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77Y1 - 창틀 지지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창틀 지지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77Y1
KR200485577Y1 KR2020170004049U KR20170004049U KR200485577Y1 KR 200485577 Y1 KR200485577 Y1 KR 200485577Y1 KR 2020170004049 U KR2020170004049 U KR 2020170004049U KR 20170004049 U KR20170004049 U KR 20170004049U KR 200485577 Y1 KR200485577 Y1 KR 200485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window frame
plate
wal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형
Original Assignee
배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형 filed Critical 배진형
Priority to KR2020170004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2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loor or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지지용 브래킷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창틀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외벽의 창틀 홈이 형성된 면에 장착되고 상기 창틀을 지지하며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벽의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판이 일체가 되도록 결합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창틀 지지용 브래킷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창틀 지지용 브래킷{A supporting bracket for window fram}
본 고안은 창틀 지지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면서 창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창틀 지지용 브래킷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공동주택의 베란다를 확장할 경우 방음과 단열을 위해 4중창을 설치하게 된다. 한편 이에 비하여 베란다의 외벽은 경제성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2중창에 맞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2중창에 맞게 제작된 베란다 외벽에 4중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베란다 외벽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창틀의 돌출된 부분을 받쳐주어야 한다.
이를 위한 창틀 지지용 브래킷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9219호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브래킷 본체와 받침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조립되어 T자 형상을 이루며 받침부재가 벽체 내에 고정되고 브래킷 본체가 실내로 돌출된 창틀을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창틀 지지용 브래킷은 창틀 지지를 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겨울철과 같이 외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 벽체의 냉기가 받침부재로부터 브래킷 본체로 전달되어 창틀이나 창틀과 가까운 내벽에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9219호 (2011.02.24)
본 고안은 받침부재를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결로 현상을 방지하면서 창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창틀 지지용 프레임을 제시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창틀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외벽의 창틀 홈이 형성된 면에 장착되고 상기 창틀을 지지하며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벽의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판이 일체가 되도록 결합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창틀 지지용 브래킷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판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판은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받침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벽체의 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서 절곡되어 배치되고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받침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이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각각에서 상기 받침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은, 결로 현상을 방지하면서 창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에 채용된 받침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창틀 지지용 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도시된 도면은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일부 구성요소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100)은, 건축물의 외벽(10)에 설치되어 창틀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판(1), 지지판(2) 및 결속부재(3)를 포함한다.
받침판(1)은 일측이 외벽(10)의 창틀 홈(11)에 장착되고 창틀(20)을 지지하며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창틀(20)을 외벽(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벽(10)에 창틀이 설치되게 하기 위하여 네모 형상의 창틀 홈(11)을 형성하게 된다. 받침판(1)은 창틀을 지지하게 되므로 창틀 홈(11)의 밑면에 장착된다. 창틀 홈(11)의 밑면에는 받침판(1)을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받침판(1)에 사용되는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열이 전달되는 속도가 느린 재질로서 합성수지, 세라믹 등의 재질을 의미한다.
지지판(2)은 받침판(1)과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외벽(10)의 벽면에 장착되어 받침판(1)을 지지한다. 지지판(2)에 의해 받침판(1)은 안전하게 창틀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2)과 받침판(1)은 결속부재(3)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결속부재(3)는 받침판(1)과 지지판(2)이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받침판(1)과 지지판(2)이 일체가 되도록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100)은 외벽(10)의 창틀 홈(11)에 장착되는 받침판(1)의 재질이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온도가 차가울 경우에도 찬 온도가 실내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받침판(1)은 창틀을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받침판(1)에는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홀(11)이 형성된다.
받침판(1)에 형성된 홀(11)은 원형으로 형성된 홀(11)과 길게 형성된 장홀(12)로 이루어진다. 작업자는 원형 홀(11)이나 장홀(12) 중 적절한 위치에 나사와 같은 체결구(40)를 이용하여 받침판(1)을 창틀에 부착시킬 수 있다.
받침판(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받침판(1)은 창틀 홈(11)에 장착되므로 받침판(1)의 일측은 외벽(10)의 내측 부분까지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온도가 낮을 경우 찬 온도가 외벽(10)을 통해 받침판(1)에 전달되게 된다.
받침판(1)의 다른 일측은 실내로 연장되고 창틀과는 접촉한 상태이므로 받침판(1)과 가까운 실내벽이나 창틀의 온도는 받침판(1)의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판(1)이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찬 온도가 실내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의 냉기가 실내의 따뜻한 공기와 만나 형성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받침판(1)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수지는 사출에 의해 여러 가지 형상을 제작하기 용이하므로 복수의 홀(11)이 형성되어 있어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받침판(1)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받침판(1)에는 후술하는 지지판(2)의 결합판(23)이 삽입되는 결합자리(13)가 형성된다. 결합자리(13)는 받침판(1)의 일측면에서 약간 함몰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결합자리(1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결속부재(3)가 통과하는 관통홀(14)이 형성된다. 결합자리(13)는 지지판(2)을 구성하는 결합판(23)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결합판(23)의 크기보다 약간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자리(13)가 형성됨으로써 지지판(2)을 결합시키기 용이하고 결속부재(3)에 의해 받침판(1)과 지지판(2)이 일체화된 후에도 결합 위치가 어긋나거나 지지판(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판(1)은 지지하는 창틀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폭이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지지판(2)은 받침판(1)과 결합되며 벽체에 고정되어 받침판(1)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판(2)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판(2)에는 복수의 홀(211)이 형성된다.
지지판(2)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은 단순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받침판(1)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지지판(2)이 받침판(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ㄱ'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지지판(2)은 널리 알려진 제작방법인 주조 또는 단조를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지지판(2)의 재질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2)은 실제로 창틀의 무게를 지탱하게 되므로 강성이 뛰어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강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지지판(2)을 형성함으로써 창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판(2)은, 제1지지판(21)과 제2지지판(22) 및 결합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지지판(21)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받침판(1)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지지판(21)은 벽체의 벽면에 결합되어 받침판(1)을 지지하게 된다. 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지지판(21)은 벽면과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벽체와의 결합을 위해 제1지지판(21)에는 체결구(40)가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지지판(21)의 중앙 부분에 앵커볼트(30)가 체결되기 위한 앵커홀(212)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도 보조 체결구들이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홀(211)이 형성된다. 주위의 홀(211)들은 불규칙적으로 흩어지게 형성할 수도 있고, 앵커홀(21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홀(211)들에 보조 체결구들을 체결하여 지지판(2)이 벽체에 더 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지지판(22)은 제1지지판(21)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2지지판(22)의 밑변의 면이 받침판(1)과 접촉하게 되고 제2지지판(22)은 받침판(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지지판(22)은 제1지지판(21)을 보강하여 받침판(1)을 지지한다. 제2지지판(22)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창틀의 하중이 제1지지판(21)과 제2지지판(22)이 만나는 제1지지판(21)의 끝단으로 모아진다. 한편 제1지지판(21)은 벽체에 넓게 부착되므로 제1지지판(21)의 끝단으로 모아진 하중이 벽체로 분산되므로 창틀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제2지지판(22)에는 별도의 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지지판(22)은 제1지지판(2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홀이 형성되는 경우 그 기능이 더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지지판(22)에는 홀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판(23)은 제1지지판(21)과 제2지지판(22) 각각에 형성된다. 결합판(23)은 제1지지판(21)과 제2지지판(22)의 일단에서 받침판(1)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결속부재(3)가 통과하는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이때 제1지지판(21)과 제2지지판(22)에 형성되는 결합판(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결합판(23)들이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지지하는 힘을 집중시킬 수 있고 지지판(2)의 지지 기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판(23)은 받침판(1)의 결합자리(13)에 결합된다. 결합자리(13)는 받침판(1)의 일측면에서 약간 함몰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결합판(23)은 결합자리(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결합자리(13)의 깊이는 결합판(23)의 두께와 같도록 할 필요는 없으며 결합판(23)이 결합자리(13)에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결합판(23)에는 결속부재(3)가 통과하는 관통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231)들은 받침판(1)에 형성된 관통홀(1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판(2)은 주조로 한번에 제작할 수도 있고, 제1지지판(21), 제2지지판(22) 및 결합판(23)이 형성된 모양을 재단한 후 제1지지판(21)과 제2지지판(22)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절곡시키고 결합판(23)을 받침판(1)과 수평이 되도록 절곡시켜서 만들 수도 있다.
결속부재(3)는 받침판(1)과 지지판(2)을 결합시켜 주는 기능을 하고, 일반적으로 복수의 부재를 결속시켜주는 공지의 체결구들을 사용할 수 있다. 공지의 체결구들의 예로는 볼트, 리벳 등이 있다.
결속부재(3)로서는 리벳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벳은 체결하고자 하는 2개의 부재에 이를 관통시킨 후 양단에 힘을 가하면 리벳이 압착되면서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판(1)은 열 전도성을 낮게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한다. 합성수지재질은 열 전도성이 낮지만 금속에 비해 강성이 낮다. 리벳을 이용한 체결은 일정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힘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합성수지 재질을 가진 받침판(1)이 손상되지 않고 받침판(1)과 지지판(2)을 결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리벳이 체결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받침판(1)에 형성된 관통홀(14)은 결합판(23)에 형성된 관통홀(231)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받침판(1)의 홀(11)에는 리벳의 머리(3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자리(15)가 형성된다. 안착자리(15)는 단턱 형상이나 경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벳의 양단에 힘을 가하면 리벳이 압착되면서 외측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리벳의 늘어난 외곽은 결합판(23)의 관통홀(231)의 면과 맞닿아 리벳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받침판(1)의 관통홀(14)은 결합판(23)의 관통홀(23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받침판(1)에는 큰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리벳의 양단에 가해지는 힘은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 힘을 조절함으로써 받침판(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받침판(1)의 관통홀(14)을 결합판(23)의 관통홀(231)보다 작게 함으로써 받침판(1)의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안착자리가 단턱 형상인 경우 더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받침판(1)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받침판(1)과 지지판(2)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리벳의 머리(31)는 받침판(1)의 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판(1) 위에는 창틀이 놓여지게 되므로 리벳의 머리(31)가 받침판(1)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받침판(1)에 형성된 안착자리(15)에 리벳의 머리(31)가 안착됨으로써 리벳의 머리(31)가 돌출되지 않고 편평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지지용 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벽(10)의 창틀 홈(11)에 창틀(20)이 설치된다. 외벽(10)은 2중창에 맞는 두께를 가지고 있어 창의 일부가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돌출된 창은 외벽(10)에 고정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100)에 의해 지지된다. 창틀 지지용 브래킷(100)의 받침판(1)은 체결구에 의해 돌출된 창틀(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실내에서는 설치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100)이 보이지 않도록 돌출된 창틀 끝단으로부터 내부 마감재(50)를 이용하여 외벽(10)의 실내측을 마감한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받침판
11 : 홀 12 : 장홀 13 : 결합자리 14 : 관통홀 15 : 안착자리
2 : 지지판
21 : 제1지지판 211 : 홀 212 : 앵커홀
22 : 제2지지판
23 : 결합판 231 : 관통홀
3 : 결속부재
31 : 머리
10 : 외벽 11 : 창틀 홈
20 : 창틀 30 : 앵커볼트 40 : 체결구 50 : 마감재
100 : 창틀 지지용 브래킷

Claims (4)

  1.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창틀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외벽의 창틀 홈이 형성된 면에 장착되고 상기 창틀을 지지하며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벽의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판이 일체가 되도록 결합시키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재는 리벳이고,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양단에 힘을 가하여 압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홀보다 크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의 관통홀에는 리벳의 머리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자리가 형성되는
    창틀 지지용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지지용 브래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받침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벽체의 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서 절곡되어 배치되고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받침판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이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각각에서 상기 받침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지지용 브래킷.
KR2020170004049U 2017-08-01 2017-08-01 창틀 지지용 브래킷 KR200485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49U KR200485577Y1 (ko) 2017-08-01 2017-08-01 창틀 지지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49U KR200485577Y1 (ko) 2017-08-01 2017-08-01 창틀 지지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77Y1 true KR200485577Y1 (ko) 2018-01-30

Family

ID=6128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049U KR200485577Y1 (ko) 2017-08-01 2017-08-01 창틀 지지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7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136A (ko) * 2007-05-18 2007-07-03 임성연 고정브래킷
KR101019219B1 (ko) 2010-03-16 2011-03-04 안병욱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140002481A (ko) * 2012-06-29 2014-01-08 김명근 결로 또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0040U (ko) * 2015-06-24 2017-01-03 송재해 창틀 고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136A (ko) * 2007-05-18 2007-07-03 임성연 고정브래킷
KR101019219B1 (ko) 2010-03-16 2011-03-04 안병욱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140002481A (ko) * 2012-06-29 2014-01-08 김명근 결로 또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0040U (ko) * 2015-06-24 2017-01-03 송재해 창틀 고정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3347B (zh) 格柵龍骨之周邊修整夾具
US10053857B1 (en) Expansion joint cover plate with retained spring biasing
RU2401920C2 (ru) Деталь прикрепления к стеновому молдингу
US1929835A (en) Concrete insert
US20080230238A1 (en) Mounting Coupling For Sprinkler Support System
JP2015522110A5 (ko)
KR200451584Y1 (ko) 확장형 창틀 지지용 브래킷
TWI597408B (zh) 邊緣裝飾條固定夾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US6860455B1 (en) Connecting device
KR20180060274A (ko) 천정판 체결 프레임 구조
KR200485577Y1 (ko) 창틀 지지용 브래킷
KR101986621B1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연결구
US9713571B2 (en) Spa cabinet attachment
KR100763606B1 (ko) 천장부재 고정용 행거
KR20100007586U (ko) 커튼레일 고정구
JP3987528B2 (ja) 建築用外装パネル
US20060056965A1 (en) Housing fastener for a blower
KR200423900Y1 (ko)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101691580B1 (ko)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83237Y1 (ko) 배관 고정 장치
KR200478037Y1 (ko) 천장틀 고정 장치
JP2001073501A (ja) パネル及びパネル取付構造
JP4279770B2 (ja) 空気調和機の吊下げ据付台
KR20110100100A (ko)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