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89Y1 -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89Y1
KR200486289Y1 KR2020170001889U KR20170001889U KR200486289Y1 KR 200486289 Y1 KR200486289 Y1 KR 200486289Y1 KR 2020170001889 U KR2020170001889 U KR 2020170001889U KR 20170001889 U KR20170001889 U KR 20170001889U KR 200486289 Y1 KR200486289 Y1 KR 200486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ixed
cap
fir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8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to KR2020170001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8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 가스 또는 전기차단기, 제어부 및 열감지장치를 포함한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 있어서, 바닥부와 테두리를 가진 컵 형상의 결합캡; 상기 결합캡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으로 좁아지는 단턱부가 구비되며, 중심부에서 상부로 관통되는 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컵모양과 캡모양으로 반전하는 원반 바이메탈; 상기 핀홀에 삽입되어 원반 바이메탈의 상부에 놓여지는 개폐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접지; 천장부와 주변부를 가지며, 주변부의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몸체와 결합되는 캡 형상의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주변부 일측에 고정된 가동접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상기 고정접지와 가동접지의 전류가 상기 원반 바이메탈의 반전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소화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ing a fire extinguisher, a gas or electric breaker, a control unit, and a heat sensing device, cap; A lower body inserted into the coupling cap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that is narrowed toward the outside, a pinhole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nd a circular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 bimetal disc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inverted into a cup shape and a cap shape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 opening / closing pin inserted into the pinhole and placed on the disc bimetal; A fixed groun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 cap-shaped upper body having a ceiling portion and a peripheral portion and having a step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a movable ground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wherein currents of the fixed ground and the movable grou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re opened and closed by reversing the original bimetal,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is injected. do.

Description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오작동으로 인한 원인 미상의 소화기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preventing a fire extinguisher from being released due to a malfunction of a heat sensing sensor and a control unit.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불을 끄기 위한 소화장치를 말하며, 주방 자동식 소화장치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용 또는 상업용 건물에서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재산및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열원의 상부에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를 장착하고,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제어부와 연결된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600), 화재시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장치(700), 차단기와 주방 자동소화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수동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400)로 구성되고,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가스 탐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enerally, a fire extinguisher i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releasing fire extinguishing agent when a fire occurs, and as shown in FIG. 1, a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a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 using electricity or gas A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 source in order to prevent the property and personal injury caused by the fire in case of fire due to use,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 heat detecting device 700 for detecting heat in case of fire, and an operating part 400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for performing manual operation. In case of using gas Which includes a separate gas detection device.

화재가 발생하면 열감지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의해 가스밸브나 전기차단기를 자동으로 닫아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고, 소화액을 주방에 요리 중인 화기에 방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hen a fire occurs, the fire detector is used to detect a fire,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loses the gas valve or the electric breaker to prevent the fire from diffusing, and the fire extinguisher is discharged to the cooking fire in the kitchen in the kitchen to suppress the fire .

열감지장치(700)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내는 장치이고, 제어부는 열감지장치가 측정한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감지한 온도가 온도 범위 설정 값을 초과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장치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에 의해 표시장치에 신호를 전송해 램프 점멸, 경고음 발생 등으로 화재 발생을 통보하고, 가스 차단기 또는 전기차단기를 작동하여 가스나 전기를 차단하고, 소화기를 제어하여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소화한다. The heat sensing device 70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e and sends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heat sensing device with the preset temperat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due to lamp blinking, a warning sound, etc., and operates a gas breaker or an electric breaker, It cuts off the electricity, controls the fire extinguisher, and extinguishes the fire by spraying the fire extinguisher.

가스를 사용하는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인 경우에는 가스 누설 탐지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제어장치가 가스 누설 감지장치로부터 가스누설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가스 누설로 판단하여 조작기를 통해 가스 누설을 경고하면서, 가스 차단기를 제어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 제어한다.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와 수동 조작기를 구비할 수도 있고, 제어부에 디스플레이장치와 수동 조작기를 설치하여 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In the case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a gas, a gas leakage detector is separately provided. When the control device receives a gas leakage detection signal from the gas leakage detection device, it is determined that the gas leakage is caused, To shut off the gas supply.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 kitchen may have a separate display and a manual oper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and a manual operation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소화장치는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고열을 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탐지하고 제어부를 이용하여 화재를 판단하여 열원을 차단하고, 소화액을 열원에 분사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여러 가지 오류로 인해 화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인식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과 음식에 방출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오류로 인해 불의의 소화재 분출사고를 당한 사람들이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설치를 기피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Such a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configured to detect a high temperature generated from a fire by using a heat sensor, to detect a fire using a control unit, to block a heat source, and to spray a fire extinguishing liquid to a heat source. However, Even though it is not a fire due to various errors, it is recognized that it is recognized as a fire, and the people who cook the food and the accident that is discharged to the food occur frequently. Also, due to the error of the heat sensor and the control unit, Occasionally, people accidentally avoided installing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오류의 원인으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전기적인 노이즈(noise) 예컨데, 펄스파, 고주파, 팝 노이즈, 플리커 잡음, 핑크잡음, 전기적인 트러블, 열잡음(존슨잡음), 쇼트 노이즈, 무선전파 등으로부터 발산되는 각종 전자파에 의해 소화기의 오동작, 소화기 작동회로에 사용된 부품이 경년변화로 저항이나 캐패시터의 시정수가 변화되거나 반도체와 같은 소자의 불량 등을 들고 있으나 아직도 자동소화장치의 오동작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The causes of the errors of the thermal sensor and the control unit include various electrical nois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r generated internally such as pulse wave, high frequency, pop noise, flicker noise, pink noise, electric trouble, thermal noise Malfunction of a fire extinguisher due to various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a fire, noise, short-range noise, radio wave, etc., and components used in a fire extinguisher operating circuit change over time due to changes in the time constant of resistors or capacitors,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not clarified precise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8- 056069호에서는 소화기의 소화재 방출구의 마개를 헐겁게 덮어씌운 상태에 저온 융해납으로 마개의 주변을 밀봉시켜 전기적인 오동작에 의해 소화기가 작동하더라도 마개에 막혀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 방지장치가 고안되었다. 상기 기술은 소화기의 방출구를 마개를 이용하여 소화액의 방출을 임시적으로 막고 있기는 하나, 제어부의 오작동에 의해 이미 가스나 전기가 차단되고, 경고가 발생되면, 소화기의 방출관에 소화액이 채워져 소화기를 재사용하기 어렵게 되는 등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오류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본 출원인의 특허 10-1224892호의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장치에서는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가 통하는 금속 용기의 뚜껑에 외부의 온도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휘는 바이메탈 선을 금속 용기와 다른 전극을 연결하여 심어 놓고, 화재가 난 경우에 바이메탈 선이 휘어 금속용기에 맞닿아 통전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No. 20-1998- 056069 discloses a fire extinguisher having a fire extinguisher cap which is loosely covered with a low-temperature fusing lead to seal the periphery of the cap, A malfunction preven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which prevent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being released due to clogging of the cap has been devised. Although the above technique temporarily stops the discharge of the digestive juice using the stopper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digestive apparatus, the gas or electricity is already cut off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warning is generated, the discharge pipe of the digestive apparatus is filled with the digestive juice, It is difficult to reuse the heat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Therefore, i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applicant's patent 10-1224892, A bimetal wire bent in a certain direc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is connected to a lid of a metal container through which the electricity passes and a metal container and another electro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ase of fire, the bimetal wire is bent, Only the digestive juice is injected.

그러나, 상기 오작동방지장치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금속용기가 밀봉되어 있어 금속용기의 내부의 온도변화가 늦어 적절한 시기에 소화액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금속용기 내부의 온도변화가 쉽도록 하기 위해 용기에 구멍을 형성해 놓았을 때에는 가느다란 바이메탈 선이 취사도구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노출되어 박리가 발생하여 작동불능 상태가 되기 쉽다는 문제점과 오작동방지장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has a problem that when the fire occurs, the metal container is seal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inside the metal container is delay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s not sprayed at an appropriate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thin bimetal wire is exposed to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oking tool and is easily peeled off and becomes inoperable and it is im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is operated or not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8-056069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20-1998-05606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892호Korean Patent No. 10-1224892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부와 열감지센서의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오류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소화액을 방출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오작동방지장치가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반응하며, 장기간의 외부환경 영향에도 신뢰성을 구비하며, 추가적인 AS가 발생하지 않는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blocks the problem of releasing the digestive liquid even though the fire has not occurred due to various causes of the control unit and the heat sensing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for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 the kitchen, which is reliable even with long-term external environmental influence and does not generate additional AS.

본 고안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은 소화기, 가스 또는 전기차단기, 제어부 및 열감지장치를 포함한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 있어서, 바닥부(813)와 테두리(315)를 가진 컵 형상의 결합캡(810); 상기 결합캡(8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으로 좁아지는 단턱부(820a)가 구비되며, 중심부에서 상부로 관통되는 핀홀(825)이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몸체(820);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컵모양과 캡모양으로 반전하는 원반 바이메탈(830); 상기 핀홀(825)에 삽입되어 원반 바이메탈(830)의 상부에 놓여지는 개폐핀(840); 상기 하부 몸체(82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접지(860); 천장부(853)와 주변부(855)를 가지며, 주변부의 하부에 단턱(850a)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몸체(820)와 결합되는 캡 형상의 상부 몸체(850);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주변부 일측에 고정된 가동접지(870);를 포함하고,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ing a fire extinguisher, a gas or an electric circuit breaker, a control unit, and a heat sensing device, and includes a bottom portion 813 and a cup- (810); A pinhole 825 inserted into the coupling cap 810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820a narrowed to the outside and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cap 810 and having a circular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820); A disc bimetal 83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inverted into a cup shape and a cap shape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 opening / closing pin 840 inserted into the pinhole 825 and placed on the disc bimetal 830; A fixed ground 86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820; A cap-shaped upper body 850 having a ceiling portion 853 and a peripheral portion 855 and formed with a step 850a at a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lower body 820; And a movable ground (870) fixed to one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body,

상기 제어부(300)에 연결된 상기 고정접지(860)와 가동접지(870)의 전류가 상기 원반 바이메탈(830)의 반전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소화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urrent of the fixed ground 860 and the movable ground 87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is opened and closed by reversing the disc bimetal 830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is sprayed.

본 고안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은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오류를 기계적으로 차단하여 제어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소화액 방출을 미연에 막아 사용자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오작동방지장치가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반응하고, 장기간의 외부환경 영향에도 신뢰성이 높으며,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기의 분사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자동 복구가 되어 별도의 AS가 요구되지 않으며, 오작동방지장치의 단선여부를 자체적으로 감시하여 기계적 오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of the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echanically blocks the errors caused by various causes of the heat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user's damage by preventing the discharge of the digestive fluid due to the error of the control system ,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reacts quickly in the event of a fire, has high reliability even after a long period of external environmental impact, and is automatically restored even after a fire is generated and the fire extinguisher is sprayed. Thus, no separate AS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a mechanical error.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작동방지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오작동방지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오작동방지장치와 접지연결부재의 결합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kitche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 a kitc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malfunction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and the ground connection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소화장치 오작동방지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작동방지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오작동방지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kitche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kitc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된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주방의 일반적인 자동소화장치의 구성인데, 최근에는 전기레인지나 핫플레이트, 인덕션과 같은 전기만 사용하는 주방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만을 사용하는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는 가스탐지기가 생략된다. 1 is a gener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kitchen using a gas shown in FIG. 1 as a heat source. In recent years, kitchens using only electricity such as an electric range, a hot plate, and an induction have been increasing. Gas detectors are omitted for automatic kitchen fire extinguishing systems that use only electricity.

종래의 자동소화장치는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고열을 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탐지하고 제어부를 이용하여 화재를 판단하여 열원을 차단하고, 소화액을 열원에 분사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열감지센서와 제어부(300)의 여러가지 오류로 인해 화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인식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과 음식에 방출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열감지센서와 제어부의 오류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아직도 자동소화장치의 오동작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열감지센서와 별도로 오작동방지장치(800)를 도입하여, 1차적으로는 열감지센서를 이용해 화재를 탐지하여 제어부와 조작부를 이용해 화재를 방지하는 동작이 이루어지지만,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확실한 화재가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오작동방지장치(800)의 신호에 의해서만 소화액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감지장치(700)와 제어부(300)의 오류로 인한 소화제 분출 사고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었다. The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configured to detect a high temperature generated from a fire by using a heat sensor, determine a fire by using a control unit to shut off a heat source, and spray the extinguishing liquid to a heat source. However, , There are frequent occurrences of accidents that occur in people who cook food and food, which is recognized as a fire even though it is not a fire due to various errors of the heat sensor and control unit. However, since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not accurately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lfunction preventing device 800 is introduced separately from the heat detecting sensor, and the fire is detected by using the heat detecting sensor An operation to prevent fire by using the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s performed, but the operation of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Not obvious when there is a fire only by the signals of the malfunction preventing device 800 which only works in the extinguishing liquid jet to occur, and was configured to block the extinguishing medium ejection accidents due to an error of the thermal sensing device 700 and the controller 300.

본 고안에 따른 오작동방지장치(800)는, 알루미늄 등의 녹이 슬지 않는 컵 형상의 결합캡(810)이 아래에 놓이고, 상기 결합캡(810)의 내부에 하부 몸체(820)와 상부 몸체(8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a cup-shaped coupling cap 810 which is not rusted by aluminum or the like is placed under the coupling cap 810 and a lower body 820 and an upper body 850 are inserted and fixed.

결합캡(810)은 원통형상으로 바닥(813)부와 테두리(815)로 구성되고, 하부 몸체(820)와 상부 몸체(850)가 삽입된 후 테두리(815)의 상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상하부 몸체(82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었다. The coupling cap 8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813 and a rim 815. The lower body 820 and the upper body 850 are inserted and then the upper portion of the rim 815 is bent inward, (820).

하부 몸체(820)는 하부에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중심부에서 상부로 관통되는 핀홀(825)이 형성되며, 외측으로는 상하부 몸체(820)의 고정을 위해 위쪽이 좁아지는 단턱부(820a)가 구비된다. The lower body 820 is formed with a circular insertion groove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pinhole 825 penetrat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formed and a lower end portion 820 of the lower body 820, A jaw portion 820a is provided.

상기 하부 몸체(820)의 삽입홈에는 온도변화에 따라 컵모양과 캡모양으로 반전하는 원반 바이메탈(830)이 삽입된다. 상기 원반 바이메탈은 열전도율이 다른 2층의 금속이 결합된 것으로, 상온에서는 캡의 형태로 있다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컵모양으로 반전된다. I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lower body 820, a cup bimetal 830 is inserted which inverts into a cup shape and a cap shap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 disc bimetal is formed by combining two layers of metals having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ies. The bimetal is in the form of a cap at room temperature, and is inverted into a cup shape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원반 바이메탈은 알루미늄 등 금속으로 형성된 결합캡(810)에 접촉하고 있어서 외부 온도에 대해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다. The disc bimetal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cap 810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so that the disc bimetal can quickly react to the external temperature.

다만, 주방에서 사용되는 요리도구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원반 바이메탈이 삽입된 삽입홈에 침투되어, 바이메탈의 특성이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하부 몸체를 조립할때 본드를 발라 붙여 밀폐상태가 잘 이루어지도록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isture generated from the cooking utensil used in the kitchen is infiltra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bimetal is insert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bodies are bonded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metal from changing, .

상기 핀홀(825)에는 개폐핀(840)이 삽입되어 원반 바이메탈(830)의 상부에 놓여지고, 하부 몸체(820)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 접지가 상기 개폐핀(840)의 주변에 고정 설치된다. A pin 840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825 to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original bimetal 830 and a fixed ground is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in 840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820.

상기 하부 몸체(820)의 상부에 천장부(853)와 주변부(855)를 가지며, 주변부의 하부 외측에 단턱(850a)이 형성되며, 주변부의 내부 일측에 가동접지(870)가 고정된 상부 몸체(850)가 결합된다. A stepped portion 850a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and a ceiling portion 853 and a peripheral portion 855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820. The movable body 87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850).

상기 가동접지(870)는 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암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핀(840)의 상부에 놓여져 원반 바이메탈(830)이 캡을 이룬 경우 단전상태를 이루다가 온도가 올라가 반전되어 컵의 형상으로 바뀌면 개폐핀(840)이 내려가 고정접지(860)에 접촉해 통전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접지(860)와 가동접지(870)가 접촉한 경우에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반대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movable ground 870 is connected to an arm made of an elastic metal and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in 840 to form a disconnection state when the disc bimetal 830 is capped, When the fixed ground 860 and the movable ground 87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pening / closing pin 840 is lowe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ground 860 to be in the energized state. In this embodiment, But in some cases it can be operated in the opposite way.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하부 몸체(820)의 외측에 구경이 좁아지는 단턱부(820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850)의 주변부의 하부에 구경이 넓어지는 단턱(850a)이 형성되어 상부 몸체(850)와 하부 몸체(820)가 맞붙은 상태로 결합캡(810)에 삽입되고, 결합캡(810)의 테두리(815)를 안쪽으로 구부려 하부 몸체(820)와 상부 몸체(850)가 고정되도록 한다. A stepped portion 820a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820 and a step 850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body 850 to enlarge the diameter of the upper body 850, The lower body 820 and the lower body 82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cap 810 and the rim 815 of the coupling cap 810 is bent inwardly so that the lower body 820 and the upper body 850 are fixed .

한편, 오작동방지장치의 동작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 고정접지(860)와 가동접지(870) 사이에 고저항의 저항(970)을 연결하여 제어부(300)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오작동방지장치(800)의 단선여부를 체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작동방지장치(800)의 고정접지(860)와 가동접지(870)를 연결하는 한 쌍의 플러그(880)를 상부 몸체(850)의 주변부(855)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프린트 기판(930)의 양측에 상기 플러그(880)를 삽입하기 위한 어댑터(950)가 형성되고, 상기 저항(970)을 어댑터 사이에 연결된 접지연결부재(900)가 더 포함되면 오작동방지장치의 작동이 보장되고, 오작동방지장치(800)의 연결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A resistor 970 of high resistance is connected between the fixed ground 860 and the movable ground 870 so as to allow the fine current to flow through the controller 300 to prevent malfunc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prevention device 800 is disconnected. A pair of plugs 880 for connecting the fixed ground 860 and the movable ground 870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800 are installed through the peripheral portion 855 of the upper body 850, The adapter 950 for inserting the plug 88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or 930 and the operation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is ensured if the ground connection member 900 connecting the resistor 970 to the adapter is further included And the connection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800 is simplifi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은 열감지장치와 제어부의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오류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제어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소화액 방출을 미연에 막아 사용자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오작동방지장치가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반응하고, 장기간의 외부환경 영향에도 신뢰성이 높으며,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기의 분사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자동 복구가 되어 별도의 AS가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작동방지장치의 단선여부를 자체적으로 감시하여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The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of the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fundamentally block the errors caused by various causes of the heat sens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to effectively prevent the damage of the user by preventing the discharge of the digestive fluid due to the error of the control system In addition,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responds quickly in case of fire, has high reliability even after a long period of external environmental impact, is automatically restored even after the fire is generated and the fire extinguisher is spraye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 the kitchen by monitoring the disconnection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by itself.

100 :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200 : 소화기
250 : 분사구 300 : 제어부
400 : 조작부 500 : 가스탐지기
600 : 차단기 700 : 열감지장치
800 : 오작동방지장치 810 : 결합캡
813 : 바닥 815 : 테두리
820 : 하부 몸체 820a : 단턱부
825 : 핀홀 830 : 원반 바이메탈
840 : 개폐핀 860 : 고정접지
870 : 가동접지 880 : 플러그
850 : 상부 몸체 850a : 단턱
853 : 천장부 855 : 주변부
900 : 접지연결부재 930 : 프린트 기판
950 ; 어댑터 970 : 저항
100: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200: Fire extinguisher
250: jetting port 300:
400: operating part 500: gas detector
600: breaker 700: thermal sensor
800: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810: Coupling cap
813: Bottom 815: Border
820: Lower body 820a:
825: Pinhole 830: Original bimetal
840: opening and closing pin 860: fixed ground
870: movable ground 880: plug
850: upper body 850a:
853: ceiling portion 855: peripheral portion
900: ground connecting member 930: printed board
950; Adapter 970: Resistance

Claims (4)

소화기, 가스 또는 전기차단기, 제어부 및 열감지장치를 포함한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에 있어서,
바닥부(813)와 테두리(315)를 가진 컵 형상의 결합캡(810);
상기 결합캡(8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으로 좁아지는 단턱부(820a)가 구비되며, 중심부에서 상부로 관통되는 핀홀(825)이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몸체(820);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컵모양과 캡모양으로 반전하는 원반 바이메탈(830);
상기 핀홀(825)에 삽입되어 원반 바이메탈(830)의 상부에 놓여지는 개폐핀(840);
상기 하부 몸체(82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접지(860);
천장부(853)와 주변부(855)를 가지며, 주변부의 하부에 단턱(850a)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몸체(820)와 결합되는 캡 형상의 상부 몸체(850);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주변부 일측에 고정된 가동접지(8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에 연결된 상기 고정접지(860)와 가동접지(870)의 전류가 상기 원반 바이메탈(830)의 반전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소화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접지(860)와 가동접지(870)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9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에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오작동방지장치의 단선여부를 체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
1. A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ing a fire extinguisher, a gas or electric circuit breaker, a control unit, and a heat sensing device,
A cup-shaped coupling cap 810 having a bottom portion 813 and a rim 315;
A pinhole 825 inserted into the coupling cap 810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820a narrowed to the outside and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cap 810 and having a circular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820);
A disc bimetal 83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inverted into a cup shape and a cap shape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 opening / closing pin 840 inserted into the pinhole 825 and placed on the disc bimetal 830;
A fixed ground 86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820;
A cap-shaped upper body 850 having a ceiling portion 853 and a peripheral portion 855 and formed with a step 850a at a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lower body 820; And
And a movable ground (870) fixed to one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body,
The electric current of the fixed ground 860 and the movable ground 87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is opened and closed by reversing the disc bimetal 830 to spray th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ing a resistor (970) connected between the fixed ground (860) and the movable ground (870) to cause a micro current to flow through the resistor to check whether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is disconnected.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of fire extinguis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85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지(860)와 가동접지(870)를 연결하는 한 쌍의 플러그(880); 및
양측에 어댑터(950)가 형성되고, 상기 저항(970)이 어댑터(950) 사이에 연결된 프린트 기판(930)을 포함하는 접지연결부재(90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접지연결부재(900)와 오작동방지장치(800)가 착탈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plugs 880 installed on the upper body 850 to connect the fixed ground 860 and the movable ground 870; And
And a ground connecting member 900 including a printed board 930 formed with an adapter 950 on both sides and the resistor 970 connected between the adapters 950. The ground connecting member 900, Wherein the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800) is coupled in a detachable manner.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820)의 외측에는 구경이 좁아지는 단턱부(820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850)의 주변부의 하부에 구경이 넓어지는 단턱(850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850)와 하부 몸체(820)가 삽입된 상기 결합캡(810)의 테두리(315)를 안쪽으로 구부려 하부 몸체(820)와 상부 몸체(85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방지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stepped portion 820a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820 and a step 850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body 850 to enlarge the diameter, And the lower body 820 and the upper body 850 are fixed by bending the rim 315 of the coupling cap 810 into which the lower body 820 is inserted. .
KR2020170001889U 2017-04-14 2017-04-14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2004862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89U KR200486289Y1 (en) 2017-04-14 2017-04-14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89U KR200486289Y1 (en) 2017-04-14 2017-04-14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89Y1 true KR200486289Y1 (en) 2018-04-30

Family

ID=6207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889U KR200486289Y1 (en) 2017-04-14 2017-04-14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8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6424A (en) * 2020-09-21 2020-12-15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Fireproof kitchen
KR20210000960A (en) 2019-06-26 2021-01-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ternal pin and its surface treatment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94Y2 (en) * 1989-03-13 1995-06-14 能美防災株式会社 Combined fire detector
KR19980056069U (en) 1998-06-24 1998-10-07 김선정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JPH11102490A (en) * 1997-07-30 1999-04-13 Hidetoshi Hirota Fire alarm
KR101224892B1 (en) 2010-03-25 2013-01-22 김대의 electronic malfunction avoidance system for automatic fire-extinguisher
KR101249310B1 (en) * 2012-11-15 2013-04-02 손석환 Switching fire watch control un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94Y2 (en) * 1989-03-13 1995-06-14 能美防災株式会社 Combined fire detector
JPH11102490A (en) * 1997-07-30 1999-04-13 Hidetoshi Hirota Fire alarm
KR19980056069U (en) 1998-06-24 1998-10-07 김선정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1224892B1 (en) 2010-03-25 2013-01-22 김대의 electronic malfunction avoidance system for automatic fire-extinguisher
KR101249310B1 (en) * 2012-11-15 2013-04-02 손석환 Switching fire watch control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60A (en) 2019-06-26 2021-01-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Kitch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ternal pin and its surface treatment method
CN112076424A (en) * 2020-09-21 2020-12-15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Fireproof kitch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905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diagnostic methods
US5871057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methods
US6029751A (en) Automatic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US7817048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methods
US5697450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methods
KR200486289Y1 (en) A malfunction prevention system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1825187B1 (en) Fire Fighting Facility for Inside Cabinet
US9700745B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stove tops
CN107233686A (en) A kind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preventing from mistake in jetting control method
CN102313436A (en) Refrigerator and automatic fire alarm method thereof
KR102026969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1611503B1 (en) Prevent over temperature and fire system
CN113570831A (en) Integrated wireless Bluetooth gas leakage alarm and safety linkage device
KR200429154Y1 (en) Automat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20130059248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CN114768150A (en) Fire control shower nozzle of alarm part side dress
CN213789694U (en) Intelligent kitchen fire extinguishing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20020189824A1 (en) System for fire extinguishing
CN211124329U (en) Automatic alarm controller for kitchen fire leaving from people
KR200204217Y1 (en) Designate device of gas valve to open and close
KR200429397Y1 (en) Automatic Operating Means for Extinguisher
JP4440758B2 (en) Cassette stove with gas cylinder overheat warning device
KR200492350Y1 (en) A leakage detecting system for a automatic fire fighting equipment
CN220801746U (en) Rack-mounted intelligent fire fighting device and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