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88Y1 -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 Google Patents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88Y1
KR200483388Y1 KR2020160007518U KR20160007518U KR200483388Y1 KR 200483388 Y1 KR200483388 Y1 KR 200483388Y1 KR 2020160007518 U KR2020160007518 U KR 2020160007518U KR 20160007518 U KR20160007518 U KR 20160007518U KR 200483388 Y1 KR200483388 Y1 KR 200483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que
fixing member
decorative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2020160007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8Photograph stands adjustable to accommodate frames or pictures of varying siz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패, 기념패, 트로피 등을 세워서 장식할 때 사용하는 상패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패, 기념패, 트로피 등의 두께에 상응하여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상패, 기념패, 트로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상패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적어도 둘 이상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장식부재가 삽입시 장식부재의 하부 전면 및 후면이 각각 맞닿게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단면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면은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부재 사이로 삽입된 장식부재의 하부 바닥면이 맞닿는 지지면이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장부재 또는 복수의 연장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Width adjustable plaque base}
본 고안은 상패, 기념패, 트로피 등을 세워서 장식할 때 사용하는 상패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패, 기념패, 트로피 등의 두께에 상응하여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상패, 기념패, 트로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상패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패, 기념패, 트로피(이하, '상패'로 통일하여 지칭한다) 등은 운동경기나 각종 대회, 경연회, 시상식, 기념회 또는 장기근속자 등에게 입상내역이나 기념 또는 감사를 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참가자에게 증정되는 것으로, 대부분 대회, 경연회, 시상식, 기념회 등의 내용을 나타내는 패널 또는 조각(이하, '장식부재'로 지칭한다)과 상기 장식부재를 세워서 진열하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상기의 장식부재는 목재, 금속재, 크리스털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 및 측면에 다양한 문구, 문양 등을 조각,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는 장식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장식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느끼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받침대는 단순히 장식부재를 지지하는것에서 한정되는 것으로, 각각의 장식부재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받침대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사용 중 받침대가 파손되거나 잃어버리는 경우 이를 대체할만한 받침대를 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장식부재와 받침대가 1:1로 맞아야 하며, 받침대가 하나의 구성 즉 원피스(One-Piece)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장식부재의 크기, 두께, 형태에 따라 그에 맞는 받침대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단가 상승, 보관 및 분류에 소요되는 장소 및 시간의 증가, 제품이 출시가 오래된 받침대의 경우 파손 및 분실시 대체품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640(2002.07.04, 공고)호에서는, 별도의 조립부품과 조립공구 없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장식할 장소에 상패가 세워져서 장식되게 함은 물론 견고하고 안정되게 상패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상패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의 판체로 되는 한편, 세워져서 장식되는 상패(20)에 있어서, 금속의 재질로 성형되고, 배면부(14)와 저면부(16)가 각각 1/2원호를 이루는 동시에 각각 수직, 수평면을 이루게 되며, 전면부(12)가 1/4 크기의 구형상을 이루게 되는 받침대(10) 4개로 상기 상패(20)의 좌,우측면 하부면이 받쳐지게 하되, 2개 한 쌍씩 좌,우측면 하부의 전,후면을 받쳐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도 1a 및 1b 참조)
상기의 종래기술은 상패의 하부가 맞닿는 면과 바닥면에 맞닿는 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전방으로 노출되는 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 쌍의 받침대를 상호 대칭되게 배치한 뒤 그 사이에 상패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별도의 조립부품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으나, 조립부품이 없기 때문에 한 쌍의 받침대의 결합력이 약하고, 그 사이에 상패가 삽입되는 경우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패의 하부가 맞닿는 면의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상패의 두께 및 형태에 따라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및 상술한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부가된 도면번호는 이하의 본원고안의 설명에서 부가된 도면번호와는 별개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640 (2002년07월04일, 공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장식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상호 탈착 가능한 다단으로 형성하여 장식부재의 두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장식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둘 이상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장식부재가 삽입시 장식부재의 하부 전면 및 후면이 각각 맞닿게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상기 고정부재의 단면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면은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부재 사이로 삽입된 장식부재의 하부 바닥면이 맞닿는 지지면이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연장부재 또는 복수의 연장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나사산이 결합하도록 내면에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고정부재 및 연장부재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양단에 각각 원형의 결합볼이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볼의 직경에 비해 좁은 직경의 입구를 가지되, 상기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점진적으로 넓어져 상기 결합볼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안치부가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고정부재 및 연장부재(20)에 각각 형성되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된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를 감싸는 금속재의 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는, 삽입된 장식부재가 기울어져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면이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연장부재를 통해 장식부재의 두께 및 형태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상패 받침대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동일한 형태의 받침대를 공급함으로써 일부가 분실되어도 쉽게 대체품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상패 받침대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의 결합시 단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이하, '받침대'로 약칭함)(1)는, 고정부재(10)와, 연장부재(20)와,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적어도 둘 이상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장식부재(100)가 삽입시 장식부재(100)의 하부 전면 및 후면이 각각 맞닿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금속, 목재, 크리스털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이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0)는 장식부재(100)와 맞닿는 면에 장식부재(10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즉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수단(11)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밀착수단(11)은 고정부재(10)에서 장식부재(100)와 맞닿는 면에 구비되되 우레탄, 테프론,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점착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0)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되 적어도 어느 일면은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장식부재(100)의 하부 바닥면이 맞닿는 지지면(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재(2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측을 편평하게 가공하여 지지면(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20)에는 축광(蓄光)수단(22)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축광수단(22)은 연장부재(20)의 지지면(21)에 구비되어 주간 또는 야간에 지지면(21)에 안치된 장식부재(100)의 하부 바닥면으로 빛을 발광시켜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축광수단(22)은 축광안료가 도포된 축광테이프 일 수 있으며, 축광수단(22)에는 별도의 쿠션층(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되어 장식부재(100)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식부재(100)의 하중을 분산하여 연장부재(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고정부재(10)와 연장부재(20) 또는 복수의 연장부재(2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외면에 나사산(311)이 형성된 결합구(31)와, 상기 결합구(31)의 나사산(311)이 결합하도록 내면에 대응나사산(321)이 형성된 결합홈(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홈(32)은 상기 고정부재(10) 및 연장부재(20)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31)는 원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면에 일정하게 나사산(31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32)의 대응나사산(3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32)은 고정부재(10)와 연장부재(20)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재(20)에 형성된 결합홈(32)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거나 길이방향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연장부재(20)를 상호 결합할 때 각각의 연장부재(20)에 형성된 결합홈(32)에 결합구(31)를 결합하여 복수의 연장부재(20)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선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연장부재(20)는 각각 맞닿는 고정부재(10)와 결합구(31)를 통해 결합되어 하나의 상패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3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와 연장부재(20)에 각각 요홈(3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된 요홈(36)에는 접착제, 테이프 등을 통해 일측이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된 결합자석(37)이 구비되고, 돌출된 결합자석(37)의 타측이 연장부재(20)의 요홈(36)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부재(10)와 연장부재(20)를 일체로 결합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수단(3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구(31)의 양단에 각각 원형의 결합볼(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은 상기 결합볼(33)의 직경에 비해 좁은 입구(341)를 가지되 상기 입구(341)로부터 내측으로 점진적으로 넓어져 상기 결합볼(33)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안치부(34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결합볼(33)은 결합홈(32)에 끼움 결합 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100)를 지지할 때 한 쌍의 받침대(1)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사선 배치되도록 하여 장식부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결합볼(33)은 금속, 목재, 크리스털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0)와 연장부재(20)는 상기 결합볼(33)이 삽입되는 입구(341)가 탄성을 지녀 결합볼(33)의 삽입 또는 분리시 벌어진 뒤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하기 때문에 탄성을 지닌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의 일예로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341)와 안치부(342)가 형성되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몸체(34)와 상기 몸체(34)를 감싸는 금속의 커버(3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구(341)는 결합구(31)가 회전할 때 입구(341)의 단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구(341)의 직경 또는 폭이 결합구(31)의 직경 또는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부재(10)에 경사면(12)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경사면(12)은 삽입된 장식부재(100)가 경사면(12)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부재(20)의 양단부도 상기 경사면(12)과 동일한 각도의 사선방향을 가진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장식부재(100)를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진열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상패 받침대 100 : 장식부재
10 : 고정부재 20 : 연장부재
30 : 결합수단
11 : 밀착수단 12 : 경사면
21 : 지지면 22 : 축광수단
31 : 결합구 32 : 결합홈
33 : 결합볼 34 : 몸체
35 : 커버 311 : 나사산
321 : 대응나사산 341 : 입구
342 : 안치부 36 : 요홈
37 : 결합자석

Claims (4)

  1. 적어도 둘 이상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장식부재(100)가 삽입시 장식부재(100)의 하부 전면 및 후면이 각각 맞닿게 형성된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상기 고정부재(10)의 단면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면은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부재(10) 사이로 삽입된 장식부재(100)의 하부 바닥면이 맞닿는 지지면(21)이 형성된 연장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와 연장부재(20) 또는 복수의 연장부재(2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30)은,
    양단에 각각 원형의 결합볼(33)이 형성된 결합구(31)와,
    상기 결합볼(33)의 직경에 비해 좁은 직경의 입구(341)를 가지되, 상기 입구(341)로부터 내측으로 점진적으로 넓어져 상기 결합볼(33)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안치부(342)가 형성된 결합홈(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홈(32)은, 상기 고정부재(10) 및 연장부재(20)에 각각 형성되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된 몸체(34)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34)를 감싸는 금속재의 커버(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는,
    삽입된 장식부재(100)가 기울어져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면이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KR2020160007518U 2016-12-23 2016-12-23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KR200483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18U KR200483388Y1 (ko) 2016-12-23 2016-12-23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18U KR200483388Y1 (ko) 2016-12-23 2016-12-23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88Y1 true KR200483388Y1 (ko) 2017-05-08

Family

ID=5871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18U KR200483388Y1 (ko) 2016-12-23 2016-12-23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8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40Y1 (ko) 2002-04-10 2002-07-04 김홍선 상패 받침대
KR200393999Y1 (ko) * 2005-06-07 2005-08-25 김홍선 상패용 받침대
KR200410390Y1 (ko) * 2005-12-22 2006-03-08 (주)스타양행 회전거울 지지구
KR200433820Y1 (ko) * 2006-09-08 2006-12-20 고재환 기념패용 액자
KR20100037253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큰숲 흄관용 받침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40Y1 (ko) 2002-04-10 2002-07-04 김홍선 상패 받침대
KR200393999Y1 (ko) * 2005-06-07 2005-08-25 김홍선 상패용 받침대
KR200410390Y1 (ko) * 2005-12-22 2006-03-08 (주)스타양행 회전거울 지지구
KR200433820Y1 (ko) * 2006-09-08 2006-12-20 고재환 기념패용 액자
KR20100037253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큰숲 흄관용 받침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9945S1 (en) One-piece cushion with base and nozzles
USD581253S1 (en) Stud mount
US3843079A (en) Flag standard
US20100068422A1 (en) Floating Acrylic Magnetic Plaque
USD952533S1 (en) Display screen for automobile
USD557529S1 (en) Furniture support
USD992520S1 (en) LED matrix display
USD540620S1 (en) Glass
USD540895S1 (en) Inflatable basketball stand
KR200483388Y1 (ko) 폭 조절이 가능한 상패 받침대
USD511903S1 (en) Chair
US6828034B2 (en) Trophy construction
USD520086S1 (en) Surface decoration for a ball or a ball panel
USD507182S1 (en) Combined bottle and cap
USD559580S1 (en) Pedestal desk
US20040191430A1 (en) Trophy construction
USD470215S1 (en) Display waterfall
CN205468225U (zh) 壁画
USD505174S1 (en) Golf club support
CN208114159U (zh) 一种镶嵌基座及首饰
USD468147S1 (en) Display tower with a swivel base
US20030208939A1 (en) Ornamental display apparatus
USD1007166S1 (en) Shower bench with adjustable leveling feet
USD993724S1 (en) Display stand
CN201736715U (zh) 一种珐琅饰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