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49Y1 - 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 Google Patents

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49Y1
KR200485649Y1 KR2020160004079U KR20160004079U KR200485649Y1 KR 200485649 Y1 KR200485649 Y1 KR 200485649Y1 KR 2020160004079 U KR2020160004079 U KR 2020160004079U KR 20160004079 U KR20160004079 U KR 20160004079U KR 200485649 Y1 KR200485649 Y1 KR 200485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fixing
gap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0250U (en
Inventor
윤관식
Original Assignee
윤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관식 filed Critical 윤관식
Priority to KR2020160004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49Y1/en
Publication of KR20180000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5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4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 판넬로 구성된 평상 상판은 중앙부분이 상승되도록 하여 테이블상판으로 사용하고, 상판의 양측은 좌판으로 사용하며, 중앙과 양측 사이의 상판판넬은 분리하여 테이블 하부에 배치시켜 선반으로 사용하거나, 좌판의 외각측에 결합하여 등받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평상 상판과 테이블 선반으로 이용되는 판넬은 승강핀에 의해 고정시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해 안전성을 향상시킨 평상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anel, and more particularly, a flat panel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nels is used as a table top plate so th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elevated, and both sides of the top panel are used as a stool panel. It can be used as a shelf by disposing it on the lower part of the table, or it can be used as a backrest by being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seat. In particular, the panel used as a normal top plate and a table shelf is fixed by a lifting pin to prevent easy detachment by an external impact, thereby improving safety.

Description

평상 겸용 테이블{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본 고안은 평상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 판넬로 구성된 평상 상판은 중앙부분이 상승되도록 하여 테이블상판으로 사용하고, 상판의 양측은 좌판으로 사용하며, 중앙과 양측 사이의 상판판넬은 분리하여 테이블 하부에 배치시켜 선반으로 사용하거나, 좌판의 외각측에 결합하여 등받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평상 상판과 테이블 선반으로 이용되는 판넬은 승강핀에 의해 고정시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해 안전성을 향상시킨 평상 겸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anel, and more particularly, a flat panel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nels is used as a table top plate so th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elevated, and both sides of the top plate are used as a stool panel. It can be used as a shelf by disposing it on the bottom of the table, or it can be used as a backrest by being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seat. In particular, the panel used as a normal top plate and a table shelf is fixed by a lifting pin to prevent easy detachment by an external impact, thereby improving safety.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평상을 이용하는 좌식문화였으나,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앉는 것보다는 서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되는 입식문화로 변화되고 있다. 상기 입식문화의 보급에 의해 일상생활에서의 각종 시설이나 기구들도 입식문화에 맞도록 변경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평상 대싱 테이블의 사용률이 증가되는 것이다. In general, Korea was a sedimentation culture that uses flatulence, but it has been changed into a sheltering culture where standing time is increased rather than sitting with Western artifacts. Due to the spread of the stocking culture, various facilities and apparatuses in everyday life are being changed to accommodate the stocking culture,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at the usage rate of the normalizing table is increased.

또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생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족단위의 여행 또는 정원에서의 야외식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테이블의 사용율이 증가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level of living improves,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is increased, so that family meals or outdoor meals in the garden are increasing, and the usage rate of the table is increasing.

한국등록특허 제10-1472549호(2014.12.08.등록; 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서는 평상 가변형 테이블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은,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는 양측 의자부와 중앙 테이블부로 구간을 구분한 상태에서 상기 양측 의자부 상단에는 제1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양측 의자부 하측에는 받침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부 하측에는 상하에 제1높이조절구멍을 갖는 고정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테이블부 구간 내에 상기 고정 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로 승강 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상판과 동일한 높이의 제2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관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높이조절구멍과 대응하는 제2 높이조절구멍을 갖는 승강관이 형성된 가변체;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체가 승강시 제1,2 높이조절구멍에 승강핀을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된 평상 가변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72549 (Registered on Dec. 8,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presented a table of variable-size tables.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 first upper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both side chairs in a state where sections are divided into two side chairs and a central table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rame, a pedesta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wo side chairs, And a fixing pipe having a first height adjusting hol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d a second upper plat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first upper plate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ing frame, and a second upper plate having a height equal to that of the first upper plate is installed in the table section, And a variable height body having a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and a second height adjust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the variable height body having a first height adjustment hole and a second height adjustment hole, And the like.

상기 선행문헌은 중앙의 가변체의 승강에 의해 평상이나 테이블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가변체와 고정체의 수평상에서 간격이 없어 사용자의 착석 및 탈석 과정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Although the above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of forming a table or a table by elevating or lowering a central variable bod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is not comfortable in sitting and taking off the seat because there is no g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variable body and the fixed body.

이에 본 고안의 평상 겸용 테이블은, In this case, the common-

평상 상판의 중앙 일부분을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테이블 상판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상판의 양측부분은 좌판으로 사용되도록 하되, 상기 좌판과 테이블상판으로 사용되는 판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판넬을 별도로 분리가능하게 하여 테이블 모드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좌석으로의 착석과 탈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평상 겸용 테이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is used as a left side plate and at least one panel is separately detachable between the left side plate and the panel used as the table top plate, Mode table in which a user can easily sit and seated in a seat in a mode.

특히 본 고안은 분리된 판넬을 상판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하여 선반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평상의 일부분과 선반으로 활용되는 판넬을 고정클립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착석 및 탈석 과정에서 판넬분리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평상 겸용 테이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ed pane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so as to be used as a shelf, and a panel used as a part of the flat panel and a shelf is firmly fixed with a fixing clip,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 common table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caused by an accident.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평상 겸용 테이블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4개의 판넬을 사각띠 형태로 결합하고,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분은 받침다리가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되, 수직판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된 고정구가 형성된 승강프레임을 폭방향으로 두 개 배치하고 두 승강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폭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측면프레임과 두 승강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간격유지상단프레임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승강체와, 상기 제1 및 제2 승강체의 간격유지측면프레임에 양단을 결합시켜 길이방향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와; 상기 주프레임과 승강부재의 간격유지상단프레임의 상부에 다수 판넬을 동일평면상으로 나란하게 안치하되, 주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주프레임에 고정시켜 좌판부를 형성하고, 두 좌판부 사이에는 승강부재에 고정시켜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테이블부를 형성하고, 테이블모드시 상기 좌판부와 테이블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판넬이 분리되는 이동판넬로 구성되는 상판; 상기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프레임에는 승강프레임의 고정구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고정구와 관통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결합하여 승강부재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승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our panels are join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nd, and the corner portions abutting each other are provided with a main frame provided with a support leg and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wo vertical frames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vertical frames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two vertical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bodies are constituted by an upper frame and a gap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side frames and the upper ends of the two lifting frames.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bodies are coupled to the gap maintaining side frame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bodies, And a gap maintaining lower frame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lower frame; Wherein a plurality of panel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to maintain a space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elevating member, An upper plate which is fixed to a member to form a table portion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lifting member, and a moving panel in which at least one panel is separated from the seat portion and the table portion in a table mode; And a lift pin formed in the main frame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through hole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fixture of the lift frame and to fix the height of the lift member by penetrating the fixture and the through hole at the same time.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주프레임 외측면에는 고정관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이동판넬의 저면에는 등받이수직프레임의 일측을 고정관의 간격으로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의 일단은 고정관으로 삽입고정되도록 구성하여, 테이블모드에서는 등받이수직프레임을 고정관에 결합하여 이동판넬이 등받이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A fixing pipe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of the backrest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panel at intervals of fixing pipes, and one end of the backrest vertical frame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xing pipe In the table mode, the backrest vertical frame can be coupled to a fixed tube so that the moving panel can be used as a backrest.

또한, 상기 이동판넬은, 양단이 제1승강체 및 제2승강체 각각의 두 승강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주프레임 상부에 안치되어 테이블부 하부의 선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ing panel can be utilized as a shelf under the table portion by being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two lift fram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s.

또한, 상기 이동판넬의 길이방향 양단과 이동판넬이 안치된 주프레임에는 "ㄷ"자 형태의 탄성체인 고정클립을 수직방향으로 끼워서 두 부재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fixing clip, which is an elastic body of a " C "shape,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anel and on which the moving panel is placed, thereby fixing the two members together.

또한, 상기 고정클립은, 저면에 당김부를 하부로 돌출시켜 당김부에 의해 이동판넬과 주프레임으로부터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clip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ulling portion is protrud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pulling portion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oving panel and the main frame.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고안의 평상 겸용 테이블은, The common-us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평상의 상판 중앙 부분을 승강되도록 하여 평상모드와 테이블 모드를 모두 제공하도록 하되, 테이블모드로 사용시 테이블부와 좌판부 사이의 이동판넬을 분리시켜 착석과 탈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리된 이동판넬은 선반으로 사용하거나 등받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부여하였다. The table panel is provided with both the normal mode and the table mode by elevating and lower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movable panel between the table portion and the left plate portion can be separated to facilitate seating and disassembly, Can be used as a shelf or as a backrest.

특히 이동판넬은 선반 및 평상모드로 사용시 고정클립으로 주프레임에 고정시켜 착석 및 탈석과정에서 이동판넬의 분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obile panel can be fixed to the main frame with a fixed clip when used in a shelf and normal mode, thereby providing improved safet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separation of the mobile panel during seating and deae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 겸용 테이블의 평상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 겸용 테이블의 테이블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상태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상태에서의 이동판넬이 선반으로 활용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설치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mal mode of a common us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mode of the common use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fla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oving panel in a table state is used as a shel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a fixing cl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fix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for the purpose of easily describing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chang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 겸용 테이블의 평상 및 테이블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상 겸용 테이블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and FIG.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an view and a table mode of the common use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on use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평상 겸용 테이블(10)은, 사각때 형태의 주프레임(20)을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on-use tab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main frame 20.

상기 주프레임(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체로, 2인용 또는 4인용 등 수용인원에 따라 주프레임의 길이방향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주프레임(20)은 4개의 판넬을 사각띠 형태로 결합하고 서로 맞닿은 모서리 연결부분의 하부는 받침다리(21)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주프레임은 폭방향의 면을 세로로 설치하여 상부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main frame 20 is a plat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change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for two or four people. In the main frame 20, the four panels are join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n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rner connect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egs 2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floor. Further, the main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widthwise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upper load.

상기 주프레임의 내측에는 승강부재(30)가 설치된다. An elevating member (3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frame.

상기 승강부재(30)는, 제1승강체(31)와 제2승강체(32)가 주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폭방향으로 설치된 주프레임의 내면과 근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승강체(31) 및 제2승강체(32)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간격유지하부프레임(33)에 의해 길이방향 간격이 유지된다.The elevating member 30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elevating member 31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32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0 and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elevator body 31 and the second elevator body 32 are spaced longitudinally by a gap maintaining lower frame 33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승강체(31)와 제2승강체(32)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주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근접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된 고정구(312)가 형성된 승강프레임(3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프레임(311)은 폭방향으로 일정길이 이격되어 2개 배치하고, 이격된 두 승강프레임은 하부를 바형태의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으로 연결하고, 상부를 간격유지상단프레임(314)으로 연결하여 폭방향으로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즉, 제1승강체(31)와 제2승강체(32)는 주프레임 내측에서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고, 판넬인 간격유지하부프레임(33)의 양단을 상기 제1승강체와 제2승강체의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는 상판(40)에 의해 길이방향의 간격이 유지됨으로 구조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을 승강프레임의 하단에서 일정길이 이격된 상부에 결합시키면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간 결합되는 간격유지하부프레임(33)은 설치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elevator body 31 and the second elevator body 32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main fram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e provided with a fixing hole 312, (311). The upper and lower frames 311 and 3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The two spaced apart lift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gap-maintaining side frame 313 having a bar shape. So that the gap in the width direction is firmly maintained. That is, the first lifting body 31 and the second lifting body 32 are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frame, and both ends of the interval maintaining lower frame 33, which is a panel, And the interval maintaining side frame 313 of the second elevator body, so that the g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intained.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is mainta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erval by the upper plate 40,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firmly coupled. When the gap maintaining side frame 313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lift fram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gap maintaining lower frame 33 coupled to the gap maintaining side frames 313 is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floor .

또한, 상기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프레임(20)에도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프레임(311)에 형성된 고정구(312)와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구(22)를 형성하여 승강핀(50)에 의해 승강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승강핀(50)은 주프레임의 관통구(22)와 승강부재 승강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고정구(312)를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것으로, 주프레임 관통구와 승강부재의 하부고정구를 관통시켜 승강핀을 결합하면 승강부재가 상부로 돌출되어 테이블 모드가 되고, 주프레임 관통구와 승강부재의 상부고정구를 관통시켜 승강핀을 결합하면 승강부재와 주프레임의 높이가 동일해져 평상 모드가 제공된다. A through hole 22 is also formed in the main frame 20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same interval as the fixing hole 312 formed in the elevating frame 311 of the elevating member, Can be adjusted. That is, the elevating pin 50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hole 22 of the main frame and the upper or lower fixing member 312 of the elevating member elevating frame at the same time to penetrate the lower fixing member of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main frame through- When the pins are coupled, the elevating member is projected upward to enter the table mode.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coupled through the main frame through-hole and the upper fixing member of the elevating member, the height of the elevating member becomes equal to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다음으로 상기 주프레임(20)과 승강부재의 간격유지상단프레임(314)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판넬을 폭방향으로 다수 나란하게 안치하여 상판(40)을 구성한다.Next,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arranged panel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frame 314 to maintain a space between the main frame 20 and the elevating member.

상기 상판(40)은, 폭방향으로 3개의 파트로 구획하여 양측에는 각각 주프레임에 고정시켜 테이블모드로 변형시 좌판부(41)를 형성하도록하고, 중간부분에는 승강부재의 간격유지상단프레임(314)에 고정시켜 승강부재(30)를 따라 위치가 상승 가능하게 하여 테이블모드로 변환시 테이블부(42)를 형성하도록 한다.The upper plate 40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width direction and fixed to the main frame at both sides to form the seat plate 41 when deformed into the table mode. In the middle part, the upper frame 40 314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elevating member 30 to form the table portion 42 upon conversion into the table mode.

상기 좌판부(41)와 테이블부(42)를 형성하는 다수의 판넬은 저면에 보조결합대를 다수 폭방향으로 설치하여 일체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panels forming the seat plate 41 and the table 4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providing an auxiliary coupling rod in a plurality of widthwise dir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좌판부(41)와 테이블부(4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가 좌판부와 테이블부와 관계없이 별도로 분리되는 이동판넬(43)을 구비한다. In addition, a moving panel 43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late portions 41 and 42 so that at least one of them is separated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plate portions.

상기 이동판넬(43)은 평상 모드에서는 좌판부와 테이블부 사이에 안치하여 평상의 상판(40)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테이블 모드에서는 분리시켜 좌판부와 테이블부 사이의 간격을 넓혀 편안한 착석 및 탈석이 이루어지게 한다. In the normal mode, the movable panel 43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table portions so as to be used as a normal upper plate 40. In the table mode, the movable panel 43 is separated to enlarge a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table portions, .

도 1과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분리된 이동판넬(43)은 등받이로 사용될 수 있다. 1 and 3, the separated moving panel 43 can be used as a backrest.

즉,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주프레임(20)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개구된 고정관(23)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관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등받이수직프레임(431)은 이동판넬(43)의 저면에 결합하여, 평상 모드에서는 등받이수직프레임(431)이 상판(40) 하부에 위치하고, 테이블 모드에서는 등받이수직프레임(431)을 고정관(23)에 결합시켜 이동판넬(43)이 등받이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The backrest vertical frame 431, which is detachably fitted to the fixing pip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normal mode, the backrest vertical frame 431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40. In the table mode, the backrest vertical frame 431 is coupled to the fixing pipe 23 so that the moving panel 43 serves as a backrest can do.

이때 상기 고정관(23)은 주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431)은 상기 고정관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동판넬에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fixing pipe 23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nd the backrest vertical frames 431 are coupled to the moving panel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the fixing pipes.

또한, 상기 고정관(23)은 하부를 폐구하여 개구된 상부로 내입되는 등받이수직프레임(431)의 내입깊이를 제한하도록 하거나, 등받이수직프레임 중 고정관에 내입되는 단부를 점진적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가공을 수행하여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내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ipe 23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backrest vertical frame 431,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ed upper portion by closing the lower portion thereof, or to taper the end portion of the backrest vertical frame, To facilitate insertion and to limit the depth of penetration.

이와같이 이동판넬(43)을 등받이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평상모드에서 테이블모드로 변경시 중앙의 승강부재(30)를 먼저 상부로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이동판넬(43)의 이동유격을 형성한 다음에 이동판넬을 탈거시켜 고정관에 장착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moving panel 43 is used for the backrest, when the mode is changed from the normal mode to the table mode, the center elevating member 30 is first moved upward to fix the moving panel 43, thereby forming a moving clearance of the moving panel 43,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 fixed pipe.

한편,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이동판넬(43)을 선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moving panel 43 may be used for a lathe.

테이블모드시 평상의 상판 위치에서 분리된 이동판넬(43)은, 제1승강체 및 제2승강체를 구성하는 두 승강프레임(311) 사이에 안치된다. 즉, 이동판넬 단부는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두 승강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주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어 테이블부 하부에 위치하는 선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In the table mode, the moving panel 43 separated from the normal upper plate position is placed between the two lift frames 311 constituting the first elevator body and the second elevator body. That is, the end portion of the moving panel can be used as a shelf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two lift frames.

이때 상기 두 승강프레임 사이의 내측 간격은 평상모드에서 테이블모드로 변경시 상판에서 분리되는 이동판넬(43)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판넬(43)은 승강부재의 테이블부(42) 양측에서 하나씩 분리되므로 두 승강프레임(311)의 간격은 이동판넬 2개의 폭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리되는 이동판넬을 모두 안치할 수 있는 간격으로 두 승강프레임을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pace between the two lift frames is formed at the same or similar interval as the width of the moving panel 43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when changing from the normal mode to the table mode. That is, since the moving panels 43 are separated one by one from both sides of the table portion 42 of the eleva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elevating frames 311 is separated by the width of the moving panel 2,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lift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that can be obtained.

또한, 승강프레임(3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312)의 위치는 테이블모드시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이 주프레임(20)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이동판넬(43)이 주프레임 상부에 안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of the fixture 312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frame 311 is formed such that the side frame 313 in the table mod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To be placed on top of the main frame.

아울러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이동판넬(43)은 평상모드 또는 테이블모드시 고정클립(60)을 통해 양단이 주프레임(20)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5, the moving panel 4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via the fixing clip 60 in the normal mode or the table mode.

상기 고정클립(60)은 "ㄷ"자 형태의 탄성체로, 상하 내면 간격은 주프레임(20)과 이동판넬(43)의 수직방향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여 끼움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고정수단없이 이동판넬을 안치하면 외력이 전달될 때 이동판넬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어 발생됨 틈에 신체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클립(60)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xing clip 60 is formed in a shape of a " C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ar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thickness as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main frame 20 and the moving panel 43, . In other words, if the mobile panel is placed without the fixing means, a safety accident may be generated in which a part of the body is caught in the gap when the mobile panel is displac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herefore, .

또한, 도 6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고정클립(60)은 설치된 상태에서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당김부(6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fixing clip 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pulling portion 61 so that the fixing clip 60 can be easily removed.

상기 고정클립(60)은 주프레임(20)과 이동판넬(43)의 두 부재를 동시에 내입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탈거가 용이하지 않지만, 고정클립 저면에 당김부(61)를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면 당김부를 간단하게 당기는 동작만으로도 고정클립을 주프레임과 이동판넬로부터 쉽게 탈거될 수 있으므로, 모드변경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detachable clip 60 is not easy to remove because the two members of the main frame 20 and the moving panel 43 are simultaneously inserted and fixed. However, if the pulling portion 61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clip The fixing clip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frame and the moving panel by simply pulling the pulling portion.

또한, 상기 이동판넬에는 고정클립이 끼워지는 양측단부에 고정클립 두께와 유사한 홈을 형성하여 고정클립 결합시 고정클립이 이동판넬 상부면에서 상부로 더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panel may have grooves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fixing clip at both side ends where the fixing clip is inserted, thereby preventing the fixing clip from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nel when the fixing clip is engaged.

또한, 상기 상판 중 테이블부의 중앙과 테이블부 중앙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간격유지하부프레임(33)에는 각각 파라솔고정구(70)를 형성하여 파라솔을 장착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asol fixture 70 may be formed on the space-maintaining lower frame 33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center of the table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table portion, respectively, to mount the parasol.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평상 겸용 테이블은, 평상모드와 테이블모드를 모두 제공하면서, 테이블모드시 착석 및 탈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판을 형성하는 판넬 하나를 분리하여 이동가능하게 하고, 분리되는 이동판넬도 선반으로 사용하거나 등받이로 사용하게 하는 등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on-us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separating and moving a panel forming the upper plate so as to facilitate seating and dismounting in the table mode while providing both the normal mode and the table mode, The mobile panel can also be used as a shelf or as a backrest, providing various functions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10 : 평상 겸용 테이블
20 : 주프레임
21 : 받침다리 22 :관통구
23 : 고정관
30 : 승강부재
31 : 제1승강체 32 : 제2승강체
33 : 간격유지하브프레임
311 : 승강프레임 312 :고정구
313 : 간격유지측면프레임 314 : 간격유지상단프레임
40 : 상판
41 : 좌판부 42 : 테이블부
43 : 이동판넬
431 : 등받이수직프레임
50 : 승강핀
60 : 고정클립
61 : 당김부
70 : 파라솔고정구
10: Combination table
20: main frame
21: support leg 22: through hole
23: Fixture tube
30:
31: first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2: second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3: spacing hub frame
311: lifting frame 312: fastener
313: Spacing-maintaining side frame 314: Spacing-maintaining upper frame
40: top plate
41: seat plate portion 42: table portion
43: Moving panel
431: Backrest vertical frame
50: lift pin
60: Retaining clip
61:
70: Parasol fixture

Claims (5)

4개의 판넬을 사각띠 형태로 결합하고,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분은 받침다리(21)가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주프레임(20)과;
상기 주프레임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되, 수직판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관통된 고정구(312)가 형성된 승강프레임(311)을 폭방향으로 두 개 배치하고 두 승강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폭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과 두 승강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간격유지상단프레임(314)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승강체(31,32)와, 상기 제1 및 제2 승강체의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에 양단을 결합시켜 길이방향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30)와;
상기 주프레임(20)과 승강부재의 간격유지상단프레임(314) 상부에 다수 판넬을 동일평면상으로 나란하게 안치하되, 주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주프레임에 고정시켜 좌판부(41)를 형성하고, 두 좌판부 사이에는 승강부재에 고정시켜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테이블부(42)를 형성하고, 테이블모드시 상기 좌판부와 테이블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판넬이 분리되는 이동판넬(43)로 구성되는 상판(40);
상기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프레임(20)에는 승강프레임의 고정구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관통구(22)를 형성하고, 고정구(312)와 관통구(22)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결합하여 승강부재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승강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주프레임 외측면에는 고정관(23)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이동판넬(43)의 저면에는 등받이수직프레임(431)의 일측을 고정관의 간격으로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의 일단은 고정관(23)으로 삽입고정되도록 구성하여, 테이블모드에서는 등받이수직프레임(431)을 고정관(23)에 결합하여 이동판넬(43)이 등받이로 사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겸용 테이블.
Four panels are join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nd, and the corner portions abutting each other are provided with a main frame 20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the support legs 21;
Two elevating frames 311 each having a fastener 312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frame ar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wo elevating frames (31, 32) composed of a gap maintaining side frame (313) for maintaining a gap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gap maintaining upper frame (314)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lift frames, And a gap maintaining lower frame for coupling the both ends to the gap maintaining side frame (313) of the second elevator body to maintain a g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panel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on the main frame 20 and on the upper frame 314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main frame 20 and the elevating member. A table portion 42 is formed between the two seat portions so as to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elevating member and a moving panel 43 for separating at least one panel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table portion in the table mode (40);
A through hole 22 is formed in the main frame 20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at of the fixing frame of the elevating frame and is coupled with the fixing hole 312 and the through hole 22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a lifting pin (50) for fixing the lifting pin (50).
A fixing pipe (23) is vertic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the backrest vertical frame 43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panel 43 at intervals of fixing pipes and one end of the backrest vertical frame is inserted and fixed by a fixing pipe 23. In the table mode, 431) to the fixing pipe (23) so that the moving panel (43) is used as a backrest.
삭제delete 4개의 판넬을 사각띠 형태로 결합하고,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분은 받침다리(21)가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주프레임(20)과;
상기 주프레임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되, 수직판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관통된 고정구(312)가 형성된 승강프레임(311)을 폭방향으로 두 개 배치하고 두 승강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폭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과 두 승강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간격유지상단프레임(314)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승강체(31,32)와, 상기 제1 및 제2 승강체의 간격유지측면프레임(313)에 양단을 결합시켜 길이방향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30)와;
상기 주프레임(20)과 승강부재의 간격유지상단프레임(314) 상부에 다수 판넬을 동일평면상으로 나란하게 안치하되, 주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주프레임에 고정시켜 좌판부(41)를 형성하고, 두 좌판부 사이에는 승강부재에 고정시켜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테이블부(42)를 형성하고, 테이블모드시 상기 좌판부와 테이블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판넬이 분리되는 이동판넬(43)로 구성되는 상판(40);
상기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프레임(20)에는 승강프레임의 고정구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관통구(22)를 형성하고, 고정구(312)와 관통구(22)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결합하여 승강부재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승강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동판넬(43)은,
양단이 제1승강체(31) 및 제2승강체(32) 각각의 두 승강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주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어, 테이블부(42) 하부에서 선반으로 활용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판넬(43)의 길이방향 양단과 이동판넬이 안치된 주프레임(20)에는 "ㄷ"자 형태의 탄성체인 고정클립(60)을 수직방향으로 끼워서 두 부재를 일체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겸용 테이블.
Four panels are join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nd, and the corner portions abutting each other are provided with a main frame 20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the support legs 21;
Two elevating frames 311 each having a fastener 312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frame ar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wo elevating frames (31, 32) composed of a gap maintaining side frame (313) for maintaining a gap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gap maintaining upper frame (314)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lift frames, And a gap maintaining lower frame for coupling the both ends to the gap maintaining side frame (313) of the second elevator body to maintain a g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panels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on the main frame 20 and on the upper frame 314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main frame 20 and the elevating member. A table portion 42 is formed between the two seat portions so as to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elevating member and a moving panel 43 for separating at least one panel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table portion in the table mode (40);
A through hole 22 is formed in the main frame 20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at of the fixing frame of the elevating frame and is coupled with the fixing hole 312 and the through hole 22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a lifting pin (50) for fixing the lifting pin (50).
The moving panel (43)
Both ends ar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two lift fram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s 31 and 32 so as to be utilized as shelves in the lower part of the table part 42,
A fixing clip 60, which is an elastic body of a " C "shape,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20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anel 43 and the moving panel is fixed, Flat common tabl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60)은, 저면에 당김부를 하부로 돌출시켜 당김부(61)에 의해 이동판넬과 주프레임으로부터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겸용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clip (60) has a pulling por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thereof so that the pulling portion (61) facilitates detachment from the moving panel and the main frame.
KR2020160004079U 2016-07-15 2016-07-15 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KR2004856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79U KR200485649Y1 (en) 2016-07-15 2016-07-15 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79U KR200485649Y1 (en) 2016-07-15 2016-07-15 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50U KR20180000250U (en) 2018-01-24
KR200485649Y1 true KR200485649Y1 (en) 2018-03-22

Family

ID=6128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79U KR200485649Y1 (en) 2016-07-15 2016-07-15 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4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265A (en) * 2018-06-04 2018-11-02 广东工业大学 A kind of Deformable bed chair
CN108926145A (en) * 2018-07-20 2018-12-04 芜湖清柏白露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able cabinet one furniture
KR200494197Y1 (en) * 2019-09-30 2021-08-24 류지춘 Removable low wooden ben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48B1 (en) * 2012-10-17 2013-07-08 이석준 Lower wooden plate assembly to convert table
KR101472549B1 (en) * 2013-12-13 2014-12-16 김유성 Variable table for a flat benc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434U (en) * 2013-12-13 2015-06-23 임정규 A Fabricated Table Using Mortise Joi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48B1 (en) * 2012-10-17 2013-07-08 이석준 Lower wooden plate assembly to convert table
KR101472549B1 (en) * 2013-12-13 2014-12-16 김유성 Variable table for a flat b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50U (en)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649Y1 (en) Combination flat bench and table
CN105124920B (en) Self-powered platform
US8182032B2 (en) Table and seating apparatus
EP2946689B1 (en) A desk with vertically adjustable table top
US20230240448A1 (en) Bed ladder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bed frame for use
KR101731192B1 (en) Length adjustable table
US1936428A (en) Umbrella-supporting table
JP2002065413A (en) Wooden studying desk and chair
KR101104787B1 (en) a table attached chair
US2345178A (en) Leg assembly for composite metal and wood furniture
KR20130083615A (en) Lifting type chair
EP3106064A1 (en) Combined lift table
CN203538832U (en) Multifunctional sofa
KR200475787Y1 (en) Support for Assembly Type Furniture and Assembly Type Furniture Using The Same
KR200493853Y1 (en) Variable tabl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and length
KR200483372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CN212185906U (en) Combined child seat convenient to mount
CN215583586U (en) Combined multi-style landscape seat
KR20190042880A (en) Resting Facility
CN209965756U (en) Novel seat for row-type movie theater
KR102525338B1 (en) Height adjustable legs of desk and chair
KR200219991Y1 (en) Height Adjusting Device In Chair
KR101543746B1 (en) Chair combining type table
KR102475183B1 (en) Modular table
CN214127807U (en) Dining table for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