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61Y1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61Y1
KR200485561Y1 KR2020150005308U KR20150005308U KR200485561Y1 KR 200485561 Y1 KR200485561 Y1 KR 200485561Y1 KR 2020150005308 U KR2020150005308 U KR 2020150005308U KR 20150005308 U KR20150005308 U KR 20150005308U KR 200485561 Y1 KR200485561 Y1 KR 200485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llumination
fixed
plate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633U (ko
Inventor
정현호
Original Assignee
정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호 filed Critical 정현호
Priority to KR2020150005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6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 간판, 입간판 등으로 빛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간판, 입간판 등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욱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조명부재를 간판의 내부로부터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다양한 종류의 간판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간판과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간판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Luminaire}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 간판, 입간판 등으로 빛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간판, 입간판 등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욱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조명부재를 간판의 내부로부터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다양한 종류의 간판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간판과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간판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더욱 높일 수 있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간판은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상호의 식별이나 광고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조명 간판은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을 절곡하여, 각종의 문자 또는 로고 등을 입체적으로 형성하거나 사각형상의 전면에 문자 및 로고 등을 형성하여 제작하도록 하고, 내부에 발광체를 구비하여, 시각적으로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조명 간판은 주로, 일정 두께의 광고 문안을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내부의 조명기구에서 발광되는 조명이 광고 문안을 통해 연출되어, 시각적으로 미려하고 홍보와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명 간판은, 내부 조명기구의 내구력이 약한 형광등을 이용하고 있음에 따라 내부 조명기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형광 등의 경우 전력소모가 많아 유지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경비와 많은 소요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조명 간판은 조명 간판과 내부 조명기구를 결합함에 있어서도 간편한 결합구조를 가지지 못함에 따라 설치시 매우 복잡한 설치 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LED를 이용하여 저전력 고효율의 조명 간판을 제작하고, 간판과 LED 백 라이트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LED 조명 간판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64319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64319의 경우 LED 백라이트판이 특정 간판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기에 특정간판 이외의 다른 간판과 상기 LED 백라이트판과의 호환성이 좋지 않음은 물론 다른 간판에 상기 LED 백라이트판을 설치하기 위해 특정간판의 내부에서 상기 LED백라이트판을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64319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 간판, 입간판 등으로 빛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간판, 입간판 등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욱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조명부재를 간판의 내부로부터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다양한 종류의 간판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간판과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간판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더욱 높일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하부에 조명부재가 구비되는 조명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에 조명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조명부재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조명부재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조명프레임이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상기 조명프레임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울임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울임방지부재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중간판의 타측에서 상기 중간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타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축홈내에 수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조명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조명프레임의 축홈내에 수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빗물이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간판, 입간판 등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되는 조명부재가 구비된 조명프레임을 통해 건축물의 외벽, 간판, 입간판 등으로 빛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간판, 입간판 등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욱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조명부재를 간판의 내부로부터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다양한 종류의 간판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간판과 상기 조명부재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간판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조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4는 조명프레임의 하부에서 보호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7은 기울임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일실시예의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기울임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고정프레임이 간판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연장프레임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고정프레임의 연장프레임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조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기울임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조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조명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10)과 조명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전후연장되는 돌출부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10)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재(11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돌출부재(110)를 따라 전후연장되는 단면형상이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축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1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축홈(120)과 연통되는 가이드슬릿(130)이 상기 돌출부재(110)를 따라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30)의 좌우폭은 상기 가이드슬릿(130)이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슬릿(130)의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조명프레임(2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압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20)은 몸체(210), 일측판(220) 및 타측판(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명부재(도 5의 214)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조명부재(214)의 빛이 상기 몸체(2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건축물의 외벽이나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간판 또는 입간판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210)의 하부면은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210)의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21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일측판(220)은 상기 몸체(21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몸체(210)의 상부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22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판(2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230)은 상기 몸체(210)의 상부 타측에서 상기 몸체(210)의 상부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조명부재(214)의 빛이 상기 몸체(210)의 타측 하부 외부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명프레임(20)은 상기 몸체(210)의 타측 하부에 상기 몸체(210)를 따라 전후연장형성되는 빛확산방지프레임(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빛확산방지프레임(240)의 상부 일측은 상기 몸체(210)의 타측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20)의 몸체(210)의 타측면 중심부에도 상기 조명부재(214)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21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몸체(2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제 1걸림고정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걸림고정부(211)의 내부에는 상기 제 1걸림고정부(211)의 일측에서 상기 제 1걸림고정부(21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제 1수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용홈(212)의 상부에는 상기 제 1수용홈(212)과 연통되는 끼움홈(213)이 상기 제 1걸림고정부(211)의 하부에서 상기 제 1걸림고정부(21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빛확산방지프레임(24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빛확산방지프레임(24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제 2걸림고정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걸림고정부(241)의 내부에는 상기 제 2걸림고정부(241)의 일측에서 상기 제 2걸림고정부(24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제 2수용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2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에는 상기 타측판(23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제 3걸림고정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걸림고정부(231)의 내부에는 상기 제 3걸림고정부(231)의 상부에서 상기 제 3걸림고정부(23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제 3수용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빛확산방지프레임(240)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빛확산방지프레임(24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제 4걸림고정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걸림고정부(243)의 내부에는 상기 제 4걸림고정부(243)의 하부에서 상기 제 4걸림고정부(243)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제 4수용홈(24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조명프레임의 하부에서 보호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결합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몸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조명부재(214)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20)의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커버부재(30)의 일측 상부는 상기 제 1걸림고정부(211)의 제 1수용홈(212)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20)의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커버부재(30)의 일측 상부면에는 상기 제 1걸림고정부(211)의 제 1수용홈(212)과 연통되는 끼움홈(213)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213)내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20)의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커버부재(30)의 타측은 상기 제 2걸림고정부(241)의 제 2수용홈(242)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부재(30)는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210)의 타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조명부재(214)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커버부재(30)의 상부는 상기 제 3걸림고정부(231)의 제 3수용홈(232)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보호커버부재(30)의 하부는 상기 제 4걸림고정부(243)의 제 4수용홈(244)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부재(30)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PC(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에서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일정한 상하각도(α)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의 일측 하부에는 회전축(221)과 연결프레임(2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1)과 상기 연결프레임(222)은 상기 조명프레임(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1)은 상기 축홈(120)과 대응되도록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축홈(120)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22)은 상기 회전축(221)의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의 하부 사이에 수직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슬릿(130)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221)과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22)의 좌우폭은 상기 가이드슬릿(130)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기울임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일실시예의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기울임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의 하부 사이에 상기 조명프레임(2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울임방지부재(40)가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울임방지부재(4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중간판(410), 일측판(420) 및 타측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410)이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 하부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중간판(41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 하부 사이에 작업자에 의해 전후슬라이딩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410)의 일측은 상기 중간판(4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420)은 상기 중간판(410)의 일측 하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430)은 상기 중간판(410)의 타측에서 상기 중간판(4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고정프레임이 간판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간판(3)의 상부에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은 건축물 등의 입구에 세우는 입간판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 하부 사이에 상기 기울임방지부재(4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명부재(214)가 상기 간판(3) 또는 입간판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되어 간판, 입간판 등을 통한 광고효과가 보다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 11은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연장프레임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고정프레임의 연장프레임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연장프레임(14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장프레임(140)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조명부재(214)는 건축물의 외벽 또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간판(3)으로 빛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상기 간판(3)을 통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프레임(140)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0)을 간판(3) 또는 입간판 등의 상부에 피스고정 또는 볼트고정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피스, 볼트 등에 의해 간판(3) 또는 입간판 등이 훼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간판(3), 입간판 등의 상부, 하부, 일측, 타측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때, 간판(3), 입간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조명프레임(20)은 상하대칭을 이룰 수 있으며, 간판(3), 입간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조명프레임(20)은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조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조명기구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조명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의 일측 하부에 상기 축홈(120)이 내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10)의 내부 상측에 상기 축홈(1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재(110)의 내부 하측에 상기 축홈(120)과 연통되는 상기 가이드슬릿(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슬릿(130)의 좌우폭은 상기 가이드슬릿(130)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슬릿(130)의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중심부 상부에 상기 회전축(221)과 상기 연결프레임(2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1)은 상기 조명프레임(10)의 축홈(120)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22)은 상기 회전축(221)의 하부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중심부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1)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기울임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측 상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 하부부위에 상기 일측판(220)의 하부방향으로 상하연장되는 연장판(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울임방지부재(40)는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20)의 일측판(220)의 연장판(223)의 하부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판(230)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조명프레임(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50)이 상기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5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50)은 상기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5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50)은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판(230)의 타측 상부에 상기 타측판(2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50)을 통해 빗물이 상기 조명프레임(2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간판(3), 입간판 등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되는 조명부재(214)가 구비된 상기 조명프레임(20)을 통해 건축물의 외벽, 간판(3), 입간판 등으로 빛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간판(3), 입간판 등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욱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조명부재(214)를 간판(3)의 내부로부터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다양한 종류의 간판(3)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간판(3)과 상기 조명부재(214)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함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간판(3)을 통한 광고효과를 보다 더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고정프레임, 20; 조명프레임.

Claims (11)

  1. 상부에 축홈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하부와 타측에 조명부재가 구비되고, 일측 하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축홈내에 수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며, 타측 상부에 빗물이 타측 외부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이 형성되고, 하부에 구비된 조명부재의 빛이 타측 외부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하부에 빛확산방지프레임이 구비되는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재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중간판의 타측에서 상기 중간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타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명프레임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울임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울임방지부재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프레임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조명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조명부재의 빛이 건축물의 외벽이나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간판 또는 입간판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상부에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일측 하부에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축홈이 형성되고, 하부와 타측에 조명부재가 구비되며, 타측 상부에 빗물이 상기 타측 외부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방지프레임이 형성되고, 하부에 구비된 조명부재의 빛이 타측 외부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하부에 빛확산방지프레임이 구비되는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재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부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일측판과, 상기 중간판의 타측에서 상기 중간판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타측판으로 구성되고,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조명프레임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울임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울임방지부재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의 일측 하부 사이에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프레임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조명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조명부재의 빛이 건축물의 외벽이나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간판 또는 입간판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150005308U 2015-08-10 2015-08-10 조명기구 KR200485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08U KR200485561Y1 (ko) 2015-08-10 2015-08-10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08U KR200485561Y1 (ko) 2015-08-10 2015-08-10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33U KR20170000633U (ko) 2017-02-20
KR200485561Y1 true KR200485561Y1 (ko) 2018-01-26

Family

ID=5826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08U KR200485561Y1 (ko) 2015-08-10 2015-08-10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6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87B1 (ko) * 2010-03-08 2011-06-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벽부형 등기구 장치
KR101262757B1 (ko) * 2013-01-24 2013-05-09 (주)라눅스 조명등용 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585B1 (ko) 2013-12-03 2015-12-28 대상경금속(주) Led 조명 간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87B1 (ko) * 2010-03-08 2011-06-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벽부형 등기구 장치
KR101262757B1 (ko) * 2013-01-24 2013-05-09 (주)라눅스 조명등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33U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5067C (en) Reflectors and reflector orientation feature to prevent non-qualified trim
JP5568203B2 (ja) 屋外用照明器具
NZ547869A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KR101566453B1 (ko)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KR200173809Y1 (ko) 아크릴조명광고용 간판(signboard for acryl lighting notice)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US10816188B2 (en) Cabinet light for the illumination of a cabinet interior
KR200485561Y1 (ko) 조명기구
KR101946325B1 (ko) 발광 도로경계석
KR200457643Y1 (ko) 보조발광체를 갖춘 발광사인물
KR200457680Y1 (ko) 보조발광체를 갖춘 발광사인물
KR100578294B1 (ko) 평활성 빛을 제공할수 있는 조명기구
KR200485596Y1 (ko) 옥외 전광판의 테두리 조명을 위한 확장장치
KR100902390B1 (ko) 간판부재
CN209876660U (zh) 一种带指向性出光的小角度发光led灯
KR200401694Y1 (ko) 창틀용 발광유니트와 창틀 조립체
KR102189386B1 (ko) 빛샘 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20170001886U (ko) 옥외 광고를 위한 채널간판장치
KR200411153Y1 (ko) 경광등
KR101906932B1 (ko) 광섬유 led 발광모듈을 가지는 도로경계석
KR200315268Y1 (ko) 풀 컬러 싸인 보드의 패널구조
KR20170068786A (ko) 조명장치
KR100778277B1 (ko) 휘도증진수단이 구비된 비상조명등
KR101940159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2039935B1 (ko) 발광형 채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