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66Y1 -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 - Google Patents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66Y1
KR200483566Y1 KR2020150003526U KR20150003526U KR200483566Y1 KR 200483566 Y1 KR200483566 Y1 KR 200483566Y1 KR 2020150003526 U KR2020150003526 U KR 2020150003526U KR 20150003526 U KR20150003526 U KR 20150003526U KR 200483566 Y1 KR200483566 Y1 KR 200483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water
tube portion
dew
collec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259U (ko
Inventor
김재순
유은하
정명일
한승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50003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6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슬수집기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수분수집관부; 및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수분수집판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상부로 개방된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 내부공간을 저부의 저수공간과, 상토가 충진되는 상부의 식재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저수공간과 식재공간 사이의 연통을 위해 상기 구획판에 마련된 연통공;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수분수집관부와,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수분수집판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분수집관부가 상기 연통공과 통하도록 상기 구획판 상부에 설치되는 이슬수집기; 및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기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는 관수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dewdrop collector and pot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이슬을 수집하여 식물의 관수에 이용하도록 마련된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성장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수분이다. 따라서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관수설비를 확보하여 작물의 재배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관수 작업에 따른 시간과 노동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고 있으며, 이중 하나로 대기 중의 수분을 포집하여 식물로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951호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이용하여 식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951호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관수시스템은 관수에 사용되는 물을 생성하기 위해 먼저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하고, 이를 증발기로 냉각한 후, 다시 응축기로 응축시키는 방식을 채용한 것으로, 증발기 및 응축기와 같이 수분을 강제로 냉각하고 응축시키기 위한 설비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관수설비를 확보하는데 따른 비용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식물에 대한 관수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대기 중의 수분을 이용하면서도 설비 투자비를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수분수집관부; 및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수분수집판부;를 포함하는 이슬수집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분수집판부에는 외곽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주름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슬수집기는 복수개가 상호 적층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인접한 상기 이슬수집기 사이는 일측 이슬수집기의 수분수집관부 일단이 타측 이슬수집기의 수분수집관부 타단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적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분수집관부 사이는 나사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도에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구멍은 복수의 상기 이슬수집기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수분수집판부 사이와 상기 수분수집관부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구멍은 복수개가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로 개방된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 내부공간을 저부의 저수공간과, 상토가 충진되는 상부의 식재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저수공간과 식재공간 사이의 연통을 위해 상기 구획판에 마련된 연통공;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수분수집관부와,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수분수집판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분수집관부가 상기 연통공과 통하도록 상기 구획판 상부에 설치되는 이슬수집기; 및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기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는 관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슬수집기는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 둘레에는 상부로 지지관부가 연장되고, 상기 이슬수집기는 상기 수분수집판부 반대 쪽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단부가 상기 지지관부 상부에 끼워져 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수부재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부에는 상기 심지의 통과를 위한 심지통과공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에 따르면, 대기중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되는 이슬을 수집하고, 이를 별도의 작업없이 그대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관수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대기 중의 수분 활용에 따른 설비 투자비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슬수집기의 구조를 도시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슬수집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슬수집기 2개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에 있어서, 화분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하나의 이슬수집기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복수의 이슬수집기가 적층된 상태로 채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슬수집기(10)는 식물 관수를 위해 대기 중의 이슬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수분수집관부(11)와, 수분수집관부(11)의 중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수분수집관부(11)의 일단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수분수집판부(12)를 포함한다.
수분수집판부(12)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수분수집관부(11)가 연장된 이슬수집기(10)는 전체적으로 깔대기에 가까운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이슬수집기(10)는 수분의 수집에 용이하도록 하면서 변형이 적도록 친수성이면서 비열이 낮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할 수 있다. 수분수집판부(12)는 얇은 시트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수분수집관부(11)는 소정 두께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수분수집판부(12)와 수분수집관부(11)는 일체로 사출도 가능하며,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슬수집기(10)는 수분수집판부(12)가 상부를 향하고 수분수집관부(11)가 바르게 세워진 자세로 지면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슬은 밤에 지표면의 복사냉각으로 인해 지표 근처에 있는 공기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슬수집기(10)를 전술한 자세가 되도록 지면에 인접하게 설치하게 되면, 수분수집판부(12) 표면에 안착된 이슬이 수분수집판부(12)의 경사를 따라 수분수집관부(11)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슬의 안착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수분수집판부(12)에는 복수의 주름(12a)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12a)은 외곽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수분수집관부(12) 전체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름(12a)의 배치구조에서는 수분수집판부(12)에 안착된 수분이 주름(12a)들 사이로 모이면서 수분수집관부(11)로 안내될 수 있게 되어 수분의 수집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분수집판부(12)의 경우, 그 면적에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다량의 이슬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이슬수집기(10)는 복수개가 상호 적층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인접한 이슬수집기(10) 사이는 한 쪽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관부(11) 일단이 다른 쪽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관부(11) 타단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적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수집관부(11) 사이는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분수집판부(12) 쪽으로 수분수집관부(11)의 일단 내주에는 암나선(11a)이 마련되고, 수분수집판부(12) 반대 쪽으로 수분안내관부(11)의 타단 외주에는 암나선(11a)에 대응하도록 수나선(11b)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달리 이슬수집기(10)의 적층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분수집관부(11) 사이의 결합구조는 나사결합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일례로 수분수집관부(11) 사이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을 이용한 끼움방식이나, 양단의 직경크기를 감안한 압입방식으로도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이슬수집기(10) 사이가 적층된 상태에서 각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판부(12)를 통해 안내되는 수분이 각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관부(11)를 따라 합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분수집관부(11)의 중도에는 구멍(11c)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11c)은 도 3과 같이, 복수의 이슬수집기(10)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인접한 한 쌍의 수분수집판부(12) 사이와 수분수집관부(11)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각 수분수집판부(12)에 안착된 수분이 최하부에 위치한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관부(11)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쪽 이슬수집기(10)의 수집수집판부(12) 상부의 수분이 상부 쪽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관부(11) 내부로 고르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멍(11c)은 수분수집관부(11)의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부 쪽 이슬수집기(10)의 수집수집판부(12) 상부의 수분이 상부 쪽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관부(11)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멍(11c)은 이슬수집기(10) 사이가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 쪽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판부(12) 중앙 쪽 상면의 높이에 맞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슬수집기(10)를 갖춘 화분(1)은 상기 이슬수집기(10) 외에 상부로 개방된 화분본체(20)와, 화분본체(20) 내부공간을 저부의 저수공간(20a)과 상토가 충진되는 상부의 식재공간(20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30)과, 저수공간(20a)의 물을 식재공간(20b)으로 안내하기 위한 관수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본체(20)는 하부에 저수가 가능하고 상부에 상토 충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용기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소재에 있어서도 화분본체(20)는 합성수지와 사기 등의 다양한 종류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구획판(30)은 식재공간(20b)에 충진되는 상토와 식물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소정 두께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획판(30)에는 저수공간(20a)과 식재공간(20b) 사이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31)이 마련될 수 있다. 연통공(31)은 전술한 이슬수집기(10)를 통해 안내된 수분을 저수공간(20a)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구획판(30)의 중심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구획판(30)은 화분본체(20)와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화분본체(20) 내벽면에 마련된 걸림돌기(21) 상부에 올려지는 형태로 화분본체(20)에 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구획판(30)은 화분본체(20)에 일체로 고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슬수집기(10)는 수분수집관부(11)가 연통공(31)과 통하도록 구획판(3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통공(31) 둘레에는 상부로 지지관부(32)가 연장되고, 이슬수집기(10)는 수분수집판부(12) 반대 쪽 수분수집관부(11)의 단부가 지지관부(32) 상부에 끼워져 거치되는 방식으로 구획판(30)에 설치될 수 있다. 수분수집관부(11)의 단부가 지지관부(32) 상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지지관부(32)의 상부 쪽 내주에는 수분수집관부(11) 하부 외주의 수나선(11b)의 체결을 위한 암나선(32a)이 마련될 수 있다. 이슬수집기(10) 사이의 체결구조를 이슬수집기(10)와 지지관부(32) 사이의 체결구조에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암나선(32a)의 사이즈와 규격은 수분수집관부(11) 상부 내주에 형성된 것과 같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슬수집기(10) 간의 체결구조가 달라질 경우, 지지관부(32)와 수분수집관부(11) 간의 체결구조는 달라진 이슬수집기(10) 사이의 체결구조에 대응하여 변형이 가능하다.
또 관수부재(40)는 저수공간(20a)의 수분을 흡수하여 식재공간(20b)에 채워지는 상토(b)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심지로 구성될 수 있다. 심지는 수분흡수율이 높은 섬유재질로 구성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관수부재(40)의 설치를 위해 지지관부(32)에는 심지의 통과를 위한 심지통과공(32b)이 마련될 수 있다.
화분본체(20)의 중앙 쪽에 배치되는 지지관부(32)의 위치를 감안하여 저수공간(20a)의 수분이 식재공간(20b)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심지통과공(32b)은 지지관부(32) 저부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심지통과공(32ab에는 각각 저수공간(20a)과 식재공간(20b) 사이를 연결하는 심지들이 개별적으로 통과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화분(1)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할 때는 화분본체(20)의 식재공간(20b)에 상토(b)를 충진하고, 충진된 상토(b)에 식물(p)을 식재하게 된다. 이때 이슬수집기(10)는 도 5와 같이 단일로도 설치가 가능하며, 도 6과 같이 복수개가 적층된 상태로도 화분본체(2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의 화분(1)은 이슬수집기(10)를 통해 수집된 수분이 이슬수집기(10)의 수분수집관부(11)와, 구획판(30)에 마련된 지지관부(32)를 따라 저수공간(20a)으로 안내되어 저수되고, 저수공간(20a)으로 저수된 수분(a)은 관수부재(40)를 형성하는 심지를 통해 식재공간(20b)의 상토로 전달되어 식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슬수집기(10) 및 이를 갖춘 화분(1)에 따르면, 대기중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되는 이슬을 수집하고, 이를 별도의 작업없이 그대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관수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대기 중의 수분 활용에 따른 설비 투자비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할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화분 10: 이슬수집기
11: 수분수집관부 11a: 암나선
11b: 수나선 11c: 구멍
12: 수분수집판부 12a: 주름
20: 화분본체 20a: 저수공간
20b: 식재공간 30: 구획판
31: 연통공 32: 지지관부
40: 관수부재

Claims (10)

  1.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수분수집관부; 및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수분수집판부를 포함하는 이슬수집기에 있어서,
    상기 이슬수집기는 복수개가 상호 적층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인접한 상기 이슬수집기 사이는 일측 이슬수집기의 수분수집관부 일단이 타측 이슬수집기의 수분수집관부 타단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적층되도록 마련된 이슬수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수집판부에는 외곽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주름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이슬수집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수집관부 사이는 나사결합되도록 마련된 이슬수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도에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구멍은 복수의 상기 이슬수집기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수분수집판부 사이와 상기 수분수집관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이슬수집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복수개가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이슬수집기.
  7. 상부로 개방된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 내부공간을 저부의 저수공간과, 상토가 충진되는 상부의 식재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저수공간과 식재공간 사이의 연통을 위해 상기 구획판에 마련된 연통공;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수분수집관부와,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중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수분수집판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분수집관부가 상기 연통공과 통하도록 상기 구획판 상부에 설치되는 이슬수집기; 및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기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는 관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수집기는 복수개가 적층된 화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 둘레에는 상부로 지지관부가 연장되고,
    상기 이슬수집기는 상기 수분수집판부 반대 쪽 상기 수분수집관부의 단부가 상기 지지관부 상부에 끼워져 거치되도록 마련된 화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부재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부에는 상기 심지의 통과를 위한 심지통과공이 마련된 화분.
KR2020150003526U 2015-06-02 2015-06-02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 KR200483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26U KR200483566Y1 (ko) 2015-06-02 2015-06-02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26U KR200483566Y1 (ko) 2015-06-02 2015-06-02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59U KR20160004259U (ko) 2016-12-13
KR200483566Y1 true KR200483566Y1 (ko) 2017-05-30

Family

ID=5757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526U KR200483566Y1 (ko) 2015-06-02 2015-06-02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6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7778A (ja) 2001-11-09 2005-03-24 シュテファン アウグスティン, 凝縮液から飲料水を回収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同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深絞りツール
JP2011506806A (ja) * 2007-12-18 2011-03-03 ぺー.エム.エム. ホッフ ホールディンク べー.フェー. 大気中の水分を回収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30036663A1 (en) 2009-12-11 2013-02-14 Robert Kenneth Edwin Mitchell Water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49610B1 (ko) 2013-03-18 2014-01-0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1B1 (ko)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KR20140099100A (ko) * 2013-02-01 2014-08-11 김민규 이슬을 모아 농업용수로 하는 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7778A (ja) 2001-11-09 2005-03-24 シュテファン アウグスティン, 凝縮液から飲料水を回収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同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深絞りツール
JP2011506806A (ja) * 2007-12-18 2011-03-03 ぺー.エム.エム. ホッフ ホールディンク べー.フェー. 大気中の水分を回収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30036663A1 (en) 2009-12-11 2013-02-14 Robert Kenneth Edwin Mitchell Water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49610B1 (ko) 2013-03-18 2014-01-0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59U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2368T3 (es) Método y sistema de riego de plantas
CN210808540U (zh) 一种园林绿化苗木支架
CN112352596A (zh) 一种用于绿色无公害水稻大棚的种植设备
CN207911469U (zh) 一种方便安装的立体化种植设备
US6092332A (en) Method for cultivating and rearing ornamental plants or treelike plants as potted plants and a planting system
KR200483566Y1 (ko) 이슬수집기 및 이를 갖춘 화분
KR101439906B1 (ko) 채널형 롤 플랜터
US20110232185A1 (en) Collapsible rack and row planters
CN205686060U (zh) 一种植物画框
WO2018065910A1 (en) Hydroponics system
EP0558356B1 (en) Improvements in tree shelters
CN210053976U (zh) 一种蔬菜种植架
CN2488275Y (zh) 立体组合盆
CN208242404U (zh) 一种农业生产蔬菜育苗柜
KR200485591Y1 (ko) 가로용 화분
CN217608500U (zh) 一种模块化立体种植装置
CN215872859U (zh) 一种果树苗培育装置
KR200486572Y1 (ko) 화분
KR102551548B1 (ko) 고양이를 위한 정원
CN219844205U (zh) 一种有机石斛盆栽结构
CN212381745U (zh) 一种具有可伸缩藤架的阳台蔬菜种植装置
CN214070787U (zh) 一种景区水上的花草种植装置
CN216982778U (zh) 一种用于芦笋栽种的定型支架
CN216874057U (zh) 一种简易式种植箱的箱体组件及简易式种植箱
CN205922168U (zh) 集雨节水式立体绿化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