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35Y1 - 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 Google Patents

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35Y1
KR200485635Y1 KR2020170000423U KR20170000423U KR200485635Y1 KR 200485635 Y1 KR200485635 Y1 KR 200485635Y1 KR 2020170000423 U KR2020170000423 U KR 2020170000423U KR 20170000423 U KR20170000423 U KR 20170000423U KR 200485635 Y1 KR200485635 Y1 KR 200485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support rods
bucket
bucket bod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4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과람
김용진
박정근
유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Priority to KR2020170000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3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은, 사람 또는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버켓 본체와; 상기 버켓 본체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부분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일정간격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봉들과; 상기 버켓 본체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며,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각각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천막을 구비하고, 상기 천막의 상기 삽입홀 인접부위에는 상기 천막과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용 줄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용 줄의 타단부분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for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The bucket for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cket body for accommodating a person or an object;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each having one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and having coupl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And a tent which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ucket body and is formed with insertion holes for respectivel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s on the respective edge portions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And a fixing line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ixing line to th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i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insertion hole adjacent portion.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버켓{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나 눈이 오는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for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that can be operat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exposed to rain or snow and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의 버켓은 사람의 탑승이 가능한 바구니 형상의 구조를 갖고 트럭 같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버켓을 상승시켜 통신주에 매달려 있는 전선이나 광케이블의 유지 및 보수 공사 시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bucket of a high-altitude working car has a basket-like structure capable of boarding a person and is installed in a car such as a truck so that the bucket can be elevated to enable work at a high place, .

일반적인 고소작업차의 버켓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가로수나 가로등의 보수작업, 전신주의 보수작업, 고층건물의 유리보수작업 등을 하게 된다.The bucket of the general high-altitude work car is carried by the worker, and repair work of a street tree and a street lamp, a repair work of a telephone pole, and a glass repair work of a high-rise building are perform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차 버켓은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비나 눈이 오는 경우 더 이상 작업이 불가능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car bucket has a problem that work can not be performed when the weather is bad. In other words, when rain or snow comes in when a worker is working, the work is no longer possible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6624호(2011.12.14.)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96624 (December 14, 2011)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버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et for a high-altitude work vehicle capable of overcom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나 눈이 오는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버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cket for a high-altitude work vehicle that can be operated in the rain or snowy environment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은, 사람 또는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버켓 본체와; 상기 버켓 본체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부분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일정간격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봉들과; 상기 버켓 본체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며,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각각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천막을 구비하고, 상기 천막의 상기 삽입홀 인접부위에는 상기 천막과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용 줄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용 줄의 타단부분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cket for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cket body for accommodating a person or an object;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each having one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and having coupl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And a tent which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ucket body and is formed with insertion holes for respectivel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s on the respective edge portions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And a fixing line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ixing line to th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i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insertion hole adjacent portion.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봉들 각각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길이가 고정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길이의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may have a length that is fixed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a length of which is adjustable by controlling the length when rota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봉들은 고정 수직지지봉들과 이동 수직지지봉들로 구분되고, 상기 버켓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들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들 각각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함에 의해 상기 천막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are divided into fixed vertical support rods and moving vertical support rods, and a guide rail for moving the vertical moving support rods is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And can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preading and folding the tent by moving.

본 고안에 따르면, 비나 눈이 오는 상황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강화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필요에 따라 천막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ork even in the case of rain or snow, to enhance safet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o have an effect that a tent can be unfolded and folded as need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켓을 가지는 고소작업차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을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view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having a bucke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bucket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how a bucket structure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intention, other tha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켓을 가지는 고소작업차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을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having a bucke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ucket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100)은 고소작업차(20)의 붐(11)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이 수용되게 된다.1 and 2, a bucket 100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oom 11 of a high-work work car 20, and a person or an object is accommodated .

상기 버켓(100)은 버켓 본체(110), 복수로 구비되는 수직지지봉(120) 및 천막(140)을 구비한다.The bucket 100 includes a bucket body 110,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120, and a tent 140.

상기 버켓 본체(110)는 사람 또는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통상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버켓 본체(110)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는데,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 금속과 플라스틱이 혼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The bucket body 110 is for accommodating a person or an object, and has a receiving space and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The bucket body 110 may have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made of plastic or metal. In addition,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metal and plastic are mixed.

상기 수직 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부분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일정간격마다 배치되게 된다.One end of the vertical support bar 1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bar 120 is provided with coupling protrusions.

상기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가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4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4개가 구비되는 경우 4개의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 상단부분의 각각의 꼭지점 부분(길이방향측면과 폭방향 측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의 최상단부분)에 결합되고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꼭지점과 꼭지점을 잇는 선의 중앙부분에 결합되게 된다.When the bucket body 110 has a rectangular shape, four or more vertical support rods 120 may be provided. The four vertical support rods 120 are coupled to the vertex por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ucket body 110 (the uppermost portions of the corners where the longitudinal side face and the widthwise side face meet with each other) And to the central part of the line connecting the vertex and the vertex.

상기 수직지지봉(120)은 제1파이프(122)와 상기 제1파이프(122)에 삽입가능한 제2파이프(124)로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이프(124)의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최적화된 길이로 고정가능하다. 즉 길이의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vertical support rods 120 are provided with a first pipe 122 and a second pipe 124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122 and adjus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second pipe 124, It can be fixed in length. That i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flexible adjustment of the length.

예를 들어, 상기 제1파이프(122)의 단부가 상기 버켓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파이프(124)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파이프(124)가 상기 제1파이프(122)에 고정된 상태를 풀어 상기 제2파이프(124)가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상태인 유동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를 정하고, 정해진 길이상태에서 상기 제2파이프(124)를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파이프(124)가 더 이상 상승 및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파이프(122)에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end of the first pipe 122 is fixed to the bucket body 110 and the length of the pipe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second pipe 124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second pipe 124 is fixed to the first pipe 122 and the second pipe 124 is in a floating state in which the second pipe 124 can be moved up or down. In this state, a desired length is determined, and the second pipe 12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in a predetermined length state so as to prevent the second pipe 124 from further rising and falling, So as to adjust the length.

상기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파이프(122)와 상기 제1파이프(122)에 삽입가능하여 상기 수직지지봉(12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파이프(1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124)의 단부인 상기 수직지지봉(120)의 타단부분은 결합돌기(12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상기 천막(1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The vertical support rods 120 may include a first pipe 122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ucket body 110 and a second pipe 122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122 to adjust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rods 120. [ 2 pipe 12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bar 120, which is an end of the second pipe 124,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126 protruding therefrom. The coupling protrusions 126 are inserted into the edge portions of the awning 140 to be fixedly coupled.

또한 상기 제1파이프(122)의 측면에는 고정고리(128)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고리(128)는 상기 천막(140)을 고정용 줄이나 노끈,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 fixing ring 128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ipe 122. The fixing ring 128 is for fixing the awning 140 using a fixing line, a wire, or a wire.

상기 천막(14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사이즈(예를 들면, 바닥사이즈 또는 수용공간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며,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상기 결합돌기(126)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14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42)은 상기 수직지지봉(12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더 많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ent 14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ucket body 110 (for example, a bottom size or a size of a receiving space), and has an insertion hole Respectively. The insertion holes 142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vertical support rods 120.

상기 천막(140)은 용도에 따라 방수기능, 차광기능, 자외선 차단기능 등을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ent 140 may have a waterproof function, a light shielding function, an ultraviolet shielding functio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use,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depending on the case.

상기 천막(140)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삽입홀(142)에 상기 수직지지봉(120)의 결합돌기(126)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고정용 줄(14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용 줄(144)은 일단이 상기 삽입홀(142) 또는 상기 결합돌기(126)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지지봉(120)의 고정고리(128)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줄(144)이 상기 결합돌기(126)에 결합되는 경우는 상기 천막의 삽입홀(142)에 상기 결합돌기(126)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능하다.The tent 140 is coupled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126 of the vertical support rod 1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2 formed at the edge portion. The fixing rope 144 may be provided at one end with the insertion hole 142 or at the coupling protrusion 126 and at the other end with the vertical support rods 120. [ And may be coupled to the fixed ring 128 of the second housing 120. [ When the fixing line 144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6, the coupling protrusion 126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2 of the tent membra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눈이나 비가 오는 경우에도 작업이 가능하고, 자외선이나 광 차단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방지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work even in the case of snow or rain, and ultraviolet rays or light can be blocked,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경우는 천막이 고정되어 있어 천막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천막이 있는 상태로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nt is fixed so that the tent is required even when the tent is not needed.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을 나타낸 것이다.FIGS. 3 and 4 show a bucket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버켓(200)은 천막을 접고 펼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bucket 200 of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tent to be folded and unfolded.

상기 버켓(200)은 버켓 본체(110), 고정 수직지지봉(120), 이동 수직지지봉(130), 가이드 레일(150) 및 천막(140)을 구비한다.The bucket 200 includes a bucket body 110, a fixed vertical support bar 120, a vertical moving support bar 130, a guide rail 150, and a tear 140.

상기 버켓 본체(110)는 사람 또는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통상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버켓 본체(110)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는데,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 금속과 플라스틱이 혼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The bucket body 110 is for accommodating a person or an object, and has a receiving space and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The bucket body 110 may have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made of plastic or metal. In addition,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metal and plastic are mixed.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부분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일정간격마다 배치되게 된다. One end of the fixed vertical support bar 1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vertical support bar 120 is provided with coupling protrusions.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가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2개가 구비되는 경우 2개의 고정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 상단부분의 각각의 꼭지점 부분(길이방향측면과 폭방향 측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의 최상단부분) 중 일측(도면상에서는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고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꼭지점과 꼭지점을 잇는 선의 중앙부분에 결합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bucket body 110 has a rectangular shape, two or more of the fixed vertical support rods 120 may be provided. The two fixed vertical support rods 12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rtex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body 110 (the top portion of the corner where the longitudinal side face and the widthwise side face meet with each other) (The longitudinally right-hand side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central portion of the line connecting the vertex and the vertex.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은 제1파이프(122)와 상기 제1파이프(122)에 삽입가능한 제2파이프(124)로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이프(124)의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최적화된 길이로 고정가능하다. 즉 길이의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fixed vertical support rods 120 are provided with a first pipe 122 and a second pipe 12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122 and adjus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second pipe 124, The length can be fixed. That i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flexible adjustment of the length.

예를 들어, 상기 제1파이프(122)의 단부가 상기 버켓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파이프(124)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파이프(124)가 상기 제1파이프(122)에 고정된 상태를 풀어 상기 제2파이프(124)가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상태인 유동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를 정하고, 정해진 길이상태에서 상기 제2파이프(124)를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파이프(124)가 더 이상 상승 및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파이프(122)에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end of the first pipe 122 is fixed to the bucket body 110 and the length of the pipe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second pipe 124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second pipe 124 is fixed to the first pipe 122 and the second pipe 124 is in a floating state in which the second pipe 124 can be moved up or down. In this state, a desired length is determined, and the second pipe 12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in a predetermined length state so as to prevent the second pipe 124 from further rising and falling, So as to adjust the length.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파이프(122)와 상기 제1파이프(122)에 삽입가능하여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파이프(1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124)의 단부인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의 타단부분은 결합돌기(12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상기 천막(1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The fixed vertical support bar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122 to be connected to the bucket body 110 an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xed vertical support bar 120 And a second pipe (124). The other end of the fixed vertical support bar 120, which is an end of the second pipe 124,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126 protruding therefrom. The coupling protrusions 126 are inserted into the edge portions of the awning 140 to be fixedly coupled.

또한 상기 제1파이프(122)의 측면에는 고정고리(128)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고리(128)는 상기 천막(140)을 고정용 줄이나 노끈,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 fixing ring 128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ipe 122. The fixing ring 128 is for fixing the awning 140 using a fixing line, a wire, or a wire.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상단에 놓인 상기 가이드 레일(150)에 가이드 레일(15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부분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배치된다.One end of the moving vertical support bar 13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50 at the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11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150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

상기 가이드 레일(13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 상단부에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다.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은 상기 가이드 레일(130)에서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The guide rails 13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bar 130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et body 110 from the guide rail 130.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은 상기 버켓 본체(110)가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2개가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130)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동 수직지지봉(130)은 상기 천막(140)이 펼침상태일 경우는 상기 버켓 본체(110) 상단부분의 각각의 꼭지점 부분(길이방향측면과 폭방향 측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의 최상단부분) 중 타측(도면상에서는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 좌측 가장자리 부분)부분에 위치된다. 그리고, 천막(140)이 접힘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버켓 본체(110) 상단부분의 각각의 꼭지점 부분(길이방향측면과 폭방향 측면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의 최상단부분) 중 일측(도면상에서는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 우측 가장자리 부분)부분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은 가이드 레일(130) 상에 추가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ase where the bucket body 11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bar 130 may have two or more pieces.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m on the guide rails 130 one by one. Accordingly, when the tent 140 is in the extended state, the vertical support rods 130 are positioned at the vertex por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bucket body 110 (the uppermost portions of the corners where the longitudinal side face and the widthwise side face meet with each other) (The left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et body 110 in the drawing). When the tent 140 is in the folded state, one of the vertexes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ucket body 110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orner where the longitudinal side face and the widthwise side face meet each other)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bar 13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guide rail 130.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20)은 제1파이프(132)와 상기 제1파이프(132)에 삽입가능한 제2파이프(134)로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이프(134)의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최적화된 길이로 고정가능하다. 즉 길이의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의 구조는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의 타단부분은 결합돌기(13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36)는 상기 천막(1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bar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pipe 132 and a second pipe 13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132. The insertion length of the second pipe 134 is adjusted to optimize The length can be fixed. That i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flexible adjustment of the length. Its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xed vertical support rod.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bar 130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136 protruding therefrom. The coupling protrusions 136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dge portions of the awning 140 are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또한 상기 제1파이프(132)의 측면에는 고정고리(138)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고리(138)는 상기 천막(140)을 고정용 줄이나 노끈,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 fixing ring 138 protrudes from a side surface of the first pipe 132. The fixing ring 138 is for fixing the tent 140 by using a fixing line, a wire, or a wire.

그리고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을 구성하는 상기 제1파이프(132)의 하단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30) 상에서 이동가능한 결합을 위한 수평방향 홈(131)이 양쪽에 형성된다. Horizontal grooves 1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132 constituting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bar 130 so as to be movable on the guide rails 130.

상기 가이드 레일(15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 상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수평방향 돌기(152)가 양쪽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다라 상기 이동수직지지봉(130)의 수평방향 홈(131)에 상기 수평방향 돌기(152)가 삽입되는 구조로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과 상기 가이드 레일(150)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이 상기 가이드 레일(15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된다. The guide rails 150 are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ucket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horizontal protrusions 152 protruding from both sides thereof. The moving vertical support bar 130 and the guide rail 150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protrusion 152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131 of the moving vertical support bar 130, The support rods 130 are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s 150.

상기 천막(14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사이즈(예를 들면, 바닥사이즈 또는 수용공간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며,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상기 결합돌기(126,136)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14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42)은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 및 상기 이동 수직 지지봉(13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더 많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ent 14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ucket body 110 (for example, the bottom size or the siz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insertion protrusions 126, Respectively. The insertion holes 142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fixed vertical support rods 120 and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rods 130.

상기 천막(140)은 용도에 따라 방수기능, 차광기능, 자외선 차단기능 등을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ent 140 may have a waterproof function, a light shielding function, an ultraviolet shielding functio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use,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depending on the case.

상기 천막(14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 일측(우측)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의 결합돌기(126)가 삽입홀(14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버켓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견고한 결합을 위해 고정용 줄(14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용 줄(144)은 일단이 상기 삽입홀(142) 또는 상기 결합돌기(126)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수직지지봉(120)의 고정고리(128)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줄(144)이 상기 결합돌기(126)에 결합되는 경우는 상기 천막의 삽입홀(142)에 상기 결합돌기(126)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능하다.The tent 14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42 of the vertical vertical support ba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et body 110 when the vertical protrusion 12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2. The fixed vertical support rods 120 are fixed to the bucket body 110. In this case, a fixing line 144 may be provided for rigid coupling, and one end of the fixing line 144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42 or the coupling protrusion 126, And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ring 128 of the base 120. When the fixing line 144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6, the coupling protrusion 126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2 of the tent membrane.

그리고, 상기 천막(140)은 상기 버켓 본체(110)의 길이방향 타측(좌측)의 경우에는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의 결합돌기(136)가 삽입홀(14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20)은 상기 가이드 레일(130)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견고한 결합을 위한 고정용 줄(144) 일단이 상기 삽입홀(142) 또는 상기 결합돌기(136)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수직지지봉(130)의 고정고리(138)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줄(144)이 상기 결합돌기(136)에 결합되는 경우는 상기 천막의 삽입홀(142)에 상기 결합돌기(136)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other side (left side) of the bucket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nt 140 is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36 of the moving vertical support bar 1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2 .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rods 120 are coupled on the guide rails 130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rod 14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fixing line 144 for rigid coupling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42 or the coupling protrusion 136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ring 138 of the moving vertical support rod 130 have. When the fixing string 144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36, the coupling protrusion 136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2 of the tent membrane.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130)을 길이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천막(140)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눈이나 비가 오는 경우에도 작업이 가능하고, 자외선이나 광 차단이 가능하여 안전사고 방지가 가능하면서도, 천막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if the movable vertical support bar 13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necessary, the tent 140 can be unfolded and fold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work even in the case of snow or rai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ultraviolet rays or light,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enabling the spreading and folding of tents.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should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10 : 버켓 본체 120,130 : 수직지지봉
140 : 천막 150 : 가이드 레일
110: bucket body 120, 130: vertical support bar
140: tent 150: guide rail

Claims (3)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있어서,
사람 또는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버켓 본체와;
상기 버켓 본체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부분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일정간격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봉들과;
상기 버켓 본체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며,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각각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천막을 구비하고,
상기 천막의 상기 삽입홀 인접부위에는 상기 천막과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용 줄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들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용 줄의 타단부분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봉들 각각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길이가 고정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길이의 유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봉들은 고정 수직지지봉들과 이동 수직지지봉들로 구분되고,
상기 버켓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들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 수직지지봉들 각각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함에 의해 상기 천막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버켓.
In the bucket of the elevated work vehicle,
A bucket body for accommodating a person or an object;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each having one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and having coupl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And a tent membran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ucket body and formed with insertion holes for respectivel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s on each of the edge portions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The tent membrane is provided with fixing rop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ent membran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and fixing hooks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ixing rope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ing rods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has a length fixed when 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length by adjusting the length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are divided into fixed vertical support rods and moving vertical support rods,
Wherein the guide rails for moving the vertical vertical support rods ar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ucket body and each of the vertical vertical support rods is movable on the guide rails to allow the tent membranes to be opened and folded. Bucket of work ca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70000423U 2017-01-23 2017-01-23 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KR2004856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23U KR200485635Y1 (en) 2017-01-23 2017-01-23 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23U KR200485635Y1 (en) 2017-01-23 2017-01-23 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35Y1 true KR200485635Y1 (en) 2018-02-05

Family

ID=6128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423U KR200485635Y1 (en) 2017-01-23 2017-01-23 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3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334B1 (en) * 2018-12-14 2019-05-24 박재섭 Standing tent equipment for high altitude work
KR102270985B1 (en) * 2020-10-21 2021-07-01 조원태 Cart for ladder ca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88U (en) * 1990-12-27 1992-07-25 연안정밀 주식회사 Tent prop length adjustment device
KR930025829U (en) * 1992-05-15 1993-12-24 이문갑 Tent
JP3101955U (en) * 2003-11-28 2004-06-24 株式会社エムテック Tent equipment for aerial work bucket
KR101096624B1 (en) 2008-07-15 2011-12-21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Bucket of high place works car for having a work table
KR20140056687A (en) * 2012-10-31 2014-05-12 박송범 Culture equipment for sea cucu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88U (en) * 1990-12-27 1992-07-25 연안정밀 주식회사 Tent prop length adjustment device
KR930025829U (en) * 1992-05-15 1993-12-24 이문갑 Tent
JP3101955U (en) * 2003-11-28 2004-06-24 株式会社エムテック Tent equipment for aerial work bucket
KR101096624B1 (en) 2008-07-15 2011-12-21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Bucket of high place works car for having a work table
KR20140056687A (en) * 2012-10-31 2014-05-12 박송범 Culture equipment for sea cucu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334B1 (en) * 2018-12-14 2019-05-24 박재섭 Standing tent equipment for high altitude work
KR102270985B1 (en) * 2020-10-21 2021-07-01 조원태 Cart for ladder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635Y1 (en) a bucket of truck-mounted aerial work platform
US3217722A (en) Tent formation adjacent solid wall
US3566991A (en) Telescoping staging
US10639556B2 (en) System for a tilting amusement ride
KR101257533B1 (en) Method and shelter arrangement for temporary covering of an open deck space on a watercraft
ITTO20090876A1 (en) MODULAR ELEMENT OF PREFERABLY PEDESTRIAN COVERAGE
KR102118922B1 (en) Shade apparatus for vehicles
CN104089227B (en) A kind of street lamp with emergency set
US2778694A (en) Mobile swinging lift platform equipment
US3047891A (en) Embarkation gangway
US1678971A (en) Portable metal structure
CN210828479U (en) Portable removal safety worker canopy
CN204510550U (en) A kind of interlayer sitting formula unit curtain wall system
KR200165564Y1 (en) Safety net device
CN207469827U (en) A kind of spliced wayside pavilion
CN219491665U (en) Climbing frame capable of preventing roof fall
ATE24974T1 (en) PROJECTION SCREEN CONSTRUCTION.
CN115387477B (en) Can splice formula container house fast
KR102230963B1 (en) Variable Type boarding box of high place works car
CN212176635U (en) Large-span telescopic awning suitable for improving operation environment of construction site
CN219754218U (en) Canopy frame structure with telescopic canopy top
CN211873339U (en) Telescopic interim board house
CN217629492U (en) Hanging basket for repairing pier and bridge
CN218715815U (en) Protective fence for road and bridge construction
KR102236750B1 (en) Window Workbench For One man Having Compati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