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875Y1 - Knee protector - Google Patents

Knee pro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875Y1
KR200483875Y1 KR2020160002496U KR20160002496U KR200483875Y1 KR 200483875 Y1 KR200483875 Y1 KR 200483875Y1 KR 2020160002496 U KR2020160002496 U KR 2020160002496U KR 20160002496 U KR20160002496 U KR 20160002496U KR 200483875 Y1 KR200483875 Y1 KR 200483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knee
storage pack
coupled
viscoe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4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김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은 filed Critical 김지은
Priority to KR2020160002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7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7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3/00Accessories for skates
    • A63B2071/081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배면이 사용자의 무릎에 밀착되며,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포켓이 형성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제1부착단과 타측의 제2부착단이 무릎을 감싸는 상태에서 상호 부착되는 결합 밴드 및, 상기 포켓의 내부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일정 경도를 갖도록 점탄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팩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nee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pad having a back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user's knee and in which one or more pockets are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storage bag in which the viscoelastic material is stored to have a predetermined hardness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무릎 보호대{KNEE PROTECTOR}Knee protector {KNEE PROTECTOR}

본 고안은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점탄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팩을 패드의 포켓 내에 점탄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팩을 내장시킴으로써, 형태 변형이 용이하므로 착용감이 좋고,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protector, in which a storage pack storing a viscoelastic material is embedded in a pocket of a pad and a viscous material is stor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capable of safely protecting a knee from an external impact.

일반적으로, 무릎 보호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릎 관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신체 보호장구의 일종이다.Generally, a knee protector is a type of body prote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knee joint from an external impact.

이러한 무릎 보호대는, 롤러 스케이팅, 롤러 블레이드, 스노우 보드 등과 같은 운동을 할 때 무릎에 착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These knee protectors are worn on knees to protect against external shocks when exercising, such as roller skating, roller blades, and snowboarding.

여기서, 종래의 무릎 보호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패드가 사용되고, 패드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무릎에 부드럽게 밀착되도록 쿠션이 결합된다.The conventional knee protector uses a plastic protective pad for protecting the user's knee joint from an external impact, and a cushion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ad so as to be sof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knee.

그리고, 패드에는 사용자의 무릎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밴드가 결합되고, 결합 밴드에는 밸크로 테이프 또는 버클 등의 고정부재가 결합된다.A coupling band for fixing the knob to the user's knee is attached to the pad, and a fixing member such as a belt tape or a buckle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이와 다른 형태로, 직물 및 신축 밴드의 결합으로 무릎 전체를 일정 압력으로 감쌀 수 있는 신축 밴트 타입의 무릎 보호대도 사용되고 있다.In a different form, a stretch-bent-type knee protector is also used, which allows the entire knee to be wrapped at a constant pressure by the combination of fabric and stretching bands.

그런데, 종래의 무릎 보호대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패드가 사용되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지만,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활동에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knee protector uses a plastic protective pad, strength against external impact can be secured. However, since the flexibility is poor, the knee protector has inconvenience.

그리고, 밴드 타입의 무릎 보호대는 신축 및 유연성이 좋아 활동시 불편함은 크지 않지만, 별도의 보호 패드가 없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nd type knee protector is not so inconvenient at the time of operation because it is flexible and flexible, but it has a difficulty in protecting the user's knee from an external impact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protection pad.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등록실용 제20-0412145호(2006년 03월 1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익스트림스포츠용 무릎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 No. 20-0412145 (Mar. 16, 2006), which discloses an extreme sports knee protector.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점탄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팩을 패드의 포켓 내에 점탄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팩을 내장시킴으로써, 형태 변형이 용이하므로 착용감이 좋고, 충격이 작용할 때 강도가 증가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pack having a viscoelastic material stored therein and a storage pack storing viscoelastic material in the pocket of the pad, so that the shape of the storage pack can be easily deformed and the strength is increased when the shock is applied. Thereby providing a knee protector which can be safely protected.

또한, 유연성을 가지므로 부피를 축소시킨 후 손쉽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has flexibility to easily carry and store the volume after shrinking the volum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various colors, thereby providing a knee protector satisfying the user's taste.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배면이 사용자의 무릎에 밀착되며,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포켓이 형성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제1부착단과 타측의 제2부착단이 무릎을 감싸는 상태에서 상호 부착되는 결합 밴드 및, 상기 포켓의 내부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일정 경도를 갖도록 점탄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nee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pad having a back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user's knee and in which one or more pockets are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storage pack in which the viscoelastic material is stored so as to have a certain hardness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pocket. do.

여기서, 상기 포켓은 수평 방향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분할되며, 상기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저장팩은 상기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포켓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cket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sis of a horizontal sewing line, and are vertically foldable on the basis of the sewing line, and the storage pack has individual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저장팩은 내부에 상기 점탄성 물질이 삽입된 상태로 테두리 부위가 열 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점탄성 물질을 내부에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im of the storage pack is coupled with the rim portion in a state of insert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therein, thereby seal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점탄성 물질은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액체 풀과 붕사(borax) 용액을 통해 제조되는 슬라임(Slime) 또는, 전분과 물이 혼합된 녹말 용액으로 제조되는 실리퍼티(silly putty)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scoelastic material may be a slurry prepared through a polyvinyl alcohol (PVA) liquid paste and a borax solution, or a silily putty made of starch solution mixed with starch and water. It is preferable to use one of them.

또한, 상기 결합 밴드는 상기 포켓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패드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부착단과 상기 제2부착단의 대응되는 일면에는 상호 부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band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d with the pockets therebetween, and the Velcro tape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ttachment ends.

또한, 상기 패드의 배면에는 쿠션이 더 결합되며, 상기 쿠션은 배면이 무릎에 밀착되며, 상기 패드로부터 무릎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cushion is further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ad,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ushion closely contacts the knee and absorbs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pad to the knee.

또한, 상기 패드의 전면은 상기 저장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부분에 개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방부에 투명 소재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surface of the pad is formed with an opening portion to partially expose the storage pack, and a transparent material is coupled to the opening portion.

본 고안은 내부에 점탄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팩을 패드의 포켓 내에 점탄성 물질이 저장된 저장팩을 내장시킴으로써, 형태 변형이 용이하므로 착용감이 좋고, 충격이 작용할 때 강도가 증가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cous material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viscous material stored in a pocket of a pad, thereby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viscous material when the shock is applied. .

그리고, 유연성을 가지므로 부피를 축소시킨 후 손쉽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since it has flexibility,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after it is reduced in volume, and various colors can be easily applied,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tas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착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에 개방부와 투명 소재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wear state of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n part and a transparent material are formed on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related arts or the lik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FIG. 3 is a rear view for showing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보여주기 위한 착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에 개방부와 투명 소재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ning and a transparent material are formed on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100)는 패드(110)와, 결합 밴드(120)와, 결합 밴드(130) 및, 저장팩(140)를 포함한다.1 to 6, a knee prot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110, a coupling band 120, a coupling band 130, and a storage pack 140.

먼저, 상기 패드(110)는 배면이 사용자의 무릎(10)에 밀착되며, 상기 패드(110)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포켓(111)이 형성된다.First, the back surface of the pad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knee 10, and one or more pockets 111 are formed in the pad 110.

여기서, 상기 패드(110)는 섬유를 이용한 직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릎(10)의 전면을 일정 넓이로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도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110 is made of a fabric using fibers, and the pad 110 is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knee 10 with a certain width.

그리고, 상기 패드(110)는 사용자의 무릎(10)을 대응되는 형태로 덮을 수 있도록 테두리 부위가 사각, 타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ad 110 may have a rectangular or oval shape so as to cover the user's knee 10 in a corresponding shape.

포켓(111)은, 수평 방향의 재봉선(112)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재봉선(112)을 기준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pockets 111 a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ockets 111 are divid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a horizontal direction sewing line 112, and are provided so as to be foldable with reference to a sewing line 112.

이때, 상기 포켓(111)은 후술 될 저장팩(130)이 유동되지 않도록 저장팩(1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cket 1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pack 130 so that the storage pack 130 will not flow.

결합 밴드(120)는, 패드(110)를 사용자의 무릎(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 밴드(120)는 무릎(10)를 감쌀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다.The coupling band 120 is for fixing the pad 110 to the user's knee 10 and the coupling band 1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cover the knee 10.

여기서, 상기 결합 밴드(120)의 일부분이 패드(110)의 일면 또는 좌우 방향측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Here, a portion of the coupling band 12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ad 110, respectively.

예를 들어, 상기 결합 밴드(120)의 일부분은 도 1과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분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패드(11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coupling band 120 may be coupled to the backside of the pad 110 such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not exposed forward,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결합 밴드(120)는 포켓(111)을 사이에 두고 패드(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한 쌍으로 결합되어, 무릎(10)을 상하 방향에서 각각 감쌀 수 있다.The coupling bands 120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ds 110 via the pockets 111 so as to cover the knees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물론, 상기 결합 밴드(120)의 개수를 상하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으로 적용하거나, 상기 결합 밴드(120)의 상하 폭을 증가시켜 하나의 개수로 적용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number of the coupling bands 120 may be two or mo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vertical width of the coupling bands 120 may be increased to one.

또한, 상기 결합 밴드(120)는 종 방향 일단에 제1부착단(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단(121)과 반대되는 타단에 제2부착단(122)이 형성된다.The coupling band 120 has a first attachment end 121 at one longitudinal end and a second attachment end 122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rst attachment end 121. [

여기서, 상기 제1부착단(121)과 제2부착단(122)의 대응되는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부착되도록 암수 벨크로 테이프(123)가 각각 결합된다.The male and female Velcro tapes 12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corresponding ones of the first attachment end 121 and the second attachment end 122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물론, 제1부착단(121)과 제2부착단(122)의 대응면에는 벨크로 테이프(123) 이외의 대응 체결수단(버클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Of course,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such as a buckle) other than the Velcro tape 123 may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first attachment stage 121 and the second attachment stage 122.

저장팩(130)은, 패드(110)의 포켓(111) 내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팩(130)의 내부에는 점탄성 물질(C)이 진공 상태로 저장된다.The storage pack 130 is embedded in the pocket 111 of the pad 110 and the viscous material C is stored in the vacuum state in the storage pack 130.

여기서, 상기 저장팩(130)은 보관 및 착용시 형태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수지 계열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torage pack 130 may be made of a resin-based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that it is easily deformed during storage and wearing.

예를 들어, 상기 저장팩(130)은 비닐(vinyl)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팩(130)은 내부에 저장된 점탄성 물질(C)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pack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vinyl, and the storage pack 1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lor so that the viscoelastic material C stored therein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

그리고, 상기 저장팩(130)은 내부에 점탄성 물질(C)이 삽입된 상태로 테두리 부위가 열 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점탄성 물질(C)을 내부에 밀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pack 130 may be sealed with a viscoelastic material C by inserting a viscoelastic material C in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pack 130 by a heat fusion method.

또한, 상기 저장팩(130)은 무릎(10)의 굽힘이 용이하도록 전술한 포켓(111)과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pack 13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cket 111 described above so that the knee 10 can be easily bent.

점탄성 물질(C)은, 흐르는 액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의 자극을 가했을 때 일시적으로 고체의 성질을 갖는 물질을 말한다.Viscoelastic material (C) refers to a substance that has the property of flowing liquid, but has a property of a solid temporarily when an external stimulus is applied.

이와 같은 점탄성 물질(C)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딱딱해지는 녹말로 만든 슬라임(slime), 실리퍼티(silly putty) 등이 있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viscoelastic material (C) such as slime, silly putty, etc. made of starch which hardens when applied from the outside.

이를 위해, 상기 점탄성 물질(C)은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액체 풀과 붕사(borax) 용액의 혼합을 통해 제조되는 슬라임(slime)을 사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viscoelastic material (C) may be a slime prepared by mixing a polyvinyl alcohol (PVA) liquid paste and a borax solution.

여기서, 상기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액체 풀과 붕사(borax) 용액 혼합물에는 일정 색을 갖도록 식용 색소가 첨가된다.Herein, an edible pigment is added to the mixture of polyvinyl alcohol (PVA) liquid pool and borax solution so as to have a certain color.

예를 들어, 용기 내에 일정량의 붕사 용액을 만든 후, 붕사(borax)에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액체 및 식용 색소를 첨가하여 슬라임(slime)을 만들 수 있다.For example, a certain amount of borax solution may be made in a container, and a slime may be made by adding a polyvinyl alcohol (PVA) liquid and an edible pigment to the borax.

이후, 용기 내에 만들어진 슬라임(slime)을 꺼낸 후, 손으로 힘을 가하는 등으로 외력을 가해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고체의 성질로 변화된다.Thereafter, the slime made in the container is taken out, and t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applying a force with a hand, etc., and the solid property is changed to have a certain elastic force.

만약, 슬라임(slime)에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슬라임(slime)은 액체처럼 손에서 흘러내리는 상태로 성질이 변화된다.If you do not apply force to the slime, the slime will change in properties like a liquid flowing down from your hand.

이와 다르게, 점탄성 물질(C)은 전분과 물이 혼합된 녹말 용액으로 제조되는 실리퍼티(silly putty)를 사용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viscoelastic material (C) may be a silly putty made of a starch solution mixed with starch and water.

이와 같은 점탄성 물질(C)은, 유연성을 가지므로 형태 변형이 용이하고,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강도가 증가되므로 쉽게 파손 및 마모되지 않아 사용자의 무릎(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Since the viscoelastic material C has flexibility, the shape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C is easily deformed, an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strength is increased, so that the viscoelastic material C is not easily broken or worn, and thus the user's knee 10 can be safely protected.

그리고, 점탄성 물질(C)은 종래의 딱딱한 무릎 보호대와 달리 형태 변형이 용이하므로, 부피를 축소시킨 후 손쉽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다.The viscoelastic material (C) can easily be carried and stored after the volume is reduced since it is easily deformed, unlike the conventional hard knee protector, and various colors can be easily applied, thereby satisfying the taste of the user .

한편, 전술한 패드(110)의 배면에는 쿠션(140)이 더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쿠션(140)는 배면이 무릎(10)에 밀착된다.A cushion 140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ad 110. The back surface of the cushion 140 is closely attached to the knee 10. [

여기서, 상기 쿠션(140)는 형태 변형 후에도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스폰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cushion 140 may be a sponge or the like that retains its original shape even after the shape deformation and absorbs shocks externally applied thereto.

그리고, 상기 쿠션(140)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무릎(10)에 유동 없이 밀착되도록 안착홈(미도시)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A seating groove (not shown) may be reces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ushion 14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knee 10 without any movement.

또한, 상기 쿠션(140)은 패드(110)의 배면에 별도의 천을 봉재 방식을 통해 더 결합시킨 후, 패드(110)와 천의 사이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cushion 14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ad 110 through a bar stitch method, and then inserted between the pad 110 and the cloth.

이와 다르게, 상기 쿠션(140)의 전면과 패드(110)의 배면을 별도의 접착제(미도시)를 이용해 부착시킬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ront surface of the cushion 140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ad 110 may be attached using a separate adhesive (not shown).

이와 같은 상기 쿠션(140)은, 패드(110)로부터 무릎(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 점탄성 물질(C)에서 1차로 흡수된 충격이 패드(110)를 통해 후방으로 전달되는 경우 2차로 남은 충격을 완충한다.Since the cushion 140 absorbs impact transmitted from the pad 110 to the knee 10, when the impact absorbed by the viscoelastic material C is transmitted backward through the pad 110, Shock the remaining impact by car.

또 한편, 상기 패드(110)의 전면은 상기 저장팩(1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부분에 개방부(113)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방부(113)에 투명 소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pad 11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113 and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113 to expose the storage pack 130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개방부(113)를 형성시키는 경우는 점탄성 물질(C)의 색상이 패드(110)의 전방으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는 재미와 개성을 살릴 수 있다.When the opening 11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hue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C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pad 110,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fun and personality of selecting a desired color.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내부에 점탄성 물질(C)이 저장된 저장팩(130)을 패드의 포켓(111) 내에 내장시킴으로써, 형태 변형이 용이하므로 착용감이 좋고, 충격이 작용할 때 강도가 증가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무릎(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storage bag 130 in which the viscoelastic material C is stored in the pockets 111 of the pad, so that the shape is easily deformed and the strength is increase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user's knee 10 can be safely protected.

그리고, 본 고안은 유연성을 가지므로 부피를 축소시킨 후 손쉽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flexibility,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after the volume is reduced, and various colors can be easily applied,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taste.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100)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knee prot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all a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10: 무릎 100: 무릎 보호대
110: 패드 111: 포켓
112: 재봉선 113: 개방부
114: 투명 소재 120: 결합 밴드
121: 제1부착단 122: 제2부착단
123: 벨크로 테이프 130: 저장팩
140: 쿠션 C: 점탄성 물질
10: knee 100: knee protector
110: pad 111: pocket
112: seam 113: open
114: transparent material 120: coupling band
121: first attachment step 122: second attachment step
123: Velcro tape 130: Storage pack
140: Cushion C: Viscoelastic material

Claims (7)

배면이 사용자의 무릎에 밀착되며,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포켓이 형성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제1부착단과 타측의 제2부착단이 무릎을 감싸는 상태에서 상호 부착되는 결합 밴드 및, 상기 포켓의 내부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일정 경도를 갖도록 점탄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팩을 포함하되,
상기 포켓은, 수평 방향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분할되고, 상기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저장팩은 상기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포켓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내장되되,
상기 저장팩은, 내부에 상기 점탄성 물질이 삽입된 상태로 테두리 부위가 열 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점탄성 물질을 내부에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A pad having a back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knee and in which one or more pockets are form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pad which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pad, and which has a first attachment end on one side and a second attachment end on the other side, And a storage pack in which the viscoelastic material is stored so as to have a certain hardness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pocke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long a vertical direction on the basis of a horizontal sewing line and is vertically foldable with reference to the sewing line, However,
Wherein the storage pack is coupled with a rim portion in a state of insert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therein by a heat fusion method to seal the viscoelastic material there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수평 방향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분할되며, 상기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저장팩은,
상기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포켓의 내부에 개별적으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cket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plurality of sewing lines are divid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a horizontal sewing line,
The storage pack,
Wherein the knee protector is individually embedded within the pocket with respect to the se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팩은,
내부에 상기 점탄성 물질이 삽입된 상태로 테두리 부위가 열 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점탄성 물질을 내부에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pack,
Wherein a rim portion of the knee protector is coupled with the rim portion in a state of insert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therein, thereby seal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there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물질은,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액체 풀과 붕사(borax) 용액을 통해 제조되는 슬라임(Slime) 또는, 전분과 물이 혼합된 녹말 용액으로 제조되는 실리퍼티(silly putty)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sco-
A slime produced through a polyvinyl alcohol (PVA) liquid paste and a borax solution, or a silly putty prepared from a starch solution mixed with starch and water is used A knee prot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밴드는,
상기 포켓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패드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부착단과 상기 제2부착단의 대응되는 일면에는,
상호 부착되도록 벨크로 테이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band may comprise,
The pad being coupled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pad with the pocket therebetween,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ttachment end and the second attachment end,
And wherein the velcro tape is joined to be mutually adh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배면에는,
쿠션이 더 결합되며,
상기 쿠션은,
배면이 무릎에 밀착되며, 상기 패드로부터 무릎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d,
The cushion is further coupled,
The cushion
Wherein the back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nee and absorbs shock transmitted from the pad to the kne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전면은,
상기 저장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부분에 개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방부에 투명 소재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surface of the pad
Wherein an opening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torage pack to expose the storage pack, and a transparent material is coupled to the opening.
KR2020160002496U 2016-05-10 2016-05-10 Knee protector KR2004838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96U KR200483875Y1 (en) 2016-05-10 2016-05-10 Knee pro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96U KR200483875Y1 (en) 2016-05-10 2016-05-10 Knee prot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875Y1 true KR200483875Y1 (en) 2017-07-05

Family

ID=5931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496U KR200483875Y1 (en) 2016-05-10 2016-05-10 Knee pro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75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94A (en) * 1998-07-23 2000-02-08 Hiroaki Furuya Golf training tool
KR20110005720U (en) * 2009-12-03 2011-06-10 고은총 joint protecting belt
KR20130101847A (en)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A knee pa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94A (en) * 1998-07-23 2000-02-08 Hiroaki Furuya Golf training tool
KR20110005720U (en) * 2009-12-03 2011-06-10 고은총 joint protecting belt
KR20130101847A (en)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A knee pa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1222A (en) Rib cage protector pad
US2249966A (en) Abdominal protector
CA1129603A (en) Chest protector
WO2005102083A1 (en) Article of apparel with areas of increased tension
WO2015139649A1 (en) Inflatabl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691327B1 (en) Shoulder protective device
US9095182B1 (en) Anti-chafing chin strap accessory
TWM306886U (en) Glove for baseball or softball
KR101397675B1 (en) Helmet for leisure sports
KR200483875Y1 (en) Knee protector
US20090235421A1 (en) Conforming limb guard
ES2266486T3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DRESS ITEMS, PROVIDED WITH PROTECTION ELEMENTS AND GLOVES WITH A PROTECTION ELEMENT.
KR101751493B1 (en) Belt with waist band
KR101124655B1 (en) Weight band for training body
US2691185A (en) Hand mop
KR101838233B1 (en) A protection equipment
JP4778977B2 (en) protector
CN212971735U (en) Knee pad
KR102346775B1 (en) Pocket for protection pad
JP3018312B2 (en) Insole
CN213466695U (en) Swimming cap
CN201189389Y (en) Protection tool
KR200461966Y1 (en) Waterproof Hood
JP2021123829A (en) Working pants
JP2000110005A (en) Brassi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