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67Y1 -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867Y1
KR200484867Y1 KR2020160005927U KR20160005927U KR200484867Y1 KR 200484867 Y1 KR200484867 Y1 KR 200484867Y1 KR 2020160005927 U KR2020160005927 U KR 2020160005927U KR 20160005927 U KR20160005927 U KR 20160005927U KR 200484867 Y1 KR200484867 Y1 KR 200484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interrupted
hole
upp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국
Original Assignee
전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국 filed Critical 전경국
Priority to KR2020160005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디스플레이에 접착되는 다양한 크기의 필름류나 판 형상의 부품류를 적재하는 매거진의 프레임을 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이 관통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원통부재; 중앙에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이 관통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원통부재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축 결합되며 일측에 고정바가 돌출 형성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의 제2통공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수평프레임에 일체 결합되는 고무링; 상기 제1원통부재 일측에 일체 결합되고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며 슬릿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삽입공에 상단 수평프레임, 중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이 결합되는 제2원통부재; 상기 제2원통부재의 삽입공에 상단 수평프레임, 중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단부의 체결편이 삽입된 상태에서 와셔를 거쳐 체결편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원통부재는 외주면 수평 중심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편심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접착되는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필름 또는 판 형상의 부품류에 대응하여 복수의 스택바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함과 더불어 간단한 조작으로 조정하여 풀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Apparatus for Coupling Magazine Frame for Carrying Pattern Film}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필름을 적재하는 매거진의 프레임을 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디스플레이에 접착되는 다양한 크기의 필름류나 판 형상의 부품류를 적재하는 매거진의 프레임을 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필름은 각종 디스플레이 기기에 코팅 또는 접착되어 광학적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더욱이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유닛(BLU) 후면 광을 집광 및 확산하여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 특성을 높이는 필름이다. 이러한 광학필름으로 렌즈시트는 도광판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빛을 골고루 퍼지게 하는 기능과 집광 기능을 한다. 그리고 프리즘시트는 프리즘(산) 모양의 패턴 형태를 보이며, 광원으로부터 디퓨저(Diffuser)시트를 통과한 빛을 굴절, 집광시켜 백라이트의 표면 휘도를 상승시키는 시트이다. 도광필름은 백라이트유닛(BLU)의 휘도와 균일한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편광필름(Polaroid Film)은 입사광의 수직 또는 수평 편파를 구분하여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성질의 필름이다. 노트북 컴퓨터와 모니터 등의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LCD)나 카메라 특수 효과용 필터, 입체 영화 안경 등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이다. 액정표시장치(LCD) 모듈의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의 세기는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나 편광필름은 이러한 빛 중에서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는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 방향의 편광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 편광이 LCD 액정을 지날 때 화소별로 액정의 나열 방향을 전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화소의 밝기가 변하게 된다. 그리고 TAC(Tri Acetyl Cellulose Film)은 LCD TV, 모니터, 노트북, 휴대폰에 사용되는 편광판을 보호해주는 필름으로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다. 편광판은 일정한 방향의 빛만 통과시켜 색과 영상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종래에 광학필름으로 디스플레이필름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접착되는데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나 종류별로 적용되는 디스플레이필름도 달라진다. 더욱이 디스플레이필름은 사이즈별로 적재되는 매거진이 달라지므로 매거진의 크기도 달라져야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필름을 복수로 매거진에 적재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필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의 방지와 미세먼지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거진을 대전방지용 케이스에 보관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디스플레이필름의 이송 및 보관을 위하여 다양한 매거진과 케이스를 적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다수의 LCD용 필름을 적층상태로 수납하는 폴박스에 있어서,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의 하부 박스; 상기 하부 박스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적층된 LCD용 필름들을 지지하는 고정장치; 상기 하부 박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박스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기능을 가진 폴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2316호(2012.07.04. 공고)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접착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필름 또는 판 형상의 부품에 대응하여 이들을 고정 적재할 수 있는 매거진의 프레임을 간편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에 있어서,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이 관통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원통부재; 중앙에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이 관통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원통부재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축 결합되며 일측에 고정바가 돌출 형성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의 제2통공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수평프레임에 일체 결합되는 고무링; 상기 제1원통부재 일측에 일체 결합되고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며 슬릿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삽입공에 상단 수평프레임, 중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이 결합되는 제2원통부재; 상기 제2원통부재의 삽입공에 상단 수평프레임, 중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단부의 체결편이 삽입된 상태에서 와셔를 거쳐 체결편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원통부재는 외주면 수평 중심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편심을 갖는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1원통부재의 제1통공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에 고무링이 일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접착되는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필름 또는 판 형상의 부품류에 대응하여 복수의 스택바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함과 더불어 간단한 조작으로 조정하여 풀거나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 보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 보관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스택바 사이에 적재된 디스플레이필름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스택바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스택바 고정장치에서 스택바와 위치 결정용 고정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고정장치를 타나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고정장치를 타나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고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보관장치(1)는 내부에 매거진(30)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이다. 보관장치(1)는 본체에 해당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를 덮는 뚜껑(20)으로 구분되고, 뚜껑(20)은 복수의 잠금장치(90)로 케이스(10)에 결합된다. 케이스(10)와 뚜껑(20)은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필름(F)을 복수로 적재한 매거진(30)을 수용하고 잠금장치(90)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0)와 뚜껑(20)은 매거진(30)에 적재된 디스플레이필름(F)에 정전기가 형성되거나 파티클 또는 이물질이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매거진(30)의 크기에 따라 케이스(10)와 뚜껑(20)의 크기도 달라질 것이다. 케이스(10)와 뚜껑(20)은 외부의 충격에 강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된다. 케이스(10)와 뚜껑(20) 측면에는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어 강성을 도모하고 잠금장치(90)의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잠금장치(90)는 뚜껑(20)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케이스(10)와 뚜껑(20) 표면에는 이송되는 방향 또는 매거진(30)의 장착방향 등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의 표식이 되어 있다.
도 3에서, 매거진(30)은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필름(F)을 복수로 적재하는 것이다. 더욱이 매거진(30)에는 정전기나 파티클 또는 이물질에 민감한 판 형상의 부품류 등도 적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매거진(30)에 디스플레이필름(F)이 적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매거진에 적재되는 것은 디스플레이필름(F)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거진(30)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1)는 대략 평판 형상이다. 고정플레이트(31)에는 복수의 관통공(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31) 하단 일측에는 위치고정용 홈(34)이 형성된다. 또한, 기준 관통공(32)은 매거진(30)에 적재되는 디스플레이필름(F)의 기준이 되는 위치가 된다. 즉 다양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필름(F)은 기준 관통공(32)으로부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적재된다.
고정플레이트(31) 모서리 가장자리에는 수직으로 수직프레임(35)이 각각 고정 설치된다. 수직프레임(35)은 케이스(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일정 높이로 설계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35)들의 상단 사이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각 가로질러 T자형 고정부재(48)로 상단 수평프레임(36)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35) 중단 사이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각 가로질러 T자형 고정부재(48)로 중단 수평프레임(37)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플레이트(31)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35)은 상단과 중단에 각각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중단 수평프레임(37)으로 각각 고정된다.
매거진(30) 내측, 즉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중단 수평프레임(37)에는 제1스택바(42)와 제2스택바(43)가 고정 지지된다. 더욱이 제1스택바(42)의 지지용 링(50)은 전방에 위치한 상단 수평프레임(36)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제1스택바(42)의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전방에 위치한 중단 수평프레임(37)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2스택바(43)의 지지용 링(50)은 좌측에 위치한 상단 수평프레임(36)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제2스택바(43)의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좌측에 위치한 중단 수평프레임(37)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제1스택바(42)와 제2스택바(43)는 복수로 적재된 디스플레이필름(F)의 전방과 좌측을 각각 지지한다.
또한, 전후에 설치된 상단 수평프레임(36) 사이에는 T자형 고정부재(48)로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이 결합 설치되어 상단 수평프레임(36)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거나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전후에 설치된 중단 수평프레임(37) 사이에는 T자형 고정부재(48)로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이 결합 설치되어 중단 수평프레임(37)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거나 고정 설치된다.
또한, 좌우측에 설치된 상단 수평프레임(36) 사이에는 T자형 고정부재(48)로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이 결합 설치되어 상단 수평프레임(36)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거나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측에 설치된 중단 수평프레임(37) 사이에는 T자형 고정부재(48)로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 결합 설치되어 중단 수평프레임(37)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거나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매거진(30) 내측, 즉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 및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 및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에는 제3스택바(44)와 제4스택바(45)가 고정 지지된다. 더욱이 제3스택바(44)의 지지용 링(50)은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제3스택바(44)의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4스택바(45)의 지지용 링(50)은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제4스택바(45)의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제3스택바(44)와 제4스택바(45)는 복수로 적재된 디스플레이필름(F)의 후방과 우측을 각각 지지한다.
따라서 매거진(30)은 수직프레임(35)에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중단 수평프레임(37)이 T자형 고정부재(48)로 각각 고정 결합되고, 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중단 수평프레임(37)에는 제1스택바(42)가 지지용 링(50) 및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로 고정 결합되며, 좌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중단 수평프레임(37)에는 제2스택바(43)가 지지용 링(50) 및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로 고정 결합되고,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과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에는 제3스택바(44)가 지지용 링(50) 및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로 고정 결합되며,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에는 제4스택바(45)가 지지용 링(50) 및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로 고정 결합된다.
더욱이 제1스택바(42)는 좌우측으로 이동 및 고정되고, 제2스택바(43)는 전후로 이동 및 고정되지만, 제3스택바(44)와 제4스택바(45)는 각각 전후 및 좌우측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거진(30)은 제1스택바(42)와 제2스택바(43)를 기준으로 적재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필름(F)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3스택바(44)와 제4스택바(45)를 전후 및 좌우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제1스택바(42) 내지 제4스택바(45) 상부 내측면에는 복수의 가로돌기(46)가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된다. 가로돌기(46)는 흡착지그(3)가 매거진(30)의 제1스택바(42) 내지 제4스택바(46) 사이에 적재된 최상단의 디스플레이필름(F)을 흡착한 후 올릴 때에 마찰 등의 정전기에 의하여 복수 장이 동시에 취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흡착지그(3)가 디스플레이필름(F)을 흡착하여 들어 올릴 때에 여러 장이 붙어 있다면 디스플레이필름(F)이 제1스택바(42) 내지 제4스택바(45)에 형성된 복수의 가로돌기(46)를 지나면서 떨림 현상에 의하여 흡착지그(3)에 흡착된 최상단의 디스플레이필름(F)을 제외한 다른 디스플레이필름(F)은 매거진(30) 내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35) 상부에 고정된 결합부재(51)로 힌지 결합되어 매거진(30)을 케이스(10)에 삽입하거나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손잡이(47)가 결합된다. 결합부재(51)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47)는 결합부재(51)로부터 직각, 즉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 눕힐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 보관장치(1)는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필름(F)을 적재한 매거진(30)을 케이스(10) 내부에 삽입한다. 즉 매거진(30)에는 고정플레이트(31) 모서리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프레임(35)에 수평으로 T자형 고정부재(48) 또는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로 결합된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중단 수평프레임(37) 사이의 제1스택바(42)와 제2스택바(43)와,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과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 사이의 제3스택바(44), 그리고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 사이의 제4스택바(45)를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각각 조절하여 해당하는 디스플레이필름(F)을 적재한다. 이때, 매거진(30)의 고정플레이트(31) 저면 일측에 형성된 위치고정용 홈(34)을 케이스(10) 바닥면 일측에 형성될 위치고정용 돌기(12)에 맞추어 삽입한다. 이는 매거진(30)이 항상 동일한 위치 및 방향으로 케이스(10)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매거진(30)이 삽입된 케이스(10) 위에 뚜껑(20)을 닫고 잠금장치(90)를 작동시켜 잠근다.
도 5에서, 제1 내지 제4스택바(42-45)는 배면 중앙에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가 결합된다. 제1 내지 제4스택바(42-45) 배면에는 각각 일정 간격의 삽입홈(6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원통부재(60)가 돌출 형성된다.
원통부재(60)에는 각각 제1통공(62)이 형성되어 중단 수평프레임(37)이나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나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이 관통 삽입된다. 원통부재(60)는 외주면의 수평 중심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편심부(60a)가 형성된다.
잠금부재(63)는 중앙에 중단 수평프레임(37)이나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나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이 관통하는 제2통공(64)이 형성된 것으로, 잠금부재(63)는 원통부재(60) 사이의 삽입홈(61)에 축 결합된다. 그리고 잠금부재(63) 일측에는 잠금부재(63)를 회동시키는 고정바(6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잠금부재(63)의 제2통공(64) 내측에는 고무링(66)이 삽입된다. 고무링(66)은 제2통공(64)을 관통하는 중단 수평프레임(37)이나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나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 외주에 탄성 결합된다. 고무링(66)은 일정 세기의 탄성력과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무링(66)은 원통부재(60)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즉 고무링(66)은 원통부재(60) 내측면에 이중 사출 성형으로 일체 결합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매거진(30)의 중단 수평프레임(37)이나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나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에서 각각 위치가 결정되는 제1 내지 제4스택바(42-45)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에 축 결합된 제1스택바(42)와 좌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에 축 결합된 제2스택바(43)는 적재된 디스플레이필름(F)의 전방과 좌측을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필름(F)의 사이즈에 따라 제1스택바(42)는 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고, 제2스택바(43)는 좌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킨다. 이때,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는 원통부재(60)에 대하여 대략 수평위치에 있으므로 제1스택바(42) 또는 제2스택바(43)를 중단 수평프레임(37)을 따라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원통부재(60)의 제1통공(62)과 잠금부재(63)의 제2통공(64)의 내직경은 중단 수평프레임(37)의 외직경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에서, 중단 수평프레임(37)에 제1스택바(42)와 제2스택바(43)의 위치가 결정되면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를 위로 올린다. 이때, 잠금부재(63)는 중단 수평프레임(37)을 축으로 원통부재(60) 사이의 삽입홈(61)에서 회동된다. 그리고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는 원통부재(60) 표면을 따라 회동되면서 원통부재(60) 표면에 일정 원주율로 돌출된 편심부(60a)와 접촉된다. 따라서 고정바(65)는 원통부재(60)의 표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면서 편심부(60a)의 편심에 의하여 제2통공(64)은 중단 수평프레임(37) 표면을 가압하여 원통부재(60)의 제1통공(62)에 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1스택바(42)와 제2스택바(43)의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각각 중단 수평프레임(37)에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더욱이 잠금부재(63)의 제2통공(64)에 고무링(66)이 결합된 경우에는 고무링(66)의 탄성력에 의하여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중단 수평프레임(37)과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도 6b에서, 원통부재(60) 표면 상부로 이동된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를 원통부재(60) 표면 아래로 내리면 중단 수평프레임(37)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의 원통부재(60)의 제1통공(62)과 잠금부재(63)의 제2통공(64)을 통해 중단 수평프레임(37)의 고정은 해제되어 제1스택바(42) 또는 제2스택바(43)는 중단 수평프레임(37)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후방의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에 축 결합된 제3스택바(44)와 우측의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에 축 결합된 제4스택바(45)는 적재된 디스플레이필름(F)의 후방과 우측을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필름(F)의 사이즈에 따라 제3스택바(44)는 후방의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고, 제4스택바(45)는 우측의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킨다. 이때,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는 원통부재(60)에 대하여 대략 수평위치에 있으므로 제3스택바(44) 또는 제4스택바(45)를 각각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을 따라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원통부재(60)의 제1통공(62)과 잠금부재(63)의 제2통공(64)의 내직경은 중단 수평프레임(37)의 외직경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스택바(44)는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과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을 전후로 이동시켜야 하고, 제4스택바(45)는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을 좌우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는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 및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의 각 양측에 고정 결합된 T자형 고정부재(48)를 각각 분리 및 고정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에 제3스택바(44)와 제4스택바(45)의 위치가 결정되면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를 위로 올린다. 이때, 잠금부재(63)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을 축으로 원통부재(60) 사이의 삽입홈(61)에서 회동된다. 그리고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는 원통부재(60) 표면을 따라 회동되면서 원통부재(60) 표면에 일정 원주율로 돌출된 편심부(60a)와 접촉된다. 따라서 고정바(65)는 원통부재(60)의 표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면서 편심부(60a)의 편심에 의하여 제2통공(64)은 중단 수평프레임(37) 표면을 가압하여 원통부재(60)의 제1통공(62)에 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3스택바(44)와 제4스택바(45)의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각각 중단 수평프레임(37)에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더욱이 잠금부재(63)의 제2통공(64)에 고무링(66)이 결합된 경우에는 고무링(66)의 탄성력에 의하여 위치결정용 고정부재(49)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은 각각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원통부재(60) 표면 상부로 이동된 잠금부재(63)의 고정바(65)를 원통부재(60) 표면 아래로 내리면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의 원통부재(60)의 제1통공(62)과 잠금부재(63)의 제2통공(64)을 통해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의 고정은 각각 해제되어 제3스택바(44) 또는 제4스택바(45)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과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으로부터 각각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해질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서, T자형 고정부재(48)는 매거진(3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것이다. T자형 고정부재(48)는 프레임이 직각으로 접촉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T자형 고정부재(48)는 프레임을 직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원통부재(70)와 제2원통부재(73)가 일체 구성되고, 제1원통부재(70)에는 잠금부재(75)가 결합되며, 제2원통부재(73)에 삽입된 프레임은 볼트(81)로 나사 결합된다.
제1원통부재(70)는 중앙에 일정 간격의 삽입홈(7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원통부재(70)에는 각각 제1통공(72)이 형성되어 수직프레임(35), 상단 수평프레임(36)이나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37)이 관통 삽입된다. 제1원통부재(70)는 외주면의 수평 중심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편심부(70a)가 형성된다.
잠금부재(75)는 중앙에 수직프레임(35), 상단 수평프레임(36)이나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37)이 관통하는 제2통공(76)이 형성된 것으로, 잠금부재(75)는 제1원통부재(70) 사이의 삽입홈(71)에 축 결합된다. 그리고 잠금부재(75) 일측에는 잠금부재(75)를 회동시키는 고정바(77)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잠금부재(75)의 제2통공(76) 내측에는 고무링(78)이 삽입된다. 고무링(78)은 제2통공(76)을 관통하는 수직프레임(35), 상단 수평프레임(36)이나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37) 외주에 탄성 결합된다. 고무링(78)은 일정 세기의 탄성력과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무링(78)은 제1원통부재(70)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즉 고무링(78)은 제1원통부재(70) 내측면에 이중 사출 성형으로 일체 결합되는 것이 좋다.
제2원통부재(73)는 한 쌍의 제1원통부재(70) 일측에 일체 결합된다. 제2원통부재(73)는 내측으로 삽입공(84)이 형성되고, 삽입공(84) 상부에 슬릿(74)이 형성되며, 슬릿(74)에 대응하는 삽입공(84) 내측면에 볼트공(8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원통부재(73)의 삽입공(84)에는 상단 수평프레임(36), 중단 수평프레임(37),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79)이 결합된다.
더욱이 볼트(81)는 제2원통부재(73)의 삽입공(21)에 상단 수평프레임(36), 중단 수평프레임(37),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 단부의 체결편(79)이 삽입된 상태에서 와셔(82)를 거쳐 체결편(79)에 형성된 나사공(80)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T자형 고정부재(48)는 매거진(30)의 수직프레임(35), 상단 수평프레임(36)이나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37)의 해당 측면에 대하여 상단 수평프레임(36), 중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의 단부를 각각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T자형 고정부재(48)를 이용하여 매거진(30)의 고정플레이트(31)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프레임(35) 상단에 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을 각각 고정 결합하고, 수직프레임(35) 상단에 좌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우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을 각각 고정 결합한다. 이때, 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의 단부와 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 단부는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2원통부재(73)에는 좌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우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이 각각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 사이에는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이 T자형 고정부재(48)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즉 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후방의 상단 수평프레임(36)에는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2원통부재(73)에는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좌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우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 사이에는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이 T자형 고정부재(48)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즉 좌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과 우측의 상단 수평프레임(36)에는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2원통부재(73)에는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35) 중단에 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을 T자형 고정부재(48)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 결합하고, 수직프레임(35) 중단에 좌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우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을 T자형 고정부재(48)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 결합한다. 이때,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 수직프레임(35) 중단에 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의 각 단부가 제2원통부재(73)에 고정 결합된다. 또,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 수직프레임(35) 중단에 좌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우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의 각 단부가 제2원통부재(73)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 사이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 T자형 고정부재(48)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즉 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후방의 중단 수평프레임(37)에는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2원통부재(73)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좌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우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 사이에는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이 T자형 고정부재(48)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즉 좌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과 우측의 중단 수평프레임(37)에는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2원통부재(73)에는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더욱이 도 9a에서, T자형 고정부재(48)의 제1원통부재(70)에 수직프레임(35), 상단 수평프레임(36)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37)이 관통 삽입되고, 제2원통부재(73)에 상단 수평프레임(36), 중단 수평프레임(37),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38),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39),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40)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41)이 관통 삽입되어 위치가 결정되면, 잠금부재(75)의 고정바(77)를 위로 올린다. 이때, 잠금부재(75)는 제1원통부재(70)에 삽입된 해당 프레임을 축으로 제1원통부재(70) 사이의 삽입홈(71)에서 회동된다. 그리고 잠금부재(75)의 고정바(77)는 제1원통부재(70) 표면을 따라 회동되면서 제1원통부재(70) 표면에 일정 원주율로 돌출된 편심부(70a)와 접촉된다. 따라서 고정바(77)는 제1원통부재(70)의 표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면서 편심부(70a)의 편심에 의하여 제2통공(76)은 삽입된 해당 프레임 표면을 가압하여 제1원통부재(70)의 제1통공(72)에 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T자형 고정부재(48)는 해당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더욱이 잠금부재(75)의 제2통공(76)에 고무링(78)이 결합된 경우에는 고무링(78)의 탄성력에 의하여 T자형 고정부재(48)는 해당 프레임과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도 9b에서, 제1원통부재(70) 표면 상부로 이동된 잠금부재(75)의 고정바(77)를 제1원통부재(70) 표면 아래로 내리면 해당 프레임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의 제1원통부재(70)의 제1통공(72)과 잠금부재(75)의 제2통공(76)을 통해 해당 프레임의 고정은 해제되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보관장치 3: 흡착지그 10: 케이스 11: 요철부 12: 위치고정용 돌기 13: 걸림턱 20: 뚜껑 21: 삽입공 30: 매거진 31: 고정플레이트 32: 기준 관통공 33: 관통공 34: 위치고정용 홈 35: 수직프레임 36: 상단 수평프레임 37: 중단 수평프레임 38: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39: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40: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41: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42-45: 스택바 46: 가로돌기 47: 손잡이 48: T자형 고정부재 49: 위치결정용 고정부재 50: 지지용 링 51: 결합부재 60: 원통부재 61: 삽입홈 62: 제1통공 63: 잠금부재 64: 제2통공 65: 고정바 66: 고무링 70: 제1원통부재 71: 삽입홈 72: 제1통공 73: 제2원통부재 74: 슬릿 75: 잠금부재 76: 제2통공 77: 고정바 78: 고무링 79: 체결편 80: 나사공 81: 볼트 82: 와셔 90: 잠금장치

Claims (2)

  1.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에 있어서,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이 관통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원통부재;
    중앙에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이 관통하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원통부재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에 축 결합되며 일측에 고정바가 돌출 형성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의 제2통공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수평프레임에 일체 결합되는 고무링;
    상기 제1원통부재 일측에 일체 결합되고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며 슬릿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삽입공에 상단 수평프레임, 중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이 결합되는 제2원통부재;
    상기 제2원통부재의 삽입공에 상단 수평프레임, 중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좌우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전후이동식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전후이동식 중단 수평프레임 단부의 체결편이 삽입된 상태에서 와셔를 거쳐 체결편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원통부재는 외주면 수평 중심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편심을 갖는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부재의 제1통공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수직프레임,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단 수평프레임에 고무링이 일체 결합된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KR2020160005927U 2016-10-14 2016-10-14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KR200484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27U KR200484867Y1 (ko) 2016-10-14 2016-10-14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27U KR200484867Y1 (ko) 2016-10-14 2016-10-14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67Y1 true KR200484867Y1 (ko) 2017-11-20

Family

ID=6048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927U KR200484867Y1 (ko) 2016-10-14 2016-10-14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67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146A (ko) * 2005-05-04 2006-11-08 오정일 편광필름 보호용 트레이
KR20080104491A (ko) * 2007-05-28 2008-12-03 세크론 주식회사 테스트 트레이 반ㆍ출입장치
KR20090095234A (ko) *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KR20100136711A (ko) * 2009-06-19 2010-12-29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대면적 기판 처리 시스템의 기판 이송 장치
KR101162316B1 (ko) 2008-12-30 2012-07-04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정전기 방지기능을 가진 폴박스
KR20120091662A (ko) * 2011-02-09 2012-08-20 강명재 기타 거치대
KR20120008849U (ko) * 2011-06-16 2012-12-27 전경국 편광필름 수납케이스
KR101405151B1 (ko) * 2013-04-03 2014-06-10 주식회사 미영 수납케이스의 필름 고정장치
KR20150018339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146A (ko) * 2005-05-04 2006-11-08 오정일 편광필름 보호용 트레이
KR20080104491A (ko) * 2007-05-28 2008-12-03 세크론 주식회사 테스트 트레이 반ㆍ출입장치
KR20090095234A (ko) *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KR101162316B1 (ko) 2008-12-30 2012-07-04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정전기 방지기능을 가진 폴박스
KR20100136711A (ko) * 2009-06-19 2010-12-29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대면적 기판 처리 시스템의 기판 이송 장치
KR20120091662A (ko) * 2011-02-09 2012-08-20 강명재 기타 거치대
KR20120008849U (ko) * 2011-06-16 2012-12-27 전경국 편광필름 수납케이스
KR101405151B1 (ko) * 2013-04-03 2014-06-10 주식회사 미영 수납케이스의 필름 고정장치
KR20150018339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912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TWI399589B (zh) 背光組件及具有該背光組件之顯示裝置
US9568757B2 (en) Display device having mold frame with elastic protective member
US9817261B2 (en) Curved cover for curved display and curved typ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880348B2 (en) Display apparatus
US9358768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569076B1 (ko) 렌즈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35817A (ko) 백라이트 유닛
US8172408B2 (en) Len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KR10226438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793035B1 (ko)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스택바 고정장치
US20040135740A1 (en) Polarization means and its position holding mechanism
KR101819879B1 (ko)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 보관장치
US9715060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KR200484867Y1 (ko) 디스플레이필름 적재용 매거진의 프레임 결합장치
WO2017041442A1 (zh) 背光源模组及显示装置
US10613361B2 (en) Display device
KR101236239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10459268B2 (en) Display device
KR101763308B1 (ko) 액정표시장치
JP6353926B2 (ja) 表示装置
KR100951904B1 (ko) 액정표시모듈 신뢰성 테스트 장치
KR20170003323A (ko) 도광판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장치
KR101627515B1 (ko) 수직배향 액정표시장치
KR102414592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몰드프레임의 고정구조 및 그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