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84Y1 - Frame - Google Patents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84Y1
KR200483484Y1 KR2020160001520U KR20160001520U KR200483484Y1 KR 200483484 Y1 KR200483484 Y1 KR 200483484Y1 KR 2020160001520 U KR2020160001520 U KR 2020160001520U KR 20160001520 U KR20160001520 U KR 20160001520U KR 200483484 Y1 KR200483484 Y1 KR 200483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pedestal
rear surface
pa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5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순
Original Assignee
이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순 filed Critical 이경순
Priority to KR2020160001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장, 증서, 사진, 훈장, 표장, 표장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진열대상체가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받침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자력을 통해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액자를 수여 또는 이동, 운반하거나 벽에 걸어서 사용할 때 받침대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펼쳐진 받침대로 인해 상해를 입거나, 받침대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진열대상체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받침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자력을 통해 상기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in which a folded state of a pedestal is maintain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ain body to which various kinds of display stand bodies such as a certificate, a certificate, a photo, a decoration, a mark, a mark, etc. are combined, a pedestal hing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at maintains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through magnetic force so that the pedestal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deployed when the frame is given, moved, carried, or hung on a wall, And a foldable state of the pedestal that can prevent breakage is maintain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to which a display stand body is mounted; A pedestal hing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magnetic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or the pedestal or both of them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through magnetic force.

Description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FRAME}Frames in which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is maintained {FRAME}

본 고안은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in which a folded state of a pedestal is maintained,

보다 상세하게는 상장, 증서, 사진, 훈장, 표장, 표장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진열대상체가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받침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자력을 통해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액자를 수여 또는 이동, 운반하거나 벽에 걸어서 사용할 때 받침대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펼쳐진 받침대로 인해 상해를 입거나, 받침대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ain body to which various kinds of display stand bodies such as a certificate, a certificate, a photo, a decoration, a mark, a mark, etc. are combined, a pedestal hing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at maintains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through magnetic force so that the pedestal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deployed when the frame is given, moved, carried, or hung on a wall, And a foldable state of the pedestal that can prevent breakage is maintained.

일반적으로 상장, 표창, 감사장, 위촉패 등 어떤 행위를 기리는 증서 및 문서 등은 액자에 넣어서 전시 또는 보관한다.In general, certificates and documents to honor any act, such as a certificate, a recognition, an acknowledgment, or a commission, shall be displayed or kept in a frame.

이러한 액자에는 다양한 종류가 종래기술로 제시되어 있는데, 보통은 벽면 따위에 걸거나, 또는 책상, 탁자 등에 세워서 진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Various types of such frames are proposed in the prior art, and it is common to hang them on a wall or stand on a desk or a table.

또한 상장, 사진과 같은 페이퍼(Paper) 형태의 평면 진열대상체 등은, 훈장, 표장, 표창 수여자(기관) 등의 입체로고, 평면 진열대상체에 따르는 부상으로 지급되는 감사패, 배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 진열대상체가 함께 수여되기 때문에, 평면 진열대상체와 입체 진열대상체를 하나의 액자로 함께 전시하는 경우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만족도가 배가되어, 종래의 액자는 서로 다른 형태의 진열대상체를 함께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a flat display stand such as a paper or a paper like a photo or a photograph may be displayed on a schedule such as a decoration,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mark, a mark, a recognizer (institution), a plaque When a flat display stand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stand body are displayed together as a single frame,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he satisfaction is doubled, and the conventional frame is different from the display stand of different types And the like.

이러한 기능의 액자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166857호 (2012년07월12일) [직립이 가능한 액자], 등록특허 제10-0959787호 (2010년05월18일) [액자용 지지대], 등록특허 제10-1352218호 (2014년01월09일) [병 고정형 액자] 등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ing to a frame of such a function,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ique of using a frame as a conventional techniqu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166857 (July 12, 2012) [Frame that can be erected], Registered Patent No. 10-0959787 (May 18, 2010) (Registered trademark), registered patent No. 10-1352218 (January 09, 2014), and a bottle-fixed frame.

액자의 전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종래 기술들의 본체 후면에 힌지 결합된 받침대를 마련하여, 벽 등에 걸어서 진열, 보관할 때는 받침대가 접혀지도록 하고, 책상 등에 세워서 보관할 때는 받침대를 펼쳐서 본체가 직립되어 진열, 보관되도록 한다.In order to enhance the display utilization of the frame, a hinge-coupled pedestal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rt, and the pedestal is folded when the pedestal is folded when it is placed on a wall. To be stored.

그러나 종래의 받침대들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액자 자체를 직접 수여, 이동, 납품하거나, 또는 벽에 걸어서 사용할 때, 받침대가 의도치 않게 펼쳐져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벽지 등이 손상될 수 있고, 심한 경우 받침대가 과도하게 펼쳐지면서 받침대가 부러지는 등의 액자 파손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edestals do not have separate fixing means, when the frame itself is directly given, moved, delivered, or used on a wall, the pedestal may unexpectedly unfold to cause scratches, , And in the worst case, the frame is excessively unfolded, and the frame breaks frequently.

뿐만 아니라, 걸림구 형태의 고정수단을 통해 받침대를 고정하더라도, 걸림구가 의도치 않게 회동하여 받침대가 펼쳐지거나, 걸림구의 후면 돌출 구조로 인해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사용상의 주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edestal is fixed through the fixing means in the form of a stopp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edal is unintentionally rotated to unfold the pedestal, or scratches due to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stopper.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장, 증서, 사진 등과 같은 평면 진열대상체와, 훈장, 표장, 표창 수여자(기관) 등의 입체로고, 평면 진열대상체에 따르는 부상으로 지급되는 감사패, 배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 진열대상체를 함께 수용하여 진열할 수 있고, 벽걸이 형태와 함께 테이블 세움 형태의 진열이 모두 가능하며, 받침대의 사용이 필요 없는 경우 받침대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액자의 수여, 이동, 보관, 납품 시 스크래치로 인한 상해 발생, 또는 벽걸이 진열 시 벽지 손상 내지 받침대의 파손 등이 유발되지 않도록, 본체 또는 받침대 또는 이들 모두에 자력을 통해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three-dimensional display such as a display, a certificate, a photograph, etc.,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decoration, a mark, a recognizer (institution), a three-dimensional display stand having a certain thickness such as a plaque,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wall-mounted type, and it is possible to display all types of table-like shape. When the use of the pedestal is not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destal from spreading arbitrarily, And a magnetic body for holding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through the magnetic force on the main body or the pedestal or both of the pedestal or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pedestal or damage to the wall when the wall is displayed on the wall do.

또한 본 고안은, 본체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의 전면부를 원목, 석재, 자개 등으로 고급스럽거나 화려하게 장식되는 등 다양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고, 받침대, 진열대상체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스윙 걸림편, 벽걸이용 고리 등과 같은 본체의 후면 부품들이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각 부재들이 수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variety of materials can be selected, such as a front part of a main frame constituting a main body, such as a wooden, stone, or mother-of-pearl, which are luxuriously or gorgeously decorated and can be selected from a pedestal, a swing- And a recess in which each member is received so that the rear parts of the main body such as a hook, ring, and the like are not projected to the rear s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진열대상체가 장착되는 본체;A main body on which a shelf upper body is mounted;

상기 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및A pedestal hing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받침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자력을 통해 상기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agnetic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or the pedestal or both of them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through a magnetic forc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서,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는,The main body includes:

진열대상체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A main frame on which a display body is mounted,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벽걸이부재A main body frame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면에 배열되어 진열대상체의 후방측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And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arrang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to prevent rearward separation of the display stan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서,In addition,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는,The main body includes:

상기 벽걸이부재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용되어 벽걸이부재의 후방 돌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오목 형성되어 상기 벽걸이부재가 결합되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rst recess formed in the main frame and coupled with the wall-hung member so that the wall-hung member is received in the main frame to prevent the wall-hanging member from being projected backward.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서,In addition,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는,The main body includes:

상기 분리방지부재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용되어 분리방지부재의 후방 돌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오목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부재가 결합되는 제2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recess formed in the main frame and coupled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s received in the main frame and prevents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rom being projected backward.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자력을 통해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성체를 도입하여, 액자의 수여, 이동, 보관, 납품 시 스크래치로 인한 상해 발생, 또는 벽걸이 진열 시 벽지 손상 내지 받침대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벽걸이 형태와 테이블 세움 형태의 진열이 모두 가능하여 다용도 화룡이 가능하고, 상장, 증서, 사진 등과 같은 평면 진열대상체와, 훈장, 표장, 표창 수여자(기관) 등의 입체로고, 평면 진열대상체에 따르는 부상으로 지급되는 감사패, 배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 진열대상체를 함께 수용하여 진열할 수 있으며,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magnetic body which keeps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through the magnetic force and causes damage due to scratches or damage to the wall during the presentation, movement, storage and delivery of the frame, or damage to the pedestal It is possible to use both wall-mounted type and table-shaped type display so that it can be used for versatile purposes. Also, it is possible to use a flat display stand such as a certificate, a certificate, a photograph, and a decoration, a mark, A three-dimensional logo of a flat display shelf, an appreciation plate, a badge, a medal, and the like, which are paid on the basis of an upper body of a flat display stand,

메인프레임의 전면부를 원목, 석재, 자개 등으로 고급스럽거나 화려하게 장식되는 등 다양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고, 받침대, 진열대상체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스윙 걸림편, 벽걸이용 고리 등과 같은 본체의 후면 부품들이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ront part of the main frame can be selected from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wooden, stone, mother-of-pearl, etc., and the back parts of the main body such as a pedestal, a swing latch for preventing rearward deviation of the upper body of the display, It does not protrude to the rear surface, and scratche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전면 및 후면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적층 보관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exploded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storage of stacked picture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digit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전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describing the frame in which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for convenience as an approximate rough direction referenc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gravity acts on the frame The directions are shown in the direction of the downward direction, and directions are specified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ign related to the other drawings and in the claims.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F)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rame F in which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F)는, 크게 진열대상체(1)가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20) 및 자력을 통해 상기 받침대(20)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성체(30)를 포함한다.1 to 5, the frame F in which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includes a main body 10 on which the shelf body 1 is mounted, And a magnetic body 30 for holding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20 through a magnetic force.

본 고안의 본체(10)는, 사각형 메인프레임(11)으로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하트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rectangular main frame 11, bu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heart, and a polygon if necessary.

상기 메인프레임(11)은, 목재(원목 및 집성목), 합성수지, 금속, 각종 동식물 원료(뼈, 뿔, 대나무, 풀), 광물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wood and glued wood), synthetic resin, metal, various plant and animal raw materials (bone, horn, bamboo, grass) and mineral.

아울러 메인프레임(11)의 전면부는, 원목, 석재, 자개 등으로 고급스럽거나 화려하게 장식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원목 메인프레임(11)으로 구성되어 전면 장식부(11b)가 평판형이 아닌 아치형 돌출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frame 11 may be decorated with luxurious or gorgeous wood such as wood, stone, mother-of-pearl, etc. In the drawing, the front main body 11 includes a front decorative portion 11b, .

이러한 메인프레임(11)은, 진열대상체(1)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11S)를 갖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진열대상체(1)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The main frame 11 has an opening portion 11S through which the shelf member 1 is expose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shelf member 1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개구부(11S)의 가장 전면에 진열대상체(1)의 오염 및 손상 방지 등을 위한 유리 등의 투광패널(12)이 결합되고, 개구부(11S)의 가장 후면에 진열대상체(1)의 후방 이탈 방지를 위한 후방패널(13)이 결합되고, 투광패널(12)과 후방패널(13) 사이에 진열대상체(1)의 보호를 위한 이격부재(14)와 중간패널(15)이 구비된다.A light transmitting panel 12 such as a glas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damage of the display stand body 1 is coupled to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1S and a rear light shielding panel 12 for preventing rearward deviation of the display stand body 1 And a separating member 14 and an intermediate panel 15 for protecting the display stand body 1 are provided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12 and the rear panel 13. [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1)은, 장착부 형성을 위한 전방의 걸림턱(11a)을 포함한다.To be more specific, the main frame 11 includes a front stop 11a for forming a mounting portion.

상기 투광패널(12)은, 개구부(11S)의 가장 전면에 위치하도록 걸림턱(11a)의 후면과 접촉하여 결합된다.The light transmitting panel 1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atching protrusion 11a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full front side of the opening 11S.

상기 투광패널(12)의 후면에는 메인프레임(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착부에 배열되는 이격부재(14)가 배치되어,A spacing member 1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frame 11 and arranged on a moun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12,

상기 이격부재(14) 후면에 결합되는 진열대상체(1)의 진열패널(2)과, 투광패널(12) 사이에 이격부(FS)를 형성하여, A spacing FS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2 of the display stand body 1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member 14 and the light projecting panel 12,

훈장, 표장, 표창의 수여자(기관) 등의 입체로고, 감사패, 배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 진열대상체가 액자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A three-dimensional display stand having a certain thickness such as a three-dimensional logo, an appreciation plaque, a badge, a medal, etc. of a medal, a medal, a mark,

도면에서는, 진열패널(2)의 제1 진열부(3)와 제2 진열부(4)에 각각, 상장, 표창, 감사 등의 문구가 인쇄된 시트 및 이를 기념할 다양한 사진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진열대상체가 장착되며, 제3 진열부(5)에 훈장, 표장, 표창의 수여자(기관) 등의 입체로고, 감사패, 배지, 메달 등과 같은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 진열대상체가 장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In the figure, the first shelf part (3) and the second shelf part (4) of the display panel (2)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flat display shelf comprising a sheet on which a phrase such as certificate of hon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stand having a certain thickness such as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decoration, an emblem, a medal or the like of a medal, an appreciation plate, a badge, a medal or the like is mounted on the third display part 5 ,

상기 진열패널(2)은 단순한 다양한 색상과 문양, 패턴 등을 갖는 장식패널 등 그 형태 등에 제한이 없고, 주문이나 제작 의도에 따라 다양한 평면패널에 타공부를 구성하여, 각 타공부가 상기와 같은 진열부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shelf panel 2 is not limited to a decorative panel or the like having various colors, patterns, patterns, and the like. The shelf panel 2 may be made of various flat panels according to the order or the intention of the user. It can function as a display part.

미설명 도면부호 2a는 제1 진열부(3)의 테두리 장식부이다.Reference numeral 2a denotes an edge decoration part of the first display part 3.

이처럼 이격부(FS)를 형성하는 이격부재(14)의 후면은 진열대상체(1)의 진열패널(2) 테두리가 지지되는 걸림부의 기능을 하게 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spacing member 14 forming the spacing portion FS functions as a latch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rim panel 2 of the display stand body 1.

상기 평면 및 입체 진열대상체의 후방에는 진열패널(2)을 보호하고, 제1 및 제2 진열부(3)(4)에 구비된 상장, 사진 등의 이탈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중간패널(15)이 결합되고, The intermediate panel 15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lat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stand body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2 and to prevent detachment and damag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3 and 4, Lt; / RTI >

상기 중간패널(15)의 후방에는 경직성을 갖는 합판 등 소재의 후방패널(13)이 배열된다.Behind the intermediate panel 15, a rear panel 13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ywood having rigidity is arranged.

필요에 따라 중간패널(15)과 후방패널(13)의 기능은 하나의 패널로 통합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intermediate panel 15 and the rear panel 13 can be integrated into one panel as required.

이러한 중간패널(15)과 후방패널(13)은,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 배열되어 진열대상체(1)의 후방측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재(17)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10)에 진열대상체(1)가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다.The intermediate panel 15 and the rear panel 13 are supported by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to prevent the rear side separation of the shelf member 1, So that the display stand body 1 is firmly assembled.

그리고 본체(10)의 후면, 즉 후방패널(13)에는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부(21)를 축으로 타단이 회동하여 본체(10)의 후면에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는 받침대(20)가 구비된다. A pedestal 2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rear panel 13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with the other end thereof pivoted about the hinge 21, .

상기 받침대(20)는, 본체(10)의 후면에 접혀진 상태에서 액자를 벽걸이 용도로 걸어서 진열하거나, 본체(10)의 후면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액자가 테이블 등에 직립하여 세워져 진열되도록 한다.The pedestal 20 is fol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frame is displayed for hanging on the wall or display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 standing state.

이 경우, 상기 받침대(20)의 접힘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액자 자체를 직접 수여할 때, 또는 액자의 수여자 또는 수상자가 스크래치로 인한 상해를 입거나, 이동, 보관, 납품 시 또는 벽걸이 진열 시 벽지 손상 내지 받침대(20)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unless the fixing means for fixing and holding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20 is provided, when the frame itself is directly given, or when the receiver or winner of the frame receives injury due to scratches, , Damage to the wallpaper or damage to the pedestal 20 may occur at the time of delivery or at the time of display on the wall.

이에 본 고안은 상기 후방패널(13) 또는 상기 받침대(20) 또는 이들 모두에 자성체(30)를 구비하여, 자력을 통해 상기 받침대(20)가 임의로 펼쳐지지 않고, 받침대(20)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ic body 30 is provided on the rear panel 13 or the pedestal 20 or both of them so that the pedestal 20 is not unfolded through a magnetic force, .

후방패널(13) 또는 받침대(20) 중 어느 하나에만 자성체(30)가 구비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받침대(20) 또는 후방패널(13)은, 자력 부착이 가능한 금속 소재로 제작되거나, 자력 부착을 위한 별도의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When the magnetic body 30 is provided only on either the rear panel 13 or the pedestal 20, the pedestal 20 or the rear panel 13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body 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magnetic attraction, And a separate metal member for the metal member,

후방패널(13) 및 받침대(20) 모두에 자성체(30)가 구비되는 경우, 각 자성체(30)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형성하여,When the magnetic substance 30 is provided in both the rear panel 13 and the pedestal 20, the respective magnetic substances 3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받침대(20)가 접힌 상태에서 자성체(30)(들)의 인력 작용을 통해 받침대(20)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Thereby preventing the pedestal 20 from being unfolded through attraction of the magnetic body 30 (s) in a state where the pedestal 20 is folded.

이 경우, 자성체(30)의 자력은 받침대(20)가 중력 등에 의해 임의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는 정도면 족하고, 따라서 액자를 테이블 등에 세워서 진열할 때에는, 사용자가 받침대(20)를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30 is sufficient to prevent the pedestal 20 from being arbitrarily deployed due to gravity or the like. Therefore, when the frame is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user can easily unfold the pedestal 20 .

이러한 자성체(30)는, 후방패널(13) 및/또는 받침대(20)에 매립되는 형태(도면에서는 제1 자성체(31)가 후방패널(13)에 매립되고, 제2 자성체(32)가 받침대(20)의 후면에 돌출 결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음.)로 결합되어 자성체(30)가 후방패널(13) 및/또는 받침대(20)의 일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magnetic body 30 is embedded in the rear panel 13 and / or the pedestal 20 (in the figure, the first magnetic body 31 is embedded in the rear panel 13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32 is embedded in the pedestal 2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body 30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ear panel 13 and / or the pedestal 20 by being coupl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edestal 20 as shown in FIG.

상기 자성체(30)를 통해, 받침대(20)가 완전히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인력 작용으로 인해 받침대(20)가 자동으로 접혀져, 받침대(20)의 접힘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pedestal 20 is automatically folded due to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20 is maintained when the pedestal 20 is not completely unfolded through the magnetic body 30, have.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방 상부에는 벽걸이부재(16)가 더 구비되어 있어, 액자를 벽에 걸어서 진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Further, a wall-hanging member 16 is further provid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isplay the frame by hanging it on a wall.

상기 벽걸이부재(16)는,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16a)와, 상기 고정부(16a)에 힌지 결합되는 고리부(16b)로 구성된다.The wall mount member 16 includes a fixing portion 16a fixed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and a ring portion 16b hinged to the fixing portion 16a.

이러한 고리부(16b)는, 고정부(16a)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벽걸이부재(16)를 사용하지 않을 때 고리부(16b)가 자중에 의해 접혀 메인프레임(1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wall-hanging member 16 is not used, the ring portion 16b is folded by its own weight and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 .

이어서 본 고안의 분리방지부재(17)는,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서 상기 후방패널(13)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되어, 투광패널(12), 이격부재(14), 진열대상체(1)의 진열패널(2), 중간패널(15), 후방패널(13)이, 메인프레임(11)의 장착부에 마운팅 상태가 고정된다.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es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3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so that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12, the spacing member 14, The panel panel 2, the intermediate panel 15 and the rear panel 13 of the main frame 11 ar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s of the main frame 11.

분리방지부재(17)는, 손으로 절곡하는 것이 가능한 저렴한 철판 소재의 부재일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스윙축(17B)을 구성하는 볼트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스윙형 걸림편(17A)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ve member 17 may be an inexpensive steel plate member capable of being folded by hand.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swing type fixation members 17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by bolts constituting the swing shaft 17B And a latching piece 17A.

이러한 걸림편(17A)은, 스윙축(17B)의 반대편 끝단부가 후방패널(13)을 덮으면서 움직이도록 구비되어, 걸림편(17A)을 메인프레임(11) 후면 방향으로 젖힌 상태에서 후방패널(13)을 비롯한 본체(10)의 내부 구성을 장착 또는 분리하고, 본체(10)의 내부 구성을 장착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편(17A)을 후방패널(13) 방향으로 복귀시켜 각 구성들이 견고하게 마운팅되도록 한다.The engaging piece 17A is provided so that the opposite end of the swinging shaft 17B moves while covering the rear panel 13 so that the engaging piece 17A is moved in the rear panel The inner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including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is mounted or separated and the retaining pieces 17A are re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panel 13 with the inner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assembled to the mounting portion, .

또한 도 3의 하부 일점쇄선 원내 측면도와 같이, 상기 걸림편(17A)은,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중앙 부위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강화부(1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engaging piece 17A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17a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portion through a press working or the like.

상기 강화부(17a)가 전방을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로, 걸림편(17)을 스윙축(17B)을 구성하는 볼트로 메인프레임(11)에 결합하면,When the engaging piece 17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1 with the bolts constituting the swing shaft 17B with the reinforcing portion 17a turned upside down,

중앙 돌출 강화부(17a)가 후방패널(13) 또는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 접하고, 걸림편(17A) 테두리는 후방패널(13) 또는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서 이격되어 틈새(17b)를 형성하므로,The center protruding reinforcing portion 17a abut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3 or the main frame 11 and the rim of the retaining piece 17A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3 or the main frame 11, ),

상기 틈새(17b)를 통해 손가락 또는 손톱이 걸리게 되어 걸림편(17A)을 회전(스윙)하여 후방패널(13)의 고정 또는 해제 상태를 위한 2~10mm 정도로 작은 크기의 걸림편(17A) 스윙 동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 finger or a nail is caught through the gap 17b to swing the engaging piece 17A to swing the engaging piece 17A having a size of about 2 to 10 mm for fixing or releasing the rear panel 13 This can be done more easily.

한편, 상기 본체(10)의 메인프레임(1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벽걸이 용도로 액자를 진열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 등 하나 이상의 벽걸이부재(16), 진열대상체(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후방패널(13)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스윙 걸림편(17A)이 구비되는 바,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 11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wall-hanging member 16 such as a ring for displaying the frame for wall-hanging use, A plurality of swing engaging pieces 17A for supporting the rear panel 13 are provided,

상기 받침대(20)와 함께 벽걸이부재(16), 스윙 걸림편(17A)이 본체(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인 경우, 도 6의 일점쇄선 원내 액자 적층 구조와 같이, 액자의 적층 후 보관, 이동, 납품 시 액자의 메인프레임(11) 전면이나 투광패널(12)이,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wall-hanging member 16 and the swing-locking piece 17A are protrud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ogether with the pedestal 20, as shown in Fig. 6, , The front face of the main frame 11 of the photo frame or the light projecting panel 12,

다른 액자의 후면 돌출 구조로 인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Scratches may occur due to the rear projecting structure of another frame.

이에 본 고안은, 액자의 후면 돌출 구조로 인해 다른 액자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하여 구매자 및 상패 등 수장자의 감정을 상하지 않도록 하며, 적층 보관 후에도 액자의 메인프레임(11)이나 투광패널(12)의 면 상태가 처음과 같이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은 상기 벽걸이부재(16), 분리방지부재(17), 받침대(20)가 메인프레임(11)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스크래치 방지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n other frames due to the rear protruding structure of the frame, so that the emotions of buyers and plaques are not damaged, and even after stack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atch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wall member 16,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and the pedestal 20 from protrud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1, Means.

또한 상기 스크래치 방지수단은, 액자를 벽에 걸어 진열할 경우, 후면 돌출 구조로 인해 액자가 벽에 들떠서 진열되거나, 벽지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받침대(20)를 이용한 테이블 진열 시에도 받침대(20)가 접혀 액자가 뒤로 넘어가는 경우 후면 돌출 구조로 인해 테이블 등에 부딪혀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frame is placed on the wall, the scratch preventing means prevents the frame from being displayed on the wall due to the rear protruding structure and prevents the wallpaper from being damaged. Also, when the table is displayed using the pedestal 20, ) Is collapsed and the frame falls back, the back protruding structure hits the table or the like so that breakage does not occur.

이러한 스크래치 방지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걸이부재(16), 분리방지부재(17), 받침대(20) 모두가 메인프레임(11)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리세스를 기초로 구성된다.Such a scratch preventing means is constituted based on a recess that allows both the wall-hanging member 16,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and the pedestal 20 to be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1, as shown in Fig. 1 do.

먼저, 본 고안의 스크래치 방지수단은, 본체(10)의 후면 돌출 구조인 벽걸이부재(16)를 위한 제1 리세스(11A)는, 메인프레임(11)의 상부 프레임 후면에서 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The first recess 11A for the wall-hanging member 16, which is the rear protruding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face of the upper frame of the main frame 11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ed,

상기 벽걸이부재(16)가 상기 제1 리세스(11A)에 수용되어 구비된다.The wall member 16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ss 11A.

이 경우, 상기 벽걸이부재(16)의 고정부(16a)가 상기 제1 리세스(11A)에 결합되며, 상기 고리부(16b)가 제1 리세스(11A)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메인프레임(11) 상부로 노출되어 액자를 벽에 걸어 진열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ixing portion 16a of the wall-mounting member 16 is coupled to the first recess 11A, and the ring portion 16b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1a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recess 11A 11) I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so that the frame can be placed on the wall.

이러한 제1 리세스(11A)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변이 장변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반원형 리세스로 구성되어, 액자를 벽에 걸지 않은 상태에서 고리부(16b)가 제1 리세스(11A)로 접히면서 수용되어, 벽걸이부재(16)가 메인프레임(11)의 후방 및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shape of the first recess 11A is not limited, but is formed by a semicircular reces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side to the long side. When the frame 16b is not hooked to the wall, the first recess 11A So that the wall-hanging member 16 does not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main frame 11 and from above.

다음으로 본 고안의 스크래치 방지수단 중, 본체(10)의 후면 돌출 구조인 분리방지부재(17)를 위한 제2 리세스(11B)는,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서 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되면서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The second recess 11B for the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17 which is the rear protruding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is recessed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상기 분리방지부재(17)가 상기 제2 리세스(11B)에 수용되어 구비된다.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ss 11B.

이 경우, 상기 분리방지부재(17)의 스윙축(17B)을 구성하는 볼트가 상기 제2 리세스(11B)에 결합되며, 스윙축(17B)의 반대편 걸림편(17A)의 끝단부가 제2 리세스(11B)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메인프레임(11) 내측으로 노출되어 후방패널(13)을 가압 지지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bolt constituting the swinging shaft 17B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is coupled to the second recess 11B, and the end of the opposite engaging piece 17A of the swinging shaft 17B is engaged with the second And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11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recess 11B so as to press and support the rear panel 13. [

이러한 제2 리세스(11B)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걸림편(17A)을 메인프레임(11)에 접하도록 스윙시킬 수 있도록, 하변이 장변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반원형 리세스로 구성되며,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second recess 11B, but it is constituted by a semicircular recess formed by opening the lower side at the long side so that the engaging piece 17A can swing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in frame 11,

상기 분리방지부재(17)의 스윙축(17B)이, 상기 제2 리세스(11B)의 일측에 편중되도록 결합된다.The swinging shaft 17B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is bias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ecess 11B.

이를 통해, 후방패널(13)의 고정을 위해 걸림편(17A)을 메인프레임(11) 내측으로 스윙 동작하였을 때, 걸림편(17A)이 제2 리세스(11B)의 내벽에 접촉하여 걸림편(17A)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후방패널(13)의 분리를 위해 걸림편(17A)을 메인프레임(11) 방향을 스윙하였을 때 걸림편(17A)이 항상 제2 리세스(11B) 내부에 수용되어 분리방지부재(17)가 메인프레임(11)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engaging piece 17A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recess 11B when the engaging piece 17A is swung to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11 for fixing the rear panel 13, When the latching piece 17A is swung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 in order to separate the rear panel 13, the latching piece 17A is always held in the second recesses 11B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from protruding outside the main frame 11.

한편 상기 제2 리세스(11B)에 결합된 분리방지부재(17)로 인해 후방패널(13)이 메인프레임(11)의 내측에 매립되는 형태로 결합됨에 따라, 본체(10)의 후면에는 메인프레임(11)으로 둘러싸인 공간부(11C)가 형성되어,On the other hand, the rear panel 13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11 by the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17 coupled to the second recess 11B, A space portion 11C surrounded by the frame 11 is formed,

본체(10)의 후면 공간부(11C)가, 상기 받침대(20)가 수용되어 구비되는 스크래치 방지수단으로 기능한다.The rear space portion 11C of the main body 10 functions as a scratch preventing means in which the pedestal 20 is accommodated.

즉, 상기 분리방지부재(17)를 위한 제2 리세스(11B)로 인해, 본체(10)의 메인프레임(11)을 제외한 후면이 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된 공간부(11C)를 갖게 되고,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except for the main frame 11 has the space portion 11C recessed toward the front due to the second recess 11B for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이러한 본체(10)의 후면 공간부(11C)에, 받침대(20)가 접히면서 수용되어, 받침대(20)의 후면 돌출이 방지된다.In the rear space portion 11C of the main body 10, the pedestal 20 is folded and received to prevent the back surface of the pedestal 20 from being projected.

이때 상기 받침대(20)(힌지부(21)의 높이 포함)는, 제1 리세스(11A)의 깊이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pedestal 20 (including the height of the hinge portion 21) h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recess 11A.

또한 받침대(20)의 전체 길이는, 힌지부와 메인프레임(11)의 하부 프레임 사이의 너비보다 짧게 형성(물론 액자가 소정 각도로 직립하여 세워질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 이상이 되어야 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total length of the pedestal 2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hinge portion and the lower frame of the main frame 11 (of course, the frame must be at least a minimum length that can be erected upr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desirable.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받침대(20)의 끝단부가 메인프레임(11)에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경우,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end portion of the pedestal 20 has a length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11,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하부 프레임 후면에서, 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제3 리세스(미도시)를 형성하여, A third recess (not shown) is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frame of the main frame 11,

상기 받침대(20)가 접힐 때, 받침대(20)의 끝단부가 상기 제3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비되어, 받침대(20)의 후면 돌출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edestal 20 is folded, an end of the pedestal 20 is accommodated in the third recess to prevent the pedestal 20 from being projected from the rear.

즉, 메인프레임(11)에 제2 리세스(11B)와 유사한 구조로 받침대(20)의 끝단부 좌우 너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제3 리세스를 형성하면, 받침대(20)가 접힐 때 끝단부가 제3 리세스에 수용되어 받침대의 후방 돌출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리세스에 의해 벽걸이부재(16), 분리방지부재(17), 받침대(20) 모두가 메인프레임(11)의 내부로 수용되어 액자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아, 액자 적층 시 전면 장식부(11b)를 구성하는 아치형 돌출부에 다른 액자의 메인프레임 후면이 접촉하여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한다.
That is, when the third recess is formed in the main frame 11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right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pedestal 20 in a structure similar to the second recess 11B, when the pedestal 20 is folded, The additional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third recess to prevent the pedestal from being projected backwar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wall-hanging member 16,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and the pedestal 20 are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1 and are not projected to the rear of the frame due to the recesse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of another fram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rched protrusion constituting the decorative portion 11b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cratches.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받침대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액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rame for which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is maintai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 : 액자 FS : 이격부 1 : 진열대상체
2 : 진열패널 3, 4, 5 : 진열부 10 : 본체
11 : 메인프레임 11S : 개구부 11a : 걸림턱
11b : 전면 장식부 11A, 11B : 리세스 11C : 공간부
12 : 투광패널 13 : 후방패널 14 : 이격부재
15 : 중간패널 16 : 벽걸이부재 16a : 고정부
16b : 고리부 17 : 분리방지부재 17A : 걸림편
17B : 스윙축 17a : 강화부 17b : 틈새
20 : 받침대 21 : 힌지부
30, 31, 32 : 자성체
F: Picture frame FS: Separation part 1: Display upper body
2: display panel 3, 4, 5: display part 10: main body
11: main frame 11S: opening 11a:
11b: front decorating part 11A, 11B: recess 11C:
12: light projecting panel 13: rear panel 14: spacing member
15: intermediate panel 16: wall-hanging member 16a:
16b: claw 17: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A:
17B: swing shaft 17a: reinforced portion 17b: gap
20: pedestal 21: hinge portion
30, 31, 32: magnetic substance

Claims (4)

진열대상체(1)가 장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20); 및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받침대(20)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자력을 통해 상기 받침대(20)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성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진열대상체(1)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1),
상기 메인프레임(11)에 구비되는 벽걸이부재(16),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 배열되어 진열대상체(1)의 후방측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재(17),
상기 벽걸이부재(16)가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수용되어 벽걸이부재(16)의 후방 돌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오목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벽걸이부재(16)가 결합되는 제1 리세스(11A),
상기 분리방지부재(17)가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수용되어 분리방지부재(17)의 후방 돌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오목 형성되면서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분리방지부재(17)가 결합되는 제2 리세스(11B),
상기 받침대(20)가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수용되어 받침대(20)의 후방 돌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을 제외한 후면이 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되어 받침대(20)가 수용되는 후면 공간부(11C)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오목 형성되면서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받침대(20)의 끝단부가 수용되는 제3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1)은, 진열대상체(1)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11S)를 갖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진열대상체(1)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 장착부 형성을 위한 전방의 걸림턱(11a)을 포함하고,
투광패널(12)은 상기 개구부(11S)의 가장 전면에 위치하도록 걸림턱(11a)의 후면과 접촉하여 배열되고
상기 투광패널(12)의 후면에는 메인프레임(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착부에 배열되는 이격부재(14)가 배치되어, 상기 이격부재(14) 후면에 결합되는 진열대상체(1)의 진열패널(2)과, 투광패널(12) 사이에 이격부(FS)를 형성하고, 상기 진열패널(2)의 후방에 중간패널(15)이 배열되고, 상기 중간패널(15) 후방에 후방패널(13)이 배열되면서, 상기 이격부(FS)를 형성하는 이격부재(14)의 후면이 상기 진열패널(2)의 테두리가 지지되는 걸림부로 기능하고,

상기 벽걸이부재(16)는, 상기 제1 리세스(11A)에 결합되는 고정부(16a)와, 상기 고정부(16a)에 힌지 결합되는 고리부(16b)로 구성되되, 상기 고리부(16b)가 상기 고정부(16a)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16b)가 제1 리세스(11A)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메인프레임(11) 상부로 노출되고, 벽걸이부재(16)를 사용하지 않을 때 고리부(16b)가 접혀 메인프레임(1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전면 장식부(11b)는 아치형 돌출부로 형성되어, 액자 적층 시 상기 아치형 돌출부에 다른 액자의 메인프레임(11) 후면이 접촉하며,

상기 분리방지부재(17)는, 상기 제2 리세스(11B)에서 상기 후방패널(13)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스윙축(17B)을 구성하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 복수개의 스윙형 걸림편(17A)으로 구성되되, 상기 스윙축(17B)의 반대편 끝단부가 후방패널(13)을 덮으면서 움직이도록 구비되어, 투광패널(12), 이격부재(14), 진열패널(2), 중간패널(15), 후방패널(13)이, 메인프레임(11)의 장착부에 마운팅 상태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편(17A)은, 중앙 부위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강화부(17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강화부(17a)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걸림편(17A)을 뒤집은 상태로 구비되어, 중앙 돌출 강화부(17a)가 후방패널(13) 또는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 접하고, 걸림편(17A)의 테두리는 후방패널(13) 또는 메인프레임(11)의 후면에서 이격되어 틈새(17b)를 형성하여, 상기 틈새(17b)를 통해 상기 걸림편(17A)의 스윙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A main body 10 on which the shelf body 1 is mounted;
A pedestal 20 hing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nd a magnetic body (30)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or the pedestal (20) or both of them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of the pedestal (20) through a magnetic force,

The main body (10)
A main frame 11 on which the shelf body 1 is mounted,
A wall-hanging member 16 provided on the main frame 11,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ear side of the shelf member 1,
The wall member 16 is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1 to prevent the wall member 16 from protruding rearward. The main body 11 is recessed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A first recess 11A to which the first recess 16 is couple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is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1 and is recessed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so as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from protruding rearward, A second recess 11B 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7 is coupled,
The rear surface of the pedestal 20 except the main frame 11 is recessed forward so that the pedestal 2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frame 11 to prevent the pedestal 20 from projecting rearward, And a third recess in which a space portion 11C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of which is recessed forward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and i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pedestal 20 is accommodated,

The main frame 11 has an opening portion 11S through which the shelf member 1 is exposed and has an inner side portion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shelf member 1 thereon, 11a,
The light projecting panel 12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engaging protrusion 11a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opening 11S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12 is provided with a spacing member 1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frame 11 and arranged on the mounting portion, A spacing FS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2 of the display panel 2 and the transparent panel 12 and an intermediate panel 15 is arranged behind the display panel 2, The rear surface of the spacing member 14 forming the spacing portion FS functions as a latch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rim of the display panel 2 while the rear panels 13 are arranged,

The wall-mounted member 16 includes a fixed portion 16a coupled to the first recess 11A and a hook portion 16b hinged to the fixed portion 16a, and the hook portion 16b The ring portion 16b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recess 11A so that the wall portion 16 can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16a, The ring portion 16b is folded and not proj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1,

The front decorative part 11b of the main frame 11 is formed as an arched protrusion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of another fram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rched protrusion when the frame is stacked,

The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17 includes a plurality of swing-type locking pieces 17A fixed by bolts constituting the swing shaft 17B to pres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3 in the second recess 11B. The opposite end of the swing shaft 17B is provided to move while covering the rear panel 13 so that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12, the spacing member 14, the display panel 2, the intermediate panel 15 , The rear panel 13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frame 11,

The retaining piece 17A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17a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the retaining piece 17A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reinforcing portion 17a faces forward, The reinforcing portion 17a abut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3 or the main frame 11 and the rim of the engaging piece 17A is spac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3 or the main frame 11, And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latching piece (17A) is performed through the gap (17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세스(11A)는, 상변이 장변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반원형 리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cess (11A) is constituted by a semicircular reces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side to the long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세스(11B)는, 하변이 장변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반원형 리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second recess (11B) is constituted by a semicircular recess formed by opening the lower side to the long side.
삭제delete
KR2020160001520U 2016-03-21 2016-03-21 Frame KR2004834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20U KR200483484Y1 (en) 2016-03-21 2016-03-21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20U KR200483484Y1 (en) 2016-03-21 2016-03-21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484Y1 true KR200483484Y1 (en) 2017-05-19

Family

ID=5902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20U KR200483484Y1 (en) 2016-03-21 2016-03-21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8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895A (en)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예일문화사 Frame include folding type bridge
KR200490623Y1 (en) * 2018-08-08 2019-12-06 이건 Accessory cover for portable gas sto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567U (en) * 1994-09-28 1995-04-04 進 川崎 Picture frame
KR960026630U (en) * 1995-01-10 1996-08-17 정인국 Plaque and Commemorative Plaque Support
KR20030051124A (en) * 2001-12-14 2003-06-25 노기문 A picture frame
KR200383881Y1 (en) * 2005-02-17 2005-05-10 김용철 A frame 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567U (en) * 1994-09-28 1995-04-04 進 川崎 Picture frame
KR960026630U (en) * 1995-01-10 1996-08-17 정인국 Plaque and Commemorative Plaque Support
KR20030051124A (en) * 2001-12-14 2003-06-25 노기문 A picture frame
KR200383881Y1 (en) * 2005-02-17 2005-05-10 김용철 A frame 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895A (en)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예일문화사 Frame include folding type bridge
KR102147309B1 (en) * 2018-05-18 2020-08-24 주식회사 예일문화사 Frame include folding type bridge
KR200490623Y1 (en) * 2018-08-08 2019-12-06 이건 Accessory cover for portable gas sto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088B1 (en) Collectibles display case
CN101674761B (en) Folding display module
USD567536S1 (en) Standing support
USD650095S1 (en) Wooden fence post support
US8127695B2 (en) Display stand with table
KR200483484Y1 (en) Frame
US20150038246A1 (en) Repeatedly Collapsible Retail Stand Toy
US20190183244A1 (en) Combination collapsible table picture frame
US20040150306A1 (en) Portable display, storage and transport case
US10765202B2 (en) Foldable locker assembly
KR200483441Y1 (en) Frame equipped with anti-scratch recess
USD572045S1 (en) Card and newspaper display stand
US20060000393A1 (en) Table with ornamental display
USD568630S1 (en) Standing support
KR102147309B1 (en) Frame include folding type bridge
KR200471483Y1 (en) case one body type memorial tablet
US20090165400A1 (en) Prayer enclosure
US7445211B1 (en) Wall decoration and game apparatus
EP2878235A1 (en) Collectibles Display Case
WO2008086522A2 (en) Chair rail picture frame
US20220258040A1 (en) Puzzle case
KR200486812Y1 (en) Wreath frame for charnel house
USD621634S1 (en) Standing support
USD523922S1 (en) Collapsible stand
JP3180655U (en) Frame with storage shelf and storage shelf fo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