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97Y1 -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 Google Patents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97Y1
KR200484197Y1 KR2020160004509U KR20160004509U KR200484197Y1 KR 200484197 Y1 KR200484197 Y1 KR 200484197Y1 KR 2020160004509 U KR2020160004509 U KR 2020160004509U KR 20160004509 U KR20160004509 U KR 20160004509U KR 200484197 Y1 KR200484197 Y1 KR 200484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and
fingers
webbing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용
이응섭
Original Assignee
김순용
이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용, 이응섭 filed Critical 김순용
Priority to KR2020160004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이 수영할 때 손에 착용하여 손 저음에 의한 추진력을 향상시키는 수용 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손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손가락 수용부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물칼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시키는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대는 물에서 손을 저을 때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을 지지시켜 손 저음에 의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손을 움켜쥘 때에는 손가락의 굽힘이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Web-fingered hand}
본 고안은 사람이 수영할 때 손에 착용하여 손 저음에 의한 추진력을 향상시키는 수용 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손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손가락 수용부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물칼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시키는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대는 물에서 손을 저을 때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을 지지시켜 손 저음에 의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손을 움켜쥘 때에는 손가락의 굽힘이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물갈퀴라 하면 추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발에 착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리손' 또는 '물갈퀴가 달린 장갑'이라는 명칭으로 장갑의 형태를 구성하고 손가락의 사이에 물갈퀴를 구성한 제품들이 최근에는 다수 출시되어 있다.
하지만 장갑형태로 물갈퀴와 일체로 구성된 형태들의 제품들은 손가락이 자유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은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6273호는 물갈퀴를 갖는 손착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을 수용하는 하나의 구멍에 수용하고, 엄지손가락을 수용하는 구멍을 따로 구성하여 손목에 못 미쳐서 손바닥과 손등을 감싸는 형태로 손에 착용되고 고정띠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손바닥부분의 손가락과 가까운 부분에 벨크로테이프의 벨루어가 형성된 손착용구와; 탄성을 가지며 불투수성의 재질로 구성되고 손착용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벨루어에 대응하여 접착되는 크로세가 상부의 후단에 구성되고 상부의 전단에는 각각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5개의 링이 구성된 물갈퀴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손가락과 손등의 일부만을 수용하는 손착용구를 일체로 구성하여 이물감을 극소화시키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물갈퀴에 대한 물의 저항력에 비하여 장갑 형태의 수영 보조용구의 지지력이 지나치게 약하기 때문에, 손가락과 손등부가 손등 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6273호(2005.09.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773호(2002.09.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2883호(2002.04.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6976호(2000.10.05.)
본 고안은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는 단순히 장갑 형태로 구성되고,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손을 저을 때 손에 착용된 수영 보조용구가 쉽게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특히, 물갈퀴에 대한 물의 저항력에 비하여 장갑 형태의 수영 보조용구의 지지력이 지나치게 약하기 때문에, 손가락과 손등부(손에서 손가락 이외의 손부분을 이하 '손등부'라 칭함.)가 손등 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손이 내입된 수영 보조용구의 내부에 공기 또는 물이 유입된 경우에는, 수영 보조용구가 더 쉽게 손에서 벗겨지고, 특히 물이 유입된 경우에는 수영 보조용구의 내부에 채워진 물 때문에 손 저음이 힘들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손가락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손가락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가 수용되는 손등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물갈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는 손이 내입되는 몸체의 내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보강대가 구비되어, 손이 내입된 몸체를 지지시키기 때문에, 물갈퀴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에 의하여 수영 보조용구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물갈퀴에 대한 물의 저항력을 상기 보강대가 지지 가능하여, 손가락과 손등부가 손등 방향으로 꺾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손등 수용부 중에서 손목이 내입되어 위치되는 부분에 수밀턱이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공기 또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몸체에 손등 수용부와 외부를 통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조절밸브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유입된 공기 또는 물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시켜, 수영 보조용구의 벗겨짐을 방지하고, 손 저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의 손 저음 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의 평상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를 착용한 손의 일부(손가락을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를 착용한 손의 일부(손가락을 움켜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통공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기밀턱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보강리브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의 손가락 보강대가 손가락 보강대 유닛을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10a, 10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요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에어벤트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고안은 사람이 수영할 때 손에 착용하여 손 저음에 의한 추진력을 향상시키는 수용 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손가락(50)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손가락(50)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51)가 수용되는 손등 수용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물갈퀴(20) 및;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가락(50)을 포함하는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강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1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의한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는 거시적으로 몸체(10), 물갈퀴(20) 및 보강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는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손가락(50)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손가락(50)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51)가 수용되는 손등 수용부(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손을 수용시키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손가락(50) 및 손가락(50)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51)로 구성되는 손의 외부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손가락(50)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와 손가락(50)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51)가 수용되는 손등 수용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가락 수용부(11)는 손가락(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및 각각의 손가락(50)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등 수용부(12)는 손바닥과 손등을 아우르는 부분 및 손목의 일부분을 아우를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외부는 손의 외부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마치 장갑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수용부에 수용된 손의 움켜줌과 펼침이 용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고무,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10)는 손가락(50) 및 손등부(51)가 내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손가락(50)에서 손이 내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10)의 일측 말단이 손목 부분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까지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손가락 수용부(11)에는 손가락(50)과 손가락 수용부(11) 내부면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복수 개의 마찰돌기(15)가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손에 착용된 본 고안에 의한 수영 보조용구는 손 저음에 의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이때, 상기 추진력은 수영 보조용구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력에 의하여 생성되고, 그 결과 물의 저항력에 의하여 수영 보조용구가 손에서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의 저항력은 하기의 물갈퀴(20)가 구비된 몸체(10) 부분에 가장 크게 작용되고, 그 결과 손가락(50)이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손가락 수용부(11)에서 쉽게 빠질 수 있는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마찰돌기(15)는 손가락 수용부(11)의 내부면과 손가락(50) 표면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손 저음 시에 물의 저항력에 의하여 손가락(50)이 손가락 수용부(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돌기(15)는 손가락 수용부(11) 내부면의 전체적인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손가락(50) 관절의 하부의 일정부분에만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마찰돌기(15)가 손가락(50) 관절 하부의 일정부분에만 형성되면, 손가락(50)을 손가락 수용부(11)에 내입시키거나 뺄 때에는 손가락(50) 표면과 상기 마찰돌기(15) 간의 마찰이 작기 때문에, 수영 보조용구의 착용과 벗음은 용이하면서 마찰돌기(15)에 의한 마찰력으로 손가락(50)이 손가락 수용부(11)에서 쉽게 빠지지는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손을 저을 때에는 손가락(50)을 일정각도 오므리게 되고, 그 때 오므려진 손가락(50)의 손가락(50) 관절 하부에는 오므림각이 형성되며, 오므림각이 형성된 손가락(50) 관절 하부 일정부분의 표면과 해당 부분에 위치되는 손가락 수용부(11)의 내부면 간에는 다른 부분보다 더 강한 마찰력이 작용되는 마찰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손가락(50) 관절 하부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복수 개의 마찰돌기(15)는 오므림각이 형성된 손가락(50) 관절 하부 일정부분의 표면과 해당 부분에 위치되는 손가락 수용부(11)의 내부면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손 저음 시에 발생되는 물의 저항력에 의하여 손가락(50)이 손가락 수용부(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손목이 내입되어 위치되는 부분에 손목의 외주와 밀착되는 수직단면이 "ㄷ" 형태의 기밀턱(13)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턱(13)은 몸체(10)의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수용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 또는 물을 차단시키는 구성으로서, 몸체(10)의 일측 말단이 손목 부분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몸체(10) 일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일측 말단이 손목보다 더 팔 쪽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기밀턱(13)은 손목의 외주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손목이 위치되는 몸체(10)의 일정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기밀턱(13)은 도 6과 같이 수용부 쪽("ㄷ" 형태의 좌측)이 닫혀 있는 상태를 가지고, 외부 쪽("ㄷ" 형태의 우측)에 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상기 홈에 의한 눌림과 펼침이 자유로워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기밀턱(13)의 이물감이 줄어들고, 외부에서 홈으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물(특히 물)에 의한 가압력이 손목이 상접되는 기밀턱(13)의 하부 부분 및 수용부 쪽 측벽 부분으로 가해져 손목에 대한 기밀턱(13)의 기밀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물갈퀴(20)는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손가락(50)을 펼친 상태로 손을 저을 때 물이 물갈퀴(20)에 걸리도록 하여 추진력을 확보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물갈퀴(20)는 손가락 수용부(11)의 길이 또는 손가락 수용부(1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형성하며 손가락 수용부(11)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몸체(10)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것을 구성되거나 몸체(10)보다 유연한 재질의 것을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50)을 접을 때에는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오므라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물갈퀴(20)에는 복수 개의 통공(16)이 형성될 수 있고, 물갈퀴(20)에 걸리는 물의 일부는 상기 통공(16)을 통하여 물갈퀴(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되어 물갈퀴(20)에 의한 물의 걸림이 지나치게 강하여 사용자의 손 저음이 힘들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대(3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가락(50)을 포함하는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물갈퀴(20)가 펼쳐지도록 손가락(50)을 벌린 상태로 물을 저을 때 물의 저항력으로 인하여 손가락(50) 및 손등부(51)의 관절이 손등 쪽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보강대(30)는 물 저음 시에 몸체(10)에 가해지는 물을 저항력으로부터 몸체(10)를 지지시키는 구성으로서, 몸체(10) 내부에 내입되어 손가락(50)을 포함하는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보강대(30)는 수용부의 하부인 몸체(10) 내부의 하부에 내입되어 손의 하부에서 손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수용부의 상부인 몸체(10) 내부의 상부에 내입되어 손의 상부에서 손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대(30)는 수용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일정의 면적을 형성하는 단일체의 형태(손바닥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폭은 좁고 길이는 긴 형태를 하는 판상의 보강대(30) 복수 개가 상호 연결되어 뼈대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보강대(30)는 일정의 강도를 가져 물의 저항력이 가해지는 손을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손을 움켜쥘 때 손의 움켜쥠이 용이하도록 일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10)보다는 강도가 더 강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보강대(30)는 평상시에는 도 1b와 같이 손과 손가락이 움켜쥔 상태를 가지도록 오므라진 상태를 유지하고, 손 저음시에는 도 1a와 같이 물의 저항력이 가해져 펼쳐지며, 손 저음이 끝난 후에는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오므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손 저음이 없을 때 상기와 같이 보강대(30)가 오므라진 상태를 가지고 손 저음이 있을 때에는 물의 저항력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구성되면, 손 저음이 없을 때에 본 발명에 의한 수영 보조용구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을 착용자의 완력에 의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대(30)는 물에 대한 저항력을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손을 움켜쥘 때에는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대(30)는 상기 손등부(51)에 해당하는 몸체(10)에 위치되되, 상기 손등부(51)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메인 보강대(31)와; 일측은 상기 메인 보강대(31)와 연결되고, 타측은 메인 보강대(31)에서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각각 쪽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손가락 수용부(11) 말단에 위치되는 손가락 보강대(32);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보강대(30)는 메인 보강대(31)와 손가락 보강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메인 보강대(31)는 상기 손등부(51)에 해당하는 몸체(10) 내부에 내입되되, 상기 손등부(51)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메인 보강대(31)는 손등 수용부(12)가 형성된 몸체(10)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일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손등부(51)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며 손등 수용부(12)에 내입된 손등부(51)의 지지하고,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의 지지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메인 보강대(31)는 손등 수용부(12)의 폭과 유사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의 일측 각각이 일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메인 보강대(31)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보강대(31)는 손등부(51)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며 몸체(10)에 내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을 오므리거나 펼칠 때 주되게 형태 변형되는 좌우 방향으로 몸체(10)가 유연하게 형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주되게 실현하면서,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손가락 보강대(32)는 손가락 수용부(11)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메인 보강대(31)에 연결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은 손가락 수용부(11)의 말단에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구성의 손가락 보강대(32)는 손가락(50)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와 손가락(50)의 폭보다 좁거나 유사한 정도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물의 저항으로 인하여 손가락(50)이 손등 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는 손가락(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손가락 수용부(11)의 하부 또는 상부에 해당하는 몸체(10)에 내입되고, 각각의 손가락 보강대(32)는 단일체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의 결합이 단일체를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보강대(32)는 폭 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이 손가락의 상부의 외주면 일정부분 또는 하부의 외주면 일정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손가락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해당하는 몸체에 내입되어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손가락 보강대(32)는 손가락(50)이 손등 방향으로 꺾일 때 가장 심하게 꺾일 수 있는 부분인 손가락(50)과 손등부(51)의 연결부(A), 즉, 도 7과 같이, 수지골과 중수골의 연결 관절(A)의 꺾임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지골과 중수골의 연결 관절(A) 부분에 위치되는 손가락 보강대(32)의 일정부분(B)의 강도가 다른 부분의 강도보다 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지골과 중수골의 연결 관절(A) 부분에 위치되는 손가락 보강대(32)의 일정부분(B)은 손가락 보강대(32)의 다른 부분의 재질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손가락 보강대(32)의 다른 부분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 회의 손 저음 시에 보다 강력한 추진력이 생성될 수 있도록 몸체(10), 손가락 보강대(32) 및 물갈퀴(20)가 손가락(50) 말단보다 더 긴 길이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는 손가락(50) 말단보다 더 길게 길이 연장되는 연장 몸체(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가락 보강대(32)의 타측은 상기 연장 몸체(10)까지 연장되어 내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갈퀴(20)의 말단은 상기 연장 몸체(10)의 말단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장 몸체(10), 물갈퀴의 연장부분(21) 및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은 손가락 수용부(11)의 말단을 기준하여 손의 하부로 하향하며 꺾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연장 몸체(10)는 도 5와 같이 몸체(10)의 타측 말단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손가락(50) 말단보다 길게 길이 연장되는 부분이고, 이때 물갈퀴(20)의 말단 역시 상기 연장 몸체(10)의 말단까지 연장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손가락 보강대(32)의 타측 역시, 상기와 같이 길이 연장된 연장 몸체(10)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연장 몸체(10)의 일정부분까지 연장되어 연장 몸체(10)에 내입된다.
즉, 손가락(50) 말단보다 더 긴 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 몸체(10) 및 물갈퀴(20)는, 몸체(10)의 타측 말단이 손가락(50) 말단에 인접 위치되는 경우보다 추진력을 형성할 수 있는 더 넓은 면적을 확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 회의 손 저음으로 발생되는 추진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장 몸체(10), 물갈퀴의 연장부분(21) 및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은 도 3과 같이 손가락 수용부(11) 말단을 기준하여 손의 하부로 하향하며 일정각도 꺾이도록 구성되어, 착용자가 손가락(50)을 일정각도 오므리며 손을 저을 때 상기 연장 몸체(10), 물갈퀴의 연장부분(21) 및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은 손가락(50)의 끝단 마디 부분보다 더 하향으로 꺾이게 되어, 물이 손의 하부에 움켜쥐어지며 추진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도 7과 같이 상기 손가락 보강대(32)와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에는, 손가락 보강대(32) 타측 말단에서 손의 하부로 일정각도 꺾여진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의 강도를 보강해주기 위하여, 보강리브(33)가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리브(33)는 손가락 보강대(32)와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의 꺾임각이 작은 쪽인 연결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손 저음 시에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 하부로 작용되는 물의 저항력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보강대(32)는 손 저음 시에 몸체(10) 및 물갈퀴(20)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력으로 인하여 손가락(50)이 손등 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손을 움켜쥘 때 손의 움켜쥠이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 보강대(32)는 손가락(50)의 상부에 위치되는 몸체(10) 부분에 내입되도록 구성되고, 손가락(50)의 마디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하부 일부분은 인접된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상부 일부분에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손가락 보강대(32)는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단일체의 손가락 보강대(32)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가락 보강대(32)는 손가락(50)의 상부에 해당되는 몸체(10) 부분에 내입되어 손가락(50)의 상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손가락(50)이 손등 방향으로 꺾일 때 손가락(50)의 후방부에서 손가락(50)을 지지 가능함과 동시에 손가락(50)의 움켜쥠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 각각은 손가락(50) 마디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된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과 인접된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겹침부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과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하향 꺾임을 용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하부 일부분은 인접된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상부 일부분에 겹쳐지도록 구성되면, 도 8과 같이 착용자가 손가락(50)을 펼칠 때에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하부 일부분은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상부 일부분을 지지하여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32)가 겹침부를 기준하여 상부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와 반대로 도 9와 같이 착용자가 손가락(50)을 움켜쥘 때에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하부 일부분과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상부 일부분 간의 겹침부분이 일정 정도 벌어지며 미약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32)가 겹침부를 기준하여 하부로 용이하게 꺾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 중, 손가락(50)에 인접되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일부분에는 손가락(50) 관절의 상부가 안착되는 굴곡된 요홈(32b-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겹침부를 형성시키는 상기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 말단의 하부 일부분은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 말단의 상부 일부분보다 아랫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 말단의 상부 일부분보다 손가락(50)의 상부에 인접되는 배치를 하고, 이때, 상기 굴곡된 요홈(32b-1a)은 상기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 말단의 하부 일부분 형성되어 내부에 손가락(50) 관절의 상부를 수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굴곡된 요홈(32b-1a)은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구성되어 손가락(50) 관절의 굽혀짐으로 형성된 손가락(50) 관절 상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a, 10b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말단 일부분은 돔(Dome)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돔 형태의 말단 일부분의 상부는 평평한 상태로 구성되어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말단 일부분을 상부에 안착시키며, 하부에는 굴곡된 요홈(32b-1a)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돔(Dome) 형태의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말단 일부분은 하부에 형성된 굴곡된 요홈(32b-1a)으로는 손가락(50) 관절의 상부를 용이하게 수용시켜 착용자의 이물감을 줄여주고,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굴곡된 측부(돔 형태이므로 측부가 굴곡된 형태임.)는 몸체(10)에 내입된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말단 일부분이 유연한 재질을 가지는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평평한 상태의 상부는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말단 일부분이 안정적으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에는 수용부와 외부 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에어벤트(4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손가락 수용부(11)와 손등 수용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용부에는 손 저음 시의 손의 움직임에 의하여 공기 또는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수용부에 유입되어 채워진 공기 또는 물은 손과 수용부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수영 보조용구가 손에서 벗겨지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수용부에 물이 채워진 경우에는 물의 무게에 의하여 손에서 수용 보조용구가 벗겨질 수 있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에어벤트(40)는 몸체(10)의 일정부분, 바람직하게는 손등 수용부(12)가 형성된 몸체(10)의 상부(몸체(10)의 손등쪽)에 구비되고,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수용부에 공기 또는 물이 찬 경우 착용자가 열어서 수용부에 채워진 공기 또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벤트(40)는 수용부에 채워진 공기 또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체크밸브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수용부 내부의 공기 또는 물은 외부로 배출가능하고, 외부의 공기 또는 물은 수용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착용자는 수영 도중에 수용부에 공기 또는 물이 채워진 경우에, 상기 에어벤트(40)를 열고, 손을 움켜쥐어 수용부의 내부공간이 최대한 축소되도록 만들어 수용부에 채워진 공기 또는 물이 에어벤트(40)를 통하여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착용자는 수용부에 채워진 물이 외부로 배출 완료되면, 에어벤트(40)를 다시 닫아 수용부와 외부를 차단한 후 수영을 계속적으로 즐길 수 있다.
상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 11 : 손가락 수용부
12 : 손등 수용부 13 : 기밀턱
14 : 연장 몸체 15 : 마찰돌기
16 : 통공 20 : 물갈퀴
21 : 물갈퀴의 연장부분 30 : 보강대
31 : 메인 보강대 32 : 손가락 보강대
32a :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 32b-1 : 손가락 보강대 유닛
32b-1a : 요홈 32b-2 : 손가락 보강대 유닛
33 : 보강리브 40 : 에어벤트
50 : 손가락 51 : 손등부

Claims (6)

  1. 삭제
  2.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손가락(50)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손가락(50)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51)가 수용되는 손등 수용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물갈퀴(20) 및;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가락(50)을 포함하는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강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10)는,
    손목이 내입되어 위치되는 부분에 손목의 외주와 밀착되는 수직단면이 "ㄷ" 형태의 기밀턱(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3. 삭제
  4.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손가락(50)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손가락(50)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51)가 수용되는 손등 수용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물갈퀴(20) 및;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가락(50)을 포함하는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강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대(30)는,
    상기 손등부(51)에 해당하는 몸체(10)에 위치되되, 상기 손등부(51)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메인 보강대(31)와;
    일측은 상기 메인 보강대(31)와 연결되고, 타측은 메인 보강대(31)에서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각각 쪽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손가락 수용부(11) 말단에 위치되는 손가락 보강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10)는 손가락(50) 말단보다 더 길게 길이 연장되는 연장 몸체(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가락 보강대(32)의 타측은 상기 연장 몸체(10)까지 연장되어 내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갈퀴(20)의 말단은 상기 연장 몸체(10)의 말단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장 몸체(10), 물갈퀴의 연장부분(21) 및 손가락 보강대의 연장부분(32a)은 손가락 수용부(11)의 말단을 기준하여 손의 하부로 하향하며 꺾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5.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손가락(50)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손가락(50) 이외의 손부분인 손등부(51)가 수용되는 손등 수용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물갈퀴(20) 및;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입되어 손가락(50)을 포함하는 손의 하부 또는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강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대(30)는,
    상기 손등부(51)에 해당하는 몸체(10)에 위치되되, 상기 손등부(51)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메인 보강대(31)와;
    일측은 상기 메인 보강대(31)와 연결되고, 타측은 메인 보강대(31)에서 복수 개의 손가락 수용부(11) 각각 쪽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손가락 수용부(11) 말단에 위치되는 손가락 보강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가락 보강대(32)는,
    손가락(50)의 상부에 위치되는 몸체(10) 부분에 내입되도록 구성되고, 손가락(50)의 마디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하부 일부분은 인접된 다른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2)의 상부 일부분에 겹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손가락 보강대(32) 유닛 중, 손가락(50)에 인접되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 보강대 유닛(32b-1)의 일부분에는 손가락(50) 관절의 상부가 안착되는 굴곡된 요홈(32b-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KR2020160004509U 2016-08-04 2016-08-04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KR200484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09U KR200484197Y1 (ko) 2016-08-04 2016-08-04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09U KR200484197Y1 (ko) 2016-08-04 2016-08-04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97Y1 true KR200484197Y1 (ko) 2017-08-10

Family

ID=6062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09U KR200484197Y1 (ko) 2016-08-04 2016-08-04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48B1 (ko) 2017-12-28 2019-03-06 하동진 추진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용 오리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8207A (en) * 1973-10-25 1976-02-17 Gary Clyde Drescher Swimmer's glove having joints bendable only in closing direction of the hand
KR200206976Y1 (ko) 2000-05-06 2000-12-15 이철효 오리손
KR200272883Y1 (ko) 2002-01-09 2002-04-20 조성학 핸드용 물갈퀴
KR200289773Y1 (ko) 2002-06-29 2002-09-16 이동희 손(hand)물갈퀴
KR200396273Y1 (ko) 2005-07-01 2005-09-20 정운철 물갈퀴를 갖는 손착용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8207A (en) * 1973-10-25 1976-02-17 Gary Clyde Drescher Swimmer's glove having joints bendable only in closing direction of the hand
KR200206976Y1 (ko) 2000-05-06 2000-12-15 이철효 오리손
KR200272883Y1 (ko) 2002-01-09 2002-04-20 조성학 핸드용 물갈퀴
KR200289773Y1 (ko) 2002-06-29 2002-09-16 이동희 손(hand)물갈퀴
KR200396273Y1 (ko) 2005-07-01 2005-09-20 정운철 물갈퀴를 갖는 손착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48B1 (ko) 2017-12-28 2019-03-06 하동진 추진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용 오리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118B2 (en) Method of removing gloves
US20170127739A1 (en) Gripping Glove
JP6461143B2 (ja) 切取り部を有するグローブおよび切取り部を有するグローブを製造する方法
US20050197610A1 (en) Digit-supporting therapeutic device for the hand
KR950013425A (ko) 골프 장갑
US20130287469A1 (en) Grip positioning device
US5926912A (en) Attachable hand grip device and glove kit
JP2971138B2 (ja) 手袋に使用する保護用具
US20040148675A1 (en) Utility glove
KR101501743B1 (ko) 장갑 및 그 부속품
KR200484197Y1 (ko) 손 착용형 수영 보조용구
WO2016104542A1 (ja) バイオリンの弓基部把持のための右手保型具
US1715571A (en) Hand paddle as an aid to swimming
US20200260806A1 (en) Hand grip aid device
US20170001097A1 (en) Boxing glove with open fingers
US6487726B1 (en) Mitt for the massage
AU668059B1 (en) Swimming aid
KR102028672B1 (ko) 골프장갑
US20170258156A1 (en) Glove with Tabs
US10743554B1 (en) Oyster shucking mitt
ES2908028T3 (es) Dispositivo de anclaje de fuerza
CN106307720B (zh) 一种关节防护手套
KR200365352Y1 (ko) 주방용 손 보호구
KR102326129B1 (ko) 등 때밀이용구
WO2019178391A1 (en) Forearm, wrist and hand stre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