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65Y1 -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 Google Patents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65Y1
KR200484265Y1 KR2020160002139U KR20160002139U KR200484265Y1 KR 200484265 Y1 KR200484265 Y1 KR 200484265Y1 KR 2020160002139 U KR2020160002139 U KR 2020160002139U KR 20160002139 U KR20160002139 U KR 20160002139U KR 200484265 Y1 KR200484265 Y1 KR 200484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scraper
pad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1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명하
Original Assignee
(주)에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코 filed Critical (주)에코코
Priority to KR2020160002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2Conveying equipment mounted on a dredg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18Gathering means for material falling from the conveyor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굴착기 암이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낙탄 제거를 위한 스크레퍼가 설치된 굴착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육각의 파이프 구조로서, 외부 일측에 굴착기 암이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내곽과 대응하는 외곽을 가지는 육각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내곽에 대응하는 외곽을 가지며 단부에 낙탄 제거를 위한 상기 스크레퍼가 설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사이 각각에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신장부가 설치되어 상호 중첩되는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육각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 사이를 기밀하게 구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오염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 charcoal using an excavator provided with a main body,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an excavator arm is coup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craper for removing charcoal at the other side, wherein the main body has a hexagonal pipe structure, A first fram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excavator arm is coupled; A second frame having a hexagonal pipe structure having an out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inner frame of the first frame; And a third frame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frame and provided with the scraper for removing charcoal at an end thereof, wherein the third frame is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between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a length of the slider is extended or restored by sliding the slider to overlap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rames constituting the main body has a hexagonal pipe structure,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rames is improved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contamination.

Description

굴삭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육각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 사이를 기밀하게 구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오염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각 프레임에 지면과 접촉하는 캐스터가 설치되어, 지면을 지지하여 신장 및 신축되도록 하여 자중에 의한 굴곡과 굴삭기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굴삭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an excavator.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frames constituting the main body has a hexagonal pipe structure, and airtightness is formed between the frames to improve durability and damage due to contamin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burden,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caster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each frame, to support the ground, to stretch and expand and contract, and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excavator and excavator ≪ / RTI >

일반적으로 낙탄 제거장치는 석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기능장애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근래에 들어 중장비에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fire-fighting device is used to prevent a malfunction or damage of a conveyer for conveying coal, and has be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heavy equipment in recent years.

이러한 낙탄 제거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1305호 굴삭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이하 '선행문헌'이라 함)가 등록된 바 있다.Such a fire-fighting device has been register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313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using an excavator.

선행문헌은 굴삭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의 상기 암 하부에 지지되며, 한쪽 측면이 한쌍의 상기 걸림 연결체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암의 작동에 따라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굴삭기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직선 왕복 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낙탄이 제거되는 일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타측 방향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와 힌지 결합되어 복수의 링크가 X자 형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접히고, 펼쳐지면서 타측과 일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폴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부의 일측 끝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낙탄을 밀어서 제거하는 버킷부를 구성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낙탄의 발생 위치에 따라 이동되는 굴삭기에 설치되어 굴삭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낙탄이 제거되는 방향으로 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어 제거력이 향상될 수 있고, 낙탄 제거 시에 낙탄의 유입을 최소화하면서 낙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고안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an excavator, which comprises a body portion suppor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rm of the excavator and having one side held by a pair of the engaging members and adjusted in height and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rm, A driving unit disposed in the body and hinged to the body to provide power to the excavator to receive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 plurality of links hinged to the driv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direction is hing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are hinged to each other in an X-shape and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n one direction, fold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 folding portion whose length is adjusted to be linearly reciprocated in a direction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other side, And a bucket unit hinged to one end of the folding unit to move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y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o push and remove the flame. The bucket unit is installed on an excavator The power of the excavator is received and the power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coal is removed so that the removing power can be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removing the charcoal can be improved while minimizing the inflow of the charcoal at the time of removing the charcoal. .

그러나 선행문헌은 구조(폴딩부)가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신장 시, 자중에 의해 편향된 버킷부의 굴절이 우려되고, 특히,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장치는 물론, 지면이 훼손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tructure (folding part) is complicated,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when it is stretched, the deflection of the bucket part deflected by its own weight is concerned, and in particular, the apparatus and the ground may be damaged due to friction with the ground .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면서, 편향된 단부에 대한 굴절을 예방할 수 있는 낙탄 제거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굴절 예방은 물론,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과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낙탄 제거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fire-fight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refraction of deflected ends while being easy to manufacture. Particularly, development of a fire-fight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impact and friction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as well as refraction This is desperate.

등록특허 제10-1331305호Patent No. 10-1331305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육각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 사이를 기밀하게 구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오염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굴착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nge structure in which each frame constituting a main body has a hexagonal pipe structure, Which is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caused by pollu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스크레퍼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지면을 지지하여 신장 및 복원되도록 하여 자중에 의한 굴곡과 굴삭기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낙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ter on a main body and a scraper so that the caster can be supported on the ground to extend and recover, thereby minimizing bending due to its own weight and minimizing load applied to an excavato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부와 스크레퍼가 브래킷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낙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figh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by attaching a sealing part and a scraper detachably through a bracke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굴착기 암이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낙탄 제거를 위한 스크레퍼가 설치된 굴착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육각의 파이프로서, 외부 일측에 연결부가 마련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내곽에 대응하는 외곽을 가지는 파이프이며, 상기 제1 프레임 내곽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내곽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낙탄 제거를 위한 스크레퍼가 설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중 선택되는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강제시키는 신장부;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moving a charcoal using an excavator having a main body,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an excavator arm is coup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craper for removing charcoal at the other side, 1. A pipe comprising: a first fram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on an outer side thereof; A second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frame of the first frame, the out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inner frame of the first frame; A third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frame of the second frame and provided with a scraper for removing charcoal at an end thereof; And an extension uni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forcing the slide movement.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단부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ealing portion provided 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end portion.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패드를 사이에 두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flange provided 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end; And a pad bracket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pad.

상기 패드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스크레퍼 사이에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hird frame and the scraper.

상기 신장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을 강제시키는 제1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을 강제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etch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ylin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end engaged with the second frame to force the slide movement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second cylin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third frame to force the slide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상기 스크레퍼는, 적어도 상부에 낙탄의 오버플로를 제한하기 위한 확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crap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for restricting overflow of the flame to at least the upper portion.

상기 확장부는, 상기 스크레퍼와 다른 곡면을 가지며, 상기 스크레퍼와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xtending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craper, and is integrally or separably formed with the scraper.

상기 본체는, 지면과 맞닿는 일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caster installed on one surface contacting the ground.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육각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 사이를 기밀하게 구성하여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오염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frame constituting the main body has a hexagonal pipe structure,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rames is improved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contamination.

또한, 본 고안은 본체와 스크레퍼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지면을 지지하여 신장 및 복원되도록 하여 자중에 의한 굴곡과 굴삭기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that the caster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the scraper so as to support the ground and extend and rest, thereby minimizing the bending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load applied to the excavator.

또한, 본 고안은 실링부와 스크레퍼가 브래킷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art and the scraper are detachably installed through the bracket, so that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은 내구성 향상과, 훼손의 최소화를 통해, 작업의 연속성이 유지되고, 따라서 컨베이어의 훼손을 예방하여 결국 안정적 화력발전을 통해 지속된 전기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ontinuity of operation by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minimizing the damage, an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electric generation can be sustained through the stable thermal power generation by preventing the conveyor from being damag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싱예에 따른 낙탄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seal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tretch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n exten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Therefore, It should be reduced.

또한, 본 고안의 낙탄 제거장치는 컨베이어 이송중 낙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될 수 있는 곡물 내지는 분말(예를 들어, 시멘트 내지는 모래 등)의 제거 작업은 물론, 대상물을 밀어내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낙탄 제거에 한정되지 아니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removing charco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removing charcoal during conveyor transfer, but also for removing grains or powder (e.g., cement or sand) that can be conveyed through a conveyo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removal of the charcoa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낙탄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evice for removing a charco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ain body.

도시된 바와 같이 낙탄 제거장치(100)는 본체(110), 본체(110) 일측에 마련되어 굴착기(미도시)와 결합되는 연결부(120) 및 본체(110) 타측에 마련되어 낙탄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퍼(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harcoal removal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connection part 1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be coupled to an excavator (not shown), and a scraper 130).

연결부(120)는 굴삭기의 암이 결합되는 통상의 연결수단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a conventional connecting means to which the arm of the excavator is couple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체(110)는 다수의 마디가 안테나와 같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신장부(140)를 통해 길이가 신장되거나 복원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main body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slidably coupled together as an antenna, and the length is elongated or restored through the stretching part 140.

이러한 본체(110)는 다수의 마디로서, 연결부(120)가 마련된 제1 프레임(111), 제1 프레임(111)과 중첩되도록 슬라이드 결합하는 제2 프레임(113) 및 제2 프레임(113)과 중첩되도록 슬라이드 결합되고 단부에 스크레퍼(130)가 설치된 제3 프레임(115)을 포함하며, 각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3) 및 제3 프레임(115)은 육각의 파이프 구조를 가진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 first frame 111 having a connection portion 120, a second frame 113 and a second frame 113 slidingly coupled with the first frame 111, The first frame 111, the second frame 113, and the third frame 115 have a hexagonal pipe structure. The first frame 111, the second frame 113, and the third frame 115 have a hexagonal pipe structure. I have.

육각의 파이프 구조는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특히 굽힘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데, 이는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영역에 각각 굴절부(b)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굴절부(b)는 도 2에서 제3 프레임(115)을 통해 도시하였으나, 제1 프레임(111)은 물론 제2 프레임(113)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제3 프레임(115)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hexagonal pipe structure is not only excellent in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but also excellent in resistance to bending stresses because there is a refraction part b in each of regions where tensile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re generated. 2, the refraction portion b is formed through the third frame 115 as well as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3. In the third frame 115, .

이러한 굴절부(b)는 상부에 형성된 제1 굴절부(b1)와 하부에 형성된 제2 굴절부(b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efracting portion b includes a first refracting portion b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refracting portion b2 formed on the lower portion.

제1 굴절부(b1)는 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을, 제2 굴절부(b2)는 압축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refracting portion b1 is for increasing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load and the second refracting portion b2 is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compressive stress.

따라서 적어도 종래와 같이 사각 파이프 구조의 프레임보다는 내구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굽힘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므로, 작업의 연속성과 지속성을 높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Therefore, not only the durability is better than that of the square pipe structure as in the conventional art, but also the bending stress resistance is excellent, so that the continuity and continuity of the work can be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ncreased.

제1 프레임(111)은 육각의 파이프로서, 상부 일단에 연결부(120)가 마련되고, 그 단부는 폐쇄된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프레임(113)은 제1 프레임(111) 내곽에 대응하는 육각의 파이프 구조이고 제1 프레임(111)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 프레임(115)은 제2 프레임(113) 내곽에 대응하는 외곽을 가지고 제2 프레임(113)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스크레퍼(130)가 설치된다.The first frame 111 is a hexagonal pipe having a connecting portion 120 at an upper end thereof and is preferably closed at an end thereof and the second frame 113 has a hexa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5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second frame 113 with the out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inner frame of the second frame 113, A scraper 130 is installed.

한편,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3) 각 단부에 기밀함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60)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3, a sealing portion 160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3 to seal the spac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seal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링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3) 단부(신장되는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161) 및 플랜지(161)와 패드(163)를 사이에 두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 브래킷(1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ling portion 160 includes a first frame 111, a flange 161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frame 113 (a longitudinal end portion extending), and a flange 161 provided between the flange 161 and the pad 163 And a pad bracket 165 detachably coupled.

플랜지(161)는 확장된 단부로서, 내곽과 외곽 사이에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천공은 패드(163)와 패드 브래킷(165)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flange 161 is an expanded end,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ies, and the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pad 163 and the pad bracket 165 in the same manner.

이러한 천공은 패드(163)를 사이에 두고 플랜지(161)와 패드 브래킷(165)의 기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인 것이며, 체결은 패드(163)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통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인 것이 바람직하다.This punching is a fastening hole for allowing airtight coupling between the flange 161 and the pad bracket 165 with the pads 163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s and nuts are fastened.

패드(163)는 기밀부재로서, 도 3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1)의 내곽과 제2 프레임(113)의 외곽 사이와 제2 프레임(113)의 내곽과 제3 프레임(115)의 외곽 사이가 기밀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ad 163 is a hermetic membe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outer frame of the second frame 113, the inner frame of the second frame 113, 115 are made airtight.

이러한 패드(163)는 외곽이 플랜지(161) 외곽에 대응하며, 내곽은 도 3a에 나타낸 패드(163)일 경우, 제2 프레임(113)의 외곽에 대응하고, 도 3b에 나타낸 패드(163)는 제3 프레임(135)의 외곽에 대응하는 내곽을 가진다.The pad 163 corresponds to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161 and the inner edge corresponds to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frame 113 when the pad 163 is the pad 163 shown in FIG. Has an inner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frame 135.

또한, 패드(163)는 도 3c와 같이 제3 프레임(115)의 플랜지(161)와 패드 브래킷(165) 사이에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구조에서의 기밀성은 물론, 결합관계에서의 기밀함이 배가되도록 하였다.3C, the pad 163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ange 161 of the third frame 115 and the pad bracket 165. The pad 163 may be configured to have airtightness in the slide structure, This was to be doubled.

이때, 패드(163)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라텍스 내지는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그 조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163 is any one selected from rubber, urethane, silicone, latex or synthetic resin,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도 4와 같이 본체(110)의 길이 신장과 복원을 강제하는 신장부(140)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3) 사이에 설치된 제1 실린더(141)와, 제2 프레임(113)과 제3 프레임(115)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실린더(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a stretching unit 140 for stretching and restoring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first cylinder 141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3, And a second cylinder 143 installed between the frame 113 and the third frame 115.

제1 실린더(141)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3) 외곽에 설치되어 제2 프레임(113)의 신장과 복원을 강제시킨다.The first cylinder 141 is installed outside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3 to force the extension and restoration of the second frame 113.

이러한 제1 실린더(141)는 실린더 브래킷(145)을 통해 일단이 제1 프레임(111)과, 타단이 제2 프레임(113)과 결합된다.One end of the first cylinder 141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ylinder 141 is coupled to the second frame 113 through the cylinder bracket 145.

제2 실린더(143)는 제2 프레임(113)과 제3 프레임(115) 내곽에 설치되어, 제3 프레임(115)의 신장과 복원을 강제시킨다.The second cylinder 143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113 and the third frame 115 to force extension and restoration of the third frame 115.

이러한 제2 실린더(143)는 낙탄과의 접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낙탄과의 마찰로 인하여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시, 제1 실린더(141)와 같이 실린더 브래킷(145)을 통해 일단은 제2 프레임(113)에, 타단은 제3 프레임(115)에 설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Since the second cylinder 143 is frequen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ame and is likely to be damaged due to friction with the fl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ylinder 143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cylinder 141, It is very preferable that one end is provided to the second frame 113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the third frame 115 through the cylinder bracket 145. [

한편, 본체(110)는 신장부(140)에 의해 신장되거나 복원 시, 지면과 마찰이 발생하며, 그로 인해, 스크레퍼(130)는 물론, 지면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body 110 is stretched or restored by the stretching part 140, friction with the ground occurs,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ground surface as well as the scraper 130 may be damaged.

이러한 문제는 작업의 지연과 그로 인한 효율 저하는 물론, 정비로 인한 비용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Such problems may cause problems such as delays in work and lowering of efficiency, as well as cost incurred due to maintenance.

이에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및 스크레퍼(130) 각 측면에 다수의 캐스터(150)를 더 설치함으로써, 지면과 본체(110) 사이 마찰과 훼손을 최소화시켜 작업의 연속성 내지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5, a plurality of casters 150 are further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craper 130 to minimize friction and damage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체(110) 및 스크레퍼(130)가 지면을 지지하여 신장 및 복원되므로, 자중에 의한 굽힘응력을 분산시켜 본체의 훼손을 배제시키고, 나아가, 굴삭기로 가해지는 하중과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110 and the scraper 130 are stretched and restored by supporting the ground, bending stress due to their own weight is dispersed so as to exclude damage to the main body. Further, the load and load applied to the excavator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스크레퍼(130)를 이용하여 낙탄을 제거할 때, 낙탄의 오버플로가 제한되도록 하는 확장부(131)가 더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carifier 130 is used to remove the charcoal, an extension portion 131 is provided to limit the overflow of the charcoal.

확장부(131)는 스크레퍼(130)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확장패드(133)와 확장패드(133)를 고정시키는 확장 브래킷(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tension portion 131 includes an extension pad 133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scraper 130 and an extension bracket 135 for fixing the extension pad 133.

확장패드(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낙탄의 높이가 스크레퍼(130)의 높이를 넘어 적어도 상부를 통한 오버플로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퍼(130)의 연장된 형태이거나, 일정높이 이상을 적층이 제한되도록 소정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extension pad 133 is for preventing the overflow from being blocked at least above the height of the scarper 130 as shown in the figure, and may be an extended form of the scraper 130 as shown, And may be made of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so that the lamination is limited to a height or more.

확장 브래킷(135)은 확장패드(133)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스크레퍼(1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천공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xpansion bracket 135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scraper 130 to facilitat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expansion pad 133.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bracket 135 is a bolt-nut fastened by perforation.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확장부(131)는 도시된 형태와 같이 스크레퍼(130)의 상부는 물론, 측면에 형성되어, 낙탄의 제거 영역을 확장시키거나, 낙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xtension part 13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craper 130 as well as on the side of the scraper 130 to extend the removal area of the flame or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flame .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table 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낙탄 제거장치 110 : 본체
111 : 제1 프레임 113 : 제2 프레임
115 : 제3 프레임 120 : 연결부
130 : 스크레퍼(scraper) 131 : 확장부
133 : 확장패드 135 : 확장 브래킷
140 : 신장부 141 : 제1 실린더
143 : 제2 실린더 145 : 실린더 브래킷
150 : 지지부 151 : 캐스터
153 : 캐스터 브래킷 160 : 실링부
161 : 플랜지 163 : 패드
165 : 패드 브래킷
100: a charcoal removing device 110:
111: first frame 113: second frame
115: Third frame 120: Connection
130: scraper 131:
133: extension pad 135: extension bracket
140: Extension portion 141: First cylinder
143: Second cylinder 145: Cylinder bracket
150: support 151: castor
153: caster bracket 160: sealing part
161: flange 163: pad
165: Pad Bracket

Claims (8)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굴착기 암이 결합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낙탄 제거를 위한 스크레퍼가 설치된 굴착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육각의 파이프로서, 외부 일측에 연결부가 마련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내곽에 대응하는 외곽을 가지는 파이프이며, 상기 제1 프레임 내곽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내곽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낙탄 제거를 위한 스크레퍼가 설치되는 제3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중 선택되는 적어도 일 영역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강제시키는 신장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단부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패드를 사이에 두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드에는 천공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과 동일한 위치에 천공을 갖는 플랜지와 패드 브래킷의 사이에서 상기 천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패드는 제1 프레임의 내곽과 제2 프레임의 외곽 사이 및 제2프레임의 내곽과 제3프레임의 외곽 사이가 각각 기밀하도록 하되,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
And a scraper for removing charcoal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excavator arm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The main body includes:
A hexagonal pipe comprising: a first frame having a connecting portion on one side thereof;
A second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frame of the first frame, the out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inner frame of the first frame;
A third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frame of the second frame and provided with a scraper for removing charcoal at an end thereof;
A stretching uni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of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to force the slide movement; And
And a sealing portion provided 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end,
The sealing portion
A flange provided 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end; And
And a pad bracket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pad,
Wherein the pad is formed by a bolt passing through the perforation and a nut fastened to the bolt between a flange having a perforation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erforation and a pad bracket,
The pads are configured to seal between the inner frame of the first frame and the outer frame of the second frame and between the inner frame of the second frame and the outer frame of the third frame, And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excav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스크레퍼 사이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낙탄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includes:
And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third frame and the scra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60002139U 2016-04-20 2016-04-20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KR2004842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39U KR200484265Y1 (en) 2016-04-20 2016-04-20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39U KR200484265Y1 (en) 2016-04-20 2016-04-20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65Y1 true KR200484265Y1 (en) 2017-08-18

Family

ID=6062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139U KR200484265Y1 (en) 2016-04-20 2016-04-20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6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093B1 (en) * 2019-10-29 2020-02-19 선우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from the pi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357U (en) * 1981-08-11 1983-02-17 株式会社クボタ Telescopic arm for earthworks
JPH03206215A (en) * 1989-10-18 1991-09-09 Toshihito Okamoto Machine for processing slope face
JPH0596679U (en) * 1991-12-24 1993-12-27 株式会社明星金属工業所 Telescopic flange type pipe joint
KR960018071A (en) * 1994-11-26 1996-06-17 정몽원 Snow removing device
KR101331305B1 (en) 2013-07-05 2013-11-20 석원산업 주식회사 Removing device of fallen coal using excav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357U (en) * 1981-08-11 1983-02-17 株式会社クボタ Telescopic arm for earthworks
JPH03206215A (en) * 1989-10-18 1991-09-09 Toshihito Okamoto Machine for processing slope face
JPH0596679U (en) * 1991-12-24 1993-12-27 株式会社明星金属工業所 Telescopic flange type pipe joint
KR960018071A (en) * 1994-11-26 1996-06-17 정몽원 Snow removing device
KR101331305B1 (en) 2013-07-05 2013-11-20 석원산업 주식회사 Removing device of fallen coal using exca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093B1 (en) * 2019-10-29 2020-02-19 선우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from the pi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891212U (en) Geotechnical engineering uses multi-functional supporting device
KR200484265Y1 (en) Fallen coal removing device using excavator
US9534372B2 (en) Vehicle-actuated weather barrier apparatus
KR200473182Y1 (en) Friction pendulum bearing
CN204803754U (en) Bridge expansion joint structure
CN108532454A (en) Highway-bridge Expansion Joints construct
CN208632894U (en) A kind of building ground expanded joint structure
CN105873837A (en) Conveyor belt scraper
CN110206329A (en) A kind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protection device
CN210264771U (en) Sleeve connecting rod type anti-impact support
KR100829006B1 (en)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structure
KR101212516B1 (en)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of tension cylinder
CN105862583A (en) Non-dismantling replaceable comb plate telescopic device
KR102017851B1 (en) Quick Clamp Apparatus Capable of Vibration Reduction
CN214596617U (en) Disinfection sprays mounting structure
CN208716740U (en) A kind of electronic jacking machine
CN205397251U (en) Overlay type belt feeder dust cover assembly
KR101630927B1 (en)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and assist muscular robot having thereof
CN205123127U (en) Thing protector is weighed down in operation of improvement type electric power
CN203782541U (en) Transverse elastic limiting device of bridge
CN206936317U (en) A kind of sweep-up pipe crosshead for centrifugal casting moulded barrel cleaning
JP6879583B2 (en) Joint cover material and telescopic joint device for floor
CN107736324B (en) Support arm structure of medicine spraying vehicle
JP2017115496A (en) Telescopic device
CN105839525B (en) One kind uses flexible bridge expanssion joint clad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