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21Y1 - Wrist-worn Smartphone Stands - Google Patents

Wrist-worn Smartphone Stan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21Y1
KR200485821Y1 KR2020170000238U KR20170000238U KR200485821Y1 KR 200485821 Y1 KR200485821 Y1 KR 200485821Y1 KR 2020170000238 U KR2020170000238 U KR 2020170000238U KR 20170000238 U KR20170000238 U KR 20170000238U KR 200485821 Y1 KR200485821 Y1 KR 200485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wrist
groove
body par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2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선오
Original Assignee
조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오 filed Critical 조선오
Priority to KR2020170000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2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 중 조작이 용이하며, 스마트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몸체부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스마트폰을 손바닥 쪽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에 따라 손바닥이 스마트폰을 받쳐주게 되어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목에 착용한 스마트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됨은 물론, 결합방법이 간단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것에 따른 팔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st-wearing type smartphone fixture that is easy to carry, easy to operate while moving, and can freely switch the direction of the smartphone by configuring the smartphone to be detachable on the wrist . By using mobile phone attached to the body part while worn on the wrist, it is possible to use the smart phone stably by maintaining the solid connection state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or on foot, and by moving the smart phone toward the palm side Accordingly, the palm rests on the smart phone, so that it can be used more stably and conveniently without shak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martphone worn on the wrist from being detach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martphone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by the simple combination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fatigue of the arm due to carrying the smartphone .

Description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Wrist-worn Smartphone Stands}Wrist-worn Smartphone Stands {Wrist-worn Smartphone Stands}

본 고안은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을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 중 조작이 용이하며, 스마트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wearing type smartphone fixture, and more specifically, a smartphon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rist, thereby making it easy to carry, easy to operate while mov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worn type smartphone fixture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음성통화는 물론 화상통화, 동영상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청, 인터넷 사용 등의 다양한 부가기능들이 추가되면서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In general, smartphones have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because of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video call, video,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watching, and Internet use as well as voice calls.

이러한 스마트폰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중에 사용 가능한 이점 때문에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휴대시 많은 불편한 점 또한 지니고 있다.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보편적으로 이동중에 스마트폰을 손에 파지하거나, 혹은 주머니 또는 핸드백과 같은 가방에 넣어 이동하는데, 전자의 경우, 양손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하고, 주머니에 넣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으며, 가방에 넣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전화 벨소리 등을 인지할 수 없는 등의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었다.These smartphones are being used more and more because of the advantages that can be used while on the move regardless of location, but they also have a lot of inconveniences when carrying. Most users are uncomfortable because they can not use both hands in the case of electronics, and they are not very good when they are moved in a pocket. , And when it is put in a bag, it can not recognize a ringing tone of a telephone, and so on.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고리형 줄을 부착하여 손목에 걸거나, 혹은 목걸이형 줄을 부착하여 목에 걸어서 소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줄의 형태로 신체에 고정되므로 신체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함께 움직여 여전히 사용상에 불편함이 초래되었고, 별도로 전선, 스위치, 이어폰, 마이크 등을 구비함에 따라 착용이 번잡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method of attaching a ring-shaped string to a smartphone and holding it on the wrist or attaching a necklace-shaped string to the neck has been proposed. However, since these methods are fixed to the body in the form of a string, In the case of a lot of movement, the smartphone moved together and it was still inconvenient to use, and troubles such as troublesome wearing due to having a wire, a switch, an earphone, and a microphone were caused separately.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손목 시계와 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었으나, 고가이면서도 오히려 기존의 스마트폰보다 실용성이 저하되어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As a result, products that combine smartphones with wristwatches have been released, but they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they are more expensive and less practical than existing smartphones.

이에, 스마트폰을 손목에 거치하기 위한 손목 착용 타입 스마트폰 거치장치들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특허문헌 2의 '휴대폰 손목 거치 장치', 특허문헌 3의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에 제안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wrist-wearing type smart phone mounting devices for mounting the smartphone on the wrist include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worn on the wrist' of Patent Document 1, Device ', and' wrist attachment cell phone and communication / sound device wrist attachment device 'of Patent Document 3.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 제안된 손목 착용 타입 스마트폰 거치장치들은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손목 밴드 또는 손목 시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 또는 운동시에도 스마트폰의 소지가 편리하였다.The wrist-wearing type smart phone mounting devices proposed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wrist band or a wristwatch so that they can be worn on the wrist of a user while the smartphone is mounted, .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밴드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감아 고정하거나, 혹은 거치장치의 장착홈에 스마트폰을 억지 끼움으로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스마트폰을 장착함에 따라 스마트폰이 거치장치에 장착되면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방향 전환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since a smartphone is wound around a band or a belt to fix the smartphone, or a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mounting device of the smart phone by pressing the smart phone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mounting device,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smartphon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martphone.

특허문헌 1 :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46393호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1999년 07월 05일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46393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orn on the Wrist' (Published on July 05, 1999) 특허문헌 2 :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4242호 '휴대폰 손목 거치 장치'(1999년 01월 25일 공개)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4242 'Cell phone wrist rest device' (disclosed on Jan. 25, 1999) 특허문헌 3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5485호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2003년 02월 12일 등록)Patent Document 3: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5485 'Wrist attachment and communication / sound device wrist attachment device' (Registered on February 12, 2003)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폰을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 중 조작이 용이하며, 스마트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 smartphon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rist, so that it is easy to carry, easy to operate while moving, And to provide a new type of wrist wearable smartphone fixture that provides convenien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Z'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타측 끝단이 개방된 요홈(21)이 형성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키기 위한 착용부(30)와; 폰부재(60)의 후면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구(40)와; 일측이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의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요홈(5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0)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탈착부(50)를 포함하여, 상기 폰부재(60)가 결합된 이동구(40)는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탈착부(50)의 요홈(53)으로 이동되고, 상기 탈착부(50)는 상기 몸체부(2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 body part 20 formed to surround a user's wrist and having a Z-shaped upper surface and a groove 21 opened at the other end is formed, ; A wearer (30) for wearing the body part (20) on the wrist of a user; A moving member 40 to which a rear surface of the phone member 60 is coupled and which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a groove 21 of the body portion 20; And a detachable part (50)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part (20), wherein a groove (53) is formed at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part of the groove (21) of the body part The moving member 40 to which the member 60 is coupled is moved to the groove 53 of the detachable member 50 through the opening of the groove 21 of the body portion 20, Is separated from the body (20) and is seated on the palm of the user.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에서 상기 이동구(40)는 일면이 상기 폰부재(60)가 고정되는 고정판(41)을 갖고, 상기 고정판(41)의 중심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연결단(42)을 가지며, 상기 연결단(42)의 끝단에 상기 연결단(42)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판(43)을 갖고,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은 상기 이동구(40)의 연결단(42)과 원판(4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특징으로 한다.In the wrist-wearable smartphone fixing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outh 40 has a fixing plate 41 whose one surface is fixed to the phone member 60, and is form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41 And a circular plate 43 having a cylindrical connecting end 42 which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end 42 and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connecting end 42, (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end (42) of the moving tool (40) and the disk (43).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에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요홈(21)의 타측 끝단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22)을 갖고, 상기 탈착부(50)는 상기 몸체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되는 삽입구(51)를 갖고, 상기 삽입구(51)의 끝단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의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요홈(53)이 형성되며, 타측이 폐쇄된 분리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part 20 has an insertion groove 22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groove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 51 and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opening 21 of the groove 21 of the body part 20, And a separating opening 52 in which the other side is clos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에서 상기 폰부재(60)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member 60 is a smart phone or a smartphone cas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 중 조작이 용이하며, 스마트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rist, so that it is easy to carry, easy to operate while moving, and can freely switch the direction of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그리고,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몸체부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스마트폰을 손바닥 쪽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에 따라 손바닥이 스마트폰을 받쳐주게 되어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cell phone to the body part while wearing it on the wrist, it is possible to use the smart phone stably by maintaining the solid connection state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or on foot, and by using the smart phone by moving it to the palm side Since the palm rests on the smartphone, it can be used more stable and convenient without shaking.

또한, 손목에 착용한 스마트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됨은 물론, 결합방법이 간단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것에 따른 팔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martphone worn on the wrist from being detach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martphone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by the simple combination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fatigue of the arm due to carrying the smartphone .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의 사용상태도이다.
Figures 1 to 3 illustrate the prior art,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wrist-wearing smartphone fix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4,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wrist-wearing smartphone fix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S. 4 to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and an illustration of elements and structures of element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a technical struc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riefly .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10)는 몸체부(20), 착용부(30), 이동구(40), 탈착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o 8, a wrist-wearing type smartphone fixtur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20, a wear portion 30, a moving mouth 40, a detachable portion 50, .

몸체부(20)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폰부재(60)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상측은 손등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고, 하측은 손바닥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된다.The body 2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wrist of the user and is positioned and moved so that the upper side is locat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lower side is locat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alm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wrist.

몸체부(20)는 상면에 'Z'자 형상의 요홈(21)이 형성되고, 요홈(21)의 타측 끝단은 개방되어 진다. 즉, 'Z'자 형상은 시작은 상측에서 시작하여 끝은 하측에서 끝나도록 형성되어 진다.A Z-shaped groove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of the groove 21 is opened. That is, the 'Z' shape starts from the upper side and ends from the lower side.

한편, 몸체부(20)는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후술하는 탈착부(5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삽입홈(22)은 요홈(21)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삽입홈(22)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기(23)가 형성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22 so that a detachable portion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0 so as to be slidabl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groove 2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groove 21. A protrusion 23 is formed inwardly at an end of the insertion groove 22.

착용부(30)는 사용자의 손목에 몸체부(20)를 착용시키기 위한 것으로, 신축성이 있는 밴드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맞춰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몸체부(20)를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wearer 30 wears the body 20 on the user's wrist. The wearer 30 includes a stretchable band or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earer's body, .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착용부(30)를 몸체부(20)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도록 벨크로 방식으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몸체부(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몸체부(20)를 착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고, 밴드 형상으로 구성하여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20 so as to be worn on the user's wris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dy part 20 can be worn on the wrist of the user by being fastened to one side of the lower side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이동구(40)는 폰부재(60)의 후면이 결합되고, 몸체부(20)의 'Z'자 형상의 요홈(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면이 폰부재(60)가 고정되는 고정판(41)을 갖고, 고정판(41)의 중심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연결단(42)을 가지며, 연결단(42)의 끝단에 연결단(42)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판(43)을 갖는다.The transfer port 4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honon member 60 and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Z-shaped recess 21 of the body portion 20, (42) having a cylindrical fixing plate (41) and a cylindrical connecting end (42) formed downward from the central side of the fixing plate (41),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end As shown in Fig.

탈착부(50)는 몸체부(20)의 요홈(21)의 타측 끝단의 개방부에 위치되어 몸체부(2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되는 삽입구(51)를 갖고, 삽입구(51)의 끝단에 형성되고, 일측이 몸체부(20)의 요홈(21)의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요홈(53)이 형성되며, 타측이 폐쇄된 분리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분리구(52)에는 몸체부(20)의 삽입홈(22)에 형성된 돌기(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54)이 형성되어 몸체부(20)의 삽입홈(22)의 돌기(23)가 삽입되어 몸체부(20)와 탈착부(50)가 결합되도록 한다.The detachable portion 50 is located at the opening of the other end of the recess 21 of the body portion 20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A recess 5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 51 so that one side of the recess 53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of the recess 21 of the body 20, And a closed separator (52). At this time, a groove 54 is formed in the separation port 52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23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22 of the body part 20, so that the proj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2 of the body part 20 So that the body part 20 and the detachable part 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10)에서 폰부재(60)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즉, 스마트폰의 후면에 이동구(40)의 일면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 케이스를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케이스에 이동구(40)의 일면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wrist-wearing type smartphone fixture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member 60 is made of any one of a smartphone or a smartphone case. 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mobile unit 40 can be coupled to the back side of the smart phone. However, recently, since users have many smartphone cases to protect the smartphone, To be combin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10)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 중 조작이 용이하며, 스마트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rist-wearable smartphone fix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martphon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rist, it is easy to carry, easy to operate while mov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그리고,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몸체부(20)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 중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스마트폰을 손바닥 쪽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에 따라 손바닥이 스마트폰을 받쳐주게 되어 흔들림 없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is attached to the body 20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wrist, it is possible to use the smart phone stably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or maintaining a firm connection state during the walking, So that the palm rests on the smartphone, so that it can be used more stably and conveniently without shaking.

또한, 손목에 착용한 스마트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됨은 물론, 결합방법이 간단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것에 따른 팔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martphone worn on the wrist from being detach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martphone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by the simple combination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fatigue of the arm due to carrying the smartphone .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의 손목에 맞추어 착용부(30)를 조절하여 몸체부(20)를 손목을 감사도록 착용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몸체부(20)의 요홈(21) 상에 위치된 이동구(40)의 일면에 결합된 폰부재(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손바닥에 안치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동구(40)를 몸체부(20)의 요홈(21)을 따라 이동시켜 요홈(21)의 개방부를 통해 탈착부(50)의 요홈(53)으로 이동시킨다. 탈착부(50)의 요홈(53)으로 이동구(40)가 이동되면 탈착부(50)는 몸체부(20)의 삽입홈(22)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몸체부(20)로부터 이탈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스마트폰이 안치된다. 사용자의 손바닥에 스마트폰이 안치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면되는 것이다.First, the wearer 30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wrist to gently wrist the body part 20 by gently observing the state of use of the wrist wearable smartphone fix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then use a pawn member (smart phon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er 40 located on the groove 21 of the body portion 20. [ When the user desires to use the smartphone in the palm of his hand, the moving part 40 is moved along the groove 21 of the body part 20 and the groove 53 of the detachable part 5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part of the groove 21 ). When the moving part 40 is moved to the groove 53 of the detachable part 50, the detachable part 50 slides on the insertion groove 22 of the body part 20 and is detached from the body part 20, The smartphone is enshrined. If a smartphone is placed on the user's palm, users can use the smartphon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wrist-wearing smartphon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20 : 몸체부 21 : 요홈
22 : 삽입홈 23 : 돌기
30 :착용부 40 : 이동구
41 : 고정판 42 : 연결단
43 : 원판 50 : 탈착부
51 : 삽입구 52 : 분리구
53 : 요홈 60 : 폰부재
10: Wrist-worn Smartphone Stands
20: body part 21: groove
22: insertion groove 23: projection
30: Wear portion 40: Movable portion
41: fixing plate 42: connection end
43: original plate 50:
51: insertion port 52: separation port
53: groove 60:

Claims (4)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Z'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타측 끝단이 개방된 요홈(21)이 형성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키기 위한 착용부(30)와;
폰부재(60)의 후면이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구(40)와;
일측이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의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요홈(5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0)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탈착부(50)를 포함하여,
상기 폰부재(60)가 결합된 이동구(40)는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탈착부(50)의 요홈(53)으로 이동되고, 상기 탈착부(50)는 상기 몸체부(2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구(40)는 일면이 상기 폰부재(60)가 고정되는 고정판(41)을 갖고, 상기 고정판(41)의 중심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연결단(42)을 가지며, 상기 연결단(42)의 끝단에 상기 연결단(42)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판(43)을 갖고,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은 상기 이동구(40)의 연결단(42)과 원판(4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A body portion 20 formed to surround a user's wrist and having a Z-shaped upper surface and a groove 21 opened at the other end;
A wearer (30) for wearing the body part (20) on the wrist of a user;
A moving member 40 to which a rear surface of the phone member 60 is coupled and which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a groove 21 of the body portion 20;
And a detachable part (50)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part (20), wherein a groove (53) is formed at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part of the groove (21) of the body part (20)
The moving member 40 to which the phone member 60 is coupled is moved to the groove 53 of the detachable unit 50 through the opening of the groove 21 of the body unit 20 and the detachable unit 50 Is separated from the body 20 and is seated on the palm of the user,
The moving member 40 has a fixing plate 41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pawn member 60 and has a cylindrical connecting end 42 form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41, (43) formed at the end of the step (42)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end (42)
Wherein the groove (21) of the body part (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end (42) of the moving tool (40) and the disk (43).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요홈(21)의 타측 끝단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22)을 갖고,
상기 탈착부(50)는 상기 몸체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되는 삽입구(51)를 갖고, 상기 삽입구(51)의 끝단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의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요홈(53)이 형성되며, 타측이 폐쇄된 분리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20 has an insertion groove 22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elow the other end of the groove 21,
The detachable part 50 has an insertion hole 5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 of the body part 20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hole 51, (52) formed with a groove (53) for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of the housing (21) and the other side being cl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폰부재(60)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ne member (60) is one of a smartphone or a smartphone case.
KR2020170000238U 2017-01-12 2017-01-12 Wrist-worn Smartphone Stands KR2004858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38U KR200485821Y1 (en) 2017-01-12 2017-01-12 Wrist-worn Smartphone St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38U KR200485821Y1 (en) 2017-01-12 2017-01-12 Wrist-worn Smartphone Sta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21Y1 true KR200485821Y1 (en) 2018-02-27

Family

ID=6138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238U KR200485821Y1 (en) 2017-01-12 2017-01-12 Wrist-worn Smartphone Stan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21Y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242U (en) 1998-10-29 1999-01-25 김경호 Cell phone wrist mounting device
KR19990021961U (en) * 1999-02-02 1999-06-25 김경호 Cellular phone holder
KR19990046393A (en) 1999-03-05 1999-07-05 김근옥 A Portable Correspondence Terminal possibility put on wrist
JP2000049935A (en) * 1998-03-18 2000-0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ounting type communication device
KR200202216Y1 (en) * 2000-05-27 2000-11-15 이상호 Rotable holder for supporting portable phone on wrist
KR200305485Y1 (en) 2002-12-04 2003-02-26 홍성찬 Mobile phone for sticking to wrist and wrist adhesion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4032716A (en) * 2002-05-02 2004-01-29 Temuko Japan:Kk Wrist-worn cellular phone set
KR20160092410A (en) *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Band for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60357158A1 (en) * 2014-03-24 2016-12-08 Jung Young Kim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935A (en) * 1998-03-18 2000-0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ounting type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04242U (en) 1998-10-29 1999-01-25 김경호 Cell phone wrist mounting device
KR19990021961U (en) * 1999-02-02 1999-06-25 김경호 Cellular phone holder
KR19990046393A (en) 1999-03-05 1999-07-05 김근옥 A Portable Correspondence Terminal possibility put on wrist
KR200202216Y1 (en) * 2000-05-27 2000-11-15 이상호 Rotable holder for supporting portable phone on wrist
JP2004032716A (en) * 2002-05-02 2004-01-29 Temuko Japan:Kk Wrist-worn cellular phone set
KR200305485Y1 (en) 2002-12-04 2003-02-26 홍성찬 Mobile phone for sticking to wrist and wrist adhesion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20160357158A1 (en) * 2014-03-24 2016-12-08 Jung Young Kim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KR20160092410A (en) *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Band for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9155B2 (en) Wristwatch with earphone function
US6801476B2 (en) Wrist-worn phone and body-worn data storage device
US6760459B2 (en) Method for securing a headset
US6868284B2 (en) Headset with retractable battery pack
TWI353164B (en)
US20050143140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9065890B2 (en) Wrist-worn mobile telephone
JPWO2005096599A1 (en) Communication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JP2002247171A (en) Mobile phone
US8611580B2 (en) Cheek stabilizer for audio headset
US7302074B2 (en) Receiver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KR200485821Y1 (en) Wrist-worn Smartphone Stands
KR101910101B1 (en) Wrist-worn smartphone case
EP1223682A1 (en) An electronic device for a mobile radio station
WO2015196383A1 (en) Terminal device
KR100542954B1 (en) Attachment band for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363213Y1 (en) Necklace-shaped ear mike
KR20000010498A (en) Mobile phone integrally mounted on belt
KR20000020876U (en) Ring - type speaker for wrist watch cellular phone
KR200204435Y1 (en) Handsfree set for glasses
KR200228306Y1 (en) A Single-Ear Attachable Telephone Handset
KR20040073743A (en) Cordless phone for headset
KR20020006107A (en) Handphone or cellular phone or PCS digital wireless phone with wristwatch style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JPH04185038A (en) Headphone cassette type portable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