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45Y1 - A cup holder - Google Patents

A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45Y1
KR200483545Y1 KR2020160006005U KR20160006005U KR200483545Y1 KR 200483545 Y1 KR200483545 Y1 KR 200483545Y1 KR 2020160006005 U KR2020160006005 U KR 2020160006005U KR 20160006005 U KR20160006005 U KR 20160006005U KR 200483545 Y1 KR200483545 Y1 KR 200483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cup
folded
paper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지형
Original Assignee
(주) 대신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신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 대신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160006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4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컵 홀더는 원형의 용지 내부에 컵이 삽입되는 중앙홀을 형성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들어올려서 그 저면이 컵의 양측을 감싸게 되는 한 쌍의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혀져 꺾여지며 컵의 외측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이루며 컵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한다.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tout portion for forming a center hole into which a cup is inserted in a circular paper sheet, a pair of main portions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the cutout portion and lifted up in one direction, And a pair of wings folded and bent relative to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ly of the cup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Description

컵 홀더 {A cup holder}Cup holder {A cup holder}

본 고안은 일회용 음료 컵의 바깥 둘레에 끼워 사용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종래 컵 홀더에 비하여 생산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크기의 컵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의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which is used by being fitted around the periphery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and can be used in common for various sizes of cups, .

커피 전문점이나 테이크아웃 전문점 등의 매장에서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일회용 컵에 음료를 담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커피나 차 등 뜨거운 음료를 제공할 때 사용자의 손이 데지 않도록 일회용 컵에 홀더를 끼워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컵 홀더(10)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컵 홀더(10)가 일회용 컵(C)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컵 홀더(10)는 “슬리브”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컵 홀더(10)는 엠보싱이 있는 골판지 등으로 제조되어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컵에 아주 뜨거운 음료가 담길 경우는 컵 홀더(10)를 두 개 이상 사용해야만 사용자가 편안하게 잡을 수 있을 정도이므로 열차단 효과가 뛰어나지는 않다. In shops such as coffee shops and take-out shops, drinks are often provided in disposable cups made of paper or plastic. When serving hot beverages such as coffee or tea, it is common to provide a holder in a disposable cup so that the user's hand does not hurt. FIG. 1 is a view showing such a conventional cup holder 10, in which the cup holder 10 is shown inserted into the disposable cup C. As shown in FIG. This cup holder 1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 sleeve ". The cup holder 10 is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or the like with embossing to provide a function to block heat. However, if the cup contains very hot beverage, it is necessary to use at least two cup holders 10, It is not so good because of the heat shield effect.

또한, 일회용 컵(C)은 서비스되는 음료의 양에 따라서 용량이 다른 두 세가지 이상의 크기가 사용되는데, 매장에서는 일회용 컵(C)의 용량에 따라서 그에 맞게 컵 홀더(10)도 두 세가지 이상의 크기를 사용한다. 일회용 컵(C)은 그 용량에 따라서 측면의 기울기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컵(C)과 컵 홀더(10)의 측면 기울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2의 (a)와 같이 아래쪽에서 컵(C)과 컵 홀더(10) 사이가 들뜨거나, 또는 도2의 (b)에서와 같이 위쪽에서 컵(C)과 컵 홀더(10) 사이가 들뜨게 된다. 이와 같이 컵 홀더(10)가 끼워진 상태가 불완전하면, 사용자가 컵(C)을 안정적으로 잡기 어렵고, 컵(C)이 컵 홀더(10) 안쪽에서 흔들려서 음료가 쏟아질 수도 있다. 또한 컵 홀더(10)가 컵(C)에 밀착되지 않고 흘러내리기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도2의 (c)와 같이 컵(C)과 컵 홀더(10)의 측면 기울기가 일치되는 것이 좋으나, 용량에 따라 컵(C)의 측면 기울기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매장에서는 컵(C)의 용량에 맞추어 컵 홀더(10)도 두 세가지 이상의 크기로 준비할 수 밖에 없었다. Also, the disposable cup (C) has two or more sizes different in capacity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beverage served. In the store, the cup holder (10) has two or more sizes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disposable cup use. The disposable cup C often has different side slopes depending on its capacity. If the side slopes of the cup C and the cup holder 10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a) Or between the cup C and the cup holder 10 from above as shown in Fig. 2 (b). If the state in which the cup holder 10 is fitted is incomplete in this way,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tably hold the cup C, and the cup C may shake inside the cup holder 10, so that the drink may be spilled.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p holder 10 is liable to flow down without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up (C).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lopes of the cup (C) and the cup holder (10) are matched as shown in FIG. 2C. However, since the side slope of the cup (C) The size of the cup holder 10 must be more than two or three sizes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the container C as shown in FIG.

종래의 컵 홀더(10)는 골판지 등을 도3과 같은 형태로 절단한 후 그 양단을 접착제로 접합함으로써 완성하게 되는데, 절단 및 접착 단계를 모두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에 위해 하거나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도 있었다. The conventional cup holder 10 is completed by cutting corrugated paper or the like into a shape as shown in Fig. 3 and then joining both ends thereof with an adhesive agent. Since it takes time to cut and adhere, it takes a lot of time to manufacture, The use could result in workers' health or environmental pollution.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컵 홀더의 구조 및 제조 공정 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크기의 컵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that can be commonly used for cups of various siz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such a conventional cup holder.

또한, 본 고안은 종래 컵 홀더 제조 공정상에서 필수적이던 접착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그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며, 제조 현장에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capable of simplifying a manufacturing process by omitting a bonding process that is essential in a conventional cup holder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viding a safe working environment at a manufacturing site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컵 홀더는 원형의 용지 내부에 컵이 삽입되는 중앙홀을 형성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들어올려서 그 저면이 컵의 양측을 감싸게 되는 한 쌍의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혀져 꺾여지며 컵의 외측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이루며 컵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tout portion for forming a central hole into which a cup is inserted in a circular paper sheet, and a cutout portion formed opposite to the cutout portion and lifted up in one direction, And a pair of wing portions folded and bent relative to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ly of the cup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또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날개부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꺾여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The cup holder further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formed inside the wing portion and supporting a side of the cup relatively bent with respect to the wing portion.

또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메인지지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적으로 접히는 위치에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가 소정의 폭으로 분할되도록 상기 접힘부 상에 형성되는 보조 절개부를 더 포함한다. The cup holder further includes a folded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are relatively folded and an auxiliary cut portion formed on the folded portion such that the folded portion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원형의 용지 테두리 부분에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의 바깥 단부의 위치를 안내하는 두 쌍의 홈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up holder is formed by recessing concavely in the circular paper edg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two pairs of grooves guiding the position of the outer end of the folded portion.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용지의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의 단부에서 상하 양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2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3절개부를 포함한다. The cutou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utout portion extending in both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sheet, a second cutout portion extending in an arc shape in both directions upward and downwar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a third incision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또한,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컵 홀더에 수용되는 컵의 측면 기울기에 따라 기울기가 가변된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side inclination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또한, 상기 제3절개부는 원호 형상으로 분기된 상기 제2절개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제3절개부와, 원호 형상으로 분기된 상기 제2절개부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측 제3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제3절개부의 단부는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내측 제3절개부의 단부도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The third incision portion may include an outer third incision portion that extends outwardly of the second incision portion that is branched into an arc shape and an inner third incision portion that extends inward of the second incision portion that is branched into an arc shape,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hird incision portion is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third incision portion is also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컵 홀더는 원형의 용지 내부를 분할 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용지의 바깥 테두리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용지의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의 단부에서 상하 양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2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3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절개부는 분기되어 연장된 상기 제2절개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제3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측 제3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외측 제3절개부의 일 지점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용지의 테두리에는 상기 접힘부의 바깥 단부 위치를 설정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 상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이를 분할 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대향하는 내측 제3절개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접힘부와, 상기 용지의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면서 상기 절개부와 상기 접힘부와 상기 용지의 바깥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메인 지지부와, 상기 접힘부, 상기 제3절개부, 상기 보조접힘부, 상기 용지의 바깥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 상기 내측 제3절개부, 상기 보조 접힘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p holder including a cutout for dividing an inside of a circular paper, and a fold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cutout to an outer edge of the cutout, The incision section includes a first incis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sheet to both sides of the sheet, a second incision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upward and downward at the end of the first incision, and a second incision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t the end of the second incision Wherein the third incision comprises an outer third incis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branched and extended second incision and an inner third incision extending inward of the second incision,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from one point of the outer third cutout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outer end of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aper. And an auxiliary cutting portion formed on the folded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formed to divide the auxiliary cutting portion. The auxiliary cut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olded portion so as to connect the end portions of the opposing inner third cut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utting portion, A main supporting portion formed to be surrounded by the cutout portion, the folded portion, and the outer rim of the paper while occupying the largest area of the paper, and a main support portion which is formed by the folded portion, the third cutout portion,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surrounded by the second cutout, the inner third cutout, and the auxiliary folded portion.

또한, 상기 외측 제3절개부의 단부는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내측 제3절개부의 단부도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outer third incision part is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and the end part of the inner third incision part is also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또한,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컵 홀더에 수용되는 컵의 측면 기울기에 따라 기울기가 가변된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side inclination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이러한 본 고안의 컵 홀더는 골판지 등의 용지를 단 한 번의 프레스 작업으로 절단하여 제조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고 이에 따른 원가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Such a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cutting paper such as corrugated paper by a single pressing oper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cost accordingly.

또한, 종래의 컵 홀더에 비하여 사용하는 원자재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20~30%정도의 원자재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ea of the raw material to be used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up holder, and the raw material can be reduced by about 20 to 30%.

또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접착공정을 줄 일 수 있으며 종래 접착 공정에 수반되던 환경오염의 문제를 차단하고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no separate adhesive is used, the adhesion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ccompanied with the conventional bonding process can be prevented and the safety of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enhanced.

또한, 하나의 홀더로 여러 가지 크기의 컵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 매장에서 두 세가지 이상 크기의 컵 홀더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을 줄 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one holder can be commonly used for cups of various siz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preparing two or more sizes of cup holders in the conventional store.

도1은 종래 통상적인 컵 홀더가 끼워진 컵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 컵 홀더가 컵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종래 통상적인 컵 홀더 제조 공정 상에서 절단 후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4의 상태로 변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5의 변형 전 컵 홀더를 도4와 같이 컵에 끼울 수 있는 상태로 변형하기 위해 컵 홀더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4의 컵 홀더가 컵에 끼워진 상태에서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도4의 컵 홀더가 컵에 끼워진 상태에서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가 접히는 부분에 따라 구분되는 각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in which a conventional cup holder is fitted.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cup holder is fitted in a cup;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after cutting in a conventional cup holder manufacturing process.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into the state shown in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olding the cup holder to deform the pre-deformation cup holder of FIG. 5 in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fitted into the cup as shown in FIG. 4;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a state where the cup holder of Fig. 4 is fitted in the cup;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a state where the cup holder of Fig. 4 is fitted in the cup;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each region divided according to a folded portion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set forth.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any particular embodiment, and that all changes and / or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understood.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use of the terms "comprises" or "may includ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etc., which is disclosed, Components and the like. 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은,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pression " or " or " at least one of A and / or B "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words listed together. For example, each of " A or B " or " at least one of A and / or B " may comprise A, comprise B, or both A and B.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Quot; first, " " second, " " first, " or " second, " etc. us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s. For example, the representat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 /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The representat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Accordingly,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technical idea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4의 상태로 변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5의 변형 전 컵 홀더를 도4와 같이 컵에 끼울 수 있는 상태로 변형하기 위해 컵 홀더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100)는 종래의 컵 홀더와 마찬가지로 일회용 종이컵, 일회용 플라스틱 컵 등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일회용 컵뿐만 아니라 일반 컵에 키워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컵 홀더(100)는 종래 컵 홀더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골판지 등의 용지로 제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판 용지를 프레스 가공으로 커팅하여 도5와 같은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up holder is deformed into the state of FIG. 4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olding the cup holder to deform the pre-deformation cup holder of FIG. 5 in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up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inserted into disposable paper cups, disposable plastic cups or the like like a conventional cup holder. Of course, it can be used in a regular cup as well as a disposable cup. The cup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paper such as corrugated cardboard,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n conventional cup holder manufacturing. But may also be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such as silicone. Such a sheet of paper can be cut by press working and can be manufactured in the state shown in Fig.

도5와 같이 절단이 완료된 상태의 컵 홀더(100)는 도4와 같은 상태로 변형되도록 접어 사용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내부에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들은 절개된 부분들을 나타낸다. 컵 홀더(100)의 중앙으로부터 나뭇가지 모양으로 분기되는 절개부(110)는 컵(C)이 수용되는 중앙홀(101)을 형성한다(도4 참조). 이하에서는 도5상의 표기된 좌표축상의 X축 방향을 우측 그 반대 방향을 좌측, Y축 방향을 상방향 그 반대 방향을 하방향, 그리고 지면상의 위를 향하는 방향을 상면 방향 그 반대 방향을 하면 방향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방향 설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절개부(110)는 컵 홀더(100)의 중앙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111)와 제1절개부(111)의 양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분기되는 제2절개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제2절개부(112)의 단부에는 다시 제2절개부(112)의 원호 형상 안쪽 및 바깥쪽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제3절개부(113)가 형성된다. 제3절개부(113)는 원호 형상의 제2절개부(112)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제3절개부(113a)와 원호 형상의 제2절개부(112)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측 제3절개부(113b)로 구성된다. The cup holder 100 in a state in which cutt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5 may be folded to be deformed into a state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5, the portions indicated by solid lines in the figure represent the cut portions. A cutout 110, which branches off from the center of the cup holder 100, forms a central hole 101 in which the cup C is received (see FIG. 4).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X axis direction on the coordinate axes shown in FIG. 5 is set to the right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eft side, the Y axis direction to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upward direction on the sheet surface . This orientation setting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utout part 110 includes a first cutout 111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cup holder 100 and a second cutout 111 cut in an arc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first cutout 111 2 cut-out portion 112. Fig. In addition, a third cutout 1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cutout 112 so as to be divided into two arc-shaped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of the second cutout 112. The third incision section 113 includes an outer third incision section 113a extending outwardly of the arc-shaped second incision section 112 and an inner third incision section 113b extending inward of the arc- And an incision 113b.

외측 제3절개부(113a)의 단부는 컵 홀더(100) 용지 중앙을 향해 안쪽으로 꺾이도록 형성된다. 외측 제3절개부(113a)의 길이는 컵 홀더(100)를 컵(C)에 끼우기 위해 도4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중앙홀(101)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외측 제3절개부(113a)의 길이가 길면 중앙홀(101)의 크기가 커지고, 외측 제3절개부(113a)의 길이가 짧으면 중앙홀(101)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 제3절개부(113a)의 길이는 컵 홀더(100)가 사용될 컵(C)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중앙홀(101)의 크기가 외측 제3절개부(113a)의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절개부(111) 및 제2절개부(112)의 길이도 주요한 결정 인자이며, 다만 중앙홀(101) 크기의 미세한 조절이 외측 제3절개부(113a)의 길이 조절을 통해서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한편, 내측 제3절개부(113b)도 그 단부가 컵 홀더(100) 용지 중앙을 향해 안쪽으로 꺾이도록 형성된다. The end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is formed so as to be bent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paper of the cup holder 100. The length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adjusts the size of the center hole 101 formed in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fit the cup holder 100 into the cup C. That is, if the length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is long, the size of the center hole 101 becomes large. If the length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is short, the size of the center hole 101 is small. Therefore, the length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can be mad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up C in which the cup holder 100 is to be used. Of course, the size of the center hole 101 is not determined solely by the length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cutout 111 and the second cutout 112 are also major determinants, The fine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central hole 101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On the other hand, the inner third cutout 113b is also formed such that its end portion is folded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paper of the cup holder 100.

원형의 컵 홀더(100)의 바깥 둘레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홈부(12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컵 홀더(1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일부분이 접히면서 도4와 같이 컵에 끼울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으로써, 이 홈부(120)로부터 전술한 외측 제3절개부(113a)의 최외곽 일 지점을 향하여 접힘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홈부(120)와 외측 제3절개부(113a)의 최외곽 일 지점 사이에는 접힘부(130)를 소정의 폭으로 분할하는 보조절개부(140)가 형성된다. 보조절개부(140)는 모서리가 둥근 디귿자 형상을 가지며 디귿자 형상의 개방부는 바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접힘부(130)는 보조절개부(140)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외측접힘부(131)와 내측접힘부(132)로 구분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내측 제3절개부(113b)의 단부 사이도 접히는 부분으로써 보조접힘부(150)가 형성된다. 내측 제3절개부(113b)는 그 단부가 안쪽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어 보조접힘부(150)의 길이가 최소화 될 수 있다.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cup holder 100, two grooves 120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up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into a shape that can be fitted in the cup as shown in FIG. 4 while a part of the cup holder 100 is folded as shown in FIG. 6, and the outer third cutout 113a The folded portion 130 is formed toward the outermost one point of the groove. An auxiliary cutout portion 140 is formed between the groove 120 and the outermost one of the outer third cutout portions 113a to divide the folded portion 130 into a predetermined width. The auxiliary incision part 140 has a diagon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and the opening part of the diagonal shape is arranged to face outward. The folded portion 130 is divided into two portions by the auxiliary cutout portion 140 and is divided into an outer folded portion 131 and an inner folded portion 132. [ Further, the auxiliary folded portion 150 is formed as a folding portion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two inner third cutouts 113b facing each other. The inner third cutout 113b is formed by bending its end inward, so that the length of the auxiliary folded portion 150 can be minimized.

도5의 본 고안의 컵 홀더(100)는 전술한 접힘부(130) 및 보조접힘부(150)에 의해 기능적으로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5에 도면번호를 표기한 요소와 중복되는 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생략되어 있음), 상하 양쪽에 제1절개부(11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 보고 있으며, 절개부(110), 접힘부(130), 보조절개부(140) 및 바깥 테두리 부분으로 둘러싸여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메인지지부(102)와, 좌우 양쪽 각각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두 개의 접힘부(130), 보조절개부(140), 제3절개부(113), 보조접힘부(150) 및 바깥 테두리 부분으로 둘러싸여 있는 날개부(103)와, 날개부(130)의 안쪽에 위치하며 보조접힘부(150), 내측 제3절개부(113b) 및 제2절개부(11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보조지지부(104)로 구분된다. 이러한 3개의 영역(102, 103, 104)은 전술한 접힘부(130) 및 보조접힘부(150)에서 서로 각을 이루도록 접히면서 도4와 같이 컵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다. 그 변형과정이 도6에 도시되어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지지부(102)와 날개부(103)는 접힘부(130)에서 서로 꺾여 각을 이룬다. 메인지지부(102)는 제1절개부(111)에 의해 서로 마주보고 있는 부분이 상면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그 저면 부분이 컵의 측면을 향하게 된다. 도6 (b)와 같이 꺾인 후 좀 더 꺾이면 도6 (c)와 같은 형태로 변형된다. 접힘부(130)의 중간에는 전술한 보조절개부(140)가 개재되어 있으며 디귿자 형상의 보조절개부(140)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부(102)와 일체로 위를 향하도록 꺾인다. 보조절개부(140)는 접힘부(130)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접히도록 접힘부(130)를 분할하는 요소로서 만일 보조절개부(140)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접힘부(130)가 홈부(120)로부터 외측 제3절개부(113a) 최외각 일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히는데 많은 힘을 요하게 되거나 설계된 접힘부(130)의 위치대로 접힘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접힘부(130)에는 접힘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홈이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up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functionally divided into three regions by the folded portion 130 and the auxiliary folded portion 150 described above. 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elements overlapping the element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in FIG. 5 are omitted), the first and second cutouts 111 and 111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 main supporting portion 102 surrounded by the cut portion 110, the folded portion 130, the auxiliary cut-out portion 140 and the outer rim portion and occupying the widest area, and two folded portions A wing portion 103 surrounded by the outer rim portion 130 and the auxiliary incision portion 140, the third incision portion 113, the auxiliary folding portion 150 and the outer rim portion,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104 surrounded by the folded portion 150, the inner third cutout portion 113b,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112. [ The three regions 102, 103, and 104 are folded at the folded portions 130 and the auxiliary folded portions 150 to be deformed into a shape in which the cup can be used as shown in FIG. The transformation process i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the main support portion 102 and the wing portion 103 are bent at the folded portion 130 to form an angle. The portions of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02 which are facing each other by the first cutout portion 111 are lifted up in the top surface direction (arrow direction) so that the bottom portion 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cup. As shown in FIG. 6 (b), when it is bent and then further bent, it is transformed into a shape as shown in FIG. 6 (c). The auxiliary cut-out portion 140 is interposed in the middle of the folded portion 130 and the area divided by the auxiliary cut-out portion 1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support portion 102 as shown in FIG. I turn to the head. The auxiliary cut-out portion 140 is an element for dividing the folded portion 130 so that the folded portion 130 is easily folded even with a small force. If the auxiliary cut-out portion 140 is not formed, 120 to the outermost point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it may require a lot of force to be folded or may not be fol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signed folded portion 130. The folded portion 13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or a wrinkle so that the folded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메인지지부(102)와 날개부(103)가 접힘부(130)에서 꺾여 이루는 각도는 종이 용지 재질의 특성상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써 컵의 측면 기울기가 크면 이에 접촉되는 메인지지부(102)도 크게 기울어지고, 컵의 측면 기울기가 작으면 이에 접촉되는 메인지지부(102)도 작게 기울어지게 된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부(102)의 상단이 바깥쪽으로 더 벌어지거나(102'의 위치), 메인지지부(102)의 하단이 바깥쪽으로 더 벌어질 수도 있다(102''의 위치).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100)는 컵(C)의 바깥 측면을 감싸는 메인지지부(102)가 컵의 측면 기울기에 따라서 기울어지는 각도가 가변되므로 측면 기울기가 다른 여러 가지 크기의 컵(C)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제3절개부(113a)의 단부는 컵 홀더(100)의 중앙쪽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컵 홀더(100)가 도6 (c)와 같이 꺾인 상태에서 메인지지부(102)의 가운데 부분이 컵의 측면을 따라 바깥으로 변형되기 용이하다The angle between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02 and the wing portion 103 bent at the folded portion 130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material so that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02 contacting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02 is greatly inclined when the side slope of the cup is large When the side slope of the cup is small, the main supporting portion 10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up tilts slightly. 7, the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 102 may be widened outward (position 102 ') or the lower end of the main support 102 may be widened outward (position 102 "), . Therefore,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02 surround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up C is varied along the side surface inclination of the cup, Can be used in common. As described above,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hird cutout 113a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cup holder 100, so that the cup holder 100 is bent in the state of being bent as shown in FIG. 6 (c) 102 are easily deformed outwar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up

한편, 보조지지부(104)는 그 안쪽 단부가 도6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 방향으로 변형되고, 보조접힘부(150)에서 접혀 날개부(103)과 각을 이루게 된다. 보조접힘부(150)도 접힘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홈이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지지부(104)는 그 하면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컵(C)의 측면에 접촉된다. 날개부(103)는 컵(C)의 바깥 측면을 감싸지 않고 컵의 측면에 대해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날개부(103)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아래를 사용자가 손으로 받쳐 잡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컵(C)에 담긴 음료가 매우 뜨거울 경우 종래의 컵 홀더를 사용할 때처럼 손으로 컵(C) 둘레를 감싸지 않아도 이 양 날개부(103)만 받쳐서 컵을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컵 홀더(100)를 겹쳐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pporting portion 104 is de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reof a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6, and is folded at the auxiliary folding portion 150 to form an angle with the wing portion 103. The auxiliary folded portion 15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or wrinkle so that the folded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As shown in Fig. 8,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10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up C in a folded st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of. The wing portion 103 protrudes outwardly at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cup without wrapp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up C. [ Such a wing portion 103 provides a function of being held by the user by hand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C is very hot, the cup can be carried only by supporting the two wing portions 103 without wrapping around the cup C by hand, as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cup hold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m in a stacked manner.

이러한 본 고안의 컵 홀더(100)는 골판지 등의 원단 용지를 단 한 번의 프레스 작업으로 절단함으로써 도5와 같은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그에 따른 생산 원가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컵 홀더(100)는 1개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용지의 면적을 절감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20~30% 정도의 원자재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컵 홀더(100) 제조 공정에서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의 접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접착 공정에 수반되던 환경오염의 문제나 작업 환경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 홀더(100)는 메인지지부(102)의 상하단부가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하나의 컵 홀더(100)로 여러 가지 다른 크기의 컵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종래 매장에서 두 세가지 이상 크기의 컵 홀더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다.Such a cup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cessed into a shape as shown in Fig. 5 by cutting a raw paper such as corrugated paper with a single pressing operation.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ly. In addition, since the cup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rea of the paper required for producing one, it can reduce the cost of raw materials by about 20 to 30%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up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adhesive, the conventional bonding step can be omitted, and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ccompanied with the bonding step and the safety problem of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solved have. As described above, the cup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support part 102 can be moved, so that one cup holder 100 can be commonly used for various sizes of cups.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two or more cup holders in the conventional store.

C : 컵
10 : 컵홀더
100 : 컵홀더
101 : 중앙홀
102 : 메인지지부
103 : 날개부
104 : 보조지지부
110 : 절개부
111 : 제1절개부
112 : 제2절개부
113 : 제3절개부
120 : 홈부
130 : 접힘부
140 : 보조절개부
150 : 보조접힘부
C: Cup
10: Cup holder
100: cup holder
101: center hole
102: main support
103: wing portion
104: auxiliary support
110: incision
111: first incision section
112: second incision section
113: third incision section
120:
130:
140: Auxiliary incision
150: auxiliary folded portion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원형의 용지 내부에 컵이 삽입되는 중앙홀을 형성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들어올려서 그 저면이 컵의 양측을 감싸게 되는 한 쌍의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혀 꺾이며 컵의 외측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이루며 컵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꺾여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적으로 접히는 위치에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가 소정의 폭으로 분할되도록 상기 접힘부 상에 형성되는 보조 절개부를 포함하는 컵 홀더.
A cutout forming a center hole into which the cup is inserted,
A pair of main supporters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incised portion and lifted up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bottom surface covers both sides of the cup,
A pair of wing portions folded relatively to the main supporting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ly of the cup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 pair of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formed inside the w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cup relative to the wing portion;
A folded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relatively fold,
And an auxiliary cutout formed on the folded portion such that the folded portion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wid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원형의 용지 테두리 부분에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의 바깥 단부의 위치를 안내하는 두 쌍의 홈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up holder is recessed in the circular paper edge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two pairs of grooves guiding the position of the outer end of the fold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용지의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의 단부에서 상하 양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2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3절개부를 포함하는 컵 홀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ut-out portion includes a first cut-out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heet,
A second incision portion extending in an arc shap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And a third cutout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t an end of the second cutou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컵 홀더에 수용되는 컵의 측면 기울기에 따라 기울기가 가변되는 컵 홀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in support portion is inclined according to a side slope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절개부는 원호 형상으로 분기된 상기 제2절개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제3절개부와, 원호 형상으로 분기된 상기 제2절개부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측 제3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제3절개부의 단부는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내측 제3절개부의 단부도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컵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rd incision portion includes an outer third incision portion that extends outwardly of the second incision portion that is branched into an arc shape and an inner third incision portion that extends inward of the second incision portion that is branched into an arc shape,
The end of the outer third incision part is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And an end of the inner third incision portion is also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원형의 용지 내부를 분할 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용지의 바깥 테두리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용지의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의 단부에서 상하 양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2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3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절개부는 분기되어 연장된 상기 제2절개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제3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측 제3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외측 제3절개부의 일 지점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용지의 테두리에는 상기 접힘부의 바깥 단부 위치를 설정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 상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이를 분할 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대향하는 내측 제3절개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접힘부와,
상기 용지의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면서 상기 절개부와 상기 접힘부와 상기 용지의 바깥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메인 지지부와,
상기 접힘부, 상기 제3절개부, 상기 보조접힘부, 상기 용지의 바깥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날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 상기 내측 제3절개부, 상기 보조 접힘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는 컵 홀더
An incision section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circular paper,
And a folded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one point of the cutout portion to the outer edge of the paper sheet,
The cut-out portion includes a first cut-out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heet,
A second incision portion that branches and extends in both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t the end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And a third incision branch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t an end of the second incision,
Wherein the third incision comprises an outer third incis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branched second incision and an inner third incision extending inward of the second incision,
Wherein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from one point of the outer third incision,
And a groove portion for setting a position of an outer end of the folded portion on an edge of the paper,
Wherein an auxiliary cut-off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formed to divide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on the folded portion,
An auxiliary folded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nnecting the end portions of the opposing inner third incision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incisions,
A main supporting portion formed to be surrounded by the cutout portion, the folded portion, and the outer rim of the paper while occupying the largest area of the paper,
A wing portion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outer edge of the folded portion, the third cut portion, the auxiliary folded portion,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surrounded by the second incision portion, the inner third incision portion, and the auxiliary folded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제3절개부의 단부는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고,
상기 내측 제3절개부의 단부도 상기 용지의 중앙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컵 홀더.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nd of the outer third incision part is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And an end of the inner third incision portion is also bent i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ap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컵 홀더에 수용되는 컵의 측면 기울기에 따라 기울기가 가변되는 컵 홀더.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ain support portion is inclined according to a side slope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KR2020160006005U 2016-10-18 2016-10-18 A cup holder KR2004835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05U KR200483545Y1 (en) 2016-10-18 2016-10-18 A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05U KR200483545Y1 (en) 2016-10-18 2016-10-18 A cup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45Y1 true KR200483545Y1 (en) 2017-05-26

Family

ID=5902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05U KR200483545Y1 (en) 2016-10-18 2016-10-18 A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4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993B1 (en) * 2019-08-12 2020-01-31 주식회사 레스랩스 Bondless Integral Asymmetric Cup Slee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733A (en) * 2005-09-06 2007-03-22 Sekisui Plastics Co Ltd Cup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733A (en) * 2005-09-06 2007-03-22 Sekisui Plastics Co Ltd Cup 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993B1 (en) * 2019-08-12 2020-01-31 주식회사 레스랩스 Bondless Integral Asymmetric Cup Slee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3702B (en) Lid for a beverage cup, cu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d
US6182890B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holding foodstuffs, and methods of using same
EP3334659B1 (en) Cup sleeve
JP2012515052A (en) Protective sleeve
US20100019023A1 (en) Protective sleeve
KR101702314B1 (en) Production method for disposable cup sleeve
KR200483545Y1 (en) A cup holder
CN109476398B (en) Container with a closure device limiting spillage
KR101114236B1 (en) Foldable paper cu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840008B2 (en) Cup scoop and container for food products or the like
US9145225B2 (en) Tray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items such as yogurt containers
US4589619A (en) Food holder
US20070164041A1 (en) Beverage container insulator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190300255A1 (en) Blank and carton
KR20140000391A (en) Cup holder
US20220240700A1 (en) Handled holder for cups, containers, and the like
IT201800002641A1 (en) Lid enclosing one or more substances tha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a glass to which the lid is possibly connected
CN106061332A (en) Foldable cup
KR102071993B1 (en) Bondless Integral Asymmetric Cup Sleeve
KR102368513B1 (en) Drip bag for beverage brewing
JP6461715B2 (en) Multipack for bottle can transportation
CA2791845A1 (en) Tray, with improved rigidity,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items such as yogurt containers
CN212149618U (en) Packing box for whisky cups
CN208625218U (en) Glass holder structure-improved
JP6907094B2 (en) Simple dri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