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80Y1 -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 Google Patents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80Y1
KR200485580Y1 KR2020170002180U KR20170002180U KR200485580Y1 KR 200485580 Y1 KR200485580 Y1 KR 200485580Y1 KR 2020170002180 U KR2020170002180 U KR 2020170002180U KR 20170002180 U KR20170002180 U KR 20170002180U KR 200485580 Y1 KR200485580 Y1 KR 200485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guide
guide hole
lowered
billi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영
Original Assignee
김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영 filed Critical 김석영
Priority to KR2020170002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8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8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16Chal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당구용 쵸크의 높이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용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파츠(parts)부재를 다수 개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용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성을 갖게 한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당구용 쵸크를 교체할 수 있도록 쵸크가 승강되게 내장되며, 쵸크의 상승에 의해 쵸크가 외부로 돌출되어 큐대의 팁에 칠할 수 있도록 쵸크를 승강시킬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파츠(parts)부재; 및 상기 파츠부재를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단면에 형성한 암나선부와 상기 암나선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츠부재의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숫나선부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iard choke which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a choke for billing, is easy to store and easy to use, and has a large number of parts parts of various kinds to satisfy user's various equipment, The bill choke is provided with a refill function that allows various usages of the user to be fulfilled and a variety of functions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choke is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choke for billiard can be replaced. The choke can be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choke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the choke can be painted on the tip of the cube. A parts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 lower end face of the body so as to detachably couple the part member to the body and a male screw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face of the part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

Description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0001]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0002]

본 고안은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쵸크의 잘못된 사용 방식으로 쵸크 가운데 깊은 홀이 생기는 원인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구조상 쵸크에 홀을 만들 수 없도록 고안되어 쵸크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고, 쵸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designe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hole in a choke structure in order to correct the cause of a deep hole in the choke due to a wrong use of the choke. And a bill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use of the choke.

일반적으로 당구는 레저 스포츠로서 대중화되어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Generally, it is well known that billiards are popularized as leisure sports.

이러한 당구는 기본적으로 당구공, 당구대, 큐대, 그리고 큐대의 팁에 칠하여 당구공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쵸크 등을 필요로 한다.Such a billiard basically requires a billiard ball, a billiard table, a cue table, and a choke for rai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illiard ball and the tip of the cue ball.

특히, 당구용 쵸크는 쵸크 가루가 손이나 옷에 묻는 경우가 많은데, 쵸크 분말이 손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이 종이로 쌓여 있기는 하나, 당구 게임에 열중하다 보면, 손이나 옷 등에 쵸크 분말이 묻게 되어, 별도의 장갑을 착용하거나 비누 등으로 씻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Particularly, a chalk for billiard is often coated with a hand or clothes by a chalk powder. In order to prevent the chalk powder from being caught in the hand, the portion to be gripped is piled up with paper. However, Powder is buried, and it is troublesome to wear separate gloves or wash with soap or the like.

또한, 당구용 쵸크는 계속 사용하다 보면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되는데, 쵸크의 높이가 대체로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 손으로 파지하여 큐대의 팁에 칠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In addition, when the choke for billiard is continuously used, its height is reduced. When the height of the choke is reduced to about half or less,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grasping by hand and applying it to the tip of the cue.

특히, 종래에는 쵸크를 사용시 쵸크 가루가 손이나 옷에 묻기도 하지만, 쵸크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면, 큐대로 당구공을 타격시 당구대 위에 뭉쳐서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당구공의 방향이 바뀌기도 하고, 당구공의 흐름을 안 좋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conventionally, when choke is used, the choke powder may adhere to the hands or clothes. However, when the choke is used excessively, when the billet ball is struck by the cue ball, the billet ball is clumped on the billiard 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of the billiard ball is bad.

그리고 당구대 위에 뭉쳐진 쵸크 가루는 다시 손이나 옷에 묻어서 진공 청소기로 제거하지 않는 한 계속 남아 경기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halk powder that has been deposited on the pool table has a problem that it will continue to adversely affect the game unless it is buried in the hands or clothes and removed with a vacuum cleaner.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20-1991-0015179호, 당구용 쵸크통.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1-0015179, Chalk Box for Billiards.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10-0328261호, 쵸크의 인출이 용이한 투명체 쵸크케이스.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0328261, transparent choke case with easy extraction of chok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쵸크의 잘못된 사용 방식으로 쵸크 가운데 깊은 홀이 생기는 원인을 바로 잡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구조상 쵸크에 홀을 만들 수 없도록 고안되어 쵸크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고자 하고, 쵸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rrect the cause of a deep hole in a choke due to a wrong use of a choke. And to provide a bill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problem caused by excessive use of the chok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다양한 용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파츠(parts)부재를 다수 개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용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성을 갖게 한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mber of parts members of various kinds so as to satisfy various user's utilitie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user, And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 function for providing various functions.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쵸크의 높이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리필 기능을 당구 쵸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 choke tha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hoke, is easy to store, and has a refill function that is easy to use.

특히, 본 고안은 당구용 쵸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쵸크를 상부로 돌출되도록 승강시킨 상태에서 쵸크를 큐대의 팁에 칠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filling func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chalk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choke due to the force generated when the choke is applied to the tip of the cube in a state in which the choke is projected upward to use the choke for billiard It is to provide billiard chal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당구용 쵸크를 교체할 수 있도록 쵸크가 승강되게 내장되며, 쵸크의 상승에 의해 쵸크가 외부로 돌출되어 큐대의 팁에 칠할 수 있도록 쵸크를 승강시킬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파츠(parts)부재; 및 상기 파츠부재를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단면에 형성한 암나선부와 상기 암나선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츠부재의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숫나선부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ll guid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 choke so that a choke is lifted and protruded by a rising of a choke to be applied to a tip of a cube; A parts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 lower end face of the body so as to detachably couple the part member to the body and a male screw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face of the part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

상기 파츠부재는: 당구용 큐대의 팁을 교정할 수 있는 줄, 전자시계, 타이머, 레이저 포인트, 빔 프로젝트, 온도계, 스캐너, 방향제, 광학렌즈, 메모리, 게임 컨트롤러, 라이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art member comprises any one of: a line capable of correcting a tip of a billiard cue, an electronic clock, a timer, a laser point, a beam project, a thermometer, a scanner, a perfume, an optical lens, a memory, a game controller, .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줄이 설치된 링 형상의 고정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숫나사를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를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ring-shaped fixtur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he ring-shaped fixture having a necklace string that can be hooked to a neck of a user, wherein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and a 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is inserted into the body So that the fixing body can be screwed onto the body.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공 형성되고, 하부에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하단면에 상기 결합부의 암나선부가 형성된 제2 회전부재; 상기 제2 회전부재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의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쵸크를 탑재하여 제2 회전부재의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작동되어 쵸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공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includes: a first rotating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spiral gu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second rotary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rotary member so as to rotate in place, a second rotary member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in a vertical direction, a handl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first rotary member through the guide hole of the second rotary member, and a chok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to vertically move the choke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guide hole of the second rotary member A lifting member; And an engagement protrusion formed on the guide hole to prevent the elevating member from being lowered by an external forced force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in an elevated state.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공의 어느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공의 폭을 넓게 구성하여 계단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engaging jaw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with a wide width of the guide hole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guide hole.

상기 걸림턱은 다단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ing jaws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의하면, 쵸크의 잘못된 사용 방식으로 쵸크 가운데 깊은 홀이 생기는 원인을 바로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은 구조상 쵸크에 홀을 만들 수 없도록 고안되어 쵸크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쵸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billiard choke having the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correcting the cause of the deep hole in the choke due to the incorrect use of the choke.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holes from being formed in the choke struc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correct use of the chok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caused by excessive use of the choke.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다양한 용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파츠(parts)부재를 다수 개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rts members of various kinds so as to satisfy a variety of user's utilities, so that it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user to meet various needs of the user,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functionality.

또한, 본 고안은 쵸크의 높이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choke, easy storage, and easy use.

특히, 당구용 쵸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쵸크를 상부로 돌출되도록 승강시킨 상태에서 쵸크를 큐대의 팁에 칠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in order to use the chalk for billiard, the choke is lifted and raised so as to protrude upward, so that the choke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by the force generated when the choke is applied to the tip of the cue ba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구비되는 파츠부재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구비되는 고정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구비되는 승강부재의 승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4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parts member provided in the billiard choke having the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xture provided in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fting state of a lifting member provided in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limiting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herein.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구비되는 파츠부재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구비되는 고정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구비되는 승강부재의 승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4 show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xture provided in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xture provided in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fting state of a lifting member provided in a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는 몸체(1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100 is provided in the billiard choke having the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몸체(100)는 당구용 쵸크(12)를 교체할 수 있도록 쵸크(12)가 승강되게 내장되며, 쵸크(12)의 상승에 의해 쵸크가 외부로 돌출되어 당구용 큐대(미도시)의 팁에 칠할 수 있도록 쵸크(1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hoke 12 is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choke 12 can be replaced by the body 100. The choke 12 is projected to the outside by the rise of the choke 12 and the tip of the billet cage So that the choke 12 can be lifted and lowered.

이러한 몸체(1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은 대략 3cm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고, 뚜껑(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body 100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and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about 3 cm and includes a lid (not shown).

또한, 상기 몸체(1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빗살무늬(1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0)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comb pattern 10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body 100 can be easily rotated. Such a body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는 파츠(parts)부재(2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illet chuck having the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rts member 200.

상기 파츠부재(200)는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 member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and has various functions.

이러한 파츠부재(200)는 당구용 큐대의 팁을 교정할 수 있는 줄, 전자시계, 타이머, 알람기능, 레이저 포인트, 빔 프로젝트, 온도계, 스캐너, 방향제, 광학렌즈, 메모리, 게임 컨트롤러, 라이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Such a parts member 200 may be any of a line capable of correcting a tip of a billiard cue bar, an electronic watch, a timer, an alarm function, a laser point, a beam project, a thermometer, a scanner, It can be done in one.

예컨대, 도 2표시와 같이 당구용 큐대의 팁을 교정할 수 있는 줄(202)은 파츠부재(200)의 하단면에 설치할 수 있고, 도 3표시와 같이 전자시계(204)는 파츠부재(200)의 외부면 및 하단면에 액정화면이 구비되게 설치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파츠부재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면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든 파츠부재(20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100)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line 202 for calibrating a tip of a billet cue stand can be provid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art member 200, and the electronic timepiece 204, as shown in FIG. 3, And the liquid crystal scree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lthough not shown specifically for the other part members,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part members 20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is, i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10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는 결합부(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illiard choke having the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coupling part 300.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파츠부재(200)를 상기 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에 암나선부(302)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선부(302)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츠부재(200)의 상단면으로 돌출되도록 숫나선부(304)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선부(304)를 암나선부(302)에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몸체(100)에 상기 파츠부재(2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part 300 may detachably couple the part member 200 to the body 100 and may have an arm spiral part 302 form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body 100, The male screw portion 30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part member 200 to be coupled to the screw portion 302 and the male screw portion 304 is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302, 100 to detachably couple the parts member 200 to the parts member 20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는 링 형상의 고정체(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shaped fixture 400 is provided in the billiard choke having the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링 형상의 고정체(400)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줄(410)이 설치되어 상기 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ring-shaped fixture 400, a necklace string 410 for hanging on a user's neck is preferably provid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00.

이때, 상기 고정체(40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402)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402)에 대응하는 숫나사(404)를 상기 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400)를 상기 몸체(100)에 나사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female screw 40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dy 400 and a male screw 404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40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at it can be screwed onto the body 10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구비되는 상기 몸체(100)는 제1 회전부재(110)와 제2 회전부재(120) 및 승강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100 provided in the billiard choke having a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tating member 110, a second rotating member 120, and an elevating member 130 .

상기 제1 회전부재(110)는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측면에는 가이드홈(112)이 나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rst rotary member 11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length,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re opened and the guide groove 112 is formed in a threaded shape on the inner side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120)는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전부재(110)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가능 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rotary member 110.

이러한 상기 제2 회전부재(120)의 하단부에는 제2 회전부재(120)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24)가 구비되며, 외면에는 가이드공(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handle 124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to rotate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guide hole 122 is formed at an outer surface thereof.

여기서, 상기 가이드공(122)은 제2 회전부재(120)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공(122a,122b)을 갖는다. Here, the guide hole 122 is form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and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have hook holes 122a and 122b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상기 걸림공(122a,122b)은 상기 제2 회전부재(120)가 회전되는 방향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holes 122a and 122b are provided so as to be rear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rotates.

또한, 상기 승강부재(130)는 상부에 쵸크(12)을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제2 회전부재(120)의 가이드공(12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110)의 가이드홈(112)에 위치되는 가이드돌기(13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ing member 130 is configured to mount the choke 12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elevating member 130 penetrates through the guide hole 122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rotrusions 132 located in the guide grooves 112 of the guide grooves 112 are protruded.

이와 같은 가이드돌기(132)는 상기 손잡이(124)를 이용하여 제2 회전부재(120)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혹은 상기 제1 회전부재(110)를 정역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12)에 안내되면서 가이드공(122)을 따라 승강 작동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130)는 제1 회전부재(110) 혹은 제2 회전부재(120)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회전시키게 되면 승강된다. The guide protrusion 132 may be formed in the guide groove 112 by rotating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using the knob 124 or rotating the first rotary member 11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is elevat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hole 122 while guiding it. That is, the elevating member 130 is raised and lowered when any on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0 is fixed and the other one is rotated.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공(122)에는 걸림턱(1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hole 122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40.

이러한 걸림턱(140)은 상기 승강부재(130)가 상승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걸림턱(140)은 상기 가이드공(122)의 어느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공(122)의 폭을 넓게 구성하여 계단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The latching jaw 140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latching jaw 140 from being forcibly lowered by an external forcible force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member 130 is lif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hole 122 is formed in a stepped configuration with a wide width, 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표시와 같이, 상기 걸림턱(140)은 제2 회전부재(12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22)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회전부재(1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뒤쪽에 위치하는 일면 상부측을 절개하여 상기 가이드공(122)의 폭을 넓게 구성함으로서 계단상의 걸림턱(140)을 형성한다. 즉, 상기 가이드공(122)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40)은 상기 제2 회전부재(120)가 우측으로 회전되어 승강부재(130)가 상승되도록 되어 있으면, 가이드공(122)의 왼쪽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6, the latching jaw 1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hole 122 formed in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0 and is provided at a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0 And the width of the guide hole 122 is enlarged to form the latching step 140 on the step. That is, when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is rotated to the right to raise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engaging protrusion 140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hole 122 is moved to the left of the guide hole 122 .

따라서, 도 6표시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부재(120)를 화살표 방향 즉,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130)의 가이드돌기(132)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안내되면서 가이드공(122)을 따라 상승된다. 6, when the second rotary member 1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to the right, the guide protrusion 132 of the elevating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2 formed in a helical shape And guided along the guide hole 122 while being guided.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32)는 왼쪽편으로 힘이 쏠리게 되어 가이드공(122)의 왼쪽편에 위치되어 작동된다.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132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guide hole 122 by being pushed to the left side.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30)의 하강시에는 상기 상승시와는 반대로 상기 가이드돌기(132)는 오른쪽으로 힘이 쏠리게 되어 가이드공(122)의 오른쪽편에 위치되어 작동된다. When the elevating member 130 is lowered, the guide protrusion 132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guide hole 122 to move to the right side of the guide hole 122, as opposed to the upward movement.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132)가 상승시와 하강시에 각각 가이드홈(112)의 왼쪽편과 오른쪽편에 각각 다르게 접촉하여 작동하는 것은 상기 가이드돌기(132)가 나선형의 가이드홈(112)에 안내되면서 승강되기 때문이다. 즉, 나선형의 가이드홈(112)에 의해 그 가이드돌기(132)에 미치는 힘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When the guide protrusions 13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grooves 112 at the time of rising and falling respectively and the operation of the guide protrusions 132 is performed by the guide protrusions 132, It is possible to ascend and descend. That is, the forces acting on the guide protrusions 132 are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helical guide grooves 112.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는 상기 승강부재(130)를 상승시켜 그 승강부재(130)에 탑재된 쵸크(12)가 제1 회전부재(1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외부에서 강한 힘을 받게 되면 즉, 쵸크(12)를 당구용 큐대의 팁에 칠할 때 그 힘이 강하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130)는 강제적으로 밀리려고 하는데, 본 고안은 상기 걸림턱(140)에 의해 걸려 상기 승강부재(130)가 밀리지 않도록 한다. The billiard choke having the ref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raising the elevating member 130 and causing the choke 12 mounted on the elevating member 130 to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rotating member 110 When the strong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tip of the cue stand of the billiard, the elevating member 130 is forcibly pushed. In this case, To prevent the elevating member 130 from being pushed.

이와 같이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도 쵸크(12)를 탑재하고 있는 승강부재(130)가 강제적으로 밀리지 않고 상기 걸림턱(140)에 걸리는 것은, 상기 승강부재(130)가 정상적으로 하강될 때에는 가이드돌기(132)에 오른쪽으로 힘이 가해져 가이드공(122)의 오른쪽편에 위치하면서 하강되나, 상기 승강부재(130)가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강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32)의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면서 가이드홈(112)을 강제적으로 밀고 내려감으로서 그 가이드돌기(132)가 가이드공(122)에 계단상으로 구비된 걸림턱(140)에 걸리게 된다. When the elevating member 130 is normally lowered, the elevating member 130 mounting the choke 12 by the external forcible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forcibly pushed by the engaging jaw 140, When the elevating member 130 is forcibly lowered by the external forcible force, th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132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132 is caught by the engaging jaw 140 provided on the guide hole 122 in a stepwise manner.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승강부재(130)가 정상적으로 하강될 때에는 가이드돌기(132)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안내되면서 그 나선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하강되므로 정상적으로 가이드공(122)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elevation member 130 is normally lowered, the guide protrusion 132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112 formed in a helical shape and descends while receiving a force in the spiral direction. Therefore, ). ≪ / RTI >

그러나 강제적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132)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안내되면서 나선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하부(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상기 가이드홈(112)을 밀면서 하강되어 걸림턱(140)에 걸릴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132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112 formed in a helical shape and receives a force in the lower (lower) direction instead of receiving the force in the spiral direction, thereby pushing the guide groove 112 So that it can be caught by the latching jaw 140.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30)가 강제적으로 하강될 때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돌기(132)가 걸림턱(140)에 걸리도록 하여 쵸크의 강제적인 하강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중에 쵸크가 케이스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orce of the elevating member 130 when the elevating member 130 is forcibly lowered may cause the guide protrusion 132 to be caught by the engaging jaw 140 to prevent the choke from being forcibly low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ntry.

이때, 상기 걸림턱(140)은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쵸크(12)의 길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130)를 완전히 승강시켜 사용하거나 혹은 약간만 승강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ing jaws 140 have a multi-stage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elevating member 130 is completely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hoke 12 or is used only by being raised or lowered slightly. At this time, the elevating member 13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external force.

본 고안에 따르면, 쵸크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hoke is adjusted while being convenient to use, and it is easy to store and easy to use.

특히,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파츠(parts)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용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체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functionalities such as being able to replace various parts of a user in order to meet various user's needs according to user's needs.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쵸크의 잘못된 사용 방식으로 쵸크 가운데 깊은 홀이 생기는 원인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구조상 쵸크에 홀을 만들 수 없도록 고안되어 쵸크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고, 쵸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holes in the choke structure in order to correct the cause of the deep hole in the choke due to the incorrect use of the choke, thereby inducing proper use of the choke and improving the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use of the choke .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technic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extremely easy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100 - 몸체 110 - 제1 회전부재
112 - 가이드홈 120 - 제2 회전부재
122 - 가이드공 130 - 승강부재
132 - 가이드돌기 140 - 걸림턱
200 - 파츠부재 300 - 결합부
100 - body 110 - first rotating member
112 - guide groove 120 - second rotating member
122 - Guide ball 130 - Lift member
132 - Guide protrusion 140 - Clasp jaw
200 - parts member 300 -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당구용 쵸크를 교체할 수 있도록 쵸크가 승강되게 내장되며, 쵸크의 상승에 의해 쵸크가 외부로 돌출되어 큐대의 팁에 칠할 수 있도록 쵸크를 승강시킬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당구용 큐대의 팁을 교정할 수 있는 줄, 전자시계, 타이머, 레이저 포인트, 빔 프로젝트, 온도계, 스캐너, 방향제, 광학렌즈, 메모리, 게임 컨트롤러, 라이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파츠(parts)부재; 및 상기 파츠부재를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단면에 형성한 암나선부와 상기 암나선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츠부재의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숫나선부로 이루어진 결합부;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줄이 설치된 링 형상을 이루며,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에 상기 암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는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공이 마련된 가이드공과 빗살무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하단면에 상기 결합부의 암나선부가 형성된 제2 회전부재;
상기 제2 회전부재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의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쵸크를 탑재하여 제2 회전부재의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작동되어 쵸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의 어느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공의 폭을 넓게 구성하여 계단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우측으로 회전되어 승강부재가 상승되는 경우 가이드공의 왼쪽으로 위치하고, 승강부재의 하강시에는 상승시와는 반대로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공의 오른쪽편에 위치되어 작동되며,
상기 가이드공의 상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공은 제2 회전부재가 회전되는 방향의 후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제2 회전부재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회전부재를 정역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면서 가이드공을 따라 승강 작동되며,
상기 줄은 파츠부재의 하단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시계는 파츠부재의 외부면 및 하단면에 액정화면이 구비되게 설치되며, 타이머, 레이저 포인트, 빔 프로젝트, 온도계, 스캐너, 방향제, 광학렌즈, 메모리, 게임 컨트롤러, 라이터는 몸체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
A body which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a choke so that a choke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can be applied to a tip of the cube; An electronic timepiece, a timer, a laser point, a beam project, a thermometer, a scanner, a fragrance, an optical lens, a memory, a game controller, and a lighter,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 parts member made of any one of them; And 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 lower end face of the body so as to detachably couple the part member to the body and a male screw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face of the part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A fixture having a ring shap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necklace string for hanging on a user's neck, the female screw being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female screw being screwed to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bill choke having a refill function,
The body,
A first rotary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spiral gu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guide hol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ry member so as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hook hole extending in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mb-like pattern and having a hand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econd rotary member having an arm screw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first rotary member through the guide hole of the second rotary member, and a chok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to vertically move the choke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guide hole of the second rotary member A lifting member; And
The guide hole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with the guide hole having a wide width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guide hole to prevent the elevating member from descending due to external forced force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raised.
≪ / RTI >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lowered, the guide protrusion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guide hole to be opposed to the elevating member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lowered And,
And the guide protrus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using the handle, or the first and second rotary members are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ball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groove by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rotary membe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electronic watch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screen on an out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part member, and is provided with a timer, a laser point, a beam project, a thermometer, a scanner, a fragrance, Wherein the memory, the game controller, and the lighter ar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70002180U 2017-04-29 2017-04-29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KR2004855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80U KR200485580Y1 (en) 2017-04-29 2017-04-29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80U KR200485580Y1 (en) 2017-04-29 2017-04-29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80Y1 true KR200485580Y1 (en) 2018-03-14

Family

ID=6164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80U KR200485580Y1 (en) 2017-04-29 2017-04-29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8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592B1 (en) * 2019-09-06 2020-06-08 김경호 Chalk Case Having Elevating Pla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179U (en) 1990-02-14 1991-09-25 임찬기 Choke bucket for billiards
KR100328261B1 (en) 1999-12-22 2002-03-16 이형도 An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of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277191Y1 (en) * 2001-12-12 2002-06-03 (주)베스테크화장품 a lipstick case
KR20120001446U (en) * 2010-08-23 2012-03-05 이동철 The chalk case for a billiards
KR200482634Y1 (en) * 2015-10-21 2017-02-27 강진석 Billiard cue chalk 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179U (en) 1990-02-14 1991-09-25 임찬기 Choke bucket for billiards
KR100328261B1 (en) 1999-12-22 2002-03-16 이형도 An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of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277191Y1 (en) * 2001-12-12 2002-06-03 (주)베스테크화장품 a lipstick case
KR20120001446U (en) * 2010-08-23 2012-03-05 이동철 The chalk case for a billiards
KR200482634Y1 (en) * 2015-10-21 2017-02-27 강진석 Billiard cue chalk 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592B1 (en) * 2019-09-06 2020-06-08 김경호 Chalk Case Having Elevat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537B1 (en) Lipstick case
US8333354B2 (en) Structure having a mounting means
KR200458967Y1 (en) Slide type lip gloss case
KR200485580Y1 (en) Billiard choke with refill function
TWM505284U (en) Middle-shaft elevation mop cleaning bucket and mop
KR20190000353U (en) Chalk case for billiard
US2457723A (en) Adjustable glider for furniture legs
WO2015103939A1 (en) Mop cleaning bucket with lifting central shaft and mop
CN110946411A (en) Dressing table
ITMI981390A1 (en) DISHWASHER MACHINE WITH HEIGHT ADJUSTABLE BASKET
KR102157040B1 (en) Wheel lifting type lipstick
KR102329804B1 (en) Dish drying rack
JP2017143908A (en) Liquid recovery unit and rice cooker equipped with the same
CN205781775U (en) Spider middle pipe tipping mechanism
CN216755344U (en) Physical training apparatus training is with putting frame
JP3803972B1 (en) Storage containers such as lipstick
KR20170001869U (en) A Children basketball board adjustable its height
CN211242413U (en) Hardware for supporting
KR102570441B1 (en) Bidet
CN208769730U (en) A kind of fluorescent lamp cleaner
KR200320996Y1 (en) Fixing structure of adjustable ribs of dish rack
KR950002774Y1 (en) Appearing and disappearing device for a book supporter of desk top-board
CN109228796B (en) Sand painting brush
KR0139485Y1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a shower head
KR200197520Y1 (en) A cosmetics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