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69Y1 - 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69Y1
KR200483369Y1 KR2020160002881U KR20160002881U KR200483369Y1 KR 200483369 Y1 KR200483369 Y1 KR 200483369Y1 KR 2020160002881 U KR2020160002881 U KR 2020160002881U KR 20160002881 U KR20160002881 U KR 20160002881U KR 200483369 Y1 KR200483369 Y1 KR 200483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rame
coupling
tent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8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만홍
Original Assignee
허만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홍 filed Critical 허만홍
Priority to KR2020160002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긴 봉 형상의 지지파이프 다수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면에 의지하여 천막의 상부와 측면을 지지하는 천막용 골조에 있어서,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좌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가 연결 결속되는 좌측 플랜지;와,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가 연결 결속되며, 좌측 면은 상기 좌측 플랜지의 우측 면에 밀착되는 우측 플랜지;와, 상기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를 견고히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플랜지에 형성되는 결속홈에 지지파이프의 끝단을 내입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플랜지와 지지파이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한 후,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골조 연결부분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함으로, 천막의 하중에 골조의 연결부분이 해제(파손)되어 발생하는 골조의 기능상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수단의 해제를 통해 다수의 파이프와 플랜지를 각각 분리 해체할 수 있어 골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편리한 보관 및 이송을 통해 골조의 용이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치가이드와 배치돌기 및 임시 결속편을 이용하여 결합수단을 통한 플랜지의 연결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골조의 제작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ent construction frame, in which a large number of long support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ich supports an upper por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tent,
A left flange having a flat plate shape, a left flange to which at least one support pipe is connected to the left, a flat plate shape, at least one support pip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and a left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left flange And a coupling means for firmly coupling the left flange and the right flange to each other,
The flange and the support pipe are weld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support pipe is weld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flange to form a rigid coupling between the flange and the support pipe, By reinforcing the structural safe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frame structure and the safety accident that occur due to the breakag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to the load of the tent.
Also, since the plurality of pipes and flange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leasing the coupling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easy management of the frame through convenient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rame.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work of the flange through the coupling means can be performed very conveniently using the placement guide, the placement projection, and the temporary bind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erator with the convenience of making the frame.

Description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본 고안은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에 형성되는 결속홈에 지지파이프의 끝단을 내입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플랜지와 지지파이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한 후,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골조 연결부분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함으로, 천막의 하중에 골조의 연결부분이 해제(파손)되어 발생하는 골조의 기능상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tent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tent frame,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ng groove formed in a flange, welding the end portion of a supporting pipe inwardly to form a rigid connection between the flange and a supporting pipe, The right side flange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with the coupling means to strengthen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so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is released (broken) to the load of the t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ent construction frame which can be prevented.

일반적으로 천막은 야외에서 햇빛의 차단이나 급작스러운 날씨변화에 따른 비나 눈 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판대, 간이창고, 대형 텐트용으로써 야유회, 체육대회, 상가(喪家)에서 한 번에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Generally, a tent is used to block rain or snow due to sunlight blocking or sudden weather change in the outdoors. It is used for a newsstand, a simple warehouse, a large tent, a picnic, an athletic meet, It is an acceptab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천막을 설치할 때는 다수개의 금속재 파이프를 연결하여 집 형태의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의 상부에 천막을 씌워 결속하여 설치하게 된다.When the above-mentioned tent is installed, a plurality of metal pipes are connected to form a gathering frame, and a ten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하지만, 종래에 천막을 지지하는 골조는 다수의 파이프를 서로 용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골조를 제작함으로, 천막의 무거운 하중에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가 용접 결합되는 부분, 즉 골조의 취약부분이 빈번하게 연결이 해제되어 골조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골조가 붕괴되어 천막 내부에 있는 사람이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a frame supporting a tent is manufactured by welding a plurality of pipes to each other by welding, so that a portion where a pipe and another pipe are welded to a heavy load of the tent,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of the frame is lost and the frame collapses and a safety accident that a person inside the tent is injured is generated.

또한, 종래의 천막용 골조는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가 용접되어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해체가 불가능하여 골조의 보관이나 및 이송이 곤란하여 골조의 관리가 매우 불편하다는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ent construction frame has a structure in which pipes and other pipes are welded and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impossible to disassemble the tent construction frame separatel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ore and transport the frame structure and to control the frame structur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랜지에 형성되는 결속홈에 지지파이프의 끝단을 내입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플랜지와 지지파이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한 후,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골조 연결부분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함으로, 천막의 하중에 골조의 연결부분이 해제(파손)되어 발생하는 골조의 기능상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nge and a support pipe which are welded in a state where an end of a support pipe is inserted into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flange, The left side flange and the right side flange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means to strengthen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so that the frame part is broken due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to the load of the tent, And a connecting structure of the tent assembly frame which can prevent the tent construction.

또한, 결합수단의 해제를 통해 다수의 파이프와 플랜지를 각각 분리 해체할 수 있어 골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편리한 보관 및 이송을 통해 골조의 용이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lso, since the plurality of pipes and the flange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releasing of the coupling mean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frame can be guided through easy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rame. .

또한, 배치가이드와 배치돌기 및 임시 결속편을 이용하여 결합수단을 통한 플랜지의 연결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골조의 제작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lange can be very conveniently performed using the placement guide, the placement protrusion, and the temporary binding piece, there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the convenience of making the frame.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는 긴 봉 형상의 지지파이프 다수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면에 의지하여 천막의 상부와 측면을 지지하는 천막용 골조에 있어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nt structure for supporting an uppe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f a tent in relation to a ground, ,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좌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가 연결 결속되는 좌측 플랜지;와,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가 연결 결속되며, 좌측 면은 상기 좌측 플랜지의 우측 면에 밀착되는 우측 플랜지;와, 상기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를 견고히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좌측 플랜지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연결구멍과, 상기 우측 플랜지 내부에 상기 제1연결구멍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연결구멍과, 상기 연결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를 견고히 결속 고정시키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플랜지의 우측 면 테두리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치가이드와, 상기 우측 플랜지의 좌측 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치가이드 내부에 배치되어 결속되는 배치돌기와, 상기 좌측 플랜지의 배치가이드에 상기 우측 플랜지의 배치돌기가 내입 결속되면, 상기 좌측 및 우측 플랜지의 바깥쪽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플랜지를 임시적으로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임시 결속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eft flange having a flat plate shape, a left flange to which at least one support pipe is connected to the left, a flat plate shape, at least one support pip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and a left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left flange And a coupling means for firmly coupling the left flange and the right flange to each other,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left flange,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right flang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upling holes, and coupling bolts And a coupling nut fastened to the coupling bolt and firmly fixing the left flange and the right flange,
A placement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edge of the left flange, a placement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face of the right flange and disposed and bound in the placement guide, And one or more temporary binding pieces for temporarily binding the left and right flanges by pressing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langes when the arrangement protrusions of the right flange are inserted and b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플랜지에 형성되는 결속홈에 지지파이프의 끝단을 내입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플랜지와 지지파이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한 후,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골조 연결부분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함으로, 천막의 하중에 골조의 연결부분이 해제(파손)되어 발생하는 골조의 기능상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construc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end of the support pipe is weld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flange, the flange and the support pipe are welded together, The right side flange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with the coupling means to strengthen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so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is released (broken) to the load of the t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결합수단의 해제를 통해 다수의 파이프와 플랜지를 각각 분리 해체할 수 있어 골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편리한 보관 및 이송을 통해 골조의 용이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plurality of pipes and flange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leasing the coupling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easy management of the frame through convenient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rame.

또한, 배치가이드와 배치돌기 및 임시 결속편을 이용하여 결합수단을 통한 플랜지의 연결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골조의 제작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work of the flange through the coupling means can be performed very conveniently using the placement guide, the placement projection, and the temporary bind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erator with the convenience of making the fram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en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construction frame shown in Fig.
3 is an AA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construction frame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construction frame shown in Fig. 1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tent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en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constructi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construction fram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nt construction frame shown in FIG. Respectively.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100)는 긴 봉 형상의 지지파이프(1) 다수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면에 의지하여 천막(2)의 상부와 측면을 지지하는 천막용 골조에 있어서,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tentativ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ng support pipes 1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en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와, 결합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A left flange 10, a right flange 20, and a coupling means 3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플랜지(10)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좌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1)가 연결 결속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left flange 10 has a flat plate shape, and one or more support pipes 1 are connected to the left side.

여기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좌측 면과 후설될 상기 우측 플랜지(20)와 우측 면에 각각 상기 지지파이프(1)의 끝단이 내입 안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결속홈(40)을 형성하고, 그 결속홈(40)에 내입 안치된 상기 지지파이프(1)의 끝단과 상기 플랜지(10,20)는 용접(3)을 통해 상호 결합하여 상기 플랜지(10,20)와 지지파이프(1)가 서로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S. 2 and 3, one end of the support pipe 1 is inserted into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and the right flange 20, The end of the support pipe 1 and the flanges 10 and 2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0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elding 3 to form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support pipe 1 are firmly and stably engaged with each oth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플랜지(20)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1)가 연결 결속되며, 좌측 면은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우측 면에 밀착되도록 한다.1 to 3, the right flange 20 has a flat plate shape, and one or more support pipes 1 ar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is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left flange 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여기서, 상기 좌측 플랜지(10)에 상기 우측 플랜지(20)가 밀착되면 후설될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서로 견고히 연결되며, 이 부분이 골조에서 지지파이프(1)와 다른 지지파이프(1)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된다.When the right flang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flange 10, the flange 20 is firmly connected to the support pipe 1 through the coupling means 30. The support pipe 1, As shown in FIG.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접(3)을 통해 상기 플랜지(10,20)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지지파이프(1)를 각각의 상기 플랜지(10,20) 상·하부에 배치하고,1 to 3, the support pipe 1,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flanges 10 and 20 through the welding 3,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nges 10 and 20, Placed,

상부는 상기 플랜지(10,20)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파이프(1)와 용접(3) 결속되고, 중심은 상기 플랜지(10,20)에 용접(3) 결속되고, 하부는 상기 플랜지(10,20)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파이프(1)에 용접(3) 결속되는 강화패널(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upper part is welded to the support pipe 1 located above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center is welded 3 to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lower part is welded to the flanges 10 and 20, The reinforcing panel 50 is welded to the support pipe 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anel 20.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화패널(50)을 통해 상기 지지파이프(1)와 플랜지(10,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 골조에서 취약한 연결부분이 천막(2)의 하중에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골조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유도한다.4C, the supporting pipe 1 and the flanges 10 and 20 are stably supported through the reinforcing panel 50, so that the weak connecting portions in the frame structure are damaged in the load of the tent 2 And to prevent deformation, thereby enhancing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fram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견고히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upling means 30 firmly engages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상기 좌측 플랜지(10)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연결구멍(31)과, 상기 우측 플랜지(20) 내부에 상기 제1연결구멍(3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연결구멍(32)과, 상기 연결구멍(31,32)을 관통하는 결합볼트(33)와, 상기 결합볼트(33)에 체결되어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견고히 결속 고정시키는 결합너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holes 31 formed in the left flange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holes 32 formed in the right flange 2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nnection holes 31 A coupling bolt 33 penetrating through the coupling holes 31 and 32 and a coupling nut 34 fastened to the coupling bolt 33 to firmly fix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34).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멍(31,32)이 연통되도록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밀착 배치시킨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볼트(33)를 상기 연결구멍(31,32)에 관통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33)의 끝단에 상기 결합너트(34)를 체결하여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가 서로 견고히 연결 결합되도록 한다.4A,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holes 31 and 3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n, as shown in FIG. 4B, the coupling bolt 33 The coupling nut 34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coupling bolt 33 so that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holes 31, .

여기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다수의 상기 플랜지(10,20)를 서로 연결하여 천막(2)을 지지할 수 있는 골조로 형성하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골조는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결합수단(30)의 해제를 통해 상기 플랜지(10,20)를 간편히 해체를 수행할 수 있어 골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용이한 보관 및 이송을 유도할 수 있다.4C, a plurality of the flanges 10 and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ans 30 to form a framework capable of supporting the tent 2, and as shown in FIG. 4D Similarly, when the frame is completely used, the flange (10, 20) can be easily disassembled by releasing the coupling means (30), thereby facilitating easy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rame.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우측 면 테두리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치가이드(61)와, 상기 우측 플랜지(20)의 좌측 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치가이드(61) 내부에 배치되어 결속되는 배치돌기(62)와,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배치가이드(61)에 상기 우측 플랜지(20)의 배치돌기(62)가 내입 결속되면, 상기 좌측 및 우측 플랜지(10,20)의 바깥쪽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플랜지(10,20)를 임시적으로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임시 결속편(63)을 더 포함하여,1 to 3, a placement guide 61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edge of the left side flange 10 to the right, a protrusion 61 projecting leftward from the left side of the right side flange 20, When the placement protrusion 62 of the right flange 20 is engaged with the placement guide 61 of the left flange 10, , And one or more provisional binding pieces (63) for temporarily binding the left and right flanges (10, 20) by pressing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flanges (10, 20)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배치가이드(61)에 상기 우측 플랜지(20)의 배치돌기(62)를 내입한 후, 상기 임시 결속편(63)을 통해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결속하면,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의 정확한 배치를 통해 자연적으로 상기 플랜지(10,20)에 형성되는 제1연결구멍(31)과 제2연결구멍(32)이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어 작업자는 상기 결합볼트(33)와 결합너트(34)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4A, after the arrangement protrusion 62 of the right flange 20 is inserted into the placement guide 61 of the left flange 10, the left flange 20 is inserted through the temporary binding piece 63, The first connection hole 31 formed in the flanges 10 and 20 through the precise arrangement of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when the firs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are coupled together, The second connection holes 32 are arrang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fastening of the coupling bolt 33 and the coupling nut 34. [

더욱이,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상기 플랜지(10,20)를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임시 결속편(63)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10,20)가 분리되거나 흔들리지 않아 편리한 상기 결속수단(30)의 결합볼트(33)와 결합너트(34)를 체결하는 작업과정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flange 10 or 20 may be separated or shaken due to the temporary binding piece 63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langes 10 and 20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ans 30, The coupling bolt 33 and the coupling nut 34 are fastened together.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100)는 플랜지(10,20)에 형성되는 상기 결속홈(40)에 지지파이프(1)의 끝단을 내입한 상태에서 용접(3)하여 상기 플랜지(10,20)와 지지파이프(1)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한 후,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골조 연결부분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함으로, 천막(2)의 하중에 골조의 연결부분이 해제(파손)되어 발생하는 골조의 기능상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tentativ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s formed by welding (welding) the end of the support pipe 1 in the coupling groove 40 formed in the flanges 10, 20 3 to form a rigid coupling between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support pipe 1 so that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are coupled together simply and firmly through the coupling means 30. [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is strengthened so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is released (broken) to the load of the tent film 2, so that the malfunction of the frame and the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결합수단(30)의 해제를 통해 다수의 지지파이프(1)와 플랜지(10,20)를 각각으로 분리 해체할 수 있어 골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편리한 보관 및 이송을 통해 골조의 용이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support pipes 1 and the flanges 10 and 2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releasing of the coupling means 30, so that the parts constituting the frame can be easily stored and transported, Management can be induced.

또한, 상기 배치가이드(61)와 배치돌기(62) 및 임시 결속편(63)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한 상기 플랜지(10,20)의 연결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골조의 제작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flanges 10 and 20 via the coupling means 30 can be performed very conveniently by using the placement guide 61, the placement protrusion 62 and the temporary binding piece 63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erator with the convenience of making the fram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100)를 통해 다음과 같이 골조를 제작하여 천막을 배치한다.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tentative fr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frame is manufactured as follows to arrange the tent.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플랜지(10)의 배치가이드(61)에 우측 플랜지(20)의 배치돌기(62)를 내입한 후, 임시 결속편(63)을 통해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결속하여 임시적으로 고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4A, after the placement protrusion 62 of the right flange 20 is inserted into the placement guide 61 of the left flange 10,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side flange 20 are temporarily held together.

여기서, 상기 배치가이드(61)에 배치돌기(62)가 내입되어 상기 플랜지(10,20)의 강제적인 배치가 완료되면 상기 플랜지(10,20)의 제1연결구멍(31)과 제2연결구멍(32)이 자연스럽게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므로 작업자는 결합수단(30)의 통한 상기 플랜지(10,20)의 결합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arrangement protrusion 62 is inserted into the arrangement guide 61 and the flanges 10 and 20 are forcedly arranged, the first connection hole 31 of the flange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32 of the flange 10 Since the holes 32 are arrang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naturally,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carry out the joining operation of the flanges 10 and 20 through the joining means 30. [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0,20)의 연결구멍(31,32)에 결합볼트(33)를 관통시킨 후, 상기 결합볼트(33)에 결합너트(34)를 체결하여 상기 플랜지(10,20)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4b, the coupling bolt 33 is pass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31 and 32 of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n the coupling nut 34 is fastened to the coupling bolt 33. Then, To thereby firmly connect the flanges (10, 20).

여기서, 상기 결합볼트(33) 상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플랜지(10,20)와 결합너트(34) 사이에 위치되어 자력으로 상기 플랜지(10,20)에 의지하여 상기 결합너트(34)를 결속하는 자석링(4)을 형성하여, 국지적인 외부의 충격에 상기 결합너트(34)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coupling nut 34 is formed on the coupling bolt 33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left or right flanges 10 and 20 and the coupling nut 34 so that the coupling nut 34 is supported by the flanges 10 and 20, So as to prevent the coupling nut 34 from being disengaged from a local external impact.

상기와 같이 플랜지(10,20)를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천막(2)을 지지할 수 있는 대형의 골조로 제작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flanges 10 and 20 is repeated to fabricate a large frame capable of supporting the tent.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의 상부에 천막(2)을 덮으면 제작이 완료되는데, 이때 천막(2)의 하중이 가해지는 골조의 연결부분이 상기 플랜지(10,20)와 결합수단(30) 및 강화패널(50)을 통해 구조적으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짐으로, 천막(2)의 하중에 의한 골조 연결부분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된다.Then, as shown in FIG. 4C, the upper part of the frame is covered with the tent 2 to complete the fabricatio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to which the load of the tent 2 is applied, The structure 30 and the reinforcing panel 50 have structural superior stability, so that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frame connecting portion due to the load of the tent film 2 are prevented.

한편,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2)의 사용이 완료되어 골조의 보관 또는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결합수단(30)의 해제를 통해 지지파이프(1)와 연결되는 상기 플랜지(10,20)들을 각각 해체할 수 있어 골조를 구성하는 부품들인 상기 플랜지(10,20)와 결합수단(30)의 편리한 보관 및 이송을 유도한다.4d, when the use of the awning 2 is completed and a frame is required to be stored or transported, the flanges 10, 20 (not shown) connected to the support pipe 1 through the release of the coupling means 30 Can be disassembled, respectively, to lead to convenient storage and transport of the flanges 10, 20 and the coupling means 3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frame.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technical ideas.

1. 지지파이프 2. 천막
3. 용접 4. 자석링
10. 좌측 플랜지 20. 우측 플랜지
30. 결합수단 31. 제1연결구멍
32. 제2연결구멍 33. 결합볼트
34. 결합너트 40. 결속홈
50. 강화패널 61. 배치가이드
62. 배치돌기 63. 임시 결속편
100.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
1. Support pipe 2. Tent
3. Welding 4. Magnet ring
10. Left flange 20. Right flange
30. Coupling means 31. First connection hole
32. Second coupling hole 33. Coupling bolt
34. Coupling nut 40. Coupling groove
50. Reinforced Panel 61. Layout Guide
62. Batch projections 63. Temporary bindings
100. Connection structure of tent construction frame

Claims (5)

긴 봉 형상의 지지파이프(1) 다수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면에 의지하여 천막(2)의 상부와 측면을 지지하는 천막용 골조에 있어서,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좌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1)가 연결 결속되는 좌측 플랜지(10);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되,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파이프(1)가 연결 결속되며, 좌측 면은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우측 면에 밀착되는 우측 플랜지(20); 및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견고히 결합 고정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좌측 플랜지(10)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연결구멍(31)과, 상기 우측 플랜지(20) 내부에 상기 제1연결구멍(3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연결구멍(32)과, 상기 연결구멍(31,32)을 관통하는 결합볼트(33)와, 상기 결합볼트(33)에 체결되어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견고히 결속 고정시키는 결합너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우측 면 테두리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치가이드(61)와, 상기 우측 플랜지(20)의 좌측 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치가이드(61) 내부에 배치되어 결속되는 배치돌기(62)와,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배치가이드(61)에 상기 우측 플랜지(20)의 배치돌기(62)가 내입 결속되면, 상기 좌측 및 우측 플랜지(10,20)의 바깥쪽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플랜지(10,20)를 임시적으로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임시 결속편(6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좌측 플랜지(10)의 배치가이드(61)에 상기 우측 플랜지(20)의 배치돌기(62)를 내입한 후, 상기 임시 결속편(63)을 통해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를 결속하면, 상기 좌측 플랜지(10)와 우측 플랜지(20)의 정확한 배치를 통해 상기 플랜지(10,20)에 형성되는 제1연결구멍(31)과 제2연결구멍(32)이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볼트(33)와 결합너트(34)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상기 플랜지(10,20)를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랜지(10,20)가 분리되지 않아 편리한 결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용 골조의 연결구조.
A plurality of long support pipe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top and sides of the tent (2)
A left flange 10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to the left side to which at least one support pipe 1 is connected;
A right flange (20) having a flat plate shape, one or more support pipes (1) connected to the right side and a left sid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right side surface of the left flange (10); And
And engaging means (30) for rigidly engaging and fixing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The coupling means 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holes 31 formed in the left flange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holes 31 formed in the right flange 2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nnection hole 31 A coupling bolt 33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s 31 and 32 and a coupling bolt 33 fastened to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And a coupling nut (34) for firmly fastening and fastening,
A placement guide 61 protrud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edge of the left flange 10 and a placement guide 61 protruding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face of the right flange 20 and disposed inside the placement guide 61 When the placement protrusions 62 of the left flange 10 and the placement protrusions 62 of the right flange 20 are bonded to the placement guide 61 of the left flange 10, And one or more provisional binding pieces (63) for temporarily binding the left and right flanges (10, 20) by pressing the outer side surfaces thereof,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are inserted through the temporary binding piece 63 after the arrangement protrusion 62 of the right flange 20 is inserted into the placement guide 61 of the left flange 10, The first connection hole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32 formed in the flanges 10 and 2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accurate arrangement of the left flange 10 and the right flange 20, So that the coupling bolt 33 and the coupling nut 34 can be easily fastened and the flange 10 and 20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ans 30. [ , 20) are not separated, so that a convenient binding can be carried o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60002881U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KR2004833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81U KR200483369Y1 (en)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81U KR200483369Y1 (en)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69Y1 true KR200483369Y1 (en) 2017-05-08

Family

ID=5871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81U KR200483369Y1 (en)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6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889B1 (en) * 2023-08-18 2024-01-31 주식회사 지음 Tent frame with improved rigidity and tent house using the fr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07B1 (en) * 2010-01-29 2010-05-10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Tunnel type prefabricated pavillion structure with iron fr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07B1 (en) * 2010-01-29 2010-05-10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Tunnel type prefabricated pavillion structure with iron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889B1 (en) * 2023-08-18 2024-01-31 주식회사 지음 Tent frame with improved rigidity and tent house using the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463B2 (en) 3-dimensional universal tube connector system
KR101233559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US20120298015A1 (en) Plastic pallet structure
KR101534443B1 (en)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US20110194889A1 (en) 3-Dimensional Universal Tube Connector System
KR101670548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KR101594472B1 (en) Assembled container
KR101931911B1 (en) truss
KR200483369Y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tent frames
KR101278983B1 (en) Modular unit and modula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US11286680B2 (en) Reinforcement device for existing structure and incidental facility attaching device
KR101707529B1 (en) Glass curtain wall system
KR101194681B1 (en) Clamp for coupling of sub-panel
US20180266099A1 (en) Steel column to beam connectors
KR102011838B1 (en) Prefabricated re-bar beam structure with detachable form
KR101403142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for steel structure
KR101530785B1 (en) Holding a raised floor reinforcement
KR102299914B1 (en) Beam deck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US20210131130A1 (en) Device for producing a reinforced swimming pool
KR20160000312A (en) Scaffolding
KR102236827B1 (en) Prefabricated steel assembly for steel composite concrete column with permanent concrete form
KR102015459B1 (en) A Structure To Connect Towers witn Joining Two Flanges in Reduction
JP2001287815A (en) Frame structure of rack
KR101878877B1 (en) Structure of assembling wall panels of an elevator cage
KR20140012371A (en) Table le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