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05Y1 - 실로폰 수동채 - Google Patents

실로폰 수동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05Y1
KR200484905Y1 KR2020160007581U KR20160007581U KR200484905Y1 KR 200484905 Y1 KR200484905 Y1 KR 200484905Y1 KR 2020160007581 U KR2020160007581 U KR 2020160007581U KR 20160007581 U KR20160007581 U KR 20160007581U KR 200484905 Y1 KR200484905 Y1 KR 200484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le
xylophone
ro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남
Original Assignee
조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남 filed Critical 조원남
Priority to KR2020160007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10D13/003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1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12Drumsticks; Malle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Abstract

이 건 고안은 실로폰 수동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고안은 지지대의 하부에 방아차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방아차가 구비된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공이차가 구비된 실로폰 수동채에 있어서,상기 지지대는 찬넬형태를 갖는 수평지지부재의 개방된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수직지지부재가 절곡된 절곡부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절곡부재에 각각 수평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절곡부재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수평보강부재가 형성되어 폐쇄공간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아차는 지지대의 하부로 방아차핸들을 갖는 방아차 회전지지구에 의하여 방아차휠이 상기 폐쇄공간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이차는 지지대의 상부로 공이차로드고정구의 공이차로드에 결합된 브라켓 회전고정구에 의하여 공이차휠을 갖는 공이차 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공이차 브라켓의 상부에 실로폰헤드를 갖는 실로폰채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로폰 수동채{MANUAL STICK FOR XYLOPHONE}
이 건 고안은 실로폰 수동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로폰을 왼손에 들고 오른손을 이용하여 삼각대에 결합된 지지대의 방아차핸들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방아차가 회전하면서 공이차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켜 실로폰채의 실로폰헤드가 실로폰의 음판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로폰은 다수개의 목금 및 철금의 음판 양단 저면이 받침부재에 놓여지게 고정구를 형성하여 음판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실로폰채를 이용하여 음판 타격시 음판을 울림 공명을 향상시켜 양호한 음질과 음색을 낼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실로폰을 이용한 연주는 두께 또는 직경이 작은 탄력성을 갖는 손잡이의 끝에 구형태를 갖는 헤드가 구비된 실로폰채를 손각락으로 가볍게 쥔 상태에서 팔과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실로폰헤드가 음판을 순서적으로 타격시키는 것으로 음판에 해당하는 음이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로폰채를 이용하여 실로폰의 음판을 타격시키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연습하는 과정에서 단조로움에 의하여 흥미가 떨어지는 원인이 있었고, 리듬이 불규칙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로폰채의 크기가 작음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 더러 간혹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연습을 하게 될 경우, 손가락이나 손목에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432호(2004.09.20)
이 건 고안은 삼각대에 결합된 지지대의 방아차핸들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방아차가 회전되면서 공이차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켜 실로폰채의 실로폰헤드가 실로폰의 음판을 타격하도록 함으로써, 아름다운 선율을 갖는 연주음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용자의 흥미를 더 유발시켜 연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연주 과정에서 방아차가 삼각대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안정된 연주음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연주자의 팔이나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장시간 연주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건 고안은 지지대(10)의 하부에 방아차(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방아차(20)가 구비된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공이차(30)가 구비된 실로폰 수동채(A)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찬넬형태를 갖는 수평지지부재(11)의 개방된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수직지지부재(12)가 절곡된 절곡부재(1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절곡부재(13)에 각각 수평관통홀(13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절곡부재(13)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수평보강부재(14)가 형성되어 폐쇄공간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아차(20)는 지지대(10)의 하부로 방아차핸들(21)을 갖는 방아차 회전지지구(22)에 의하여 방아차휠(23)이 상기 폐쇄공간부(15)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이차(30)는 지지대(10)의 상부로 공이차로드고정구(31)의 공이차로드(32)에 결합된 브라켓 회전고정구(33)에 의하여 공이차휠(34)을 갖는 공이차 브라켓(35)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공이차 브라켓(35)의 상부에 실로폰헤드(361)를 갖는 실로폰채(36)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는 결합구(40)에 의하여 삼각대(50)의 지지프레임(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결합구(40)는 지지프레임(51)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감쌈편(41)의 개방된 양측에 제1조임홀(421)을 갖는 프레임 조임편(4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조임홀(421)을 관통하여 볼트부재(43)의 양측이 노출되게 끼워지고, 상기 볼트부재(43)의 양측에 외부는 다각부(441)를 가지며, 내부에 암나사홀(442)이 형성된 다각너트부재(44)의 내측이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다각너트부재(44)의 외측에 상기 지지대(10)의 수평관통홀(131)을 관통한 결합볼트(45)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방아차(20)는 지지대(10)의 수평지지부재(11)와 수평보강부재(14)에 각각 수직관통홀(H)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관통홀(H)에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되는 트윈고정로드(24)의 로워숫사나부(243)에 방아차 회전지지구(2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 회전지지구(22)에 방아차로드(25)를 갖는 방아차휠(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로드(25)에 방아차핸들(21)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트윈고정로드(24)는 수직관통홀(H)의 상부에 하부가 걸려지는 형태를 갖는 걸림링(241)의 상하부로 각각 상기 걸림링(241)의 직경 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며 수직관통홀(H)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격방지부(2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유격방지부(242)에 로워 숫나사부(243)와 어퍼 숫나사부(244)가 형성되고,상기 방아차 회전지지구(22)는 제1회전지지구몸체(221)의 상부에 제1암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로워 숫나사부(243)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회전지지구몸체(221)의 하부에 제1관통구형부시(223)가 형성되어 상기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되어 제1지지구 고정너트(224)로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구 고정너트(224)를 관통하여 노출된 방아차로드(25)에 스페이서너트(225)가 관통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핸들(21)은 손잡이(211)를 갖는 크랭크고무편(212)의 상부에 핸들관통홀(213)을 형성하여 상기 스페이서너트(225)를 관통하여 노출된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되어 핸들고정너트(214)로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로드(25)는 일부 또는 전체의 외주연부에 나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아차휠(23)은 방아차 관통홀(231)이 형성된 방아차휠 몸체(232)의 외주연부에 수평푸싱부(233)와 만곡푸싱부(234)가 반복되게 형성되고, 방아차휠 몸체(232)의 외주연부에 제1스킨라이너(235)가 감싸여지고, 상기 방아차 관통홀(231)의 양측으로 플랜지너트(236)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공이차로드고정구(31)는 중공부재(311)의 외주연부에 고정패드(312)가 감겨지며, 상기 중공부재(311)의 표면을 감싸는 C형태를 갖는 중공부재 감쌈편(313)에 제2조임홀(314)을 갖는 중공부재 조임편(315)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재(311)는 지지대(10)의 수직관통홀(H) 주변으로 얹혀져 트윈고정로드(24)의 어퍼숫나사(244)가 중공부재(311)의 상부로 노출되어지고, 상기 어퍼숫나사(244)에 중공부재 가압와셔(316) 및 중공부재 결합너트(317)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조임홀(314)은 공이차로드(32)가 관통되어지며, 상기 감쌈편(313)의 양측에서 조임너트(318)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브라켓 회전고정구(33)는 제2암나사부(331)가 형성된 제2회전지지구 몸체(332)의 하부에 제2관통형 구형부시(333)를 구비하여 공이차로드(32)에 끼워져 제2지지구 고정너트(334)로 각각 고정되어지고, 상기 공이차휠(34)은 공이차 관통홀(341)이 형성된 공이차 휠 몸체(342)의 외주연부에 제2스킨 라이너(343)가 감싸여지고, 상기 공이차 브라켓(35)은 프론트 관통홀(351)과 리어 관통홀(352)을 갖는 브라켓몸체(353)의 양측에 핀관통홀(354)을 갖는 브라켓아암(355)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아암(355) 사이에 공이차휠(34)이 삽입되어 휠핀(356)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리어 관통홀(352)을 관통한 브라켓고정볼트(357)에 의하여 브라켓 회전고정구(33)의 제2암나사부(331)에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로폰채(36)는 와이어 형태를 갖는 실로폰채 몸체(362)의 단부에 실로폰헤드(36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로폰헤드(361)의 표면에 헤드 스킨(363)이 덮혀져 있고, 상기 실로폰채 몸체(362)는 채고정구(37)에 의하여 브라켓몸체(353)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채고정구(37)는 브라켓몸체(353)에 형성된 프론트 관통홀(351)의 하부에 루버와셔(371)와 스틸와셔(372)가 채고정볼트(373)에 끼워지도록 하고, 채고정볼트(373)가 상기 프론트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부로 볼트홀(374)을 갖는 채가압편(375)이 채가압너트(376)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브라켓몸체(353)의 상부에 간격유지부재(377)와 고정패드(378)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실로폰채 몸체(362)에 탄성밴드(B)의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밴드(B)의 하부가 밴드고정로드(379)에 의하여 지지대(10)의 수평지지부재(11)와 수평보강부재(14)에 양측이 걸쳐지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밴드(B)의 장력이 조절되어지고, 상기 채가압편(375)의 하부에 주름부(375-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고안은 삼각대에 결합된 지지대의 방아차핸들을 오른 손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방아차가 회전하면서 공이차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켜 공이차에 구비된 실로폰채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실로폰헤드가 실로폰의 음판을 타격하여 아름다운 선율을 갖는 연주음을 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이용자의 흥미를 더 유발시켜 연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주 과정에서 방아차가 삼각대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안정된 연주음을 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연주자의 팔이나 어깨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연주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가 삼각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가 삼각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만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6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를 분리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7a 내지 도7c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 건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가 삼각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가 삼각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만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6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를 분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 건 고안에 따른 실로폰 수동채는 실로폰 연주 과정에서 삼각대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안정된 연주음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연주자의 팔이나 어깨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연주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실로폰 수동채(A)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하부에 방아차(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방아차(20)가 구비된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공이차(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가 삼각대(50)의 지지프레임(51)에 결합구(40)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관과 이동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10)는 방아차(20)와 공이차(30)가 서로 간섭됨이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후방측이 개방된 찬넬형태를 갖는 수평지지부재(11)의 개방된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수직지지부재(12)가 절곡되어짐으로서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 절곡부재(1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절곡부재(13)에 각각 수평관통홀(13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구(40)의 결합볼트(45)가 관통되어 다각너트부재(44)의 외측으로 형성된 암나사홀(442)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즉, 이러한 상기 지지대(10)는 결합구(40)에 의하여 삼각대(50)의 지지프레임(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
상기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내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부재(13)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수평보강부재(14)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수평보강부재(14)의 전면부분과 전방으로 위치된 수평지지부재(11)의 배면부분 사이에 폐쇄공간부(15)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방아차휠(23)의 상부측과 공이차휠(34)의 하부측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구동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아차(20)는 방아차핸들(21)의 회전에 따라 지지대(10)의 폐쇄공간부(15)의 하부에서 연동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지지대(10)의 하부로 방아차핸들(21)을 갖는 방아차 회전지지구(22)에 의하여 방아차휠(23)이 상기 폐쇄공간부(15)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방아차(20)는 지지대(10)에 수평지지부재(11)와 수평보강부재(14)에 각각 수직관통홀(H)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관통홀(H)에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되는 트윈고정로드(24)의 로워숫사나부(243)에 방아차 회전지지구(22)가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아차 회전지지구(22)는 방아차로드(25)를 갖는 방아차휠(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로드(25)에 방아차핸들(21)이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트윈고정로드(24)는 하부로는 방아차 회전지지구(22)가 결합되며, 상부로는 공이차로드고정구(31)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수직관통홀(H)의 상부에 하부가 걸려지는 형태를 갖는 걸림링(241)의 상하부로 각각 상기 걸림링(241)의 직경 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며 수직관통홀(H)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격방지부(2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유격방지부(242)에 하부로는 로워 숫나사부(243)가 형성되며, 상부로는 어퍼 숫나사부(2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격방지부(242)는 알루미늄 테이프를 수회감음으로써 직경이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아차 회전지지구(22)는 방아차휠(23)을 관통한 방아차로드(25)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회전지지구몸체(221)의 상부에 제1암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로워 숫나사부(243)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회전지지구몸체(221)의 하부에 제1관통구형부시(223)가 형성되어 상기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되어 제1지지구 고정너트(224)로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구 고정너트(224)를 관통하여 노출된 방아차로드(25)에 스페이서너트(225)가 관통되어 결합되어 방아차핸들(21)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지지대(10)의 수평지지부재(11)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아차핸들(21)은 손잡이(211)를 갖는 크랭크고무편(212)의 상부에 핸들관통홀(213)을 형성하여 상기 스페이서너트(225)를 관통하여 노출된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되어 핸들고정너트(214)로 나사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크랭크고무편(212)은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무게가 유지되도록 하여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가속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진동이 손으로 전달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아차로드(25)는 일부 또는 전체의 외주연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제2지지구 고정너트(224)와 스페이서너트(225) 및 핸들고정너트(214)가 용이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아차휠(23)은 방아차 관통홀(231)이 형성된 방아차휠 몸체(232)의 외주연부에 수평푸싱부(233)와 만곡푸싱부(234)가 반복되게 형성되고, 상기 방아차휠 몸체(232)의 외주연부에 제1스킨라이너(235)가 감싸여져 구동과정에서 공이차휠(34)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방아차휠(23)의 방아차휠 몸체(232)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느 정도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스킨라이너(235)는 찰고무재로 사용되도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아차 관통홀(231)의 양측에는 플랜지너트(236)가 삽입되어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된 형태로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서 방아차휠(23)이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너트(236)의 외측으로 플랜지 조임너트가 더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이차(30)는 방아차휠(23)이 회전되면서 방아차휠(23)의 외주연부에 구비된 수평푸싱부(233)와 만곡푸싱부(234)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왕복 이동됨으로서 실로폰채(36)에 구비된 실로폰헤드(361)가 같이 이동되도록 한 것으로 지지대(10)의 상부로 공이차로드고정구(31)의 공이차로드(32)에 결합된 브라켓 회전고정구(33)에 의하여 공이차휠(34)을 갖는 공이차 브라켓(35)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있고, 상기 공이차 브라켓(35)의 상부에 실로폰헤드(361)를 갖는 실로폰채(3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이차로드고정구(31)는 중공부재(311)의 외주연부에 고정패드(312)가 감겨지며, 상기 중공부재(311)의 표면을 감싸는 C형태를 갖는 중공부재 감쌈편(313)에 제2조임홀(314)을 갖는 중공부재 조임편(315)이 형성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패드(312)는 사포가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재(311)는 지지대(10)의 수직관통홀(H) 주변으로 얹혀져 트윈고정로드(24)의 어퍼숫나사(244)가 중공부재(311)의 상부로 노출되어지고, 상기 어퍼숫나사(244)에 중공부재 가압와셔(316) 및 중공부재 결합너트(317)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조임홀(314)은 공이차로드(32)가 관통되어지며, 상기 감쌈편(313)의 양측에서 조임너트(318)가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 회전고정구(33)는 제2암나사부(331)가 형성된 제2회전지지구 몸체(332)의 하부에 제2관통형 구형부시(333)를 구비하여 공이차로드(32)에 끼워져 제2지지구 고정너트(334)로 각각 고정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이차휠(34)은 공이차 관통홀(341)이 형성된 공이차 휠 몸체(342)의 외주연부에 제2스킨 라이너(343)가 감싸여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있다. 이때, 상기 공이차휠(34)의 공이차 휠 몸체(342)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느 정도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스킨라이너(235)는 테이프가 3~4회 정도 감겨지도록 한 것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이차 브라켓(35)은 프론트 관통홀(351)과 리어 관통홀(352)을 갖는 브라켓몸체(353)의 양측에 핀관통홀(354)을 갖는 브라켓아암(355)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아암(355) 사이에 공이차휠(34)이 삽입되어 휠핀(356)으로 고정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어 관통홀(352)을 관통한 브라켓고정볼트(357)에 의하여 브라켓 회전고정구(33)의 제2암나사부(331)에 나사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로폰채(36)는 와이어 형태를 갖는 실로폰채 몸체(362)의 단부에 실로폰헤드(36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로폰헤드(361)의 표면에 헤드 스킨(363)이 덮혀져 있고, 상기 실로폰채 몸체(362)는 채고정구(37)에 의하여 브라켓몸체(353)에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헤드 스킨(363)은 라텍스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실로폰헤드(361)는 실로폰채 몸체(362)가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실로폰채 몸체(362)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음으로서 실로폰(70)의 음판(71)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한 부분만이 계속적으로 타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실로폰 헤드(361)의 교환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스킨(363)은 실로폰헤드(361)의 표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체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채고정구(37)는 브라켓몸체(353)에 형성된 프론트 관통홀(351)의 하부에 루버와셔(371)와 스틸와셔(372)가 채고정볼트(373)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채고정볼트(373)가 프론트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부로 볼트홀(374)을 갖는 채가압편(375)이 채가압너트(376)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루버와셔(371)에 의하여 2개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공구만을 이용하여 채가압너트(376)만 조임에 따라 조여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몸체(353)의 상부에는 간격유지부재(377)와 고정패드(378)가 형성되어 실로폰채 몸체(362)가 고정되는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채가압편(375)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패드(378)은 사포가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로폰채 몸체(362)에는 탄성밴드(B)의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밴드(B)의 하부가 밴드고정로드(379)에 의하여 지지대(10)의 수평지지부재(11)와 수평보강부재(14)에 양측이 걸쳐지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밴드고정로드(379)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에 다라 탄성밴드(B)의 장력이 가감되게 조절되어짐으로써, 실로폰 음판(71)을 타격하는 타격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채가압편(375)의 하부에는 주름부(375-1)가 형성되어 실로폰채 몸체(362)가 공이차 브라켓(35)의 상부에 미끄러짐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구(40)는 삼각대(50)의 지지프레임(51)에 지지대(10)가 안정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51)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감쌈편(41)의 개방된 양측에 제1조임홀(421)을 갖는 프레임 조임편(4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조임홀(421)을 관통하여 볼트부재(43)의 양측이 노출되게 끼워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트부재(43)의 양측은 다각너트부재(44)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홀(422)의 내측 부분이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홀(422)의 외측 부분에 상기 지지대(10)의 수평관통홀(131)을 관통한 결합볼트(45)가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각너트부재(44)의 외부는 다각형태를 갖는 다각부(441)가 형성되어 미도시한 공구로 용이하게 회전시켜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각너트부재(44)의 암나사홀(422)에는 각각 볼트부재(43)와 결합볼두(45)가 중간 까지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로폰 수동채(A)는 먼저, 지지대(10)에 형성된 수직관통홀(H)에 트윈고정로드(24)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수직관통홀(H)의 하부로 노출된 로워숫나사(243)에 방아차 회전지지구(22)의 제1암나사부(222)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방아차 회전지지구(22)의 제1관통형 구형부시(223)에는 방아차휠(23)에 구비된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된 형태에서 제1지지구 고정너트(22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방아차로드(25)가 스페이서너트(225)와 핸들관통홀(213)을 관통한 후 핸들고정너트(214)로 조임에 따라 방아차핸들(21)이 결합된다.
다음, 트윈고정로드(24)가 위치된 지지대(10)의 상부로 공이차로드고정구(31)의 중공부재(311) 하부가 안착되도록 한 후 가압와셔(316)와 중공부재 결합너트(317)가 어퍼숫나사(244)에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이어 브라켓 회전고정구(33)가 제2지지구 고정너트(334)에 의하여 공이차로드(32)에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 회전고정구(33) 사이로 위치된 공이차로드(32)에는 공이차휠(34)이 결합되도록 하고, 브라켓 회전고정구(33)의 제2암나사(331)에 공이차 브라켓(35)이 브라켓고정볼트(357)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공이차로드(32) 의 양측단부가 각각 조임너트(318)에 의하여 공이차로드고정구(31)의 제2조임홀(314)에 조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후 실로폰채 몸체(362)가 공이차 브라켓(35)의 고정패드(378)에 얹혀지도록 하고, 이어 루버와셔(371)와 스틸와셔(372)가 채고정볼트(373)에 의하여 관통되도록 한 후 프론트 관통홀(351)의 하부에서 상부로 채고정볼트(373)이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 채고정볼트(373)가 채가압편(375)의 볼트홀(374)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한 후 채가압너트(376)에 의하여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이어 실로폰채 몸체(362)에 탄성밴드(B)가 걸려지도록하고, 탄성밴드(B)의 하부가 밴드고정로드(379)에 의하여 지지대(10)의 폐쇄공간부(15)의 내부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립이 마무리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실로폰 수동채를 삼각대(50)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먼저, 삼각대(50)를 삼각다리(52)를 절반 정도 펼친 후 지지프레임(51)에 결합구(40)의 감쌈편(41)이 감싸여지도록 하고, 이어 볼트부재(43)가 프레임 조임편(42)에 형성된 제1조임홀(421)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 양측으로 노출된 볼트부재(43)에 다각너트부재(33)의 내측으로 형성된 암나사홀(442)이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조임으로서 감쌈편(41)이 지지프레임(51)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지지대(10)의 오픈된 부분을 결합구(40)의 다각너트부재(44)가 위치된 부분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 절곡부재(13)에 형성된 수평관통홀(131)을 통해 결합볼트(45)가 관통되도록 하고, 이어 관통된 결합볼트(45)가 다각너트부재(44)의 외측으로 위치된 암나사홀(442)에 나사결합도록 조이는 것으로 결합구(40)에 의하여 지지대(10)가 삼각대(50)에 결합되고, 삼각대(50)의 삼각다리(52)를 완전히 펼치는 것으로 지지대(10)가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삼각대(50)에 조립된 실로폰 수동채(A)를 이용하여 실로폰이 연주되는 과정은 먼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차핸들(21)에 의하여 방아차 휠(23)의 수평푸싱부(233)에 공이차(30)의 공이차휠(34)이 얹혀진 상태로 맞대어져 있음으로서 실로폰채(36)의 실로폰헤드(361)은 가장 낮은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차핸들(21)을 더 회전시킴과 동시에 방아차휠(23)의 만곡푸싱부(234)에 공이차(30)의 공이차휠(34)이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실로폰채(36)의 실로폰헤드(361)은 상부로 최대한 높이 올라간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탄성밴드(B)의 탄성력이 더해져 실로폰(70)의 음판(71)을 타격할 수 있는 준비를 하게 된다.
다음,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차핸들(21)을 회전시켜 방아차로드(25)에 의하여 방아차휠(23)이 더 회전됨으서 방아차휠(23)에 형성된 수평푸싱부(233)에 공이차(30)의 공이차휠(34)이 위치됨에 따라 공이차 브라켓(35)이 브라켓 회전고정구(3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실로폰채(60)의 실로폰헤드(361)가 음판(71)을 직접 타격하여 실로폰음이 발생된다. 이때, 탄성밴드(B)의 탄성력이 더해져 실로폰(70)의 음판(71)을 타격함에 따라 실로폰음이 더 크게 발생되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실로폰(70)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실로폰(70)은 상부와 하부가 둘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부분은 서로 맞대어져 있고, 다른 부분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져 있음으로서 공명을 통해 아름다운 선율이 연주됨과 동시에 지지대(10) 및 삼각대(50) 역시 중공형태로 공명됨에 따라 더 아름다운 선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지지대 11:수평지지부재
12:수직지지부재 13:절곡부재
14:수평보강부재 15:폐쇄공간부
20:방아차 21:방아차핸들
22:방아차 회전지지구 23:방아차휠
30:공이차 31:공이차로드고정구
32:공이차로드 33:브라켓 회전고정구
34:공이차휠 35:공이차 브라켓
36:실로폰채

Claims (5)

  1. 지지대(10)의 하부에 방아차(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방아차(20)가 구비된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공이차(30)가 구비된 실로폰 수동채(A)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찬넬형태를 갖는 수평지지부재(11)의 개방된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수직지지부재(12)가 절곡된 절곡부재(1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절곡부재(13)에 각각 수평관통홀(13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절곡부재(13)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수평보강부재(14)가 형성되어 폐쇄공간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아차(20)는 지지대(10)의 하부로 방아차핸들(21)을 갖는 방아차 회전지지구(22)에 의하여 방아차휠(23)이 상기 폐쇄공간부(15)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이차(30)는 지지대(10)의 상부로 공이차로드고정구(31)의 공이차로드(32)에 결합된 브라켓 회전고정구(33)에 의하여 공이차휠(34)을 갖는 공이차 브라켓(35)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공이차 브라켓(35)의 상부에 실로폰헤드(361)를 갖는 실로폰채(36)가 결합되고, 상기 방아차(20)는 지지대(10)의 수평지지부재(11)와 수평보강부재(14)에 각각 수직관통홀(H)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관통홀(H)에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되는 트윈고정로드(24)의 로워숫사나부(243)에 방아차 회전지지구(2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 회전지지구(22)에 방아차로드(25)를 갖는 방아차휠(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로드(25)에 방아차핸들(21)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트윈고정로드(24)는 수직관통홀(H)의 상부에 하부가 걸려지는 형태를 갖는 걸림링(241)의 상하부로 각각 상기 걸림링(241)의 직경 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며 수직관통홀(H)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격방지부(2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유격방지부(242)에 로워 숫나사부(243)와 어퍼 숫나사부(244)가 형성되고,상기 방아차 회전지지구(22)는 제1회전지지구몸체(221)의 상부에 제1암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로워 숫나사부(243)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회전지지구몸체(221)의 하부에 제1관통구형부시(223)가 형성되어 상기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되어 제1지지구 고정너트(224)로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구 고정너트(224)를 관통하여 노출된 방아차로드(25)에 스페이서너트(225)가 관통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핸들(21)은 손잡이(211)를 갖는 크랭크고무편(212)의 상부에 핸들관통홀(213)을 형성하여 상기 스페이서너트(225)를 관통하여 노출된 방아차로드(25)가 관통되어 핸들고정너트(214)로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방아차로드(25)는 일부 또는 전체의 외주연부에 나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방아차휠(23)은 방아차 관통홀(231)이 형성된 방아차휠 몸체(232)의 외주연부에 수평푸싱부(233)와 만곡푸싱부(234)가 반복되게 형성되고, 방아차휠 몸체(232)의 외주연부에 제1스킨라이너(235)가 감싸여지고, 상기 방아차 관통홀(231)의 양측으로 플랜지너트(236)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로폰 수동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결합구(40)에 의하여 삼각대(50)의 지지프레임(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결합구(40)는 지지프레임(51)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감쌈편(41)의 개방된 양측에 제1조임홀(421)을 갖는 프레임 조임편(4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조임홀(421)을 관통하여 볼트부재(43)의 양측이 노출되게 끼워지고, 상기 볼트부재(43)의 양측에 외부는 다각부(441)를 가지며, 내부에 암나사홀(442)이 형성된 다각너트부재(44)의 내측이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다각너트부재(44)의 외측에 상기 지지대(10)의 수평관통홀(131)을 관통한 결합볼트(45)가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로폰 수동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차로드고정구(31)는 중공부재(311)의 외주연부에 고정패드(312)가 감겨지며, 상기 중공부재(311)의 표면을 감싸는 C형태를 갖는 중공부재 감쌈편(313)에 제2조임홀(314)을 갖는 중공부재 조임편(315)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재(311)는 지지대(10)의 수직관통홀(H) 주변으로 얹혀져 트윈고정로드(24)의 어퍼숫나사(244)가 중공부재(311)의 상부로 노출되어지고, 상기 어퍼숫나사(244)에 중공부재 가압와셔(316) 및 중공부재 결합너트(317)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조임홀(314)은 공이차로드(32)가 관통되어지며, 상기 감쌈편(313)의 양측에서 조임너트(318)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브라켓 회전고정구(33)는 제2암나사부(331)가 형성된 제2회전지지구 몸체(332)의 하부에 제2관통형 구형부시(333)를 구비하여 공이차로드(32)에 끼워져 제2지지구 고정너트(334)로 각각 고정되어지고, 상기 공이차휠(34)은 공이차 관통홀(341)이 형성된 공이차 휠 몸체(342)의 외주연부에 제2스킨 라이너(343)가 감싸여지고, 상기 공이차 브라켓(35)은 프론트 관통홀(351)과 리어 관통홀(352)을 갖는 브라켓몸체(353)의 양측에 핀관통홀(354)을 갖는 브라켓아암(355)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아암(355) 사이에 공이차휠(34)이 삽입되어 휠핀(356)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리어 관통홀(352)을 관통한 브라켓고정볼트(357)에 의하여 브라켓 회전고정구(33)의 제2암나사부(331)에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로폰 수동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로폰채(36)는 와이어 형태를 갖는 실로폰채 몸체(362)의 단부에 실로폰헤드(36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로폰헤드(361)의 표면에 헤드 스킨(363)이 덮혀져 있고, 상기 실로폰채 몸체(362)는 채고정구(37)에 의하여 브라켓몸체(353)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채고정구(37)는 브라켓몸체(353)에 형성된 프론트 관통홀(351)의 하부에 루버와셔(371)와 스틸와셔(372)가 채고정볼트(373)에 끼워지도록 하고, 채고정볼트(373)가 상기 프론트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부로 볼트홀(374)을 갖는 채가압편(375)이 채가압너트(376)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브라켓몸체(353)의 상부에 간격유지부재(377)와 고정패드(378)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실로폰채 몸체(362)에 탄성밴드(B)의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밴드(B)의 하부가 밴드고정로드(379)에 의하여 지지대(10)의 수평지지부재(11)와 수평보강부재(14)에 양측이 걸쳐지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밴드(B)의 장력이 조절되어지고, 상기 채가압편(375)의 하부에 주름부(375-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로폰 수동채.

KR2020160007581U 2016-12-27 2016-12-27 실로폰 수동채 KR200484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1U KR200484905Y1 (ko) 2016-12-27 2016-12-27 실로폰 수동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1U KR200484905Y1 (ko) 2016-12-27 2016-12-27 실로폰 수동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05Y1 true KR200484905Y1 (ko) 2017-11-06

Family

ID=6040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81U KR200484905Y1 (ko) 2016-12-27 2016-12-27 실로폰 수동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0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725Y1 (ko) * 1983-06-03 1985-04-29 김종수 완구용 실로폰
US6150595A (en) * 1999-05-11 2000-11-21 Jamtec Portable and adjustable drum stick station
KR200363432Y1 (ko) 2004-06-23 2004-10-01 이재성 실로폰의 음판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725Y1 (ko) * 1983-06-03 1985-04-29 김종수 완구용 실로폰
US6150595A (en) * 1999-05-11 2000-11-21 Jamtec Portable and adjustable drum stick station
KR200363432Y1 (ko) 2004-06-23 2004-10-01 이재성 실로폰의 음판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7337B2 (en) Hitting device
US2929632A (en) Golf practice device
US5897444A (en) Ball support batting tee
US4113257A (en) Golf practice device
US5492321A (en) Batting practice device
US8066590B2 (en) Bunt training aid
US4417730A (en) Tennis practice apparatus
US20110183781A1 (en) Ball-hitting trainer
US7214169B1 (en) Portable and fully adjustable punching bag exercise system
US7959527B1 (en) Ball hitting practice assembly with acoustic return mechanism
US20050277489A1 (en) Flexible golf tee for driving range
US4364563A (en) Energy dissipating ball tee
US5433435A (en) Batter timing practice apparatus
US8210958B2 (en) Golf swing trainer
KR200484905Y1 (ko) 실로폰 수동채
US6322460B1 (en) Batting practice device
WO2012096593A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большого тенниса «теннисан»
AU743605B2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US20050211058A1 (en) Drum-mounted striker-type percussion attachment
US11083948B1 (en) Tennis-stroke trainer device
US5738599A (en) Batting practice device with tire
KR200457242Y1 (ko) 이동타격연습기
US20040025664A1 (en) Drummer stick control up-stroke practice method and device
KR101818691B1 (ko) 실로폰 전동채
GB2447732A (en) Training apparatus with ball attached via hub to a swinging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