용자의 등 부분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타측 팔이 끼워지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의 하부에는 적어도 2 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일회용 앞치마.
A front portion which is formed on the neck portion and has a concave groove to cover the abdomen portion and the chest portion of the user;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to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a user's one arm is inserted; And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portion to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having a second opening into which the other arm of the user is fitted,
Wherein at least two vent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일회용 앞치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formed with concave grooves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되지 않도록 엠보싱 패턴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은 정전기에 의하여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된 일회용 앞치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ortion is formed with embossed patterns so as not to be attached to the user's clothing 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ding portions are formed into a flat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user's clothes by static electr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장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조임끈부가 형성된 일회용 앞치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provided at their end portions with a tighten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first and second extending portions from loosening, respectively.
KR2020170000937U 2017-02-27 2017-02-27 Disposable apron KR2004863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37U KR200486378Y1 (en) 2017-02-27 2017-02-27 Disposable apr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37U KR200486378Y1 (en) 2017-02-27 2017-02-27 Disposable apr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78Y1 true KR200486378Y1 (en) 2018-05-09

Family

ID=6216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37U KR200486378Y1 (en) 2017-02-27 2017-02-27 Disposable apr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78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789U (en) * 1997-11-11 1998-05-22 有限会社 マツハシ Apron for meal
JP2000199110A (en) 1998-12-28 2000-07-18 Sankei:Kk Disposable apron
KR200261110Y1 (en) * 2001-10-17 2002-01-19 김영란 Apron with Sleeves
JP3123657U (en) * 2006-03-14 2006-07-27 化成オプトニクス株式会社 Radiation protective clothing
JP3161637U (en) * 2010-05-25 2010-08-05 純 永井 Apron for meal
KR20110027390A (en) * 2009-09-10 2011-03-16 (주)아원 Disposable protection gown
KR101115961B1 (en) * 2010-06-01 2012-02-22 최보규 Disposable apr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789U (en) * 1997-11-11 1998-05-22 有限会社 マツハシ Apron for meal
JP2000199110A (en) 1998-12-28 2000-07-18 Sankei:Kk Disposable apron
KR200261110Y1 (en) * 2001-10-17 2002-01-19 김영란 Apron with Sleeves
JP3123657U (en) * 2006-03-14 2006-07-27 化成オプトニクス株式会社 Radiation protective clothing
KR20110027390A (en) * 2009-09-10 2011-03-16 (주)아원 Disposable protection gown
JP3161637U (en) * 2010-05-25 2010-08-05 純 永井 Apron for meal
KR101115961B1 (en) * 2010-06-01 2012-02-22 최보규 Disposable apr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654B1 (en) Elastic structure for trouser waist
US20130303051A1 (en) Female breast pad
KR200490553Y1 (en) Disposable apron
KR200486378Y1 (en) Disposable apron
KR200474328Y1 (en) Brassiere for a female
KR200422138Y1 (en) The men's shirt with breast pad
KR200491271Y1 (en) Pad and clothing keeping up with no-bra
KR200485834Y1 (en) Disposable apron
KR100865585B1 (en) martial art - upper garment for lady
KR200385129Y1 (en) A sports knee trousers having the stockings
KR200320552Y1 (en) An apron of a one-piece dress type
KR200485084Y1 (en) Bib
KR101562574B1 (en) Functional bra
KR102235074B1 (en) Shirt
KR200490555Y1 (en) Apron
CN215422870U (en) Novel crease-resistant suit resistant to machine washing
KR20200000422U (en) Functional T-Shirts
KR200432813Y1 (en) apron
KR102058938B1 (en) Rubber gloves to prevent spillage and prevent perspiration
CN210299566U (en) Easy-to-clean coat
KR100467043B1 (en) Clothes for electromagnetic waves induction and exhaust
JP6761903B1 (en) clothing
CN217038973U (en) Shoulder and elbow protector
JP7488607B1 (en) Hairdressing cloth
KR200155745Y1 (en) Fur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