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12Y1 - 친환경 녹화 시설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녹화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12Y1
KR200484512Y1 KR2020170002545U KR20170002545U KR200484512Y1 KR 200484512 Y1 KR200484512 Y1 KR 200484512Y1 KR 2020170002545 U KR2020170002545 U KR 2020170002545U KR 20170002545 U KR20170002545 U KR 20170002545U KR 200484512 Y1 KR200484512 Y1 KR 200484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me
plate
spa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철
Original Assignee
김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철 filed Critical 김규철
Priority to KR2020170002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 및 설치 후 이동 가능하면서 쉼터, 식생 및 식생을 위한 물의 공급과 전기시설이 한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친환경 녹화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프레임부 사이에 적층식 화분이 결합하는 적층식 화분 결합부와 상부 화분을 포함한 주 식재부와 벤치 및 물 저장공간을 포함한 하부 구조물과 자체 전원을 생산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부 및 식생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점적관수부 및 햇빛을 차단하면서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차양막부로 구성되어 있어,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성을 높이면서 녹지가 없는 공간에 쉼터, 식생공간, 식생을 위한 물 및 전기 공급이 자체적으로 해결되어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고, 설치시 자체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설치 위치가 자유로우며, 설치 이후에 다른 위치로의 이동도 가능하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우천시의 빗물을 재활용하여 식생을 위한 물로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채워야 하는 주기를 줄임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한 친환경 녹화 시서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녹화 시설물{eco-friendly landscape architecture facilities}
본 고안은 설치 및 설치 후 이동 가능하면서 쉼터, 식생 및 식생을 위한 물의 공급과 전기시설이 한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친환경 녹화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녹지시설을 찾기가 매우 힘들며, 잠깐의 휴식을 위한 벤치도 공원을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생을 위한 공간 측면에 벤치를 만들어 시민들의 쉼터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조경시설을 제공하고 있으나 조경시설의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0675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공원용 조경 시스템으로서,
물과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벤치의 좌판과 등판에 각각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1 벽체와,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 2 벽체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격자형으로 구획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접하는 상기 제 2 벽체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상측 통공 및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접하는 상기 제 1,2 벽체 부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하측 통공을 포함하는 격벽 어셈블리;를 포함한 벤치;
상기 벤치 주변에 설치된 것으로, 태양광 발전을 하는 솔라셀을 상면에 장착한 차양 패널; 상기 차양 패널을 지지하도록 기립 연장된 지지대; 상기 차양 패널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벤치 방향으로 상기 차양 패널에 의한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차양 패널을 상기 지지대 상에서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모듈; 상기 솔라셀에 의해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냉수 탱크; 상기 전원 공급장치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 온수 탱크;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입수관 및 출수관 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측에 장착되어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물 순환 어셈블리;
상기 벤치 주변 바닥 영역에 형성된 것으로, 착석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와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가 장착된 조경 블록;
상기 중량 감지 센서의 중량 감지 신호 및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온도 신호에 따라 상기 냉수 탱크의 냉수 및 상기 온수탱크의 온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하우징에 공급 및 배출하도록 상기 물 순환 어셈블리의 체크밸브와 펌프의 개폐 및 구동을 제어하는 냉온수 공급제어모듈;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는 태양 위치 추적 수단을 구비하여 태양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동 모듈의 수평 및 상하 회동각을 구동 제어하는 회동 제어모듈;을 포함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의 차양 패널의 하면에는, 조명 기능을 구비한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광량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공원용 조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KR10-1040675 B1 태양광 발전식 차양 패널 및 기능성 벤치를 구비한 공원용 조경 시스템
하지만, 상술한 등록특허는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조경과 더불어 벤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이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만만치 않게 발생하며, 특히, 시공 및 설치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높아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녹화 시설물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성을 높이면서 녹지가 없는 공간에 쉼터, 식생공간, 식생을 위한 물 및 전기 공급이 자체적으로 해결되어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친환경 녹화 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시 자체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설치 위치가 자유로우며, 설치 이후에 다른 위치로의 이동도 가능하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우천시의 빗물을 재활용하여 식생을 위한 물로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채워야 하는 주기를 줄임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모든 구성들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쉼터와 함께 식물 식생을 위한 공간 및 식생을 위한 물의 공급 및 이에 필요한 전기시설을 자체적으로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모듈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 위치에서도 쉼터와 함께 조경시설을 패키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치시 자체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설치 위치가 자유로우며, 설치 이후에 다른 위치로의 이동도 가능하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물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 및 우천시 빗물을 활용하여 식생을 실시하여 다른 조경시설 대비 물을 공급하는 과정이 대폭 축소되어 유지관리도 쉽다.
아울러, 빗물 활용시 관을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여 수심이 깊은 위치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하여 가라앉은 이물질로 인한 물의 오염 및 pH농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녹화 시설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잠적관수부 및 차양막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 - A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 - B 단면도.
도 9는 적층식 화분을 다단으로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도 9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프레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구조물로서 2개소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부(110)는 하측으로는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측에 하부하분 거치대(111a)를 포함한 하부 지지프레임(111)이 대칭된 구조로 2개소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지지프레임(111)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제1 이동홀(112a)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112)이 대칭되게 2개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제2 이동홀(113a)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 프레임(113)이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프레임(112), 수평 프레임(113)에 형성된 제1, 2 이동홀(112a, 113a)은 별도의 커버(C)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 식재부(120)는 상술한 프레임부(110) 사이에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적층식 화분(50)을 결합할 수 있는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가 수직 프레임(112) 사이에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113) 사이에 결합하는 상부 화분(122)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식물을 식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부 구조물(120)은 프레임부(110)의 하부 지지프레임(111)에 결합하여 프레임부(110)를 지지하면서 통행자에게 쉴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주 식재부(120)에 결합하는 적층식 화분(50) 및 상부 화분(122)에 식생된 식물들에게 공급할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우선, 하부 구조물(130)에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10)의 하부 지지프레임(111)이 지지될 수 있으면서 내측에 물 저장공간(131a)을 형성하고 있는 상단만 개방된 형태로 일Ÿn니 수조 구조물(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조 구조물(131) 외측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주 식재부(120)의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를 중심으로 외측방향의 상단은 타공부(132a)가 형성되고, 타공부(132a)의 타측의 상단만 수조 구조물(131)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가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덮개판(132b)이 형성된 벤치 구조물(132)이 구성된다.
상기 벤치 구조물(132)은 상술한 수조 구조물(131)에 결합하기 위해 하측면과 타공부(132a)가 형성된 측면만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벤치 구조물(132)의 타공부(132a)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어 일부가 수조 구조물(131)의 물 저장공간(131a)에 잠길 수 있도록 배치되는 상단만 개방되어 있는 하부 화분(1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부 구조물(130)은 하부 지지프레임(111)에 배치되는 만큼 2개소가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태양광 발전부(14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수평 프레임(113)에 결합하여 태양광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부(140)는 프레임부(11)의 수평 프레임(113)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스(141)와 상기 케이스(141) 상측에 부착되는 태양광 모듈(142)과 케이스(142)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143) 및 컨트롤러(14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부(140)를 통해 생성된 전기는 주 식재부(120) 중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와 상부 화분(122)에 형성된 전기 라인(145)을 통해 USB 단자(146)과 같이 전원을 필요로하는 곳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적관수부(150)는 상술한 주 식재부(120)의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에 결합하는 적층식 화분(50) 및 상부 화분(12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점적관수부(15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 구조물(130)의 수조 구조물(131) 내부의 물 저장공간(131a)에서 부터 시작하여 프레임부(110)의 수직 프레임(112)에 형성된 제1 이동홀(112a)에 삽입하는 한쌍의 수직파이프(15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파이프(151)에서 절곡되어 주 식재부(120)의 상부 화분(122) 방향으로 연장되되 수평 프레임(113)의 제2 이동홀(113a)에 삽입되는 한쌍의 수평파이프(152)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수평파이프(152)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5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부 구조물(130)의 수조 구조물(131) 내부의 물 저장공간(131a)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수직파이프(151)에는 수중펌프(156)가 연결되어 있고, 대칭된 위치의 수직파이프(151)에는 각각의 적층식 화분(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점적관수(154)가 연결되고, 수평파이프(152)에는 상부 화분(12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 점적관수(155)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점적관수부(150)는 각각의 하부 구조물(130)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차양막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부(160)는 통행자들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햇빛이 드리우는 것을 차양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부(140)의 양 측면에 2개소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양막부(160)는 수평 프레임(113)에 결합하는 차양막 프레임(161)에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차양판(162)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우천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해 상술한 차양막부(160)의 차양막 프레임(161)에 물유도홈(161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물유도홈(161a)을 통해 유도된 물을 하부 구조물(130)을 구성하는 수조 구조물(131)의 물 저장공간(131a)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부(110)의 수직 프레임(112)에는 물유도홈(161a)과 연통되는 물 유입홀(112b)을 형성하고, 수직 프레임(112)의 제1 이동홀(112a)에는 일단은 물 유입홀(112b)에 연결되고, 타단은 물 저장공간(131a)에 연결되는 물 유도관(114)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저장공간(131a)에 물 유도관(114)이 잠길 때에는 되도록 바닥면과 가까운 위치까지 물 유도관(114)을 연장시켜 빗물 유입시 바닥면으로 유입시키도록 하여 물 저장공간(131a) 내의 물을 순환시켜 물의 pH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 유입홀(112b)에는 물유도홈(161a)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별도의 거름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층식 화분(5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적층식 화분(50)은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 및 저수공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제1 바디(10)는 앞, 뒷면으로 대략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정면판(11)과 제1 후면판(1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정면판(11)과 제1 후면판(12)의 양 측면에는 제1 좌측면판(13)과 제1 우측면판(14)이 형성되어 전, 후, 좌, 우측면 및 하측면이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식물을 식생하는데 필요할 흙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우측면판(14)에는 하나 이상의 뿌리 및 수분 연통구(14a)가 형성되어 제1 공간부(16)로 유입되는 물 및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 등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정면판(11)과 제1 후면판(12)의 상측에는 제1 결합판(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결합판(15)은 제1 정면판(11) 및 제1 후면판(12)이 마주보지 않는 방향, 즉,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결합판(15) 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홀(15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바디(20)는 상술한 제1 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 바디(10)의 제1 정면판(11)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제2 정면판(21)이 형성되고, 제1 후면판(12)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제2 후면판(22)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제2 정면판(21)의 경우 제1 정면판(1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판(15)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2 후면판(22)도 제2 정면판(2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제2 정면판(21) 및 제2 후면판(22)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정면판(21) 및 제2 후면판(22)의 양 측면으로는 제1 바디(10)의 제1 좌, 우측면판(13, 14)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좌, 우측면판(23, 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정면판(21), 제2 후면판(22), 제2 좌, 우측면판(23, 24)에 의해 내부에는 식물이 식생시킬 수 있는 공간인 제2 공간부(2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좌, 우측면판(23, 24)의 상측에는 제2 결합홀(25a)을 포함한 제2 결합판(2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저수공간부(30)는 상술한 제1, 2 바디(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공간부(16, 26) 사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공간부(16)와 제2 공간부(26)의 경계가 되는 위치의 제2 좌, 우측면판(23, 24)에 격막(3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좌측면판(23)에 형성되는 격막(31)의 경우 제2 좌측면판(23)과 제2 정면판(21), 제2 후면판(22)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그 내부에 저수공간(32)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우측면판(24)에 형성되는 격막(31)은 제2 우측면판(24)과 제2 정면판(21), 제2 후면판(22)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그 내부에 저수공간(32)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적층식 화분(50)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적층식 화분(50)의 적층은 도 8에서와 같이 하측에 배치되는 화분(50)을 구성하는 제1 바디(10)의 제1 결합판(15)에 형성된 제1 결합홀(15a)에 그 위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화분(50)의 제2 바디(20)에 형성되는 제2 결합판(25)의 제2 결합홀(25a)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도 9 내지 10에서와 같이 다수의 화분(50)을 다단 형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녹화 시설물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녹화 시설물(200)은 프레임부(110), 주 식재부(120), 하부 구조물(130), 태양광 발전부(140), 점적관수부(150), 차양막부(160)가 모두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 및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녹화 시설물(200) 설치에 따른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 식재부(120), 하부 구조물(130)에 형성된 하부 화분(133)이 모두 프레임부(110)에 결합된 형태로서 하부 구조물(130)에 형성된 벤치 구조물(132)에 의해 쉼터의 역할을 위한 구성과 조경시설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잠적관수부(150)가 하부 구조물(130)의 물 저장공간(131a)에 연결되어 물 저장공간(131a) 내의 물을 주 식재부(120)의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 상부 화분(122) 및 하부 구조물(130)의 하부 화분(133)에 식생하는 식물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도록 수중펌프(156)가 작동하여 자체적으로 식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의 수중펌프(156)는 전원공급이 필수적인데 본 고안은 태양광 발전부(140)를 이용하여 수중펌프(15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자체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설치시 전원 공급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하지 않아도 되어 자유로운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이는, 본 고안의 위치 선정이 완료되어 시공을 한 후에 이를 다른 위치에 옮기더라도 전원 공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이 또한 위치 선정에 자유로우며,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 시설물을 철거한 후 신설로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차양막부(160)의 차양막 프레임(161)에 물유도홈(161a)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프레임부(110)의 수직 프레임(112)에는 제1 이동홀(112a)에 결합되어 물 저장공간(131a)과 연결된 물 유도관(114)을 구성하여 우천시 빗물을 하부 구조물(130)의 물 저장공간(131a)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물 조정공간(131a)에 물을 채워주는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유지관리도 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저장공간(131a)으로 빗물을 이동시키는 물 유도관(114)은 물 저장공간(131a)에 배치시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물 저장공간(131a)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도록 작용함으로써 물의 pH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주 식재부(120)의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에 결합하는 척층식 화분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화분(50)은 식물 식생에 필요한 흙을 채운 후 적층식 화분(50)을 구성하는 제2 바디(20)의 제2 공간부(26) 중앙에 다른 하나의 화분(5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바디(10)를 배치하되, 각각의 제1, 2 바디(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결합판(15, 25)에 형성된 제1, 2 결합홀(15a, 25a)에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도면에 미도시)을 체결하여 다수의 화분(5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적층식 화분(50)을 다단 형태로 적층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제한되어 있는 공간 내에서 다량의 식물을 식생시킬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적층식 화분(50) 내에 식재되는 식물의 잎사귀나 줄기 부분은 도 4에서와 같이 제2 바디(20)의 제2 공간부(26)에 배치되며 식물의 뿌리 부분은 제1 바디(10)의 제1 공간부(16)에 배치된다.
따라서, 잠적관수부(150)를 이용해 각각의 적층식 화분(50)에서 식재되는 식물에 물을 주게 되면 제2 바디(20)의 제2 공간부(26) 내의 흙으로 물이 흡수되어 제1 바디(10)의 제1 공간부(16)의 흙까지 물의 공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잠적관수부(150)를 통해 공급하는 물의 양이 많게 되면 제1 바디(10)의 뿌리 및 수분 연통구(14a)를 통해 그 밑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식 화분(50)으로 수분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뿌리 및 수분 연통구(14a)는 흐르는 수분을 이동시키는 이동로로도 사용이 되지만 적층된 적층식 화분(50)과 적층식 화분(50)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로도 이용된다.
즉, 통상적으로 흙에 물을 뿌리면 일정량의 수분을 머금은 흙은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못해 다른 위치의 흙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분을 머금은 흙의 경우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흙으로 물이 공유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뿌리 및 수분 연통구(14a)를 통해 화분(50)과 화분(50)의 흙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흐르는 물이 이동하는 이동로로도 사용이 되지만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한 흙이 다른 위치의 화분(50)에 담겨진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식물 식재시 필요한 물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식물이 자라남에 따라 뿌리도 이와 비례하여 자라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은 주지하다시피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적층식 화분(50)을 적재하였기 때문에 뿌리 생육에 필요한 공간이 협소해질 수 있다.
이때에, 상술한 뿌리 및 수분 연통구(14a)는 식물의 뿌리가 그 밑에 배치된 화분(50)의 제2 바디(20)에 형성된 제2 공간부(26)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여 뿌리 생육에 필요한 공간을 제한된 공간 내에서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화분(50)을 다단 형태로 적층하여 식물을 생육하게 된다.
이럴 경우, 각각의 적층식 화분(50) 내에 공급되는 물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최 하측의 화분(50)에는 물이 과잉공급이 되지만 그 위로 적층되는 화분(50) 들에는 물이 부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물의 식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제1, 2 바디(10, 20) 사이에 일부 물이 저수될 수 있도록 저수공간부(30)를 형성하여 관수되는 물 중 일부가 제2 바디(20)의 제2 공간부(26) 내에 머물러 있다가 그 주변의 흙이 수분이 떨어질 경우 저수공간부(30)의 저수공간(32)에 위치한 물을 머금은 흙에 의해 그 주변에 존재하는 흙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 생육을 원할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적층식 화분(50)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의 이식 및 보관시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에 기재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50 : 화분
10 : 제1 바디
11 : 제1 정면판 12 : 제1 후면판
13 : 제1 좌측면판 14 : 제1 우측면판
14a : 뿌리 및 수분 연통구
15 : 제1 결합판 15a : 제1 결합홀 16 : 제1 공간부
20 : 제2 바디
21 : 제2 정면판 22 : 제2 후면판 23 : 제2 좌측면판
24 : 제2 우측면판 25 : 제2 결합판 25a : 제2 결합홀 26 : 제2 공간부
30 : 저수공간부
31 : 격막 32 : 저수공간
110 : 프레임부
111 : 하부 지지프레임 111a : 하부하분 거치대
112 : 수직 프레임 112a : 제1 이동홀 112b : 물 유입홀
113 : 수평 프레임 113a : 제2 이동홀140
114 : 물 유도관
120 : 주 식재부
121 : 적층식 화분 결합부 122 : 상부 화분
130 : 하부 구조물
131 : 수조 구조물 131a : 물 저장공간
132 : 벤치 구조물 132a : 타공부 132b : 덮개판
133 : 하부 화분
140 : 태양광 발전부
141 : 케이스 142 : 태양광 모듈 143 : 배터리 144 : 컨트롤러
145 : 전기 라인 146 : USB 단자
150 : 점적관수부
151 : 수직파이프 152 : 수평파이프 153 : 연결파이프
154 : 제1 점적관수 155 : 제2 점적관수 156 : 수중펌프
160 : 차양막부
161 : 차양막 프레임 161a : 물유도홈 162 : 차양판
170 : 마감재
200 : 친환경 녹화 시설물

Claims (3)

  1. 하측으로는 한쌍의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지지프레임(1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111)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제1 이동홀(112a)을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1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112) 사이를 연결하되 내측에 제2 이동홀(113a)을 형성하고 있는 수평 프레임(113)이 형성되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대칭된 구조로 배치되는 한쌍의 프레임부(110);
    상기 한쌍의 프레임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부(110)의 수직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113)에 고정결합하되, 수직 프레임(112) 사이에는 다수의 적층식 화분(50)을 결합하기 위한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를 형성하고, 수평 프레임(113) 사이에는 상부 화분(122)을 형성하고 있는 주 식재부(120);
    상기 프레임부(110)의 하부 지지프레임(111)이 지지되며 내측에 물 저장공간(131a)을 형성한 수조 구조물(131)과,
    상기 수조 구조물(131) 외측에 형성되되 주 식재부(120)의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는 상단에 타공부(132a)가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132a) 타측의 상단만 수조 구조물(131)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덮개판(132b)이 형성되고, 수조 구조물(131)과 맞닿아 결합하는 면과 하측면만 타공되어 있는 벤치 구조물(132)과,
    상기 벤치 구조물(132)의 타공부(132a)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어 수조 구조물(131) 내측의 물 저장공간(131a)에 일부가 잠기는 하부 화분(133)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하부 구조물(130);
    상기 프레임부(110)의 수평 프레임(113)에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부(140);
    상기 하부 구조물(130)을 구성하는 수조 구조물(131)의 물 저장공간(131a)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되 프레임부(110)의 수직 프레임(112)에 형성된 제1 이동홀(113a) 내에 삽입되어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수직파이프(151)와 상기 수직파이프(15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수평 프레임(113)의 제2 이동홀(113a) 내에 삽입되어 상부 화분(12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수평파이프(152)와, 상기 수평파이프(152)들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53)와 상기 수직파이프(151)에서 각각의 적층식 화분(5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점적관수(154)와 상기 수평파이프(152)에서 주 식재부(120)의 상부 화분(12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점적관수(155) 및 수조 구조물(131)의 물 저장공간(131a) 내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수직파이프(151) 중 제1 점적관수(154)가 형성되지 않은 수직파이프(151)의 일단에 결합하는 수중펌프(156)로 이루어진 점적관수부(150);
    상기 주 식재부(120)의 적층식 화분 결합부(121) 및 상부 화분(122)에 형성되는 마감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통행자들이 쉴 수 있는 쉼터를 제공 및 주 식재부(120) 및 하부 구조물(130)의 식생 공간을 제공하되, 하부 구조물(130)의 수조 구조물(131)의 내의 물을 순환시켜 식물의 식생시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녹화 시설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10)의 수직 프레임(112)에는 외측과 제1 이동홀(112a)과 연결할 수 있는 물 유입홀(112b)을 형성하고, 일단은 상기 물 유입홀(112b)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 구조물(130)의 수조 구조물(131) 내에 형성된 물 저장공간(131a)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되 한쌍의 수직 프레임(112)에 형성된 제1 이동홀(112a) 내에 삽입 배치되는 물 유도관(114)을 형성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14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차양막 프레임(161)과 상기 차양막 프레임(161)에 결합하는 강화유리 재질의 차양판(16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차양막 프레임(162)의 가장자리에는 물유도홈(161a)이 형성되어 프레임부(110)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2)의 물 유입홀(112b)과 연결되는 차양막부(160);를 더 포함하여, 우천시 차양막부(160)로 떨어지는 빗물을 물 유입홀(112b)로 유입시키되 유인한 물이 물 저장공간(131a)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공급하도록 하여 물의 pH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녹화시설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식재부에 결합하는 다수의 적층식 화분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정면판(11)과 제2 후면판(12)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정면판(11)과 제1 후면판(12) 사이에 형성되어 하측부분이 막힌구조가 되도록 결합하되, 일측으로 하나 이상의 뿌리 및 수분 연통구(13a, 14a)를 포함하는 제1 좌, 우측면판(13, 14)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면판(11)과 제1 후면판(12)의 상측으로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결합홀(15a)을 포함하는 제1 결합판(1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으로는 제1 공간부(16)를 형성하고 있는 제1 바디(10);
    상기 제1 바디(10)의 제1 정면판(11)과 제1 후면판(12)에 형성된 제1 결합판(15)에 결합되는 제2 정면판(21)과 제2 후면판(22)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 측면으로는 제1 바디(10)의 제1 좌, 우측면판(13, 14)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제2 정면판(21) 및 제2 후면판(22)에 결합하는 제2 좌, 우측면판(23, 24)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정면판(21) 및 제2 후면판(22)의 상측으로는 제1 바디(10)의 제1 결합판(15)에 형성된 제1 결합홀(15a)과 대응하는 제2 결합홀(25a)을 포함하고 있는 제2 결합판(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제2 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바디(20);
    상기 제1 바디(10)의 제1 좌, 우측면판(13, 14)에서 제2 바디(20)의 제2 공간부(26)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격막(31)을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32)을 포함한 저수공간부(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녹화시설물.
KR2020170002545U 2017-05-24 2017-05-24 친환경 녹화 시설물 KR200484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45U KR200484512Y1 (ko) 2017-05-24 2017-05-24 친환경 녹화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45U KR200484512Y1 (ko) 2017-05-24 2017-05-24 친환경 녹화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12Y1 true KR200484512Y1 (ko) 2017-09-14

Family

ID=6057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45U KR200484512Y1 (ko) 2017-05-24 2017-05-24 친환경 녹화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1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616A (ko) * 2009-08-14 2011-02-22 (주)비에프조경개발 파고라
KR101686022B1 (ko) * 2014-03-31 2016-12-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 저장 이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616A (ko) * 2009-08-14 2011-02-22 (주)비에프조경개발 파고라
KR101686022B1 (ko) * 2014-03-31 2016-12-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다목적 빗물 저장 이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129U (ja) モジュール化可能なソーラエネルギ施設の温室棚
JP3218810U (ja) 栽培箱と栽培箱を利用した植物栽培機
JP5459686B2 (ja) 組み立て式造景システム
JP2017522042A (ja) 垂直植物配列のためのアセンブリ
KR101462831B1 (ko) 태양전지와 우수 저류가 가능한 녹화장치
CN201213392Y (zh) 一种由阴棚、阳棚组合而成的多功能温室大棚
CN102177821B (zh) 一种结合功能挡板的立体绿化装置及方法
CN106613445B (zh) 基于人居环境空间的立体景观装置
WO2019239739A1 (ja) ソーラーハウス
CN204518614U (zh) 用于墙体绿化的速拼模块
CN211020368U (zh) 一种市政园林道路立体绿化养护装置
KR102092127B1 (ko) 다층재배용 점적강우관수 벙커식 비닐하우스 장치
CN107455310A (zh) 一种可移动鱼缸花盆一体架
CN103960077A (zh) 立体生态种植屋
KR20110117379A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KR101709680B1 (ko) 태양광 발전식 창문 융합형 식물공장 시스템
KR200484512Y1 (ko) 친환경 녹화 시설물
CN209742427U (zh) 适用于森林公园或湿地公园环境的多功能节能景观廊架
KR101043958B1 (ko) 조립식 벽면 조경시스템
KR102506956B1 (ko) 수막층을 이용한 저전력 고효율 피복 구조
KR101618955B1 (ko) 다중격실이 구비되는 지하온실
CN106121096B (zh) 串联半弧滑动遮阳罩玻璃幕墙
KR20090124475A (ko) 농업용 하우스와 그 설치방법
CN212013727U (zh) 一种立体生态节能种植系统
CN207692527U (zh) 一种具有复合膜的大棚蔬菜保温增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